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거노인 고독사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

        박미희 백석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독거노인 고독사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복지경영학과 전공 박미희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로 접어든 우리사회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독거노인의 증가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혼자 생활하기 때문에 신체적‧정서적‧사회적으로 더 취약할 수밖에 없는 것이 지금의 모습이다. 이러한 개인적‧사회적 현상이 독거노인의 자살, 고독사로 이어지고 있다. 이제는 더 이상 고독사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인식되고 있다. 고독사를 개인이 아닌 사회‧국가가 개입하여 고독사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들이 필요로 하고 있다. 즉, 고독사는 사후발견으로 인하여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아니라 독거노인들이 고독하지 않도록 하는 예방책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독거노인의 고독사의 의미,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우리나라와 외국의 문헌들을 참고하여 다양하게 실행되고 있는 정책들을 살펴보았다. 독거노인의 고독사 문제를 해결을 위한 정책적인 문제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돌봄기본서비스는 전체 독거노인 140만5000명 중 돌봄서비스 혜택을 받는 수는 24만 명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해마다 독거노인의 수는 증가하고 있는데 서비스는 제자리 수준에 머물고 있다. 둘째,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 서비스는 전체 독거노인의 7.3%만 혜택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기초생활보장과 중복되는 독거노인은 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장비의 노후화로 인한 기기의 오작동, 데이터 전송 오류 등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셋째, 법적 체계의 문제이다. 고독사의 정확한 통계를 위해 법적 기준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기준이 달라 고독사의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연구결과에 의해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 방지를 위해 가족 간 관계 회복 및 강화를 위한 가족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사회 주민들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고독사 위험자에 대한 상담 및 심리치료, 복지서비스 지원, 장년층 1인 가구에 대한 사회안전망 구축, 지역사회 민간복지지원 등 맞춤형 공공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독거노인 스스로가 고독사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고독사 예방 정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적 지원망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 계획 및 수립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실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고독사에 대한 법규 제정이 필요하다. 고독사, 무연고사, 고립사 등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셋째, 독거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주택분야의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넷째, 존엄한 죽음을 위해 공영장례 지원 정책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이 필요하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첫째, 독거노인의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서비스 대상 노인에 대한 정보 공유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노인생활관리사의 인력 보충이 이루어져야 하고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관련 공무원의 인력 충원과 예산 편성 및 예산 증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독거노인에 대한 보호 및 사회안전망 구축과 노인복지의 내용을 포괄적이고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연구영역으로 확대하여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겠다. 주제어 : 독거노인, 고독사, 사회안전망

      • 농촌지역 학생들의 패스트푸드 선호도에 따른 식생활 행동에 관한 연구

        박미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fast- food preference of middle schoolers in Cheorwon-gun to their use and awareness of fast food, their dietary attitude and health in a bid to help provide rural adolescents with quality dietary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very student in a selected middle school, who included 222 boys(50.8%) and 215 girls(49.2%). The parents of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were in their 40s, and the most common number of people in their families was four or five. The most dominant number of their siblings was two.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boys and girls were below the average. Secon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fast-food preference: preference group, ordinary group and non- preference group. There were respectively 130(29.7%), 247(56.5%) and 60(13.7%) students in the preference, ordinary and non-preference groups. Third, as for the purpose of eating fast food, many ate fast food between meals. The favorite fast food was chicken regardless of fast- food preference, followed by pizza, hamburger and French fries. They made taste the top priority when they chose fast food to eat, since as many as 64.1 percent took that into account the most. The most dominant fast-food eating frequency was once or twice a week, but the ordinary and non-preference groups ate it once or twice a month the most. Specifically, as many as 20.0 percent of the non-preference group scarcely took it,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 groups was significant. Regarding if there was any room for improvement,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asked for inexpensive price, irrespective of fast-food preference. The second largest percentage of the preference group called for diverse menu, but the second largest percentage of the ordinary and non-preference group asked for more vegetables and more fruit. Fourth, as to perception of fast food, they thought that fast foods were neither rich in nutrition nor conducive to health nor safe. But they found the foods to be tasty, easily accessible, familiar and helpful in times of hunger. Fifth,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fast-food preference and dietary habits, the non-preference group took more diverse foods than the preference group. The former had grain and vegetables at two or more meals a day, and ate more fruit than the latter. Sixth, as for relations between fast-food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including eating frequency, time and amount,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had three or more meals a day and spent about 20 minutes taking a meal. The greatest number of the students took an appropriate amount of food, and ate boiled rice and soup at three meals. In regard to the amount of snack, the largest percentage of the preference group had a snack often, but many of the ordinary and non- preference groups did it sometimes. As to satisfaction level with dietary life, the non-preference group was satisfied with their dietary lives the best, followed by the ordinary group and non-preference group. 71.67 percent of the non-preference group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ir dietary lives. Seventh, they had much interest in health in general. As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preference group found themselves to be moderately healthy, and the ordinary and non-preference group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good shape. Eighth, concerning relations between fast-food preference and unhealthy symptoms, they were asked to give an answer to 14 questions, and whether the three groups felt drowsy, felt cold in the hand and foot, and had a rough sk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Ninth, as for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re wa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perception of fast food and dietary habits, between their awareness of fast food and preference for it, and between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bnormal health-related symptoms. And there was a very weak correlation between their dietary habit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between their dietary habits and abnormal symptoms, between their dietary habits and fast-food preference, and between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fast-food preferenc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adolescents to make a choice of fast food in consideration of nutrition, and mass media that have a huge impact on them should try to offer correct knowledge on nutrition. As the health of teens keeps affecting themselves in adulthood, school should fortify dietary education for them to lead a sound life in adolescence, and students themselves should care about their own dietary life and try to take nutritionally balanced meals.

      •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박미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는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화해가고 있다. 매년 다문화가정 영유아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교육과 보육을 담당하는 유아교육기관과 교사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교사는 모델링을 통해 현장 내 구성원들에게 있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편견적인 행동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가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경험과 시각을 제공하는 한편,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주체로서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좌우하기도 한다. 이러한 교사의 역할을 고려할 때,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은 곧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질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전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유아를 교육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개인 특성과 다문화 접촉 및 교육 경험, 다문화교육 관련 경험이 다문화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에 대한 다문화감수성의 증진 및 다문화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 및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문화감수성 척도를 사용하여 하위 요인은 상호작용 참여도, 문화차이 존중도, 상호작용 자신도, 상호작용 주의도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다문화 관련 강좌가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지수를 높이기 위하여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다문화 관련 과목 개설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보수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이 개설되고는 있지만, 전체적인 중요성만 강조하고 있는 형편이고, 실제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프로그램 또는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을 강화할 구체적인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해야 한다. 따라서 교육과정 내에 유아교사들에게 새로운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 및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등이 포함된 교과목의 구성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을 함양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문화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능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갈등 상황에서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출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감수성 척도, 유아교사, 다문화교육, 다문화가정 유아

      •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획득 연구 : 출신 지역별, 대학 소재별 격차를 중심으로

        박미희 서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It observes that the social and human resources impacting job acquisition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moreover, that institutions in Seoul sit at the top of a social (reputational) hierarchy of universities. The study examines how growing up in Seoul and graduating from a university in the city affects students’ first post-graduation jobs, and attempts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produce structural differences in labor market performance. The study 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Survey(KEEP), specifically from the 4th to 12th year (2007-2015) of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 panel. The analysis method used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 Wher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rete, such as in the case of employment status, regular employment, and employment in large corporations,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In the case of occupational status, a continuous variable, the ordinary least square (OLS) method was used. First, all graduates of 4-year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n the data was divided into samples according to university location (within Seoul, or not in Seoul) and analyzed again: since university location and home region overlaps, and educational experience differs depending on university location, the data needed to be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graduated institution was in Seoul so that it could be determined if students’ home region influences post-graduation employment where university status remains the sam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amily background, educational experience, and employment preparations of university graduates varies with their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In general, the relatively superior family environment and local resources of university graduates from Seoul allowed them more opportunities to prepare for employment. They made strategic use of their individual resources in the job search process and ended up in more stable, higher paid jobs with better working conditions than graduates from outside the capital. Graduates who grew up outside of Seoul and did not attend a university in Seoul tended to have the poorest backgrounds. When those who grew up in Seoul attended universities outside the capital, they generally used their socioeconomic resources more efficiently in their employment preparations and searches than their peers from other regions who did not go to a Seoul-based university.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home region on employment outcomes showed that this variable influenced employment status and acquisition of regular employment, but did not influence employment in large corporations or the graduates’ positions in their first job. Home region was found to have influenced employment outcome for graduates of universities bas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apital. Its effects on both employment and full-time, regular employment did not disappear even when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rank, job preparation, and regional society were controlled for.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y home region influenced graduates’ transition into the labor market. Analysis of both graduates nationwide and graduates from only Seoul-based institutions indicated that home region directly influenced employment outcomes, rather than through mediating variables. This means that were there two university graduates with the same background and accomplishments, who differed only in terms of whether or not they grew up in Seoul putting exactly the same amount of effort into getting a job, the graduate from Seoul would have a better chance of success. It would also be more likely for them to find a stable and secure position. Moreover, these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among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Seoul. On the other hand, analysis of the sample containing graduates of universities based outside Seoul showed that job preparation activit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home region: graduates who had attended universities outside Seoul but grew up in the capital were more likely to have taken extra measures, such as preparing for job interviews while still a student, attending job fairs, or taking vocational training, and this can be said to have raised their chances of finding employment of low, or high, quality. Other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d to transition into the labor market included being male, university rank, job search experience and overseas training. Being male, having parents' with a high level educational, a good SAT score, and overseas training al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finding a job at a large company. Job position, which indexes with one’s authority at work, was only influenced by SAT scores. The analysis of the sample made up of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Seoul only, the higher their parents' income level, the more likely the graduates were to be employed at a large company. Graduates with the highest levels of familism, or who used official networks in the employment search process,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finding a job at a large company. On the other hand, those who studied for qualifications while still a student, or had a lot of experience preparing for employment actually tended to find themselves in lower positions in their first jobs. In the sample of graduates from universities outside Seoul, the higher their parents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ir achievement level, and the more overseas training they had, the more likely the graduates were to secure employment at a large corporation. If public employment networks were used in the job-hunting process,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finding a job at a large company.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like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Seoul, graduates of institutions based outside Seoul must prove their productivity by accumulating human capital if they are to find employment at large corporations. The paper goes on to discuss the disparities involved in the acquisition of first post-graduation jobs. After graduation, job opportunities were distributed differentially depending primarily on the graduate’s home region. And the fact that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impact on success in the labor market implies that labor market performance is linked to social-structural problems in our society; since the position a graduate manages to secure in their first job influences the positions they can acquire later, the discrepancy in early jobs according to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is likely to henceforth function as a mechanism driving the expansion of inequality between social classes. Other mechanisms functioning to increase inequality were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in higher education it is difficult for women to acquire the same human capital as men, and even if they do, they face other forms of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In additi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parents influences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through various channels. I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from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social class, gender, and region are not only structurally manifested in university graduates' first post-graduation jobs – the individual factors work together to produce inequality in later social mobility. 국문초록 이 논문은 대학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초기 직업지위 획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격차와 그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논문은 불균등한 지역 발전으로 우리 사회의 자원이 서울에 편중되어 있으며 대학의 사회적 위상 역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위계화 되어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출신 지역이라는 개인의 귀속적 배경이 대학의 소재지(대학의 서열)와 더불어 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이 개인의 귀속적 배경의 영향을 완화해 주는지 혹은 귀속적 배경과 연계하여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의 중학생 패널 4차년도(2007)∼12차년도(2015)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취업 불가능자 및 노동시장 이행 경로에 차이가 있는 무급종사자와 자영업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년제 대학 졸업자 중 임금근로자 66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종속변수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였다. 종속변수가 취업, 정규직 취업, 대기업 취업 여부 등 이산형 변수일 경우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모형을 적용하였고, 종속변수가 연속형 변수일 경우에는 일반최소자승법을 활용한 회귀분석(OLS, ordinary least square)을 실시하였다. 출신 지역과 대학 소재지에 따라 대졸자 개인의 배경과 취업 준비를 위한 교육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서울 지역 출신 대졸자는 비서울 지역 출신 대졸자보다 비교적 우수한 가정 배경과 지역의 자원을 바탕으로 대학 재학 중 다양한 취업 준비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개인이 보유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취업하였다. 그러나 학업성취 수준은 동일 소재 대학 내에서 비서울 출신이 약간 더 높았다. 서울 출신은 비서울 출신보다 취업 결과가 좋았으며, 서울 출신이면서 서울 소재 대학을 다닐 경우 가장 성과가 좋았다. 다음으로 대졸자의 첫 일자리에 출신 지역의 영향이 존재하는지 분석한 결과, 출신 지역의 효과는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석에서만 나타났다.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 집단과 서울이외 소재 대졸자 집단으로 대학 소재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출신 지역은 취업과 정규직 취업 가능성을 높였다. 그런데, 출신 지역 변인은 졸업한 대학의 소재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취업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서울 소재 대졸자 분석 결과에서 출신 지역은 다른 요인을 매개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취업 결과에 영향을 주었으나 서울이외 4년제 대학 졸업자 분석에서는 출신 지역 변인이 취업 준비 활동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었다. 출신 지역 변인 이외에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인은 성별, 대학의 서열, 취업 준비 활동 경험, 해외연수 경험, 구직 경로 등으로 나타났다. 남성일수록, 구직 준비 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해외연수 경험이 있을수록 취업 및 정규직으로 취업할 가능성이 높았다. 대학의 소재에 따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서울 소재 대졸자의 경우 남성, 해외 연수 경험, 서울 소재 대학 내 하위서열 대학이 취업 및 정규직 취업 가능성을 높였다. 서울이외 소재 대학 졸업자들은 남성, 구직 준비 활동 경험 정도, 해외연수 경험이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대기업 취업에는 출신 지역은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남성, 부모 학력, 수능성적, 해외연수 경험, 가족주의 가치 변인이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다만, 사적 연결망을 활용한 구직경로는 부적 효과가 있었다. 대학의 소재별 분석에서는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들의 경우 부모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구직 준비 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가족주의 가치를 지닌 대졸자일수록 대기업으로 취업할 가능성이 높았다. 서울이외 소재 대학 졸업자 분석에서는 남성일수록,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성취수준이 높을수록, 해외 연수를 다녀오거나 구직 과정에서 사적연결망을 활용하지 않을 경우 대기업으로 취업할 확률이 높았다. 서울이외 소재 대학 졸업자가 대기업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서울 소재 대졸자보다 취업을 위해 더 많이 노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정배경과 개인의 성취수준까지 모두 높아야만 안정되고 좋은 일자리로 취업이 가능하였다. 다음으로 직업지위는 수능성적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능성적 등급이 높을수록 첫 일자리의 직업지위도 높아졌다. 이는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 차이의 상당 부분이 대학 입학 이전의 성취능력이라 할 수 있는 수능성적 차이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만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수능성적 이외에도 자격증과 구직준비 활동이 직업지위에 영향을 주었는데, 그 효과는 부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 획득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수준의 불평등 기제를 발견하였다. 먼저, 졸업 후 일자리의 기회는 출신 지역이라는 귀속적 요인에 따라 차등적으로 배분되고 있었다. 더욱이 출신 지역의 영향은 서울 소재 대학과 결합될 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대학의 소재는 채용 과정에서 선별의 준거로 작동하고 있었는데, 서울 소재 대학은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인적자본을 상징하고 있었다. 그 결과 동일한 대졸 학력을 획득하더라도 서울이외 소재 대졸자가 서울 소재 대졸자와 같이 안정되고 좋은 일자리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적자본을 쌓아 고용주에게 자신의 생산성을 증명해야만 가능하였다. 출신 지역의 영향이 대학 소재와 연계되어 초기의 직업지위획득 과정에 영향을 주면서 취업 준비 경험, 교육 및 훈련의 효과, 노동시장의 성과가 모두 출신 지역과 대학소재에 따라 계층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지방 출신으로 지방 대학을 졸업한 자들은 노동시장 이행에서 가장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초기 직업지위획득 과정에서 취업의 기회가 사회구조적 요인에 따라 차별적으로 주어진다는 점은 계층 불평등의 재생산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출신 지역이라는 귀속적 배경이 대학 간 서열을 매개로 노동시장에서 불평등을 양산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성별과 가정배경은 또 다른 불평등 기제였다. 고등교육 단계에서 여성은 남성과 동일한 인적자본을 획득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획득했다고 하더라도 노동시장에서 또 다른 차별을 받고 있었다. 출신 지역과 대학 소재에 따라 노동시장에서의 성과가 계층화되어 나타나는 가운데, 지방 출신으로 지방 대학을 졸업한 여성은 노동시장에서 불평등을 겪을 가능성이 가장 컸다. 그리고 부모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은 취업 여부 보다는 질적으로 우수한 일자리로의 취업을 통해 자녀에게 재생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 획득에서 나타나는 격차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하여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노동시장에서의 격차가 사회구조적인 요인에 의한 차이에서 비롯된다면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이러한 격차를 극복하기란 어렵다. 특히, 초기의 직업지위는 이후의 지위획득과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첫 일자리에서 발생하는 격차 문제는 이후 사회 이동에서의 사회계층 간 불평등 문제로 연계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대학 교육은 출신 지역이라는 귀속적 배경의 영향을 완화시키기보다, 노동시장에서 발생하는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대학 내 서열을 통해 재생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전자재료용 가교형 폴리우레탄이미드의 합성 및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박미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urethane-imide)s were prepared by reaction between crosslinkable endgroup containing soluble polyimide (PI) by chemical imidization and acrylate end-capped polyurethane (PU). Poly(amic acid) was prepared from 2,2''-bis(3,4-dicarboxyphenyl) 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6FDA) and 4,4''-oxydianiline (ODA) and then end-capped with maleic anhydride (MA). The PU prepolymers were prepared by the reaction of polycaprolactone diol, tolylene 2,4-diisocyanate and end-capped with hydroxyl ethyl acrylate. The effect of PU content on the residual stress behavior, dielectric constant, thermal property,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studied. The poly(urethane-imide)s were characterized by FT-IR, prism coupler, Thin Film Stress Analyzer(TFSA), XRD, TGA, DMTA and Nano-indentation. Dielectric constant of poly(urethane-imide)s (2.39~2.45) was lower than that of pure polyimide (2.46). Especially, poly(urethane-imide) with 50% of PU showed low dielectric constant than other poly(urethane-imide)s. Low residual stress and slope in cooling curve were achieved by higher PU content. Compared to typical polyurethane, these polymers exhibited better thermal stabilities due to the presence of the imide groups. The modulus and hardness by Nano-indenta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flexible PU. Finally the residual stress of poly(urethane-imide)s were strongly affected by the morphological structure, chain mobility and modulus. The best candidate for the intended application was PIPU=5050.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미세 전자 소자용 절연필름으로서 사용이 기대되는 폴리우레탄이미드를 용해성 폴리이미드와 폴리우레탄의 가교에 의해 합성하였다.기존의 폴리우레탄이미드와는 달리 가교가 가능한 말단기로서 Maleic Anhydride (MA)를 사용하여 용해성 폴리이미드(6FDA-ODAMA)를 화학적 이미드화법을 사용하여 합성하고 일반적인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폴리우레탄 전구체(polyurethane prepolymer)를 Hydroxy Ethyl Acrylate로 반응시켜 만들어진 폴리우레탄을 가교시킴으로써 네트워크 구조의 새로운 폴리우레탄이미드 필름을 제조한 후 유전특성, 잔류응력, 모폴로지, 열적·기계적 특성 변화를 각각 prism coupler, Thin Film Stress Analyzer, WAXD, TGA, DMTA, Nano-indentation을 이용해 분석하였다.폴리우레탄이미드 박막은 폴리이미드보다도 낮은 유전 상수를 보였으며,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50%인 경우 2.39로서 가장 낮은 유전특성을 나타냈다. 종래의 다른 폴리우레탄이미드 합성법과는 차별화된 각각의 폴리머의 가교형 말단끼리의 결합을 유도하는 제조법을 이용하여 합성함으로써 상온에서 잔류응력 값이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각각 48MPa(PU, 0%), 50MPa(PU, 10%), 41MPa(PU, 30%), 5MPa(PU, 5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응력 실험 결과는 고분자 주쇄 구조의 모폴로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열적안정성 또한 기존 폴리우레탄(240℃)에 비해 많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잔류응력 측정 온도 범위 하에서 열팽창계수는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폴리우레탄이미드의 잔류응력은 열팽창계수보다는 modulus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Nano-indentation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신장률이 증가하고 경도가 감소하는 특성을 통해 폴리우레탄이미드가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감염관리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경로분석

        박미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a path model that anticipates the turnover intens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by anticipating factors that explain turnover intension, and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In order to do the study, the influential factors are divided into two variables: the exogenous variables including empowerment, hardiness, job stress, and endogenous variables: job satisfaction, burnout, turnover intension.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tical model, data was collected from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200beds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mail survey for full-time or part-time infection control nurses. The main research was done from September 13 to October 12 , 2010. 205 subjects consented to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AMOS 18.0,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test of fit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empowerment was 3.81±0.55 in full points 5, hardiness was 2.73±0.37 in full points 4, job stress was 2.62±0.56 in full points 5, job satisfaction was 3.03±0.47 in full points 5, burn out was 2.74±0.59 in full points 5, turnover intention was 3.38±0.94 in full points 5. 2.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was r=.535(p<.01), that of hardiness was r=.300(p<.01), that of job stress was r=-.423(p<.01). Job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owerment, hardines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3.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empowerment on burn out was r=-.435(p<.01), that of hardiness was r=-.384(p<.01), that of job stress was r=.488(p<.01), that of Job satisfaction was r=-.584(p<.01). This showed that all the variabl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except for job stress. 4.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empowerment on turnover intention was r=-.237(p<.01), that of hardiness was r=-.328(p<.01), that of job stress was r=.361(p<.01), that of job satisfaction was r=-.533p<.01), that of burn out was r=.686(p<.01). This showed that all the variabl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except for job stress and burn out. 5. The path model was verified to fit for measured data as the result showed : χ2(df)=1.313(1), p=.252, GFI=.998, AGFI=.955, NFI=.997, CFI=.999, RMSEA=.039, PNFI=.726, and the model is suitable. 6. The variables directly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empowerment(γ=-.185, p<.01), job satisfaction(β=-.271, p<.01) and burn out(β=.584, p<.01). These variables explained 51.9% of turnover intention. 7. The variables directly affecting burn out were hardiness(γ=-.186, p<.01), job stress(γ=.239, p<.01) and job satisfaction(β=-.388, p<.01). These variables explained 44.6% of burn out. 8. The variables directly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empowerment(γ=.412, p<.01), hardiness(γ=.156, p<.01) and job stress(γ=-.186, p<.01). These variables explained 34.6% of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is verified that empowerment, hardines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burnout are the important factors for turnover intens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It is desirable that specific intervention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 성인여성의 비만관리 실태 및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

        박미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비만관리 실태 및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도시 성인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47문항의 설문지를 배부해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424부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비만관리 실태에 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만관리 여부와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를 수행하였다.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비만관리 실태와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의 참여여부 및 참여빈도로 분석하였으며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참여자들은 운동이나 다이어트, 약물복용, 사우나 그리고 단식 등으로 비만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을 통한 비만관리 방법 중에 가장 선호하는 것은 조깅이나 에어로빅, 요가, 수영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은 댄스 프로그램을 통해 심리적, 신체적, 육체적 그리고 삶의 질 면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만관리 경험자들은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 참여는 성인여성에게 비만관리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전한 다이어트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에는 유아, 청소년층과 노인층 등 좀 더 다양한 연령대에서 폭 넓은 비교를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되어지며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이 비만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여가의 한 방법으로 정착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입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 total of 424 female adult women were surveyed in order to elucidate the status quo of obesity control along with the extent of satis faction the diet dance program participation. The degrees of program satisfaction were analysed as a function of obesity control, diet dance program participation and its frequency, etc. The analyses of data revealed that ; 1) a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a variety of obesity control including exercise, diet, drugs, sauna, and fasting ; 2) among obesity control methods, most preferred were shown to be exercise inclusive of jogging, aerobics, yoga, swimming, etc. ; 3) diet dance participants were evidenced to show higher satisfaction on dance program in terms of psychological , physical, and life aspects. 4) obesity control experiencers had more positive benefits from diet dance program participation ;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view of the possible uses of data on the promotion of diet dance program as well as on the possibl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on the effects of diet dance programs.

      • 유아 다문화교육을 위한 누리과정 교재 개선방안 연구

        박미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20년 간 우리는 급격한 외국인의 유입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문화관련 교육은 교육계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우리의 다문화교육은 많이 발전 하고 있으나 아직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가 유아 교육 교재의 문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며 다문화 유아를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적 접근과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에 나타난 다문화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교재차원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문화의 이해 수용, 관계 형성, 정체성 형성, 공평성, 다양성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이러한 내용이 제대로 교육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육 지침서의 내용이 충분한 지를 연구하였으며, 교사들이 현실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해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시흥시 지역의 유아교사로서 6년 이상의 교사 경력과 다문화 유아 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8명을 대상으로 표적 집단면접조사(FGI)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개별적 접촉과 E-mail을 통한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재는 대부분 문화의 이해 수용을 중심으로 교육되고 있었는데, 공평성은 언급되지 않으며, 실질적인 한국의 다문화사회 관련과 관계 형성 관련 내용은 거의 없고, 정체성 교육과 다양성 교육의 내용도 한국의 다문화사회와는 거리가 멀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현행 교육이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이러한 의견은 주로 문화의 이해와 수용을 통해 다양한 다문화 인식이 유아에게 자연스럽게 형성된다는 시각이었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이러한 인식의 이행 과정이 유아에게 나타날 수 없다고 보았다. 교사 지침서의 경우에도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에 집중되어 있을 뿐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교육 내용을 실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다문화관련 중재는 철저히 개인의 경험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경험의 공유가 절실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두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한다. 한 가지는 세계화 관련 교육이고, 다른 한 가지는 한국의 다문화사회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다 포괄적인 범주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행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은 세계화 교육에 치중되어 있고, 한국의 다문화사회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포괄적인 차별의 금지 차원에서 접근하여 구체적 사례의 하나로서 다문화에 대한 차별을 교육해야 할 것이다. 차별교육은 공평성뿐만이 아니라 관계 형성 영역에서도 구체적으로 다루어짐으로서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차별금지 및 반편견이 자연스럽게 다문화 아이들과의 생활방식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의 현장수업에서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문제 해결 관련 사례집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일반 유아로서의 문제점과 다문화가정 자녀로서의 문제점으로 구분되어 접근된다면, 효과적인 결과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다문화교육은 지속적으로 문제점이 파악되고 개선될 필요가 있다. 한국은 향후 탈북자 가정의 자녀, 나아가서 통일과 관련된 유아 교육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아 교육의 문제점에 봉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이 처한 다문화사회의 문제 해결만을 위한 접근방법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