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

        목정수(Mok, Jung-soo)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본고는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의 융합과 통합의 길을 찾아 나선다. 융합이 영역간의 혁명적인 하이브리드에 앞서 한 영역 안에서도 모순성과 비정합성을 극복하게 해 주는 인식과 발상의 전환으로 충분히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사 ‘가’/‘를’과 더불어 어미 ‘-(는)다’의 문법적 지위 규정과 관련된 문제를 따져봄으로써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 논항구조에 바탕을 둔 문장 구조 분석도 중요하지만, 어미와 조사를 중심으로 한 인칭구조에 토대를 둔 문장 구조분석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작례가 아닌 실제 문장의 분석 사례를 제시한다. 조사 ‘가’와 ‘를’은 격조사가 아닌 후치 한정사로, 어미 ‘-(는)다’는 인용ㆍ접속법의 서법 어미로 규정한다. 또한 그로 인해 얻어지는 여러 가지 함의를 제시한다. In this paper we attempt to practice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fusion” in Korean syntax and look for a way of building a nitty-gritty Korean grammar on the basis of the new order of particles and endings, in which particles and endings are all dealt with as syntactic units. In order to attain these goals, we justified the reason why the particles ‘가ga’ and ‘를reul’ should be defined as a class of determiners like ‘도do’ and ‘는neun’ in particle system. And we took the concept of “subject” into reconsideration and presented two types of transitive constructions, those with ‘ga-type object’ and those with ‘reul-type object’. So the so-called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such as ‘코끼리는 코가 길다.’ and ‘나는 호랑이가 무섭다.’ were analyzed as transitive constructions in parallel with the typical transitive constructions like ‘코끼리는 과자를 코로 받아먹는다.’ and ‘나는 호랑이를 무서워한다.’. That is to say, “split-O system” is newly proposed in the academic world of linguistic typology; [코끼리는subj [코가obj 길다pred]], [나는 subj [호랑이가obj 무섭다pred]] On the other hand, we reclassified a number of endings only on the basis of their distribution so that we established the mood system in Korean; endings of quasi-nominal mood {-음eum, -기gi; -은eun, -을eul; -아a, -게ge, -지ji, -고go}, those of subjunctive mood {-(는)다(neun)da, -(느)냐(neu)nya, -자ja, -(으)라(eu)ra, -(으)려(eu)ryeo} and those of indicative mood {-니ni, -어eo, -나na, -지ji, -게ge, etc.}. In particular, we described the usages of the ending of quotative-subjunctive mood ‘-(는)다(neun)da’, utilizing authentic oral and written corpora and showed how it is related to the category of 3rd person in comparison with the ending of indicative mood ‘-어eo’, the person information of which is connected with 1st person. This difference between ‘-(는)다(neun)da’ and ‘-어eo’ permits us to explain why the former is used in diary or narration styles while the latter is used in letter or dialogue styles. In sum, we did not mere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dings in parsing the Korean syntax with regard to person, but also carried out syntactic analyses of some constructions with the ending ‘-을게eulge’ in terms of person structure.

      • KCI등재
      • KCI등재

        수상한 수식 구조에 대하여

        목정수(Mok Jung-Soo) 중앙어문학회 2009 語文論集 Vol.40 No.-

        This paper focuses on adjectivo-adverbial modifications in Korean such as ‘gingeup 긴급 pagyeonhada파견하다 (dispatch urgently or make an urgent dispatch)’, and ‘eomjung 엄중 hangeuihada항의하다 (protest strictly or make a strict protes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atics related to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it is necessary to elucidate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X-hada’.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what is its correlation with the construction ‘X-leul hada’. We analyze the construction ‘X-hada’ as a syntactic combination of predicative noun X and support verb hada, which is lexicalized as a verbal unit. And the construction ‘X-leul hada’ is analyzed as a syntactic construction inserted by the delimiter/determiner ‘leul’. Consequently we argue that the so-called root or adnominal noun gingeup 긴급, eomjung 엄중 should be redefined as adjectives, at least ‘adjectival nouns’ so as to account for the ambiguity of both adjective-noun modification ‘eomjung 엄중 hangeui항의’ and adverb-verb modification ‘eomjung 엄중 hangeuihada항의하다’ through the universality of the conversion of adjectives into adverbs.

      • KCI등재

        유형론과 한국어 연구의 상관관계 -한국어 구문 유형론에서 경계해야 할 것들-

        목정수 ( Mok Jung-soo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한국어를 국어 자체로 연구하는 것보다 유형론적 관점에서 다른 많은 언어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연구하는 것이 갖는 장점은 많다. 무엇보다 한국어의 위상을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고, 한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언어들을 통해 나온 유형론적 작업 결과를 한국어에 무조건 적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유형론적 작업에 동원된 기준이 객관성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한국어에 적용할 때도 한국어의 기본 기술을 무시하고 왜곡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처럼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구문 연구를 할 때 우리가 경계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타동 구문의 틀 속에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소유동사 구문, 심리동사 구문, 피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그들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본 문형을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 논의한다. 소유 구문, 심리 구문, 가능 피동 구문의 기본 구조를 [NP1-에게 NP2-가 V]가 아니라 [NP1-은 NP2-가 V-어미]로, 양보하여 [NP1-이 NP2-가 V-어미]로 설정하면, 이 [NP1-은 NP2-가 V-어미] 구문은 [NP1-은 NP2-를 V-어미] 구문과 짝이 되어 한국어 타동 구문의 연속체를 이룬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를 세계 언어유형론 학계에 환류시켜 정렬 유형론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비인칭 구문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를 참조하고 한국어의 현상을 있는 그대로 잘 관찰하면, 한국어에도 이른바 비인칭 구문 ‘비(가) 오다’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It is better and more advantageous to study Korean by comparing it with many other languages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rather than to study Korean for and by itself. Typological studies can help us gauge the objective status of Korean among the languages of the world and simultaneously to recognize the generality/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peculiarity of Korean. But we should not take a leap of faith in typological researches and always caution ourselves against the distortions of Korean through the blind application of results of typological studies to Korean. Keeping these in mind, we try to make some remarks for the precise and consistent study of Korean constructions, focused on possessive verb constructions, psych verb constructions, potential passive constructions, and impersonal constructions. In conclusion, the basic sentence pattern of those constructions would rather be [NP1-은 NP2-가 V-어미] or [NP1-이 NP2-가 V-어미] than [NP1-에게 NP2-가 V]. Possessive verbs and psych verbs and potential passive verbs in Korean have many things in common. First, they are all two-place predicates. Second, they require NP1 as a subject and NP2 as an object whose semantic roles are possessor/experiencer and theme, respectively. If these new discoveries were turned out to be true and were reported to alignment typology, we could establish a new alignment typology where Korean is described as a ‘split-O pattern’ language. Last but not least, we can say that there are impersonal constructions in Korean by referring to the typological studies on the impersonal constructions in indo-european languages. For example, ‘비(가) 오다(rain)’ is a vP, or a support/ light verb construction in which the constituent ‘비(가)’ is not a true subject, but a complement as a predicative noun.

      • KCI등재

        문두여격어 구문의 정체

        목정수(Mok Jung soo)(睦正洙),이상희(Lee Sang hee)(李相喜) 형태론 2016 형태론 Vol.18 No.2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문두에 나타나는 여격어 ‘NP-에게’의 주어성을 다시 검토하고 문두여격어 구문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의의 문제의식은 ‘한국어의 소위 ‘여격주어’라고 하는 것이 과연 다른 언어들에서 나타나는 여격주어/비주격주어 현상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인가?’ 하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문두여격어 구문의 분석에서 두 번째 명사구의 통사적 지위, 이중주어 구문과의 구조적 차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문두여격어의 주어성 검증 과정에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필자는 문두여격어가 주어가 아니라는 관점을 취할 때 많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문두여격어 구문은 이중주어 구문과 별개의 구문이며, 그에 따라 두 구문의 통사적·의미적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subjecthood of the fronted dative constituent NP-ege and to analyze syntactically the construction. We raised a question of whether Dative Subject of Korean is identical to non-nominative subject of other languages. We need to answer what the second NP of this construction is, and how different this construction is from so-called double-subject constructions. Also, some issues remain unsolved in the earlier subjecthood tests. We think the key to solve the problems is to clarify the syntactic status of the fronted dative NP-ege . So I reexamined the subjecthood tests to prove that NP-ege is not a subject, but a locative. Finally, we claim that the fronted dative construction is one thing, and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s is another. The difference of argument structure in these two constructions brings about syntactic/semantic differ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