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부모행동이 청소년의 심리ㆍ행동문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지아,김영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parental behavior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 behavioral problem, and school adjustment.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72 middle school students drawn from 12 middle schools in Chungbuk, Chungnam, Gyeonggi, Gangwon, Gyeongnam, and Daejeon city.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and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18.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affectional and monitoring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of male students whereas mother's affectional and monitoring behavior influenced directly on school adjustment of female students. More especially, father's affectional and abuse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problem of male students while father's affectional and monitoring behavior, and mother's abuse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problem of female students. Second, psychological problem had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problem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ddition to, psychological problem did not have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f male students whereas psychological problem did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f female students. Also, behavioral problem had a direct on school adjustment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urthermore, psychological and behavior problem had a mediate between parental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s of parental behavior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 behavioral problem,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 show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effect on their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본 연구는 부모행동이 청소년의 심리․행동문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북, 충남, 대전, 경기, 강원, 경남에 소재한 12개교에 다니는 중학생 772명이었고, 자료는 질문지법으로 수집하여 SPSS 18.0과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아버지의 애정행동과 감독행동은 남학생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애정행동과 감독행동은 여학생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남학생의 심리문제에는 아버지의 애정행동과 학대행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여학생의 심리문제에는 아버지의 애정행동과 감독행동, 어머니의 학대행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심리문제가 행동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남학생의 경우 심리문제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여학생은 심리문제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행동문제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청소년의 심리문제와 행동문제는 부모행동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부모행동이 청소년의 심리․행동문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부모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오키나와의 ‘독자적인 평화인식’과 동북아 평화공생

        유지아 한일관계사학회 2024 한일관계사연구 Vol.83 No.-

        본 연구는 류큐처분과 오키나와 전투를 통해 맹아한 오키나와의 독자적인 평화 인식을 고찰하였다. 특히 오키나와 평화공원에 조성된 ‘평화의 초석’에 나타난 오키나와 평화인식과 현재까지도 거론되고 있는 ‘오키나와 독립문제’의 역사성을 검토하였다. 오키나와는 냉전 종식 후 한반도 위기, 대만해협 위기에 대처하는 데 있어서 요충지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공세로 나오는 중국 해군에 대처하는 데 요충지로 간주되어 오키나와의 전략적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오키나와는 류큐처분으로 인한 일본의 내부 식민지, 오키나와 전투, 그리고 미군 점령기를 거쳐 현재까지 150여 년 동안 차별을 받았다. 이러한 역사를 배경으로 오키나와인들은 일본인들과 차별화된 ‘독자적인 평화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첫째가 오키나와 기지반환과 독립의지에 나타난 휴머니즘이며, 둘째는 ‘평화의 초석’에 나타난 반전사상이다. 이처럼 오키나와 현민들은 오키나와의 자주권이나 자기결정권 획득, 군사기지가 아닌 평화요구 등을 통해 독립적인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키나와인들이 잊지 말아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오키나와가 내부 식민지적 환경에서 차별을 받았다 하더라고, 그들 또한 식민지 국가에 대해서는 ‘제국인’이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평화의 초석’에 깃든 미군 철수와 냉전의 문제를 극복하는 방식에 ‘반전과 평화’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동북아의 화합을 저해하는 ‘제국과 식민’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에 대해 더욱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Okinawa's independent perception of peace.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peace in Okinawa's "Heiwa no ishiji" and the "will for independence of Okinawa" in Okinawa's historicity were reviewed. Okinawa has been pointed out as an important point in dealing with the Korean Peninsula crisis and the Taiwan Strait crisis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In addition, Okinawa's strategic importance is expanding as it has recently been regarded as a key point in dealing with the Chinese navy that is on the offensive in the South China Sea and East China Sea. However, Okinawa has been discriminated against by Japan for more than 150 years from Japan's internal colonies due to the Ryukyu disposition, the Okinawa War during the Asia-Pacific War, and Japan's 'return' during the US occup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of history, the Okinawa people have an 'independent perception of peace' differentiated from the Japanese. The first is the humanism that appeared in the return of the Okinawa base and the will to independence, and the second is the anti-war ideology that appeared in the 'Heiwa no ishiji'. As such, Okinawa residents are expressing their independent will through Okinawa's sovereignty, self-determination, and peace demands rather than military bases. Nevertheless, Okinawa has its own perception of peace and a task that should not be forgotten. It is the fact that Okinawa was discriminated against in its internal colonial environment, but they were also 'imperial people' to the colonial st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more about how to solve the problem of 'imperial and colonial' that hinders harmony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reversal and peace'.

      • KCI등재

        일본 메이지기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여성 -간노 스가(菅野スガ)의 여성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유지아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3 No.-

        Although the Meiji government stated civilization opening as a national mission and attempted modernization, the government's inner object was the restoration of royal sovereignty. Establishing Tenno Ideology was the key method for the legitimate concrete status of Japan in the world order. Because of that, feudal policy and the older culture were not abolished even though Meiji revolutionized and Japan set its goal to become a modern country. In this era, Japanese women were asked to be a “good wife and wise mother” for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Social recognition also demanded the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hierarchy. Kanno Suga, who is mainly studied in this article, was a well-educated woman in this era. Such social atmospheres of the Tenno ideology and gender recognition were mostly sustained in her time. In her early career, Kanno started her social life as a newspaper reporter. She followed Christianity and tried to follow gender roles in nationalism as intended by the Meiji government. She later accepted Socialism and was linked to the Large Reversal Incident (Tenno Assassination, 1910). Despite the fact that Kanno was a social activist, her image is more likely described as a “Femme Fatale.” There are more reasons other than her love affairs. She experienced the changing recognition of gender roles from nationalism- based to socialism-based. She criticized men and argued for the gender struggle toward the male order. However, such a radical suggestion was not easily accepted by male-centered socialists. This proves that Japanese society and socialism did not step further from the idea of male supremacy which had its background in Tenno ideology. This gender understanding has a strong causation on the fact that Japanese women were systematically forced to join the war-front of the Asia-Pacific War. 메이지 정부는 문명개화를 국가목표로 삼아 근대화를 추진하였지만, 그 본질은 왕정복고에 두고 세계에 일본의 지위를 명확하게 자리매김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구축하였다. 때문에 메이지 유신으로 일본은 근대국가를 지향하였으나 봉건제도나 오래된 풍습이 사라지지는 않았다. 그리고 일본 여성에게 요구된 것은 부국강병정책을 유지하는 현모양처 정신과, 지배와 복종의 관계를 받아들이는 인식이었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간노 스가는 천황제 와 여성에 대한 인식이 정착되어 가던 시기에 활동했던 엘리트 여성이다. 간노는 초기에 신문기자로 사회에 진출하고, 기독교에 교화하면서 메이지 정부가 의도한대로 국가주의에 입각하여 여성이 국가를 위해 공헌해야 할 역할을 다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후반에 가서는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대역사건(천황암살사건, 1910)에까지 연루되게 되었다. 그러나 여성운동가로서의 삶을 살다간 간노에 대한 ‘요부’라는 이미지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표상이 만들어진 것은 단순히 그녀의 연애사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간노는 사회주의에 경도되면서 국가주의에 입각한 여성이 아니라, 여성의 해방을 추구하는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거침없이 남성을 비난하고, 남성과 투쟁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남성중심적인 사회주의자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는 일본 사회가 그리고 일본 사회주의가 천황제를 바탕으로 하는 남존여비 사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며, 이러한 여성인식은 아시아 태평양 전쟁 시기 여성들을 전쟁터로 내모는 시스템과 전혀 무관하지 않았다.

      • KCI등재

        메이지유신 150년과 천황의 ‘원수화’

        유지아 일본사학회 2018 일본역사연구 Vol.48 No.-

        In 1868, the Meiji Restoration ended 260 years of the Tokugawa Shogunate era. This event created revolutionary change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Yoshida Shoin and his followers, who lead the Meiji Restoration established the concept of ‘Sonnō jōi (Revere the Emperor, expel the barbarians)’. They insisted this concept as a righteous reason for their movement, including elimination of the Shogunate and restoration of sovereign authority of the Tenno. Thus the Meiji government claimed expectation of the Shogunate and restoration of sovereign – The Tenno-regime country. However, at the beginning of the Meiji era, Politics were lead by the ‘Hanbatsu’ and Tenno was an icon of unification.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 Hanbatsu lost its power and military rises. This change expands the administrational boundary of army and navy. They gained independent outer strategy and show political growth. Finally, Founders of the Meiji Restoration, who had vast authority upon national strategic decision started to decease during 1910s. This means military administration reached their influence on such national strategy. Since this period, military insisted independence of their mastership and strongly refused governmental intervention upon military. They generally institutionalized such agenda based on the Meiji constitution and made Tenno as generalissimo. The first generalissimo of Japan was Meiji Tenno. After Daisho era, this system stabilized by regent of the Showa Tenno. This unification of Tenno, sovereign and generalissimo continued until surrender of 1945. After WWII, Japanese law excluded the idea of generalissimo and sustain Tenno regime only for the icon, still it is true that sovereignty movement continues. New law’s statement about Tenno’s administrational authority is vague. This line could possibly interpret Tenno as nation’s representative and perfect icon. Later such formal remnant of authority was expanded from its vagueness by conservatives and made constitutional and political issue. The Tenno system is politically important argument for Japanese and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influenced their daily life and unconsciousness. Although iconic Tenno does not contain political subject in present Japan, Still its existence implies identification of Japan.

      • KCI등재후보

        대학교양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사 교육방안연구 -근대이후 동아시아관 형성과 현재를 중심으로-

        유지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교양교육연구 Vol.5 No.1

        The concept called the East Asia is accompanied with the formation and the swelling of the Europe modern nation system and is a concept established by the correspondence of the East Asia countries for the West. In addition, own country of the China, the Korea, and the Japan- centered East Asia recognition had an influence on it greatly. In modern times, the Chinese order lost the influence by west world power. In such a process, the relations of the East Asia was already collapsed and the order moved to nationalism, nationalism from order by Confucianism. It was grow up small Chinese awareness and the rise of nationalism to Korea. At the same time, Japan carried out the Meiji Restoration and was admitted into Western central modern international order. After the 1870s began, the Meiji government advocated so-called ‘Asian-rejecting, European-strengthening bonds’ diplomacy that it was escaped from Asia, and to a member of the West European country. As a result, Japan came to have many interests in the formation with China and Korea of relationships, and has begun to show many differences that recognized China before 228 교양교육연구(제5권 제1호) modern times. Japan adopted a principle of swelling policy as a part of such a policy and led to merger of Ryukyu, the dispatch of troops in Taiwan and came to Kang-whua Island treaty with Korea. And the outlook on East Asia of Japan developed in the logic such as not only the slight for the Orient but also Japan leader theory, the large Eastern Asia mutual prosperity in the Pacific War period in Asia. The history recognition of such an East Asia was just broken off after all since Japan was defeated in the Pacific War in Asia. As a result, East Asia three countries do history war so as to be obstinate in search of a similar instance in history. Therefore it must revise the history that the study is distorted in current East Asia, and was suppressed again. To that end, first, we must get over own country-centered history recognition, second, we must make an effort in the composition of history discourse where historic insight through, and last, we must make an effort for theses of the outlook on East Asia for peace and coexistence. 동아시아 개념은 서구 근대국가체제의 형성과 팽창과 더불어 서양에 대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반응과 대응의 형태로 성립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아시아라는 개념이 확립되는 데는 중국, 조선, 일본 각국의 자국중심의 동아시아 인식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근대 서세동점으로 인하여 중화질서는 그 영향력을 잃어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미 조공·책봉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주종관계는 와해되어 갔으며, 유교에 의한 보편주의적 천하관에서 민족주의, 국가주의로 넘어가는 과정이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에서는 탈중화주의와 근대민족주의의 성장과 더불어 소중화의식이 성장하게 된다. 같은 시기, 일본에서는 메이지 유신을 단행하고 서양 중심의 근대국제 질서에 편입되어갔다. 1870년대 들어서는 메이지 정부는 아시아에서 벗어나 서구세계의 일원이 되자는 이른바 ‘탈아입구(脫亞入口)’를 지향하는 외교를 표방하면서, 중국과 조선과의 관계 형성에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주변국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국을 인식하는 관점도 근대 이전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채택된 팽창주의 정책은 정한론, 류큐의 병합, 대만 출병으로 이어졌고 조선과도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그리고 아시아 태평양 전쟁기에 접어들어 일본의 동아시아관은 유럽중심의 문명관에 따른 동양에 대한 멸시뿐만 아니라 일본의 팽창에 의한 힘의 숭배라 할 수 있는 일본맹주론, 대동아공영 등의 논리로 발전되어갔다. 결국, 일본이 아시아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함으로써 동아시아의 역사인식, 역사서술 등은 각 국이 단절되었다. 그 결과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은 역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역사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기반하여 현재의 동아시아에서 학문의 주체는 왜곡되고 억압된 공식적인 역사를 수정하고 바로잡아나가는 성격을 띠어야 할 것이다. 그 노력방안으로는 첫째, 자국중심의 역사인식을 극복해야하며, 둘째, 근현대사 역사교육을 통한 역사적 통찰력이 담겨있는 담론형성에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화와 공존을 위한 동아시아관 정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본 평화헌법의 공동화(空洞化)와 자위대

        유지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9 일본사상 Vol.0 No.37

        From cold war and Korean War, US expect alliance with Japan. At this point, Japan wanted pre-consolidation and US wanted military stationing at Japan – which could gave them space to coop with. A step further, US estimated Japan’s remilitarization for strategic point of view. Therefore Treaty of Peace with Japan has been made, stated that Japan agreed their remilitarization. Fast or not, it was expected to be happened. Treaty also contains mutual national security agreement. Since this treaty, Conserves of Japan keep trying amendment of Article 9. As a result, Japan did not choose amendment but Japan Self-Defense Forces’ (JSDF) function slowly expanded for mutual national security. Apparently Japan shows collective self-defense, which means widely accepted their military power reserving and right to choose military conflict. Reality is: Article 9 was already hollowed out. Beside with this article, Japan interpreted and detailed collective self-defense as global contribution. This move fortified their position in US-Japan alliance, also systematically chose to ignore relationship with other East Asian countries. Nevertheless, Japan still wants amendment for ‘war on self-defense’ – means that officially granting JSDF in law. Politics spend much attention to convince social needs of JSDF within public and ‘normalize’ its existence. Hollowing constitution made many Japanese to accept irony between Article 9 and current situation of JSDF. Therefore we need to think about true meaning of amendment since constitution hollowed out and JSDF widely understood as protector for nation and people. 냉전과 한국전쟁의 국제정세에서 미국은 일본을 우방국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에 일본은 ‘조기강화’를, 미국은 ‘미군의 일본주둔’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연대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일본에 주둔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군사전략적 관점에서 일본을 재군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일본은 급진적이든 점진적이든 재군비에 동의하는 형식을 취하면서 대일강화조약에 서명하고, 미국과 미일안보조약을 체결하였다. 대일강화조약이 체결된 이래 일본의 보수세력들은 헌법 제9조를 개정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일본은 헌법을 개헌하지는 않았지만, 미일안보 차원에서 자위대의 역할을 확대시켜왔으며,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함으로써 군력보유와 교전권을 이미 인정하고 있는 상태가 되었다. 이와 같이 전후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이미 공동화되었다. 일본은 헌법과는 별도로 국제공헌이라는 명목으로 집단적 자위권을 구체화함으로써 미국과의 관계에서 동맹국으로써 지위를 명확히 하는 대신 동아시아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중요시하지 않는 국제관을 가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헌법개정을 통하여 자위전쟁을 가능케 하는 자위대의 존재를 헌법에 명시적으로 인정하고자 한다. 그 목적을 위해서 일본은 자위대 존재를 보편화하고 그 필요성(needs)에 국민적 합의를 확립시키려고 많은 에너지를 투입해 왔다. 많은 일본인이 헌법 9조와 자위대 사이에서 모순을 느끼지 않게 된 것은 이러한 헌법의 공통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일본이 헌법을 공동화시키고, 국민들의 인식 속에 자위대가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군대로 자리매김한 상태에서 헌법개정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헌법 개정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헌법 제9조야말로 테러와 전쟁이 만연한 시대에 일본의 평화와 동북아시아의 안정을 지키는 열쇠가 될 수 있다는 구체적인 확신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헌법 제9조의 유지가 안전보장정책에 유용한 조항이라는 것을 증명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세기 초 일본 군대의 성병관리: 육군성의 화류병 분석을 중심으로

        유지아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근대 이행기 일본에서 만연한 성병 특히 매독이 초기 군대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고 정부는 이를 어떻게 관리하려 했는지를 검토했다. 메이지유신 이후에 제국의 길을 걸으면서 10년마다 전쟁을 치렀던 일본 군대에서의 성병 문제는 군사력 저하와 연관하여 심각한 수준이었다. 부국강병을 국가의 정책으로 삼고 있었던 메이지 정부는 계속되는 병사의 감소 원인을 병역 면제와 기피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전쟁이 발발하면서 병사 인원 문제는 감염병과 병사들의 성병에서 더 크게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육군성은 성병의 추이를 조사하여 성병 환자가 군대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성병으로 인해군복무를 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당시 육군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본 육군의 성병은 병사 총수에 대해 천분율로 46.40‰를 점하고 있으며, 성병으로 인한 불합격자, 병역면제 및 제대자는 7‰에 달하고 있었다. 이에 육군성은 1908년에 응급법을 정하는 과정에서 성병을 주요감염병으로 간주하고 성병의 종류 및 감염원인과 치료과정을 정확하게 조사했다. 일본 육군성은 성병 예방을 위해사창의 이용을 엄하게 금지하여 외출제한구역을 설정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엄격한 정신교육과 콘돔 사용 장려도 병행했다. 이러한 육군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군대 내의성병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으며, 육군은 이후 시베리아 출병, 만주사변 등으로 이어지는 원정 전쟁에서 위안시설을 설치하여 군인들의 성병을 관리하기에 이르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