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깃털 문화유산 보존처리를 위한 조사 분석 및 복원 기술 동향

        안보연,박성희,김샐리건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본고는 한국의 깃털 문화유산 보존처리 현장 적용을 목적으로, 국내외 깃털 분석 방법 및 보존처리 기술 동향을 분석⋅정리한 기초연구이다. 깃털의 과학적 분석법 및 보존기술에 대한 연구는 북⋅남미권을 중심으로 깃털 문화유산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뤄 져 온 반면, 국내에서는 다른 재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희소하여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깃털 문화유산에 보존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깃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수 있도록 깃털의 구조와 재질 특성, 색상 등 기본적인 특성을 제시 하였다. 깃털의 손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자외선 및 아미노산 분석 뿐만 아니라, XRF 분석은 처리자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살충제 등의 사용 유⋅무 또한 파악할 수 있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깃털 문화유산에 적용할 수 있는 처리 전 조사와 세척, 접착⋅안정화, 복원, 포장⋅보관법을 구체적인 재료와 도구를 사례로 들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식재료 로 꾸준히 사용되어 온 깃털 보존처리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 복합 재질 보존처리 영역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highlights scientific analyses and treatments of cultural heritage made of feathers in Korea. While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and treatment of featherwork has been systematically conducted in North and South Americas, it has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in Korea because featherwork has been rare. In many cases, if any, feathers have been used as a decorative material in composite works. In this study, we propose a conservation treatment plan for domestic featherwork based on foreign case studies of similar works. Basic characteristics such as structur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olour are presented in order to establish a solid foundation of knowledge about feathers and to use this foundation for the basis of treatments. Analyses using ultraviolet rays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feather will be explor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feathers. XRF analyses are also an important tool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heavy metal pesticides on feathers. Upon determining the stability of feathers and presence of pesticides, treatments such as surface cleaning, stabilization, restoration, and packaging/storage methods will be presented using examples of specific materials and tools. It is hoped that the groundwork for conservation of featherwork and feathers in composite works in Korea will be launched through this paper.

      • KCI등재

        백제 미륵사지 라직물 금사 자수품 연구

        안보연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2 百濟硏究 Vol.76 No.-

        This study reviews on the gold embroidery on the complex gauze excavated from the stone pagoda of Baekje Mireuksa temple site. Through local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on embroidery, this study reviewed the weaving properties of complex gauze and gold-wrapped threads. The complex gauze fabrics found in Korea were mostly thin and transparent, but those excavated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had both sheer parts and densely woven parts. In particular, the dense parts formed unique curves on the surface and were presumed to have made the fabric more elastic. This feature gives new information on the complex gauze fabrics of ancient Korea. In addition, gold threads were used for the rim of the embroidery on the complex gauze. The embroidery pattern is presumed to be herbaceous flower. Based on the material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report, X-ray investiga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alysis of ancient gold threads were compared and reviewed. Through this, The gold threads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is made from a pure gold foil finely cut into thin strips without lamella and evenly coiled. This method was same as that of the Hwangnam Daechong tomb and Imdang tomb. Moreover, the Mireuksa style gold embroidery on complex gauze was also found in the artifacts of Tenjukoku Shucho, Dunhuang Magao Caves and Famensi. Therefore, gold embroidery on complex gauze fabrics should be recognized as a single set of crafts. 본 연구는 백제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 연구 보고서의 내용 중‘라(羅) 직물 금사 자수품’의 내용을 보완하여,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해 미륵사지 라직물의 제직 특성과 연금사에 대해 재고찰한 것이다. 문헌 기록과 국내의 라직물 출토 사례를 보면, 고대의 라직물은 경사 방향으로 꼬임 있으며 대체로 얇고 비치는 형태로 확인되었다. 그런데 미륵사지 라직물은 비치는 부분과 동시에 치밀한 부분도 나타난다. 특히 치밀하게 짠 부분은 직물 표면에 특이한 굴곡을 만들며 신축성을 부여하게 되므로 당시에는 획기적인 직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라직물은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라직물 위에는 초화문 자수가 놓여 있으며, 자수의 테두리 부분에는 금사(金絲)를 사용했다. 선행 연구 보고서를 통해 확인된 재질 정보를 토대로 고대 금사에 대한 X선 조사와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자료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미륵사지 금사는 순금의 금판을 가늘게 자르고, 금판 뒷면에는 배지를 대지 않고 금판을 균일하게 말아 감아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황남대총과 임당 고분에의 연금사와 동일한 방식이다. ‘라직물’이라는 정교한 제직 기술과 ‘금사’세공 기술로 조합된 미륵사지 자수품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되었지만, 주구지의 천수국수장, 둔황의 막고굴, 당대 법문사에서도 확인되는 공양품 또는 장엄구이다. 제작기법 상 모두 라직물 바탕에 금사 또는 채색사로 수를 놓았다는 점과 불교 자수품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하여, 미륵사지 ‘라직물 금사 자수품’은 라직물과 금사 자수로 조합된 자수공예품의 양식으로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직물 문양 식별을 위한 SWIR 초분광 영상의 활용 및 기술

        안보연,유지현,안유빈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6

        This study applied short-wave infrared (SWIR)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toanalyze the textile pattern used in the Jeogori of Baekdamsa Temple. First introduced in 1748, theJeogori is a very important relic in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e garment was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in 1993, and the pattern in its yellow silk has been well established. However, obtaining the pattern information of its reddish purple decoration has proven to be quitechallenging. In contrast to yellow, reddish purple is a color that is difficult for a camera to recognize;thus, analyzing patterns in this color using only high-definition digital or infrared photography isdifficult. In this work, SWIR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which has recently been used ininvestigations of cultural heritage sites, was applied to identify the textile pattern on the Jeogori ofBaekdamsa Temple. The technology successfully identified the patterns of a Wan-character, dragon,and phoenix. This type of textile pattern was identified in Korea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to the early-to-mid-18th century.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not only provides a detailed imageof the textile pattern on the Jeogori of Baekdamsa Temple,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achieved,but also proposes a new strategy based on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for studying the culturalheritage of textiles. 본 연구는 보물 백담사 저고리에 사용된 직물 문양 분석에 대한 단파적외선 (SWIR) 초분광영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구 대상이 되는 보물 백담사 저고리는 1748년이라는 정확한 연대를알 수 있어, 복식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유물이다. 그러나 1993년 보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황색의 문양 직물을 제외하면, 자주색 삼회장 부분의 문양 정보를 확보하지 못했다. 사실 황색에비해 자주색은 카메라가 인식하기 어려운 색이므로, 고화질의 디지털 촬영이나 적외선 촬영만으로는어려움이 있다. 이에 최근에 문화재 현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단파적외선 초분광 영상 촬영 기술을활용하여, 보물 백담사 저고리의 직물 문양을 식별하는 데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만자화문단과 용봉문의 문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직물 유형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중반에 확인되는 것이다. 금번의 조사는 수년간 확인할 수 없었던 백담사 저고리의 직물 문양의 상세이미지를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직물문화재 연구에 초분광 영상 기술의 새로운 활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물 백담사(百潭寺) 복장 저고리 직물 문양 고찰

        안보연,강서영 한국복식학회 2022 服飾 Vol.72 No.6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n textiles used for the Jeogori originally placed and later discovered inside the wooden seated Amitabha housed at Baekdamsa temple. These patterns have been schematized more precisely on the basis of hyperspectral images, an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have been analyzed on the basis of related records and artifact materials. A total of three types of textiles were used for the Jeogori. A satin textile is used for the Gil (front and back panels) of the Jeogori with a pattern incorporates chrysanthemums and orchids into a continuous Wan (swastika)-inspired background pattern. The combination of chrysanthemums and orchids signifies “spring orchids and autumn chrysanthemums” and is also frequently found on other excavated artifacts from the 17th century onward. Used for the Kkeutdong (cuffs) of the Jeogori is a satin fabric with a pattern where a small flower pattern is added to a continuous Gong-charactered pattern in the background. This is a rare type not found on other textile artifacts from the same era. Used for the Git (collar) and the Gyeonmagi (underarm outer patches) of the Jeogori is a satin fabric depicting a dragon and phoenix pattern. The dragon and phoenix pattern harmoniously combines elements of the dragon pattern and the phoenix pattern that were fashionable during this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gon and the phoenix, respectively, conform to the age as well. The textiles used for the Jeogori are characterized by a very clear demonstration of epochality yet also use types of patterns that are not found often on artifacts from the same era. Given the period from which this Jeogori originates is certain, the garment will serve as a good material for such characteristics to become epochal indices of patterns that will be newly excav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창녕 교동 63호분 출토 가야 직물의 과학적 분석

        안보연,박성희,이량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6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rusty textile around the gilt-bronzecrown and silver belt discovered during an excavation survey of Tomb No. 63 in Gyodong,Changnyeong, South Korea, in 2020. Microscopic observation was conducted to observe theconservation and weaving states of the textile, and cross/side-section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for fiber identific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spectroscopy were also carried out. The number of layers of the fabric in the gilt-bronze crown couldnot be determined because of severe fiber degradation. However, the silk fibers in the triangularcross-section of the fabric were confirmed to have twill and plain weave patterns. The fabric aroundthe silver belt featured a round cross-section. SEM and cross/side-sectional investigation revealed thatthis fabric consisted of wool fibers. Gyodong Tomb No. 63 is an important relic of the Gaya period,which was verified atas a historical sites of the late 5th century, and were identified diagonally patternedfabrics, such as silk twill.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we obtained data on ancient wool fibersby performing an extensive examination of the wool tabby that had only been previously describedin the literature. 본고는 2020년 창녕 교동 63호분 석곽묘 발굴 조사 과정에서 출토된 금동관모와 은제과대 주변의 열화된 직물에 대한 연구이다. 직물 분석은 열화 정도 및 제직 상태에 대한 실체현미경 관찰과 섬유 동정을 위한 섬유 단면과 측면 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과 적외선분광분석도 병행하였다. 금동관모에서 확인된 직물은 열화가 심하여 정확히 몇 겹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삼각형 단면의 견섬유로 된 능직물과 평직물이 포함되어 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은제과대 주변의 직물은 단면 조사 결과 둥근 단면이 확인되었다. 시료채취가 어려울 정도로 열화된 상태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병행한 결과, 둥근 단면과 스케일이 있는 측면 상을 확보하여 모섬유임을 알 수 있었다. 창녕 교동 63호분은 5세기 말로 편년되는 가야시대의 중요 유구로 능견(綾絹)과 사선 무늬의 직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문헌상에만 전하는 평직의 모직물을 확인하여, 고대 모섬유에 대한 실증자료를 확보하였다는 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모담방장(毛毯房帳) 직물 분석

        안보연,이장존,이량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9 보존과학회지 Vol.35 No.6

        A woolen tapestry curtain, owned by the Seoul Museum of Craft Art, is composed of tabby by cotton-warp and wool-weft threads and its patterned part is shown as a tapestry; paint with pigment has been added to it. The chromaticity of this curtain was measured and the substances in the deep red color were confirmed as Hg by an analysis of the ingredients through X-ray fluorescence. This is presumed to be cinnabar or vermil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seven fabric samples, including the warp & weft of the fabric, its trimming, and its back fabric. As a result, the warp of the woolen tapestry curtain was determined to be a cotton fiber with a middle hole or lumen in the cross-section. Furthermore, an infrared peak likewise showed O-H and C-O binding. Wool fibers as wefts were identified with circular and oval cross-sections and IR peaks showed N-H/O-H stretching and amide(-CONH-). The animal hair samples used in the wool fiber are believed to have come from long-tailed goral or goats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easy-to-spin sapsal dog hair is also not to be overlooked. This was determined through a contrast analysis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identify the animal species used in the tapestry. 서울공예박물관에 소장된 모담방장(毛毯房帳)은 경사에 면사를 두고 위사에 모사를 두어 평직(平織)으로 짠 것이다. 문양 부분은 타피스트리(Tapestry)로 제직하고, 안료를 덧칠하였다. 색도를 측정하고, X선 형광분석에 의한 성분 분석 결과 진한 붉은 색의 문양에서는 수은(Hg)이 검출되어 주사(Cinnabar)나 합성안료인 주(Vermilion)로 추정하였다. 직물의 경사와 위사, 선단 및 후면 직물 등 총 7개의 직물 시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담방장의 경사는 섬유 단면에 가운데 중공(루멘)이 있는 면섬유로, Infrared 피크도 마찬가지로 O-H 결합과 C-O 결합이 나타난다. 위사인 모섬유는 원형과 타원형의 단면이 확인되며, IR 피크는 N-H/O-H Stretching, Amide(-CONH-)을 보였다. 모섬유에 사용된 동물종을 확인하기 위해 문화재청의 동물털 시료와 대조분석 결과, 산양이나 염소털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방적에 용이한 삽살개 털도 사용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광화당 원삼의 금사 분석과 원형복원 사례

        안보연,이량미,이장존,An, Boyeon,Lee, Ryangmi,Lee, Jangjon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2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광화당 원삼은 보존상태가 상당히 양호하다. 그러나 지정조사 시에는 없던 봉흉배가 부착되어 '봉흉배가 달린 유일한 자적원삼(紫赤圓衫)' 유물로 알려지면서 보존처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지정문화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한 과학적 분석과 동시에 지정 상태로의 원형 복원도 요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광화당 원삼에 대한 유물 이력을 조사하고, 현전하는 봉흉배와 봉흉배 수본(繡本) 등의 유물 조사를 병행하여 원형 복원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직접적으로는 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분석을 실시하여, 봉흉배에 사용된 금속사가 은을 기본으로 티타늄 코팅한 것을 확인하였다. 티타늄으로 도금된 금사를 사용한 봉흉배는 1986년 광화당 원삼 사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TiN계 피막 도금법이 1990년대에는 여러 산업에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1990년대 초중반에 봉흉배가 부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특히 X선 형광분석을 활용한 금사의 과학적 분석 결과를 통해 보존처리의 핵심적인 근거자료를 확보하였다. 본고는 전세 유물 보존처리에 있어 유물 이력과 유사 유물 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각성과 지정문화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을 수 있는 원형복원의 선례로서 의미가 있다. Gwanghwadang-Wonsam was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 52 in 1979, it is in good condition. However, a problem is the attached a phoenix insignia badge that did not exist when it was designated recently. As it became known as the only purple Wonsam artifact with "phoenix insignia", raising the need for its conservation. In this regard, scientific analysis was required to correct misinformation about designated cultural assets and restore the original designated state by analyzing the history of the Gwanghwadang-Wonsam, other relics of the phoenix insignia and its making design patterns. An X-ray fluorescence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at the Phoenix insignia's metal threads were titanium-plated silver. Phoenix insignia using titanium-plated gold thread was not identified in Gwanghwadang-Wonsam photographs in 1986, and the TiN-type membrane plating method was used in various industries in the 1990s, which can be estimated to be attached in the early and mid-1990s. Especially, the scientific analysis results from the X-ray fluorescence analysis in this study provide key evidence for conservation processing.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ng relics and similar artifacts in the conservation process of inherited relics and as a precedent for restoration that corrects misinformation about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보물 자수가사의 제작 시기와 배경 고찰

        안보연,홍나영 한국의류학회 2022 한국의류학회지 Vol.46 No.1

        The embroidered Kasaya is the twenty-five column Kasaya of Triratna: Buddha, Dharma, and Sangha. Even though it is a representative artifact of embroider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heavily depends on the collector's report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ayer's recorder: Gonmyeong Park, born in Muja, and Ven. Haebung, who acted as a historical investigator of embroidered Kasaya. The beginning of Haebung's public record was in 1815, and his entrance into nirvana in 1826. The birth year of prayer in Muja was 1768. Therefore, the embroidered Kasaya was manufactured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or the early 19th century. Haebung appears to have played a critical role in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consequently the 125 icons of Triratna are almost identical in three treasures: the Kasaya at Seonamsa Temple, the embroidered Kasaya, and the painting of the embroidered Kasaya at Cheongnyongsa Temple. The embroidered Kasaya was particularly affected by the religion of a thousand Buddhas and by Triratna in the late Joseon era. Unlike the Kasaya of a thousand Buddha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embroidered Kasaya shows the Triratna in detail, suggesting that the icons of Triratna were newly created.

      • 동전(東傳) 연주문의 변천과정 비교연구 -5세기~10세기 벽화복식 및 출토 직물을 중심으로-

        안보연,An, Bo-yeon 국립문화재연구원 200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0 No.-

        직물에 표현되는 연주문은 제작 과정상 크기나 모양의 제약이 없어 그 표현이 자유롭고, 그 형태와 재료 색체 등을 통해서 당시의 사회문화를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동전(東傳) 연주문은 사산조 페르시아에서 출발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동서문화 교류와 밀접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주문이 시작되는 5세기부터 10세기에 해당하는 서 중앙아시아의 벽화 복식, 중국 신강 청해 일대에서 출토된 고대직물 그리고 일본 정창원(正倉院) 소장품의 연주문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자료를 통해 연주문의 동서 교류 현상과 구조적 변천과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크로드를 따라 동전(東傳)하는 연주문의 도안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예를 들러 고대 소그들인들이 주로 활동했던 파미르고원 서쪽에서는 서아시아적인 모티브가 변형된 사슴이나 화식조 등을 주제로 하는 연주문금이 출토되지만, 쿠차 신강에서는 중국적인 모티브가 첨가되어 한자문이 삽입되거나 태양신[Helios] 대신 불상문 보살문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새로운 문양의 등장은 구조적인 변화를 동반하여 점차 사산조 페르시아의 정형화된 패턴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그 구조적인 변천과정은 후대 여러 문양의 구성 및 배치방법과 연관이 있다. 연주 환간의 마름모꼴 공간에 안치된 사합초화문 등이 능화문의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10세기 이후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골조문양의 유행 단위문양을 상하좌우로 배치하는 탑자문의 전개법이 연주문과 유사하다. 요컨대 연주문은 기술적 진보와 함께 표현 자체에서 세련된 예술적 코드를 읽을 수 있으며, 지역이나 문화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문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Linked pearls pattern expressed on textiles have no limited scale or shape when manufacturing, so they are free in expression. And from the design, material, and color we can analogize the social culture of that age. Oriental linked pearls pattern was started from the Sasanian Persia and introduced through the Silk Road, so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East and the West culture. This study will consider from the 5th century to the 10th century; the mural costume of the West Central Asia, the ancient textiles excavated from the Sinjiang and Qinghai area of China, and the linked pearls pattern which are collected at Shosoin, Japan. And from this study, will concentrate on clarifying the linked pearls pattern's condition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it's structural variation process. The design of linked pearls pattern delivered to the East through the Silk Road is differed by area. For example, in the Western Pamir Plateau, where the ancient Sogdians mainly lived, the excavated linked pearls pattern's subject were deer or cassowary variated from the West Asian motif. But the ones excavated from Kucha Xingang had Chinese motifs added so they showed Chinese characters or Buddhist Bodhisattva image instead of Helios. Like this, the appearance of new patterns, which were accompanied by structural variations, gradually deviated from the standardized pattern of the Sasanian Persia. And this structural variation process has relations with th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method of various patterns of the after ages. The foliated floral Spray, which is placed at the lozenge space of linked pearls' space, had developed into ogival - shaped pattern (Neunghwamun). And the prevalence of geometrical structure pattern after the 10th century and the unfolding method of Tapjamun which is arranging unit pattern in order, are similar to the linked pearl pattern. In brief, linked pearls pattern accompanied by technical improvement let us understand the polished artistic code from its expression, and has importance in showing universal pattern beyond region and culture.

      • KCI등재후보

        방직고고

        안보연 국립문화재연구원 200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1 No.1

        본 고는 일찍이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시작된 중국의“방직고고”라는 새로운 학문의 성립과 발달과정을 소개하는 글이다. 20세기 근대 고고학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형성된 방직고고는 발굴과정 중에 발견되는 방직품·방직공구· 방직과 관련된 도상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서, 고고학·자연과학·직물학 등의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현전하는 여러 종류의 유물 중에서 직물은 다루기가 가장 난감한 재질의 한 종류로, 온전하게 출토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러나 모순적으로 초기 고고학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킨 것은 실크로드 발굴이었고, 발굴 과정의 중심에 는 수천 년 전의 각종 실크와 자수품들이 있었다. 아직도 중국 전역에서는 크고 작은 발굴과정에서 수많은 직물 유 물들이 출토되며, 그 결과 중국의 직물 연구는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였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고대의 직물유물이 발견된 사례가 적고, 직물 조각에 불과하여 실증적인 연구에 있어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직물자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천마총, 무령왕릉과 같은 중요발굴의 직물유물 조 차 30여년 만에 심층연구가 이루어질 만큼 국내 고대 직물 연구는 아직도 미진한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고를 통해 실크로드의 고고학적 직물의 발굴기를 소개하고, 국내 출토 직물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