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관총 출토 ‘이사지왕(尒斯智王)’명, ‘이사지왕도(尒斯智王刀)’명 대도의 제작기법 고찰

        권윤미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6 동원학술논문집 Vol.17 No.-

        192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발굴된 경주 금관총에서는 금관과 다양한 금제 장신구 외에도 크고 작은 여러 자루의 칼과 파편, 칼 부속구들이 출토되었다. 당시 발간된 보고서에는 고리자루큰칼 세 점의 도면과 사진이 실려 있는데 이 중 한 점이 보존처리 및 조사 과정에서 명문이 드러난 ‘이사지왕(尒斯智王)’명 대도이고, 또 한 점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된 ‘이(尒)’명 대도이다. 세 번째 대도는 보고서의 도면과 흑백사진 외에는 자세한 내용이 알려진 바가 없었는데 2015년 금관총 재발굴 조사를 계기로 출토된 ‘이사지왕도(尒斯智王刀)’명 대도와 형태상 일치한다. 이 글에서는 ‘이사지왕’명 대도와 새로운 자료 ‘이사지왕도’명 대도의 형태 및 각 부분의 특징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조사하고, 이를 통해 제작기법을 고찰하였다. 또한 실체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명문의 미시적 조사 자료를 소개하였다. 그 결과, 금관총에서 출토된 두 자루의 대도는 각각 금동제와 금-은 복합제로 외견상 대비되는 재료를 사용하였으나 모두 ‘이사지왕’과 관련된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크기와 세부적인 형태, 명문의 내용과 새긴 방식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닮은꼴임을 알 수 있었다. 상세한 조사와 비교 및 대조를 통해 각각의 유물에서 결실로 알 수 없던 부분들의 검토가 가능하였으며, 신라계 환두대도의 제작기술에 관한 유용한 자료들을 더 축적할 수 있었다. 또한, 부식으로 인해 모양의 변형이 심한 유물들의 정확한 형상을 X선 조사나 CT를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얻은 자료를 통해 금관총에서 출토된 삼루형 환두도들이 함께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금관총 출토 삼루형 환두도들의 고리 형태는 서로 동일성을 가지며, 황남대총이나 천마총 등 다른 고분에서 출토된 동일 양식의 유물들과는 확실히 구분되는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The ring-pommel sword excavated at the Geumgwanchong Tomb, Gyeongju, which is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relic discover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inscription referring to King Isaji was identified on the sheath during the Museum’s investigation and preservation of artifacts previously hel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he numerous relics collected from within the tomb, the inscriptions of “King Isaji” and “Sword of King Isaji” have been identified thus far on two long swor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wo long swords in a scientific yet non-destructive manner using methods such as stereoscopic microscope observation as well as radiographic tests including X-ray photography and CT scan,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explored their production techniques. This paper introduce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the inscriptions through both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compare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two inscriptions, including time and direction of inscription, and the order of strokes. The lengths of the swords with the inscriptions of “King Isaji” and “Sword of King Isaji” both amount to around 86cm. Both are adorned with three C-shaped rings forming a triangle on the pommel, with one dagger and clasp accompanying each sword to form a set. The metal used for these swords are different, yet the size of each part,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scriptions are very much alike. Also, the comparison betwee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ommel of other major three ring pommel swords unearthed at the Geumgwanchong Tomb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y may have been manufactured based on the same model, rather than being produced separately before burial.

      • 축산폐수에서 분리된 질소산화균에 의한 축산폐수의 질산화(II)

        권윤미,박재림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7 自然科學論文集 Vol.16 No.-

        축산폐수의 정화를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축산폐수 시료를 배양한 결과 축산폐수 중의 생균수는 1.34X10^(8) CFU/ml였고, 27종의 형태가 다른colony가 분리 되었다. 축산폐수에 Staphylococcus. SP.1을 접종하여 배양한 경우, NH_(3)-N의 농도는 배양 7일째에 9.7%, 9일째 67.1%감소되어 14일까지 유사한 농도로 유지되었다. Staphylococcus sp.2는 9일째 21.7%, 10일째 47.6%로 나타났고, 2개의 균을 혼합한 경우에는 7일째 26.6%, 9일째 62.5%가 감소되어 14일째까지 유지하였다. 폐수에서 거의 검출되지 않았던 NO_(2)-N, NO_(3)-N는 5일째부터 지속적으로 농도가 증가하였다. 축산폐수에서 질소와 함에 문제가 되는 인의 농도변화를 관찰해 보았으나 본 실험에서 분리된 균주에 의한 긍정적인 엉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축산폐수에 S. sp.1 과 S. sp.2를 각각 일정한 비율로 혼합첨가 하여 배양한 결과 S. sp.1 과 S. sp.2 의 단독배양보다 질산화 진행시간이 2일정도 단축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of biological nitrogen oxdizing process in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using bacteria. As the result a bacterium having high abilities to oxidize of nitrogen was isolated from livestock wastewater. Staphylococcus sp.1(presumed as S. xylosus) and Staphylococcus sp.2(presumed as S. capitis) were identified with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test(using api staph. kit). Staphylococcus sp.1 showed the ammonia oxidizing rate about 52% of the initial amount of ammonia in the livestock wastewater for 14 days of culture. Nitrite was increased from 1 mg/l o 157 mg/l after 7 days of culture. Staphylococcus sp.2 showed the ammonia oxidizing rate about 85 % of the amount in the livestock wastewater for 14 days of culture. Nitrite was increased from 6.5 mg/l to 151.8 mg/l after 6 days of culture. No effective change observed in total phosphate and PO_(4)-P by the bacteria. The culture of Staphylococcus sp.1 combined with Staphylococcus sp.2 showed the ammonia oxidized about 62.5% of the initial amount of ammonia in the livesrock wastewater on 9th day of the culture. The culture combined S. sp.1 with S. sp.2 shorten 2 days in nitrification progress than that of the culture in each strain.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은제금도금불상과 그 복장품의 보존처리 및 재질연구

        권윤미,박승원,유헤선,최희윤,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2008 박물관보존과학 Vol.9 No.-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구입한 조선전기 소형불상 3점을 보존처리하고 X-선촬영과 X-선형광분석, 현미경조사를 통해 내부구조와 조성, 제작기법 등을 조사하였다. 3점의 불상은 중공식(中空式) 주조품으로, 직물∙금속∙유리∙목재편 등 다양한 재질의 복장품이 확인되었다. 복장직물은 조사결과 늦어도 조선전기~중기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Ag 약 80~90%, Cu 약 7~15%인 은합금재질에 수은아말감 금도금을 한 은제금도금불상이며 용도에 따라 재료의 조성을 달리하였다. 보존처리 중 이물질제거 단계에서 물리적인 방법과 EDTA-2Na를 사용한 화학적 방법을 병행하였고, 그 결과 다양한 표면 장식기법과 제작 기법이 드러났다. We have investigated and conserved three small Buddha statues dating from Joseon period that were purcha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hemical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internal structures were enabled us to identify its compositions and hollow spaces which have various materials just like fabrics, silver ornaments, beads and wood fragments. The fabrics date from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middle one. The compositions of matrix of the Buddha statues vary 80-90 wt% Ag and 7-15 wt% Cu. And its surface layers were gilt with amalgam. Mechanical and chemical cleaning with EDTA-2Na were applied together during the cleaning process.

      • KCI등재후보

        경주 서봉총 출토 금관 (보물 339호)의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연구

        권윤미 국립중앙박물관 2021 박물관보존과학 Vol.26 No.-

        This study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investigation 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golden crown (Treasure No. 339) excavated from Tomb No. 129 (also known as Seobongchong Tomb) in Noseo-dong, Gyeongju-si,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golden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was discovered during the excavations conducted by the Museu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26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 total of six Silla golden crowns have survived in Korea, among which the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is the only example with a dome-shaped hemispherical decoration attached with a bird ornament while otherwise showing the typical features of Silla crowns. The crown had been repaired following its excavation using metallic materials and adhesives, but due to the partial deformation and damage brought about by the repair materials, it required further conservation treatment. This article describes in detail the overall proces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golden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particularly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joints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crown. It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wn’s production as revealed in the investigation during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further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this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with other Silla crowns through a comparison of their production technique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crown was primarily decorated with golden sequins at the time of its production. At a later point some of the sequins in the upright ornament were replaced with comma-shaped jade beads and additional comma-shaped jade beads were added to the headband. In order to determine if such modifications to the decoration had occurred with other Silla crowns, the decoration of the six extant Silla golden crowns were investigated. The crown from Cheonmachong Tomb features traces of this same modification to the decoration and possesses other similarities with the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본고는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129호분(서봉총)에서 출토된 금관(보물 339호)의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조사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서봉총 금관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진행한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되었으며, 현재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품이다. 국내에 현존하는 신라 금관은 총 6점으로, 그 중 서봉총 금관은 신라 금관의 전형을 보이면서도 새장식이 달린 돔형의 반구형장식이 존재하는 유일한 사례이다. 출토이후 금속재료와 접착제 등으로 수리되었으나, 형상이 일부 변형되고 수리재료로 인한 금관의 손상이 야기되어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서봉총 금관의 보존처리 및 원형복원의 전 과정과 특히 유물의 안정성을 위해 중점을 둔 접합부 보강 방법을 상세히 서술하고, 보존처리 중 조사를 통해 확인된 제작과정의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서봉총과 유사형태의 신라관의 제작기법을 비교하여 서봉총 금관과 다른 신라관의 관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서봉총 금관의 제작당시 기본 장식은 금제 영락이었으며, 이후 세움장식의 영락 일부를 곡옥으로 교체하고 관테에는 곡옥을 새로 연결하여 장식을 수정한 정황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다른 금관에도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고자 국내 신라 금관 6점의 장식기법을 모두 비교한 결과 천마총 출토 금관에서 동일한 방식의 수정 흔적과 여러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남 사천 늑도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특성 고찰

        권윤미,김규호,신용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7 보존과학회지 Vol.20 No.-

        사적 제450호 사천 늑도 유적에서 출토된 구슬의 분석을 통하여 이 유적의 고대유리 문화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경상도 지역 출토 고대유리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시료는 광학현미경과 SEM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비중측정을 통해 물성을 확인하였다. SEM-EDS를 이용하여 유리의 구성 요소인 융제, 안정제, 착색제의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XRD를 이용하여 기타 구슬시료의 재질을 조사하였다. 조개구슬로 분류한 백색 불투명 구슬은 비정질의 규산염계 물질로 확인되었으며, 청색 계열의 유리구슬은 포타쉬유리군( group). LCA(Low-CaO, ) 계통으로 색상별로 벽색과 청록색은 LCA-A(LCA-CaO<) 계통, 감색은 LCA-B(LCA-CaO>) 계통으로 확인된다. 이를 경상도지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와 비교하면 AD 세기 이전의 포타쉬유리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This study is examined the beads excavated in the Sacheon Neukdo ruin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archaeological chemistry and to compare those of the same type of beads excavated within the Gyeongsang-do area by means of scientific analysis. The samples have been observed the micro-structures by an optical microscope and SEM and confirmed the physical property by density measurement. Chemical property have been analyzed main components such as flux, stabilizers, and colorants by SEM-EDS. Besides, XRD was used to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 materials of beads. The white opaque beads, which was initially estimated as sea-shell beads, confirm as amorphous silica material. The glass beads, which are blue type as a result of compositional analysis, it is revealed potash glass group and LCA(Low-CaO, ) system. gB ones are revealed only in LCA-A(LCA-CaO<), while purple blue ones in LCA-B(LCA-CaO>).

      • KCI등재
      • 금관총 출토 ‘이사지왕’명 환두대도의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조사

        권윤미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4 고고학지 Vol.20 No.-

        ‘이사지왕’명 대도는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의 금관총에서 출토된 유물로, 부식과 파손으로 손상되어 있어 2011년 5월부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에서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전 사전조사를 통해 유물의 구조와 손상상태를 파악하고 보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표면의 이물질과 부식층의 제거, 분리된 편의 접합, 약해진 재질의 안정화와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다. 칼은 대도와 소도, 첨자가 1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도의 칼날은 외날의 철제이고, 칼집은 목제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보존처리 결과, 손잡이와 칼집의 각 부분들은 동합금과 은을 사용해 만든 후 바깥면을 아말감도금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칼집의 표면에서 금관총의 피장자를 밝히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자료인 6글자의 명문(‘이尒’, ‘십十’, ‘이사지왕尒斯智王')이 노출되었다. 그밖에 대도의 제작기법 연구를 위해 손잡이와 칼집 등 유물 각 부분의 형태 및 결합구조에 관한 세부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The sword with ring-shaped pommel with ‘Yisajiwang’ inscription excavated from Geumgwanchong Tomb, located in Noseo-dong, Gyeongju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Due to the damage by breakdown and corrosion, this artifact was taken conservation treatment by th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rom May 2011. Before the conservation treatment, the structure and damaged condition was investigated. The cleaning, removal of the corroded layer, stabilization, coating and attaching was implemented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This artifact formed part of a set, which also consisted of a short sword and awl. The sword blade was made of iron and the scabbard was made of wood and metal sheet. As a result of conservation treatment, it was revealed that the pommel and the sections of the scabbard were made of copper alloy and silver and that the outer surface was coated with amalgam gilding. Six characters (‘尒’, ‘十’, and ‘尒斯智王’) are found from the surface of the scabbard. It provided important clues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deceased. Additionally, for the study of the sword with ring-shaped pommel production process, a detaile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shape and conjunction structure of each of its components (such as the pommel and scabbar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