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두여격어 구문의 정체

        목정수(Mok Jung soo)(睦正洙),이상희(Lee Sang hee)(李相喜) 형태론 2016 형태론 Vol.18 No.2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문두에 나타나는 여격어 ‘NP-에게’의 주어성을 다시 검토하고 문두여격어 구문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의의 문제의식은 ‘한국어의 소위 ‘여격주어’라고 하는 것이 과연 다른 언어들에서 나타나는 여격주어/비주격주어 현상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인가?’ 하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문두여격어 구문의 분석에서 두 번째 명사구의 통사적 지위, 이중주어 구문과의 구조적 차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문두여격어의 주어성 검증 과정에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필자는 문두여격어가 주어가 아니라는 관점을 취할 때 많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문두여격어 구문은 이중주어 구문과 별개의 구문이며, 그에 따라 두 구문의 통사적·의미적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subjecthood of the fronted dative constituent NP-ege and to analyze syntactically the construction. We raised a question of whether Dative Subject of Korean is identical to non-nominative subject of other languages. We need to answer what the second NP of this construction is, and how different this construction is from so-called double-subject constructions. Also, some issues remain unsolved in the earlier subjecthood tests. We think the key to solve the problems is to clarify the syntactic status of the fronted dative NP-ege . So I reexamined the subjecthood tests to prove that NP-ege is not a subject, but a locative. Finally, we claim that the fronted dative construction is one thing, and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s is another. The difference of argument structure in these two constructions brings about syntactic/semantic dif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에 대하여

        목정수 ( Jung Soo Mok ) 한국어교육학회 2007 국어교육 Vol.0 No.123

        This paper puts a question to the particle ``eui`` as a genitive case marker.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particle ``eui`` can be defined as a ``possessive determiner(=소유/연결 한정조사 in Korean)``.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istr 이 논문은 국어문법에서 성격 규정이 불분명한 조사 {의}에 대해 속격조사보다는 한정조사로 재정의해 보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의}를 한정조사라는 범주로 묶어야 하는 논거들을 분포 점검, 외국어와의 비교 등을 통해 마련하였고, {의}의 용법 기술을 소위 명사 병치 구성에서의 {의}의 필수성 여부, 그 의미 변동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베풀었다. 결과적으로 {의}는 ``소유/연결 한정조사``로 특징짓는 것이 국어문법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최선의 해결책

      • KCI우수등재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

        목정수(Mok, Jung-soo)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본고는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의 융합과 통합의 길을 찾아 나선다. 융합이 영역간의 혁명적인 하이브리드에 앞서 한 영역 안에서도 모순성과 비정합성을 극복하게 해 주는 인식과 발상의 전환으로 충분히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사 ‘가’/‘를’과 더불어 어미 ‘-(는)다’의 문법적 지위 규정과 관련된 문제를 따져봄으로써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 논항구조에 바탕을 둔 문장 구조 분석도 중요하지만, 어미와 조사를 중심으로 한 인칭구조에 토대를 둔 문장 구조분석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작례가 아닌 실제 문장의 분석 사례를 제시한다. 조사 ‘가’와 ‘를’은 격조사가 아닌 후치 한정사로, 어미 ‘-(는)다’는 인용ㆍ접속법의 서법 어미로 규정한다. 또한 그로 인해 얻어지는 여러 가지 함의를 제시한다. In this paper we attempt to practice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fusion” in Korean syntax and look for a way of building a nitty-gritty Korean grammar on the basis of the new order of particles and endings, in which particles and endings are all dealt with as syntactic units. In order to attain these goals, we justified the reason why the particles ‘가ga’ and ‘를reul’ should be defined as a class of determiners like ‘도do’ and ‘는neun’ in particle system. And we took the concept of “subject” into reconsideration and presented two types of transitive constructions, those with ‘ga-type object’ and those with ‘reul-type object’. So the so-called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such as ‘코끼리는 코가 길다.’ and ‘나는 호랑이가 무섭다.’ were analyzed as transitive constructions in parallel with the typical transitive constructions like ‘코끼리는 과자를 코로 받아먹는다.’ and ‘나는 호랑이를 무서워한다.’. That is to say, “split-O system” is newly proposed in the academic world of linguistic typology; [코끼리는subj [코가obj 길다pred]], [나는 subj [호랑이가obj 무섭다pred]] On the other hand, we reclassified a number of endings only on the basis of their distribution so that we established the mood system in Korean; endings of quasi-nominal mood {-음eum, -기gi; -은eun, -을eul; -아a, -게ge, -지ji, -고go}, those of subjunctive mood {-(는)다(neun)da, -(느)냐(neu)nya, -자ja, -(으)라(eu)ra, -(으)려(eu)ryeo} and those of indicative mood {-니ni, -어eo, -나na, -지ji, -게ge, etc.}. In particular, we described the usages of the ending of quotative-subjunctive mood ‘-(는)다(neun)da’, utilizing authentic oral and written corpora and showed how it is related to the category of 3rd person in comparison with the ending of indicative mood ‘-어eo’, the person information of which is connected with 1st person. This difference between ‘-(는)다(neun)da’ and ‘-어eo’ permits us to explain why the former is used in diary or narration styles while the latter is used in letter or dialogue styles. In sum, we did not mere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dings in parsing the Korean syntax with regard to person, but also carried out syntactic analyses of some constructions with the ending ‘-을게eulge’ in terms of person structure.

      • KCI등재

        선어말어미 ‘-시-’의 기능과 주어 존대

        목정수 ( Mok Jung-soo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7 No.-

        이 논문은 최근 남ㆍ오용된다고 비판의 대상이 된 선어말어미 ‘-시-’의 용법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주어 존대요소’로서의 ‘-시-’의 기능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할아버지께서는 지금 주무시고 계신 것 같으세요’처럼 잘못 쓰인 경우도 있지만, ‘선생님, 시간 있으세요?’나 ‘손님, 김밥 나오셨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등처럼 대부분의 경우는 단순한 잘못이 아니라 존대 대상의 주어 지시요소로서의 ‘-시-’의 기능을 적절히 이용한 문법적인 구성임을 밝히고 그 원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의 기능을 청자 존대소나 상황주체 존대소로 기능이 변하거나 새롭게 문법화된 것으로 보는 논의를 비판하고, ‘-시-’는 여전히 ‘주어 존대소’로서 기능을 유지하고 있고, 그 기능은 변함없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러한 일관된 문장 구성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고는 기존의 조사 ‘이/가’에 대한 시각, 즉 ‘이/가’를 주격조사, 즉 주어 표지로 보는 시각을 근본적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고, ‘-시-’와 일치소로 나타날 수 있는 자리가, ‘이/가’로 실현되든 ‘은/는’으로 실현되든 심지어 ‘을/를’로 실현되는 상관없이, 주어 자리임을 입증하여, ‘-시-’의 기능은 고대국어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prefinal ending '-si-' have been traditionally defined as a subject honorific marker. But in this case, the concept 'subject(=주체)'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grammatical concept 'subject(=주어)'. Korean grammar generally describes that '-si' doesn't accord only with the subject(=주어), but also with the subject(=주체). So '-si-' is split into '-si1-' and '-si2-'. Even certain Korean grammars describe '-si1-' as direct honorific and '-si2-' as indirect honorific. It is mainly because of the so-called nominative case marker 'i/ga' that Korean is characterized as having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But I argue that the first NP1 is a real subject of the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and the second NP2 is not a subject, so it should be described as a sort of complement in (1c), (1d), (1e), (1f), etc. In addition, it is recently reported that '-si-' is being abused/misused and that '-si-' is grammaticalized as a hearer honorific marker in (1i), (1n), (1o). (1) a. 얘들아, 할아버지 오셨다. 얼른 나와서 인사 드려라. b. 할아버지, 할머니도 안녕하시죠? c. 할아버지, 할아버지도 애인이 있으세요? d. 할아버지, 할아버지는 참 책도 많으세요. e. 할아버지, 왜 허리가 굽으셨어요? f. 할아버지, 할아버지도 마누라가 그리 무서우세요? g. 할아버지, 커피 그렇게 많이 드시면 잠이 잘 안 오십니다. 아셨죠? h. 할아버지, 보청기를 끼셔야 라디오가 잘 들리세요. i. 할아버지, 무슨 음악 좋아하세요? j. 할아버지, 건강한 한 해 되시길 바랄게요. k. 할아버지, 할아버지는 가격대비 요금제를 쓰시면 할인이 많이 되십니다. l. 할아버지, 지금 계신 곳이 어디세요? m. 할아버지, 자식들이 그리도 맘에 안 드세요? n. 할아버지, 이쪽으로 누우실게요. o. 할아버지, 할아버지는 돈이 남으세요. 저는 모자라는데요. But, in this paper I argue that '-si-' is always related to the real subject of the sentence, whether the subject is explicitly realized or not. So the hearer-related grammaticalized morpheme '-si-' in Lim(2011) is not necessary, and the concept 'situation subject' in Lee(2010) are not necessary to explain the usages of '-si-'. In fact, the hearer related to the morpheme '-si-' is simultaneously a real subject in the sentence. And this is just an expanded example of the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 KCI등재

        한국어 서술절 비판 -통사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목정수(Jung soo Mok) 현대문법학회 2014 현대문법연구 Vol.76 No.-

        This paper claims that particles and endings in Korean should be independent syntactic units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A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grammatical status of particles this paper shows that the concept of ‘nominative case’ and that of syntactic function ‘subject’ have been much entangled in Korean grammar. One of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conceptual entanglement is the so-called ‘predicate clause’.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origin of the misconception of ‘predicate clause’. This paper uses three diagnoses to verify the misconception of predicate clause. The first one is a diagnosis through ‘do-so test’. The second one is a diagnosis related to ‘equi-subject constraint’. The last one is a diagnosis on the basis of ‘valency’. These diagnose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o-called ‘micro subject’ kho-ka ‘nose-Nom’ and holangi-ka ‘tiger-Nom’ i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such as Khokkili-nun kho-ka kil-ta ‘Elephants have a long nose’ and Na-nun holangi-ka mwusep-ta ‘I’m afraid of tigers’ is no more subject, but a sort of object and that the real subject is the ‘macro subject’ Khokkili-nun ‘elephant-Top’ and Na-nun ‘I-Top’ in above-mentioned ex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