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회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신앙 공동체 행동양식에 관한 연구 - 성도의 목회자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혁남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최근 들어 한국교회 지도자들의 윤리문제가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다. 그 결과 한국교회는 대사회적 신뢰도를 상실했고, 1970, 80년대 급성장의 가도를 달리던 모습에서 이제는 급속한 감소추세로 전환된 실정이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심각한 위기 속에서 교회와 목회자의 윤리성이 새로운 사회적 이슈로 조명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교계와 학계의 다양한 표면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개선은커녕 갈수록 위험수위가 도를 넘는 많은 윤리적인 논쟁거리를 제공하고 있어 그 심각성은 더해만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회자의 윤리적 리더십 발휘가 교회구성원들로 하여금 깊은 신뢰감을 가지도록 독려하고, 이렇게 형성된 목회자에 대한 신뢰감은 교회구성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함께 이들의 역할 외적 차원의 성과 즉, 신앙 공동체 행동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에는 크게 네 가지 이론적 가설이 있다. ‘가설1: 목회자의 윤리적 리더십은 성도들이 가지는 목회자에 대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목회자의 윤리적 리더십은 성도의 신앙공동체 행동양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성도의 목회자에 대한 신뢰는 신앙공동체 행동양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성도들이 가지는 목회자에 대한 신뢰는 목회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성도들의 신앙공동체 행동양식 사이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이들 각각의 가설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설1은 채택, 가설2-4는 하위가설의 분석에 따라 부분채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회 내에서 목회자에 대한 성도들의 믿음은 성도들을 좀 더 자발적으로 헌신할 수 있도록 증진시키고, 나아가 성도 자신에게 주어진 한정된 역할 내 사역뿐만 아니라 성서를 통해 요구되고 있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마땅한 삶, 즉 교회조직 내 역할 외적인 행동까지도 자발적으로 감당하도록 동기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성도의 목회자에 대한 신뢰형성이 결국 짧은 기간에 비춰지는 성과에 집착하기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교회를 효율적으로 부흥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동인이 됨을 시사해 준다 하겠다. 또한 목회자의 윤리적 리더십이 성도의 신앙공동체 해동양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신뢰가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은 목회자에 대한 신뢰가 신앙공동체 행동양식을 증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지만, 목회자가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여 목회자에 대한 신뢰를 끌어올린다면 성도들의 신앙공동체 행동양식(이타성, 양심성, 시민정신 등)은 더욱 정(+)의 영향으로 증대될 것임을 나타낸다. Recently, ethical problems of Korean church leaders have been raised in a diversified way. As a result, Korean church has lost its social reliability and its congregational power, that had been undergone a rapid growth during 1970s and 80s, is now showing rapid reduction in reality. Under this serious crisis of Korean church, ethicality of church and pastors is started to be highlighted as a social issue. However, in spite of a diversified, superficial effort of religious and academic circles, its seriousness is being aggravated further as its dangerous level provides various excessive ethical controversies as the days go by, far from being improved in its problem. Therefore, an empirical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xplore on what kind of effect reliability of (trust in) pastors being formed by encouraging church members to have deep trust through demonstration of ethical leadership by pastors is exerted on extra-role performance together with in-role behavior of church members (i.e., behavioral pattern of religious community). There are 4 kinds of major theoretical hypotheses in this study. 'Hypothesis 1: Ethical leadership of pastors will exert a positive (+) influence on trust in pastors by disciples'. 'Hypothesis 2: Ethical leadership of pastors will exert a positive (+) influence on behavioral pattern of religious community of disciples'. 'Hypothesis 3: Trust in pastors by disciples will exert a positive (+) influence on behavioral pattern of religious community'. 'Hypothesis 4: Trust in pastors by disciples will mediate a relation between ethical leadership of pastors and behavioral pattern of religious community of disciples. Each of these hypotheses was verified. As a result, hypothesis 1 was adopted (accepted) and hypotheses 2-4 were partially accepted according to analysis of sub-hypothesis. It could be realized from this result that trust in pastors by disciples in the church provides a motivation so that such trust would encourage disciples not only to devote themselves to the church affairs more voluntarily but also to voluntarily undertake even a reasonable (natural) life as a Christian that is required through the Bible as well as ministry within limited role assigned to disciples (i.e., extra-role behavior within the church organization). And we may find an implication in that formation of trust in pastors by disciples would eventually become an important drive that may revive and develop church efficiently in a long-term and macroscopic perspective rather than a perspective being obsessed with a short-term performance. In addition, that fact that trust in pastors represents a mediated effect in a process of influencing over behavioral pattern of religious community of disciples by ethical leadership of pastors means that it exerts an influence over enhancement of behavioral pattern of religious community but if pastors should raise disciple's trust by demonstrating their ethical leadership, behavioral pattern (altruism behavior, conscientiousness behavior, civic virtue behavior) of religious community of disciples would be more increased positively (+).

      • KCI등재

        연천 무등리 출토 찰갑의 수습 및 과학적 보존

        권혁남,이정민,유동완,김미현,함철희,양시은,윤정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2 고문화 Vol.80 No.-

        The armour made of hundreds of iron pieces and presumed to belong to Goguryeo period, was excavated in June 2011 at the fort site(boru) at Mudeung-ri, Yeoncheon in Gyeonggi province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he boru at Mudeung-ri was known as the watchtower of Goguryeo to keep watch on movements of Baekje which was seeking to advance north in around the 6~7th century. It was here that the ancient stone walls, pieces of earthenware and roof tiles, carbonized rice and grains as well as the armour were found. The armour was excavated from the north site of boru. Scales of the armour exposed on the surface amounted to 200 pieces and they were scattered at the area of a circle of diameter 90cm. The scales lost metallicity due to acidic environment and the strings for connecting scales were missing. This study shows the on-site urgent treatments, the condition survey after the transport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s, the consolidation for the safe transportation and preservation. Especially the process of on-site urgent treatment and conservation treatment for a large artifact is discussed to share various situations and problems from the practical viewpoint. 2011년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한 경기도 연천의 무등리 2보루에서는 수백 개의 소찰로 구성된 고구려 철제 갑옷이 출토되었다. 무등리 2보루는 임진강변에 위치한 여러 고구려 성곽 중 하나로, 중심 연대는 6~7세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적에서는 찰갑 외에도 후걸이와 사행상철기를 비롯하여 고구려 토기편과 기와편 및 곡물들이 출토되었다. 찰갑은 보루의 북서쪽 능선 돌확 옆 석축유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수백 개의 소찰이 직경 90cm 범위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있었다. 소찰은 부식으로 인해 금속성을 띄지 못하고 산화물로 남아 있었으며, 소찰과 소찰을 연결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죽끈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무등리 2보루 유적에서 출토된 고구려 찰갑을 대상으로 현장에서의 응급수습, 이송 후의 상태조사 및 보존처리, 안전한 이송 및 관리를 위한 보강 작업 등을 논하였다. 특히 대형 유물의 현장수습 및 보존처리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무적인 관점에서 유물의 상태, 현장 상태, 보강 재료 등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 KCI등재후보

        고령자의 사회적 고립 극복을 위한 윤리적 성찰-폴 리쾨르의 견해를 중심으로

        권혁남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4 No.2

        Today, as the aging group has rapidly increased in Korea, various problems regarding the elderly have been raised the society. Among those problems, the issue of no-family-society associated with the elderly living along and isolation phenomena has brought the most interest, as it has recently appeared in mass media frequently. In particular, the seriousness of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stands out when it is expanded to life-threatening issue such as loneliness death. However, cause of isolation is various and only a single approach cannot solve the isolation problem of the elderly. Since these issues are layered problems, measures to overcome the problems should be a layered approach. And fundamental solution could not be identified if the elderly (self) would not cooperate in overcoming the isolation in relation with others that are referred to national system, local community and family. Therefo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wareness of problems, this study aims not to identify overcoming measures as tangible action plans but to investigate how to establish ethical structure of society in regard to “relationship (nature)” issue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address the social isolation. For the issue of the ethical structure, Paul Ricoeur’s perspective was suggested in this study as ethical objectives. His perspective is the pursuit toward “living-together” interpreted as a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on the basis of “interest in self-others-system”, that is, “the pursuit of ‘good life’ with others and for others under righteous policies“. Though this ethical perspective, was proposed the possibility of “living-together” to be a relationship between others and self who is interwoven ontologically and existentially with “others” after escaping a “me”-centered subject.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that when respects as considerate attitud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amely, respect to self-others-system emerg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social isolation and exclusion of the elderly that were treated as social others and thus that all people can pursue happy lives and create society where all people living together well.

      • KCI등재

        자살문제에 대한 칸트의 논의와 기독교적 응답

        권혁남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3

        본 연구는 자살의 금지를 주장하는 칸트의 자살론을 검토해 봄으로써 현재 사회에서 널리 자명한 것으로 전제되고 있는 ‘자살은 근절(부정)되어야 할 행위’라는 사회적 규범의 정당성을 성찰해 보았다. 그러나 칸트의 윤리학은 도덕법칙의 예외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비현실성(예를 들면 정신병 환자에게 도덕법칙의 준수를 요구하는 것)의 논란과 형식적 공허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그래서 단지 칸트의 논거만으로는 자살금지에 대한 사회적 규범을 정당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칸트의 자살금지에 대한 논거에 기독교 신학적 이해의 방식으로 토를 달며 칸트 윤리학의 독백적 성격의 극복을 도모하였다. 이를 통해 과연 인간에게 자기 생명의 처분권이 있는지, 그리고 자살 행위는 자연법칙에 어긋나는 행위인지, 또한 자신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자살을 행함으로써 인격으로서의 인간성을 경시한 것은 아닌지 칸트의 관점에서 묻고 기독교 신학적 이해에서 응답함으로써 논의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성서에서는 사는 것의 소중함은 자명한 것이며, 죽이는 것과 죽는 것은 극단적인 죄로 여겼다. 칸트 식으로 구태여 말하자면 인간에게는 살 권리가 있으며, 또한 살아가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는 것 자체가 하나님의 은혜이며 축복이라고 성서는 기독교적 생명관에 뿌리를 두고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록 그 목적과 의미가 아직 명확하지 않다 하더라도 사는 것은 우선 그 자체가 소중한 것이며, 선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살은 기독교 신학적 이해에 있어서도 칸트의 이해 방식과 마찬가지로 정당화 될 수 없으며, 도덕적으로 비난받아 마땅한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Kant's suicide theory, which argues for the prohibition of suicide, and examines the justification of the social norm that 'suicide is an act to be exterminated(denied)' which is widely assumed in modern society. But Kant's ethics can be criticized for the controversy which has non - realities arising from not acknowledging the exception of moral law (for example, demanding the adherence of moral laws to a patient with mental illness) and perfunctory emptiness. So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justify social norms on suicide prevention by just only the basis of Kant's argu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monologue character of Kant's ethics by discussing Kant's suicide prohibition as a way of Christian theological understanding. Through this, we asked the question of whether human beings have the right to dispose of their own lives and whether suicide was a violation of natural laws or whether they neglect humility as committing suicide as a means for their own purposes in view of Kant an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iscussion by answering in light of Christian theological understanding. In the Bible, the preciousness of living is self-evident, and killing and committing suicide are considered extreme sins. It is a Kant's way of saying that human beings have a right to live and there is a duty to live. It is the grace of God and the blessing of living itself. The Bible regards it rooted in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life. Thus, even if its purpose and meaning are not yet clear, living a life is first insisting that it is precious and virtue. Therefore, suicide is not justified in Christian theological understanding as Kant's way of understanding, but understood to be morally blameworthy.

      • KCI등재

        한국교회와 교회력에 관한 연구

        권혁남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0

        교회력(敎會曆)은 그 자체가 가진 단어의 의미에 따라 ‘시간’과 그 시간에 대한 ‘기억’으로 연관지에 생각되었다. 즉, 인간은 교회력을 통해 자신이 살아가는 일반적인 삶의 흐름 속에서 ‘하나님께서 무엇을 하셨는지, 우리를 위해 무엇을 하고 계시는지, 그리고 무엇을 하시기로 약속하셨는지’를 기억하며, 그리스도의 역사적인 사건을 환기시키고 그것을 현재의 경험으로 이끌어 오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교회력은 특정한 시간 안에서 발생한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 사건을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반복함으로써 그 구원의 사건을 회상할 뿐 아니라 다시금 새롭게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에서의 교회력의 위치는 과거 예수의 구원 사역을 기억하여 오늘의 현장화 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교회를 위한(재정), 목회자의 필요(사역)에 따라, 온갖 프로그램으로 치장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논고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역사적 교회력의 참 의미를 되찾아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삶이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영위되고 있음을 자연스럽게 확신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던 초기 교회력의 위치를 되찾아 보고자 함에 그 의의를 둔다. Church year was associated with ‘time’ and ‘memory’ of time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word itself. Namely, church year allowed humans to remember what God did, what God is doing for humans and God promised what He would do in a general flow of life through church year, called humans’ attention to Christian historical events and let humans put the events into their present experience. Therefore, church plays a role of looking back on the event of redemption and experiencing it newly again by repeating the event of God’s redemption for humans happened within a specific time according to a fixed cycle. However, church year in Korean Christian churches has been decorated by all sorts of programs according to Christians’ needs (ministry) for their churches (finance), not remembering the redemption ministry of Jesus in the past and applying it to today’s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oint out such a problem and to recover the position of early church year to give Christians a help in having a natural confidence that their life was managed under God’s grace by recovering the true meaning of church year in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권혁남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의학과 과학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에 따라 인간의 생명에 대한 기술적인 취급의 가능성이 크게 확대된 현대사회는 인간 생명의 전 과정, 즉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기존에는 경험해 보지 못했던 다양한 윤리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생명문제에 관한 윤리적 판단에서는 필연적으로 생명 그 자체에 관한 이해를 전제로 하며 생명윤리의 진리 문제는 결국 생명에 대한 신학의 진리문제로 귀결된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기독교 신학과 윤리는 ‘생명과 인간의 삶’을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하고 있는가?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대하며 회피할 수 없는 생명과학 기술의 진보와 그로인해 파생되는 윤리적 판단의 문제에 대해 기독교윤리는 어떻게 관여해 갈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물음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생명이해와 그를 토대로 생명윤리의 기본문제에 접근하는 기독교 윤리적 접근 방법과 그 원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기독교적 생명윤리에 있어서 윤리적 판단의 독자적인 원리는 ‘생명의 주’ 라는 개념(사도행전 3장 15절) 속에 제시되어있다. 하나님은 ‘생명의 주’ 이시며 또한 창조자, 구원자, 완성자이시다.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상의 죽음 사건을 통해 죽음을 삼위일체의 자신 속으로 받아들이고,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하여 그리스도로 하여금 생명의 창조적인 힘으로 죽음을 극복하였다. 이렇듯 하나님은 생명을 구원하고 또한 완성하신다. 즉 하나님은 ‘생명의 주’ 이자 생명의 창조자, 구원자, 완성자로서 ‘삶을 사랑하는 본성’(bio-philas)을 지니신 분이시다. 그러므로 기독교 생명윤리는 이에 근거하여 ‘생명을 사랑’(biophilia)하는 윤리여야 한다. 달리 말하면 생명에 관하여 윤리적 판단에 관한 물음이 발생할 때 판단과 그에 따른 행위의 원리는 ‘생명사랑’에 근거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의 확장으로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로서 ‘생명을 사랑하는 힘’(bio-philas)이 작동되는 장(場)이 되어야 하며, 또한 사회가 ‘생명사랑’(biophilia)으로 충만한 사회가 되도록 우리는 봉사해야 한다. With rapid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scientific technology, the modern society has an enlarged possibility of dealing with human life in only technological perspectives. Thus, the modern society faces various unprecedented ethical problems in all the processes of human life from birth to death.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facts that ethical judgement on the issue of life needs understanding of life itself as precondition of it, and that the problem of truth of life ethics leads to the problem of truth of theology. Then, how do Christian theology and ethics grasp and understand life and human life? And, how can Christian ethics intervene in the problems of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which is very important and inevitable in modern society and of ethical judgement derived from it? This study, based on such questions, examined Christian ethical approaches and principles dealing with basic problems of life ethics. The original principle of ethical judgement about Christian bioethics is suggested in the concept of ‘author of life’ in the Bible (Acts 3:15). God is the ‘author of life’, savor, and completer of life. Through the death of Jesus Christ, son of God, on the cross, God received death in Himself as Trinity, and God led Jesus through the Resurrection to overcome death. As such, God saves life and completes it. That is, God is the God of bio-philas as ‘author of life’, creator, savor, and completer of life. Therefore, Christian bioethics should be the ethics of biophilia. In other words, whenever questions on ethical judgement on life emerge, the principle of action should be biophilia. And, as extension of such a discussion, the church should be the place where power to love life, namely bio-philas work as a community where people live with Jesus Christ. And, we should serve the society to make it full of biophilia.

      • KCI등재

        생명의 시작과 응급 피임약 논쟁에 관한 연구

        권혁남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사후피임약(morning-after pills) 혹은 응급피임약(emergency contraception)으로 알려진 Plan B One-Step(레보놀게스트렐(levonorgestrel))의 사용에 대한 견해는 매우 상반된 논쟁의 주제였다. 이와 관련된 주요 이슈들은 응급피임약이 임신을 막기 위해 난자가 수정된 이후의 과정에 개입하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에 있다. 응급피임약의 1차적 메커니즘은 피임이며 이는 생명의 신성함(sanctity)과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2차적 메커니즘은 차단(interceptive)이며 이러한 차단이 태아의 생명을 파괴할 수 있으므로 인간성(personhood)은 수태(conception) 시 시작된다는 관점을 갖고 있는 이들"(기독교 신학자들과 일반적으로 종교적 보수주의자들)에게는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쟁점에 대한 판단의 근거로서 생명권(the right to life)의 획득시기(생명의 시작)와 응급피임약의 작용 방식에 따라 약제의 사용 여부를 도덕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그 정당성을 구성해 보았다. 연구결과 최신의 과학적 분석과 탐구에 따르면 응급피임약은 주로 수정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며, 착상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수정 후 과정 속에서 태아의 발달에 어떠한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증거도 없다. 즉 응급피임약은 배란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정자의 수정 능력을 방지하고, 정자의 활력(motility)을 감소시키며, 정충(spermatozoa)을 막으며, 자궁경관 점액(cervical mucus)의 특성을 바꾸며, 수정되지 않은 난자가 정자를 화학적으로 유인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응급피임약이 정자와 난자의 만남을 방지하며 수정 후 효과가 없다는 최근의 과학적 분석의 근거가 정확하다면 응급피임약은 착상이 아니라 수정을 방지할 수 있을 뿐이기에 낙태 가능성에 대한 도덕적 우려는 ‘인간의 생명이 수태 시 시작된다’는 관점을 견지하는 기독교의 관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부적절하다. There has been a great controversy about the use of Plan B One-Step (levonorgestrel) known as a morning-after pill or emergency contraception. Major issues involved with this are about whether or not emergency contraceptions take part in the process after fertilization of egg in order to prevent pregnancy. The primary mechanism of emergency contraceptions is the practice contraception, which does not present the problem related to sanctity of life. However, their secondary mechanism is interceptive and can destroy life of an embryo. This poses a problem in people who believe that personhood begins with conception (Christian theologians and religious conservatives in general).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legitimacy in ethically approving the use of emergency contraceptions was constituted, using the time at which the right to life is obtained (beginning of life) and method of action as the grounds for judgment. Based on the latest scientific analyses and explorations, emergency contraceptions mostly work by preventing fertilization instead of preventing implantation. Also, there is no evidence about any negative effects of emergency contraceptions on the development of embryo after fertilization. In other words, emergency contraceptions not only prevent ovulation but also prevent fertility of sperms, reduce motility of sperms, stop spermatozoa, change characteristics of cervical mucus, and prevent chemical attraction of sperms by an unfertilized egg. Therefore, if the grounds for the latest scientific analyses that emergency contraceptions prevent the encounter of sperms and egg and do not affect post-fertilization process are accurate, emergency contraceptions simply prevent fertilization and do not influence implantation. Ethical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of abortion are inappropriate, even in the view of Christianity that ‘human life begins upon con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