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그들도 기부를 하는가? - 카르마 신념과 박애주의 인식을 중심으로

        오민정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1

        Recently, many studies related to donation have been studying with spread of donation culture. It has already been shown that high moral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s dona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ffect of moral identity on donations, although there is only a positive effect in a situation where moral identity is high.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y be positive for the donation even in the low moral identity group. Therefor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moral identity affects donations. Second, we want to confirm that karma belief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donation in low moral. Finally, it confirms that the philanthropic awareness mediates when moral identity and karma belief affects donation. First, in order to confirm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OVA analysis of moral identity and donation intention was conducted.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Next, we confirm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2x2 groups in which the moral identity and karma belief lead to positive donation roads. The results of the ANOVA showed that main effects of the karma and moral identity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variables was also significant. Finally, we examin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PROCESS model 8) through bootstrapping to understand the mechanism that philanthropic awareness mediates moral identity, karma belief, and donation intention. As a result, The effect was confirmed. In conclusion, even if the moral identity is low, it can be positively influenced on donation intention if the karma belief is high, and it is confirmed that philanthropic awareness plays a mediating role as altruistic motivation factor. Based on thes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nd sugges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최근 기부문화 확산과 더불어 기부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덕적 정체성이 기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미 밝혀진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도덕적 정체성이 높은 상황에서의 긍정적 파급효과만 있을 뿐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상황에서 기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집단에서도 기부에 긍정적일 수 있는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도덕적 정체성이 기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둘째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집단에서 카르마신념이 기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도덕적 정체성과 카르마 신념에 박애주의 인식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도덕적 정체성과 기부의도와의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선행연구와 일치된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도덕적 정체성이 높은 참가자들이 높은 기부의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다음으로 도덕적 정체성과 카르마 신념이 긍정적인 기부의도로 이어지는 2x2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카르마 신념이 높다면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집단도 기부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일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덕적 정체성과 카르마 신념의 주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고 두 변수간 상호작용 효과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박애주의 인식이 도덕적 정체성과 카르마 신념 그리고 기부의도를 매개할 것이라는 매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붓스트래핑을 통한 매개된 조절효과(PROCESS 모델8)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 박애주의 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교합조건 및 이악물기 힘의 변화가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에 미치는 영향

        오민정,한경수,Oh, Min-Jung,Han, Kyung-Soo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5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lusal condition and clenching level on the mandibular torque rotational movement. For this study, healthy 14 men without any symptoms and sig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selected. Mandibular torque rotational movement was observed in each circumstance of combination of three occlusal conditions such as natural dentition, with wafer of 3.6 mm thickness, and wafer with resin stop of 14 mm thickness total during hard biting of bite stick at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MVC) and 50% of MVC level of surface EMG activity of masseter musc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and mandibular torque rotational movement were observed using BioEMG and BioEGN in $BioPak^{(R)}$ system. Each biting movement in each circumstance was composed of clenching one time and hard biting of wooden stick two times. The observed items were opening distance, velocity and amount of torque rotational movement in mandibular movement,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PSS^{(R)}$ windows (ver.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andibular movement distance between those value in both biting sides, and between those in both clenching forces, but the mandibular velocity showed a different results by clenching force. For the amount of torque rotational movemen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value of the frontal plane but som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 the value of the horizontal plane by biting side. 2. The mandibular movement distance and the mandibular velocity in both planes were higher by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than those by half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and amount of torque rotational movement in the horizontal plane was also increased by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3. The opening distance in both planes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namely, by the occlusal appliances, and this pattern was also showed in the mandibular velocity in case of hard biting by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However, the amount of torque rotational movement were not different by the increase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4. The value of angle and distance of the torque rotational movement in the hard biting of wooden stick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in the clenching without wooden stick in both planes without regard to occlusal conditions and/or clenching forces.

      • KCI등재

        스트레스에 의한 구강안면증상의 발혀에 관한 역학적 연구

        오민정,한경수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1997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22 No.2

        Stress is recognized as a major predisposing and/ or precipitating factor in long-lastig intractable chronic pain, such a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headache, and other psychophysiological disorders. So it is necessary to detect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nduced by stress as soon as possible for positive treatment outcom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rate of stress symptoms according to anatomic region, type of symptom, and other personal and social factors. 859 subjects from general population answered the stress symptom questionnaire devised by the author and composed of 50 items.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Oral symptom whi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rate of 38.8% was vesicular lesion of the lip and cheek. The other symptoms with more 20% occurrence rate were ulcerative leion of lip and cheek, toothache, paresthesia of teeth, eruption of tongue, tongue coating and taste change in descending order. 2. In extraoral symptoms, ?데 disturbance was the item whi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rate of 62.0%, and the items for stiffness of suboccipital region and neck, headache, facial swelling, furuncle of face were answered more than 45% of the subjects whereas only 14.0% of the subjucts complained jaw pain under stress. 3. The better one who thought his or her health status was, the fewer items were answered and the difference of symptom frequency by dwelling place and by having hobby were shown in extraoral symptoms only. 4. For relief of stress symptoms, 79.2% of the subjects replied only to take a rest whereas not more than 13, 5% of the subjects visited dental clinic. Correlationship between symptom sites were very high.

      • KCI등재

        스마트시티 판의 전환: 순환 도시 베를린을 중심으로

        오민정,이아름 한독경상학회 2023 經商論叢 Vol.41 No.1

        The current economic structure is a linear one that follows a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system. Since the sustainability of modern civilization is threatened, the introduction of a circular economy is a request of the times. The introduction of such an economic structure would help slow down the acceleration of the linear economy and change the linearity that leads to other production, not discarding, and a circular one after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a circular economy, the subject is the citizen an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is important. Reuse and new use of resources at the level of citizens can be practiced on a local basis as well. This is because resources are connected through citizens. In addition, citizens can create a new culture with circulation as the core with activities to participate in the circulation of resources. To create this new culture, members of a city must share and discover methods of resource circulation. Also, a “smart governance platform” where all members of a city can gather is needed.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Metavercircular LivingLab as a “smart person platform” that enables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circular economy to be accessible through open access to city information and connects city data and citizens’ activities. Citizens, subjects of the city and the economy, can engage in ecological and cultural activities with the Metavercircular LivingLab Platform. A smart circulation city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community cultural activity. The city of Berlin, which aims to be a circular city, has begun to move toward a smart city version with citizen participation in a circular economy as its core. Digital transformation is important in the movement. In particular, the use of a virtual reality space called the metaverse guides the transition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 Metavercircular LivingLab Platform is an innovation platform for transforming behavior towards a circular economy city. Social innovation is achieved by recognizing what citizens themselves are aiming for and what they need, and putting it into action. This practice is possible through cooperative governance for a smart circular city Smart Person Platform Metavercircular LivingLab. A new version of the smart city can be achieved with the Smart Person Platform Metavercircular LivingLab, which leads critical reflection on the human desire for technology and fosters a co-creative citizen participation type circulation culture. This can ultimately approach a smart circular city. 자원의 순환이 아닌 생산과 소비 그리고 폐기로 이어지는 구조는 현대 문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자원 폐기의 가속성을 늦추고, 생산과 소비 다음으로 폐기가 아닌 또 다른 자원 순환으로 이어지는 선형을 원형으로 전환하는 순환 도시의 도입은 시대적 요청이다. 그리고 자원 순환에서 그 주체는 시민이며, 시민의 자발적 참여는 중요하다. 시민들의 차원에서 이뤄지는 자원의 재사용 및 새사용은 로컬을 기반으로 실행할 수 있고, 자원과 자원은 시민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민은 자원의 순환에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순환’을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이 새로운 문화 창조를 위해서는 도시의 구성원이 자원 순환의 방법을 공유하고 발굴하는 작업을 행해야 한다. 그리고 이 행위를 위해서는 도시의 모든 구성원이 모일 수 있는 ‘스마트 거버넌스 플랫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원 순환을 위한 시민의 참여를 도시 정보를 오픈하여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생활에 밀착한 도시 문제를 발굴하는 등, 도시 데이터와 시민의 활동을 연결하는 ‘스마트 인(人) 플랫폼’으로서 ‘메타버서큘러 리빙랩’ 개념을 창안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메타버서큘러 리빙랩 플랫폼’을 통해 도시의 주체, 자원 순환의 주체인 시민이 생태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고, 이 공동체 문화 활동을 통해 스마트 순환 도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순환 도시를 지향하는 독일 베를린시는 이 시민참여형 자원 순환을 핵심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판(板)의 이동을 시작했다. 판의 이동에서 디지털 전환은 중요하다. 특히 메타버스라고 하는 새로운 가상현실 공간의 활용은 판의 전환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인도한다. 그리고 다양한 행위자들이 자율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협력 활동인 거버넌스 플랫폼, ‘메타버서큘러 리빙랩’은 순환 도시로의 전환 행동을 위한 혁신 플랫폼이다. 사회의 혁신은 시민 자신이 지향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인식하고, 이를 행위로 실천하는 것을 통해 이뤄진다. 그리고 이 실천은 스마트 순환 도시를 위한 협력형 거버넌스, ‘스마트 인(人) 플랫폼 메타버서큘러 리빙랩’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기술을 향한 인간의 욕망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이끌고, 문화적 인간 존재로서 공동 창조적인 시민 참여형 순환 문화를 다지는 ‘스마트 인(人) 플랫폼 메타버서큘러 리빙랩’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판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고, 스마트 순환 도시에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심포이에시스적 스마트시티 창조를 위한 도시 -시티랩 베를린을 중심으로

        오민정 한국브레히트학회 2023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48

        Berlin hat eine kritische Reflexion über technologisch orientierte Smart Cities durchgeführt und damit begonnen, eine neue Smart City mit dem Namen “Berlin Lebenswert smart” für eine nachhaltige städtische Entwicklung aufzubauen. In dieser Smart City beteiligen sich alle Bürger gemeinsam im Sinne des Gemeinwohls. Diese Studie wird die Geschichte von Berlin Smart City und “CityLab Berlin”, die zentrale Achse von Berlin Smart City, analysieren. Wir blicken auf die künftige Stadt, in der die Menschen demokratisch leben. Die Beteiligung der Bürger ist wichtig für die Smart City der Zukunft. Die technologisch orientierte städtische Entwicklung, die von Unternehmen und Regierungen geführt wird, hat viele Nebenwirkungen gehabt. Daher ist es notwendig, Städte für ein nachhaltiges Zusammenleben von Natur und Menschen zu entwickeln.  Die wichtigsten Prinzipien der Stadtentwicklung werden in “Sympoiesis” von Donna Haraway hervorgehoben. Städte sollten einen Raum bieten, in dem der menschliche Geist und der menschliche Körper frei leben können. Bürger unterschiedlicher Herkunft können zusammenleben und sozial Benachteiligte und marginalisierte Menschen einbezogen werden. Dies kann durch “Sympoiesis” im Sinne Donna Haraways erreicht werden. Auf der Grundlage von Haraways “staying with” und “making-with” kommunizieren und kooperieren wir mit allen Beteiligten (insbesondere mit den Bürgern) um Stadtprobleme (Staying with the Trouble) offen zu legen. Es ist möglich, eine Smart City zu schaffen, indem eine “Sympoiesis”-Kultur der Beteiligung der Bürger geschaffen wird. 독일 베를린시는 기술 중심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비판적 성찰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베를린 살기 좋은 스마트 Berlin lebenswert smart”라는 이름의 새로운 스마트시티 건설을 시작했다. 베를린 스마트시티는 모든 시민이 함께 참여하여 공공의 가치를 찾고 공동선을 추구하는 “심포이에시스 sympoiesis”적 스마트시티를 지향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를린시의 스마트시티 진화 과정과 베를린 스마트시티의 중심축인 “시티랩 베를린CityLab Berlin”의 시민참여형 “심포이에시스”적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문화적존재 homo culturalis 인간의 삶의 가치를 담은 미래 도시, 스마트시티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고찰하고, 미래 도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본다. 이제 도시는기업과 정부가 주도하는 기술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시민의 협력적⋅공동창조적 참여의 힘으로, 기술의 진화보다는 자연과 인간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한 “심포이에시스”적 도시의 진화를 일으켜야 한다. 그리고 우리의 도시는 인간의 정신과 육체가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미래 도시는 다양한 연령과 계층이 함께 살아가는 공간 구축을 지향하고, 사회적 약자 및 소외된 계층을 모두 포용하여 다채로운 삶의 방식을 인정하는 도시가 되어야 한다. 이는 도나 해러웨이가 주장하는 “심포이에시스”의 가치를 통해 만들 수 있다. “함께하기 staying with”, “함께 만들기 making-with”의 철학을 기반으로 모든 다양한 참여자들(시민)과 “트러블과 함께 staying with the trouble”하며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여 도시의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심포이에시스”적 시민참여 문화를 이루는 일은 스마트시티 진화에새로운 르네상스를 일으킬 것이다.

      • 스마트 환경에서 PMO 도입의 효과와 영향

        오민정,이민우,박남숙,김승철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2013 한국프로젝트경영연구 Vol.3 No.2

        최근 국내의 기업환경 및 사회적 환경은 선진일류국가를 위한 스마트코리아 구현을 향해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스 마트워크환경의 수준은 제도적 장치만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며, 스마트워크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인적 및 물적 네트 워크의 조직통합관리 등에 관한 문제점 고찰과 전통적 업무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전자정부의 등장으로 정부는 정보화 사업의 PMO (Project Management Office)제도 도입 의무화를 적극 추진하 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프로젝트사업이 많은 IT, 건설, 금융 등의 산업에서 PMO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체 산업 중에 정보통신/기술/시스템, 제조/생산/유통 산업이 프로젝트관리가 활성화되는 산업이면서도 스마트워크환경이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략적 관점에서 성공적 스마트워크 환경구현의 요소를 역동성, 협업성, 연결성으로 정의하고, 각 요소와 결합되는 PMO기능으로는 실행/기반관리기능, 기술지원관리기능, 업무연계성기능으로 선별하여 각각의 관계에 있어 영향 정도를 파 악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스마트워크환경의 문제점과 전략적 요소간의 필요충분조건을 확인하여, PMO기능 이 각 문제점 해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뿐만 아니라, PMO 조직의 도입을 단순히 프로젝트관리만 하는 조직 이 아니라, 스마트워크환경이라는 사회조직적 환경변화에 있어서 비즈니스프로세스 역할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 를 얻음으로써 초기 연구 가설을 뒷받침해주었다.

      • KCI등재

        호모 루덴스와 호모 파베르의 융화 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미래

        오민정,김종규,Oh, Min Jung,Kim, Jonggyu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9

        본 논문은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문화철학적 이해와 접근을 통하여 이 공간이 향후 인간의 문화적 공간으로 전개될 수 있을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이해 및 접근 방식의 변화 필요성 및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현실과 가상이라는 이분법적 공간 이해가 갖는 위험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을 통한 인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였다. 또한 이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본 연구는 미래 메타버스 공간이 문화적 공간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한 조건과 이를 위해 그 공간은 제작(Homo Fabre)과 유희(Homo Ludens)라는 인간의 가장 핵심적인 문화적 활동 모두를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Us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hilosophy,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future metaverse will be developed into a cultural space for human beings. The redirection of th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metaverse space is necessary. And,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dangers of understanding the dichotomous space of reality and virtuality, and mobilized humanistic imagination through the film Ready Player One. Ultimately, the space the future metaverse grows into will be a cultural space run by both homo fabre and homo lud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