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문화 이해를 위한 식물의 분류학적 실체 규명 필요성 - 산수유 사례를 중심으로

        신현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3 No.-

        전통문화에 등장하는 각종 식물들의 경우 대부분 한자(漢字)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 들의 실체에 대한 이해가 없이 문화를 해석하고 있어, 일정 부분 전통문화 해석에 있 어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 문헌에 나오는 수유(茱萸)의 실체를 파악함으로써 전통문화를 달리 해석할 수 있는 사례를 보여주고, 전통문화 이해를 위해서는 식물의 분류학적 실체 규명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산수 유로 번역되는 수유는 크게 산수유(山茱萸)와 오수유(吳茱萸)로 번역될 수 있음을 살 펴보았고, 왕유가 지은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憶山東兄弟)」에 나오는 수유 는 산수유가 아니라 오수유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수유(茱萸)로 기록된 식물을 번역할 때에는 문맥의 상황에 따라야 할 것이다. Although many plant names recorded in the traditional cultures were written in chinese letter, until now the traditional cultures were understood without the correct taxonomic identities of plant names. Therefore, there were some mistak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cultures. In this study, to address the needs to clarify the taxonomic identities of plants for the re-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s, the taxonomic identity of su-yoo was clarified and the traditional culture related to san-su-yoo were re-understood based on the clarified concept of san-su-yoo. The chineses letter ‘su-yoo’ written in the old books was proved to mean two species; one is san-su-yoo in the Samkuyusa, and the other is o-su-yoo in the Wang Wei’s poetry, Double Ninth, Missing My Shandong Brothers.

      • KCI등재후보

        국제문화유산보존원칙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아테네 헌장」(1931)을 중심으로 -

        주남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0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6 No.-

        In this study,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Athene Charter (1931), which can be seen as the beginning of the principle of preserving international architectural and cultural heritage,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cy network theory. As a result, the efforts of the state parties of the Convention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ultural heritage were not simply made by the sole government, but by identifying the formal and informal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relevant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stakeholders, such as the people, architects, engineers, researchers, educators, and central and local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fficial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when a series of international principles were adopt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y were ultimately pushed forward with the will to achieve the firm policy goal of 'sustainabl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ird, unofficial policy participants in the private sector could see that privat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should be based on private education in order to ultimately see policy effects, although they were not clearly exposed to policy effects. Fourth, it was understood that the principle of preserving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which was somewhat Western-biased, needed to be recognized for respecting and promoting all cultural differences, including customs and traditions, based on cultural diversity, in which the cultures of each society and community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until the futur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sincerity, and original form of the repair of wooden cultural heritage in the East. 이 연구에서는 국제건축문화유산보존원칙의 태동이라고 볼 수 있는 「아테네헌장」(1931)의 형성과정을 정책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유산을 둘러싼 환경이 변화할 때 이에 대응하는 협약 당사국의 노력은 단순히 단독 정부의 제안 또는 결정이 아니라 이와 영향을 주고받는 이해관계자 즉, 국민, 건축가, 기술자, 연구자, 교육자, 중앙 및 지방 문화유산 관리 공무원 등 관련 제도적·비제도적 이해관계자와의 관계구조가 공식·비공식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일련의 국제원칙이 전문가회의를 통하여 채택될 때 궁극적으로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 및 보존’이라는 확고한 정책목표를 달성하려는 의지에서 추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민간 부문의 비공식적 정책참여자는 정책효과에 확연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궁극적으로 정책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민간의 교육, 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다소 서구 중심적이었던 국제문화유산보존원칙이 향후 동양의 목조문화유산 수리복원 방법과 진정성, 원형에 대한 이해를 하기까지 각각의 사회와 공동체가 갖고 있는 문화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는 문화다양성에 기초하여 관습과 전통 등 모든 문화적 차이를 존중하고 증진하겠다는 인식과 의지가 필요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론에서의 ‘전통’ 연구 - 조지훈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중심으로

        김윤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3 No.-

        본고의 목표는 ‘전통’이라는 관점에서 한국 현대시론의 한 경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 주된 논의 대상은 조지훈의 시론이다. 1930년대 시문학파나 문장파의 시론이 조 지훈에게 계승되어 온 점에 주목하여 그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1930년대 후반 이병기, 이태준, 정지용으로 대표되는 문장파는 우리 언어로 다양한 예술적 모색을 도모한 점과 동양적 고전정신에 충실하고자 한 점에서 ‘전통적’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상고 취미나 고전전통에 대한 심취는 일종의 ‘반근대’ 혹은 ‘비 근대’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문장파의 전통지향성은 조지훈에게서 ‘멋’의 미학으로 드러난다. 조지훈은 전통을 역사적․문화적․가치적․집단적․주체적 개념으로 파악하고, 전통 논의의 연장선에서 고전을 중시하는 특유의 정신주의를 드러낸다. 나아가 전통에 대한 그의 관심은 민속학과 역사 연구로 발전하였다. 한편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순수시론을 최초로 제기한 것은 시문학파이다. 특히 박 용철은 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언어의 절차탁마요, 마음의 순정성을 노래하는 것 이 시의 궁극이라고 생각하였다. 시문학파의 현실도피적 관점이나 귀족주의적 풍 모는 유가적 선비의 전통에도 잇닿아 있다. 또한 정지용은 박용철의 시론을 계승했 지만, 신앙이나 고전과 같은 정신적인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시론에 서도 조지훈은 문장파를 충실히 계승․심화하였는데, 그것은 ‘순수시론’으로 나타 났다. 그는 문학이 정치에 복무하는 것을 배격하면서 순수한 시정신을 고수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 점에서 그의 순수시론은 좌파 문학에 대한 대결의식의 소산이다. 그 의 시론은 생명문학론과 시 자율성론이라는 두 가지 이론적 토대 위에 서 있다. 한국 현대시에서도 전통적 요소와 외래적 요소가 혼효된 가운데 상호 경쟁하면서 발전해 갔다. 이제 우리에게는 전통성과 근대성에 대한 균형있는 시각이 요청되는 시점이다. 이에 조지훈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재론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one trend in the Korean modern poetics in terms of ‘tradition'. This paper discusses mainly the poetics of Cho-jihun’s. I intend to discuss his thoughts about tradition and ‘pure poetics’, by noting that his views succeeded those of ‘Simunhak’ group and/or ‘Munjang’ group in the 1930s. In the late 1930s, ‘Munjang’ group that was represented by Lee-byunggi, Lee-taejun, Chung-jiyong can be called 'traditional' in that they attempted a variety of Korean languages and devoted to the spirit of Oriental classic. Their appeal for classical tradition or their infatuation for worshiping ancient culture means their 'anti-modernity' or 'non-modernity'. The traditional orientation of ‘Munjang’ group represents as the aesthetics of ‘Mut(멋)’ in Cho-jihun. He understanded the tradition as a historical, cultural, valuable, collective and subjective concept, He revealed his unique mental note that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lassics by extension of discussing tradition. Further his interest in tradition developed toward the study of Korean folklore and history. Meanwhile, in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Simunhak’ group raised ‘pure poetics’ first. Especially Park-yongchul thought that refining language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oertry, that singing pure sincerity of mind was the ultimate of poetry. Their attitude of an escape from reality or their noble appearances in ‘Simunhak’ group was connected to the tradition of Korean Confucianist scholar. Also the poetics of Chung-jiyong’s succeeded to that of Park-yongchul, but his emphasis on faith or the spiritual such as the classic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m. Poetics of Cho-jihun’s faithfully handed down and deepened that of ‘Munjang’ group; it was reprensented as a ‘pure poetics’. He rejected literature to serve for the political and emphasized on adherence to ‘pure Poesie’. Therefore, his pure poetics was come from the conflict awareness of Socialism literature theory. and his poetics was based on two theoretical foundation; Life literature and Autonomy theory of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traditional elements and imported elements were developed while competing and mixed together. We now need to have a balance between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It will be worth rediscussing about Cho-jihun’s theory of traditionality and his ‘pure poetics.’

      • KCI등재

        13세기 고려의 탕湯 음식문화 변동 분석 : 개성, 안동, 탐라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이종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5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려 후기 수도 개성(개경)과 안동, 탐라 음식문화와 오늘날 향유하는 내용과의 관계를 탕(湯)국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들 세 지역은 원 제국의 군사가 주둔했던 공통점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의 문제는 오늘날 우리나 라 탕국문화가 어느 시기에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숟가락과 탕국, 설렁탕과 곰국, 국밥, 몸국은 어째서 한 뿌리인가 등에 대한 유래를 찾아보고자 한다. 고려 후기 대 원제국 지배하의 문화적 영향과 관련된 주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양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등의 육식과 그 도살법, 육식 내용을 분석하고, 주요 외부 영향 요인으로 전쟁과 지배세력 등과의 종속관계에 따른 문화변동인가 등을 주로 고려 (개성)과 안동, 탐라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지역년대가설에 따 른 접근과 주요 사료로는 『음선정요(飮膳正要)』,『거가필용(居家必用)』 및 중세사, 원사, 고려사, 탐라사 등의 고문헌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국가 지역 음식문화연구의 선행 연구 분석과 활용 및 필 자의 음식문화 선행 연구 결합을 통하여 개성의 설렁탕과 안동의 소주, 탐라의 몸국과 고소리술 등의 특성과 음식문화적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The article consists of five section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the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 The regions of Koryo selleoung-tang food culture is Yeke Mongghol Ulus(Mongolia) food culture. The contents of culture acculturation was seen Gaesung, Andong, Tamra, Yeke Mongghol Ulus(Mongolia) food culture. The second section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The comparative variables of a characteristic of food culture are culture acculturation. Those are culture acculturation & adaptation of food culture. This paper analysed effects among food material, recipe and food manners, also. The third section presents identity analysis about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 The forth section suggests direction for fostering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 The last concluded the paper. The findings give us suggestions that it is useful to publicize the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 so forth.

      • KCI등재후보

        충남지역 노인층을 지역문화해설사로 양성하기 위한 평생교육 시안 기획

        권도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0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5 No.-

        This study aimed to raise Chungnam the old’s self support ability and to expand Chungnam’s latent economic growth late. This study intended to achieve this aim through the planning of lifelong education to train Chungcheongnam's the old as the local cultural commentator. The expected effect of this study is four like the next. Firstly, we can raise employment rate and reduce poverty rate to give Chungnam’s the old professional job opportunity. Secondly, we can change Chungnam’s local image from discord local with the old to accord local with the old. Thirdly, we can contribute to expand Chungnam’s latent economic growth late. Fourthly, we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ungnam’s tourism culture. Ths contents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the appropriateness of lifelong education to train Chungnam the old as the local cultural commentator. The second part is the locality in Chungnam traditional culture that will be the contents of the local cultural commentator’s lifelong education for Chungnam’s the old. The third part is the proposal of the local cultural commentator’s lifelong education for Chungnam’s the old.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노인층의 자기 부양 능력 제고를 통해 잠재적 경제성장률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노인 평생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기획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노인 평생교육 시안의 과제는 충남지역 노인층을 평생교육을 통해 충남지역 문화해설사로 양성함으로써 노인층의 자기 부양 능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잠재적 충남지역 경제성장률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시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충남지역 노인층을 문화해설사로 육성하기 위한 문화해설 평생교육 커리큘럼 시안을 기획하는 것을 구체적인 세부 연구목적으로 한다. 충남지역 문화해설사 평생교육 커리큘럼의 구체화 시안 구축의 필요성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영역으로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충남지역 노인층으로 하여금 충남지역 전통문화와 충남로컬리티에 대한 이해도를 전문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커리큘럼의 개발을 세부적인 연구목적으로 한다. 둘째, 충남지역 문화해설 방법론에 관한 실무적인 커리큘럼 구축을 세부적인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크게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으로 제시해 볼 수 있다. 첫째, 충남지역 노인층에 전문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취업률을 제고시키는 동시에 빈곤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성과는 노인 우울증 환자 비율과 빈곤율이 전국 최고를 달리고 있는 충남의 지역 이미지를 ‘노인 불화 지역’에서 ‘노인 친화 지역’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성과는 충남지역의 잠재적 성장률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의 성과는 충남지역 관광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충남지역 노인층을 충남지역 문화해설가로 육성하기 위해 평생교육 커리큘럼 시안을 기획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첫째, 충남지역 노인 인구 존재 양상의 특수성 규명을 기반으로, 충남지역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문화해설사 노인 평생교육의 당위성 구축이다. 둘째, 충남지역 노인 대상 문화해설사 평생교육 내용으로 들어갈, 충남지역 전통문화에 나타난 로컬리티에 대한 규명이다. 셋째, 충남지역 노인 대상 문화해설사 평생교육 커리큘럼 시안 기획이다.

      • KCI등재후보

        무형문화유산과 문화유산의 민주화 : 커뮤니티의 역할과 권리에 대하여

        김희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9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3 No.-

        1972년 세계유산협약(World Heritage Convention, WHC)을 통해 유네스코는 약 30여 년 동안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으로 구분되는 유형문화유산 분야를 크게 강조해 왔다. 이러한 흐름은 2003년 무형문화유산 협약 이후 변화를 맞이하는데, 본 논문에 서는 2003년 무형문화유산 협약에 대해 살펴보면서,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 을 이끄는 주체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직도 유형문화유산이 크게 강조되는 서유럽이나 북미 국가에서는, 일본과 한 국으로 대표되는 아시아 지역만큼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형문화유산이 향후 주요하게 자리 잡을 수 있는 이유는, 문화유산의 민주화라는 측면 때문이다. 정부와 기관 주도의 유형문화유산 보 존 및 관리와는 다르게, 무형문화유산의 대부분은 지역사회의 삶의 방식 그리고 전 통과 연결되어 있는 ‘살아있는 유산(living heritage)’이기 때문이기 때문에 정부가 주 도하는 하향식 접근방법(top-down approach)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무형문화유산을 향유하는 지역민과 지역사회가 이를 보호하는 방법 이야말로 가장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방향일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 혹은 커뮤니티 용어 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고찰하고, 이들의 권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문화유산에 대한 권리를 고찰하는 것은 향후 관련 문화유산의 보호와 관리에 중요한 의미를 갖 게 되는데, 이는 바로 주인의식이 생김으로서 해당 문화유산에 대한 책임감이 생기 기 때문이다. 또한 삶의 방식에 녹아 들어있는 대다수 무형문화유산의 경우 위와 같 은 방법을 통해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이 최근 학자들의 이론이며, 이로 말미암아 사 회 구성원들은 참여의식과 함께 건강한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따 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협약,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와 그들의 권리, 그리고 이들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등을 고찰 해 보고자 한다. UNECSO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as solely emphasised on the tangible heritage field since 1972 when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WHC) was adopted. Their attitude towards heritage has somewhat changed after the 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is vein, the study delves into each convention in 1972 and 2003 respectively while examining the main body to conserve or safeguard each type of heritage. Occidental nations, particularly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have less paid attention to intangible heritage in comparison to Japan and South Korea who have embraced intangible heritage as a prominent part of the heritage field. Nonetheless, the intangible heritage arena is continuously encouraged and discussed due to its ‘heritage democratisation process.’ Unlike the conservation of tangible heritage which is commonly led by government agencies, safeguarding intangible heritage is linked with community’s everyday life, so called ‘living heritage.’ Therefore, the approaches to safeguard their tradition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way to protect tangible heritage. There is an argument that community can be the leading body to safeguard their intangible heritage and this will be the most efficient and sustainable way to maintain their everyday life. To investigate these issues, the study looks through the meanings of community and their rights. Examining community’s rights on their heritage is to ensure safeguarding and management of their heritage assets. Because the community right is directly linked to their sense of ownership which engenders responsibilities toward heritage. Furthermore, according to recent studies, many types of intangible heritage is intertwined with community’s everyday life, thus, should be safeguarded by community members. During the processes, community members can learn how to participate, discuss, represent, select, etc. as a member of a democratic society. While understanding the 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study also explores community and their rights and international efforts to enlarge community’s involvements in the heritage field.

      • KCI등재

        후백제역사문화권 정립과 추진 방향

        진정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which was enacted in 2020 and revised in 2021,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law is applicabl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he main discussion of the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revising the Special Act and on determining whether the detailed plan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provided by the act. The discussion will be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various directions and measure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Later Baekje existed for just 45 years, during which time it assumed a definite attitude as the successor to Baekje while struggling to remain a unified country with a well-defined identity. In its early phase, Later Baekje show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a military regime formed by a coalition of powerful local warlords, but it gradually developed into a kingdom ruled by a powerful monarch and a centralized government, thus exhibiting the general trend of development shown by its predecessor, Baekje.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vari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but in its heyday the kingdom encompassed present-day Jeolla-do, a part of Chungcheong-do,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and the 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The archaeological sites scattered across the area once occupied by Later Baekje have produced a variety of artifacts and archaeological features dating back to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including Buddhist statues and stone pagodas from Baekje that display the cultural influence of Later Baekje, which persisted around the area even after the kingdom’s fall. These archaeological remains, together with the social and philosophical heritage of Later Baekje, which aspired to overcome the existing order of the transitional period and establish a new order, are regarded as clear evidence that Later Baekje deserves far more attention from historians regarding its significance in Korean history.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set by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make it a perfect candidate for designation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o be promoted and preserved by the Korean government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Despite that, special legal status cannot be accorded to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on the principle of appropriateness or reasonableness alone. Rather, it is the activities of the consultative bodies operated by the local administrations of the provinces, cities and counties located in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that are most important.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nd their consultative bodies should focus their activities on raising public awareness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and shedding new light on its heritage. One priority among these activities should be to designate Jeonju as a Ancient City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Ancient Cities. The efforts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combined with those of organizations from the academic milieu and civil society that are devoted to discovering and propaga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Later Baekje across society. 이 논문은 2020년 제정되고 2021년 개정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후백제역사문화권이 포함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제·개정 과정을 살펴보고, 후백제역사문화권이 법이 정하는 역사문화권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여기에 덧붙여, 후백제역사문화권 정립을 위한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후백제는 비교적 짧은 45년 동안 존속하였지만, 백제 계승을 기치로 건국하였고 종국에는 통일국가를 지향하였다. 이처럼 후백제는 뚜렷한 정체성을 갖춘 국가였다. 이뿐만 아니라, 초기에는 호족 연합 정권의 특징을 보였지만 절대왕권 구축과 중앙집권 국가를 지향하는 등 고대국가의 일반적인 발전 양상을 보인다. 고대에 속하며,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전시킨 후백제의 영역은 시기에 따라 달라졌지만, 현재의 전라도와 충청 일부, 경북 북부지역과 경남 서부지역을 포괄하였다. 이러한 곳에서는 후삼국시기 즉 후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확인된다. 후백제 문화의 영향은 후백제 멸망 후에도 이어져 후백제지역에 소위 백제계 불상과 석탑이 만들어졌다. 한편, 후백제는 사회편성의 원리나 종교·사상의 측면에서 변혁기 기존 질서를 극복하고 새로운 질서를 세우고자 한 나라였던 만큼 한국사에서도 조명할 가치가 충분한 국가다. 이러한 후백제역사문화권은 역사문화권정비법이 정하는 기준에 합당할 뿐만 아니라 그 의미와 가치가 크므로, 역사문화권정비법에 하나의 역사문화권으로 지정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후백제역사문화권의 법제화는 당위성이나 합리성만으로 이룰 수 없다. 그래서 후백제 영역에 속했던 시·군이 참여하는 후백제문화권 지방정부협의회의 활동이 중요하다. 협의회 차원에서, 시·군마다 후백제 역사와 문화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후백제를 조명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다. 그 가운데서도 후백제가 하나의 독자적인 국가였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서 선도적으로 전주를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서 규정하는 고도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해볼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방정부 차원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바로 후백제 역사문화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학계의 노력, 가치와 의미를 지역사회에 확산시키기 위한 시민사회단체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방언 보전 방안 연구 : 무형문화재 지정 및 표준어 정책을 중심으로

        김용갑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7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0 No.-

        한국의 많은 방언(사투리)은 지역적 향토색과 한민족의 생활사 및 고 유어의 어원을 간직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방언은 한민족의 형성과 역 사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방언은 이처럼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들 방언은 표준어 정책 등으로 말미암아 교양 없는 사람들이 시골에서나 사용하는 언어로 인식돼 그 사용층이 점차 감소하고 있고, 일부 어 휘는 이미 사멸했거나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따라 방언을 보전 하고 지방의 고유한 방언사용을 늘려 한국어를 풍부하게 하기 위한 방 안 마련이 요구된다. 그 방안으로 방언의 무형문화재 지정과 표준어 정책 폐지 또는 복수 표준어제 도입, 그리고 ‘문화재보호법’, ‘무형문화재법’ 등의 보완이 필 요하다. 이를 위해 ‘문화재보호법’을 개정해 ‘지역공동체’를 전승주체로 인정하고, 무형문화재 대신 광의의 ‘무형문화유산’이라는 개념과 용어 사용을 문화재 관련법 내에 수용해 원형이 아닌, 전형(典型) 위주의 보전 과 계승책이 마련돼야 한다. Many Korean dialects retain local civic color, ethnic life history, and the etymology of their native language. A few dialects are also important material for the formation and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Dialects, like above, have enough value as cultural property. These dialects, however, are perceived as languages used by uncultured people in the countryside and their use layer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in Korea. In addition, some vocabularies of dialects are already dead or in danger of disappearing. Accordingly, it is required a plan which is to preserve dialects and make Korean language enrich by increasing the use of unique dialects of local areas. A few things are needed to designate dialects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abolish Korean standard language policy, to amend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and introduction of multiple standard language system for preserving Korean dialects. It is, therefore, needed to recognize ‘local community’ as a communicator itself through revis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t is also required that inheritance and preservation which are centered on the typical type of the cultural heritage rather than the original one of it should be provided through accept the concept and the use of the ter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tead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in the law concerning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茶文化

        신미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0 No.-

        조선시대는 고려시대와 마찬가지로 차는 여전히 궁궐에서 의식다례로 행해졌으며 더 격식화되고 엄격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근래에 고려시대의 융성한 차문화가 조선시대에 쇠퇴 했다는 것은 보편적인 상식이 되어 버렸 다. 조선시대의 차문화가 우리에게 어떻게 전해지고 지금껏 이어져 왔는지 선인들의 흔적으로 조선시대 차문화를 살펴보면 지금까지 발견된 조선시대의 다서는 5권으로 차에 관한 전문다서가 있었고, 16-19세기까지 많이 출간 되 었던 백과사전류의 책속에는 차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었다.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茶事를 살펴보니 궁중에 는 ‘茶禮’라는 이름으로 더 격식화, 의식화되어 행해지고 있었다. 18세기 이후 궁중의 다사가 사라지고 조선의 차문화가 쇠퇴하였다고 말하지만 선가의 차인들은 여전히 차를 마시고 차문화는 茶詩로 이어져오고 있었다. 사대 부가의 차문화는 『주자가례』의 유입으로 가정의 제의례에 차를 올렸고 600여명이 넘는 차인들이 차시를 남겼고 차문화의 맥은 이어져 내려왔다. 우리나라 차문화가 쇠퇴했다고 말한 사람은 1940년에 펴낸 『朝鮮の茶と禪』에 당시 조선총독을 지낸 바 있는 우가끼(宇垣一成)가 쓴 서문과 당시 상공대신(商工大臣) 이었던 후지하라(藤原銀次 郞)가 쓴 글로 우리나라 근현대에 나온 다서들이 그대로 다시 인용하면서 우리의 차문화는 쇠퇴하였다고 전해졌다. 이는 식민사관의 쇠퇴이며 우리의 시각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여전히 차가 존재했다. Chosun Dynasty still held the traditional tea ceremony in the palace like the Goryeo Dynasty, only more formal and strict. However, recently the thought “flourishing tea culture in Goryeo Dynasty declined in Chosun Dynasty” has become a fact. By examining how the tea culture passed down and continued to the modern days through traces of our ancestors, five traditional tea specialty publications were found and encyclopedias published during 16th-19th century held contents related to teas. According to the “affairs of tea (茶事)” in 『朝鮮王朝實錄』, the tea was more formally referred to as the “tea rituals(茶禮)” and were performed as a ceremony. People say that after the 19th century, affairs of tea declined in the Chosun Dynasty, but the tea drinking ancestors continued to drink tea and the tea culture continued in the tea books. The tea culture of the noble mans was influenced by the 『朱子家禮』 and put tea on the table for traditional memorial ceremony. Over six hundred tea drinkers left tea poems and the tea legacy continued on. People say that the Korean tea culture declined becaus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ea specialty publications directly quoted from the 『 朝 鮮の茶と禪』 published in 1940 which contained prefaces of Wugaki (宇垣一成), Japanese who once served as the governor of Chosun, and writings of Hujihara (藤原銀次郞), Japanese who was the minister of commerce and industry at the time. This is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not our traditional view of history. Tea still existed in Chosu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