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왕실 삼성(三姓)의 연원

        기흥(Kim Ki-Heu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4

        신라의 김씨는 진흥왕대에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北齊書』에 보이는 신라왕 ‘김진흥’은 ‘왕인 진흥’으로 ‘김’은 ‘왕’의 의미이다. 김씨 왕실의 바로 앞에 있었던 다른 부계 혈통의 ‘예전 왕’들은 ‘옛 왕’ 즉 ‘석김(昔金)’에서 왕을 나타내는 ‘김’을 피하고 석(昔)만을 남겨 구분한 듯하다. 석씨에 앞서 집권하였던 왕실 계통은 시조 혁거세의 이름에 보이는 ‘광명’의 의미를 취하여 ‘박’이란 성씨로 구별하였다. 三姓은 석씨계 집단의 도태 후에 칭해진 것으로서 씨족이나 족단들이 준별되는 상태에서 賜姓하여 준 것이 아니었다. 기존 왕계에 따라 성씨를 나누고, 왕실과 친연관계가 있는 귀족들에 대하여는 부계 혈연관계에 따라 구분하여 가다가 결국 상대적 친소정도에 의해 성씨를 구별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들 지배층은 누대의 정치적 연합과 통혼관계를 통하여 복합적인 혈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중고기 성골왕실의 근친혼이 강화되며 권부의 핵심에서 도태되었던 박씨계에 대해 김씨계는 여전히 혈연적 유대감을 갖기도 하였다. 김씨 왕비가 대외적으로 박씨를 칭하기도 하고, 신라 말에는 김씨였을 가능성이 있는 신덕왕이 박씨를 칭하는 일도 나타났다. 신덕왕은 견훤이나 궁예 등이 신성한 자임을 선전하는 중에 신라 왕실의 권위를 다시 세우고자 퇴락한 김씨왕계 대신 신라 초기 왕계인 박씨의 원손임을 천명하는 복고적 행태를 보였다. 한편, 김씨의 경우 7세기에 이르러 김알지 이외에 중국의 신화적 제왕인 소호금천씨를 시조로 보는 인식이 나타났다. 국제화의 진전 속에 왕실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정체성의 확대 시도이며, 아울러 국가 중추세력으로 등장한 가야계 김씨까지를 포괄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조를 중국의 신화적 존재로 설정하게 되자 중국의 김씨 시조인 김일제도 먼 일족 정도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는 소호금천씨를 세조로 김일제를 원조라고 하고 그의 후손들이 요동에 피난한 양 말하였다. 그런데 김씨부인이 중국내에 본관을 둔 ‘경조(京兆) 김씨’ 임을 분명히 하고 중국내 연원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묘명의 성씨 관련 내용은 재당 신라계 귀화인들의 경계인적 사고방식에서 적극 윤색된 것으로 신라 김씨 왕실의 연원을 그대로 말한 것으로 볼 수 없다. Kim, one of the three House names(Kim, Seok, Park) that were used by members of the Shilla royal family, seems to have been used for the first time in 565, by King Jin’heung-wang in his diplomatic dealings with China. At the time, the full and formal name that was used to refer to the Shilla king in diplomatic occasions was ‘Kim Jinheung.’ From the fact that such title literally meant ‘King Jin-heung,’ we can see that the term ‘Kim’ actually had the meaning of ‘King.’ It seems that the houses which provided former kings(which would make them ‘former royal families’), yet now stripped of power and shut out by the Kim House members, were not allowed to use the name ‘Kim,’ as such last name would falsely indicate that they were the present house in power making kings. They may have only been allowed to use the name ‘Seok-Kim(昔金),’ which would have meant ’Past king’ with the prefix ‘Seok(昔),’ while ‘Kim’ alone would be the equivalent of ‘(Present) King.’ Meanwhile, the descendants of kings and Houses which predated the ‘Seok’ kings and its house were also present at the time, and have been part of the Shilla dynasty’s central nobility class for quite some time. They were not to be referred to as ‘Seok.’ So they distinguished themselves with the last name ‘Park,’ which reflected the meaning of the term ‘Gwang’myeong(“light”)’ that can be found inside the Founder Hyeok’-geo‘se’s name. (‘Hyeok’geo‘se’ is usually referred to as “Park Hyeok‘geo’se”). Then in the 7th century, a new perspective to view the name Kim started to emerge. Unlike the previous thinking which believed that Kim Al-ji, the origin of the last name Kim, was the beginning of the house, the new idea came to argue that the mythical emperor of China, ‘Soho Geumcheon,’ was the true beginning and origin of the Kim house family members. This seems to have been a result of the Shilla government’s overall efforts to lift the status of the king and also enhance its importance in the process, as it became necessary for the Shilla dynasty to boost its image and establish its prowess throughout the East Asian region. Once the founder of the House name Kim was established as an ancient and also mythical being from China’s past, another historical figure named Kim Il-je(金日?), the origin of the Chinese last name Kim and whose origin can also be traced to the Huns(‘匈奴’), came to be considered as a distant relative of the Shilla royal family as well, and even be recorded in Shilla epitaphs. This caused a debate concerning the matter of whether or not the Shilla royal Kim family was related to the Hun tribes, yet the possibility of the Shilla Kim house descending from the Huns is nearly nonexistent.

      • KCI등재

        제주유배문학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試論) -김진귀-김춘택-임징하를 중심으로-

        새미오 ( Kim Sae-mi-o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6 No.-

        본고는 제주유배문학의 연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의 관심사항은 제주유배라는 형벌아래 문학양상이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가를 고민한 것이다. 본 연구는 “만구와 김진귀-북헌 김춘택-서재 임징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북헌은 만구와의 아들이고, 서재는 만구와의 사위였다. 이들은 시기를 달리하면서 제주유배를 경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盤龍硯이라는 벼루로 그 마음을 전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제주유배문학을 연속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盤龍硯이 전해지는 과정에서 이들의 심적 공감대를 살폈고, 이어서 각 작가의 제주유배시문을 통해 유배문학의 연속성을 점검하였다. 이들의 문학적 연결성은 형식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고민해보았다. 김진귀 제주유배문학의 특징은 청음 김상헌의 『남사록』에 맞춰 화운한 작품이 많다는 점이다. 이는 청음이 유배인은 아니었지만 같은 노론계열의 인물이었고, 『남사록』이 당시로서는 제주도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었다. 김춘택의 경우는 아버지 김진귀의 유배공간과 제주지식인들을 계속적으로 만나면서, 유배지에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 나갔다. 김춘택의 제주유배문학은 김진귀 제주유배 때의 공간, 인물, 감정 등을 그대로 이어나갔다. 김춘택이 이럴 수 있었던 것은 김진귀의 제주유배 시기에 제주도에 왔던 경험 등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임징하는 앞선 두 인물에 비해 짧은 제주유배생활을 하였다. 임징하의 작품에서는 특히 김춘택의 제주유배시기 작품에 대해 화운한 점이 주목된다. 임징하는 김춘택에게서 반룡연을 전해 받은 만큼, 제주유배에서 김춘택의 흔적에 대해서 매우 관심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인물의 문학적 성격을 통해, 제한적이지만 제주유배문학이 내면의 감정으로 서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다룬 문학의 연속성의 문제는 학계에서 심도있게 연구가 진행된 분야가 아니다.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보다 정확한 문학좌표가 설정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A particular attention is made to the inquiry of how the lineage of literature descends under the hardship of exile to Jeju. For the inquiry, this study focuses upon the literature lineage that descends from Manguwa Kim Jin-Gwi to Seojae Im Zhing-Ha through Bukheon Kim Chun-Taek. Bukheon is the son of Manguwa and Seojae is the son-in-law of Manguwa. All of them were exiled to Jeju for different periods and they left their exiled experiences in writings using the identical stone ink of banyongyeon. Therefore, I consider their exiled experiences delivered through bangyongyeon are the places to understand well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This paper first looks into the mentally experienced aspect of the three authors through the process of bangyongyeon to be delivered to them; and further into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by examining the poetry and proses that express the experiences of exiles to Jeju made by each of the three authors. For the connectivity in their writings, a formal style in their writings is examined. Kim Jin-Gwi composed several verses that respond to the words of Namsarok by Cheongeum Kim Sang-Heon. Cheongeum was never exiled to Jeju but he was the person belonging to the political group of Noron like Kim Jin-Gwi. Also, Namsarok consisted of the most accurate information of Jeju at those times. Kim Chun-Taek extended his literary world by making continuous interactions with Jeju intellectuals in his exiled land of Jeju to which his father Kim Jin-Gwi was also sent as an exile.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made by Kim Chun-Taek succeeded his father Kim Jin-Gwi`s expressions for spaces, figures, and emotions. Kim Chun-Taek was able to do this because he visited Jeju during the time his father Manguwa Kim Jin-Gwi spent exile years in Jeju. Im Zhing-Ha spent relatively shorter periods of exiles compared to the previous two figures. Of particular, Im Zhing-Ha made extensive numbers of verses in response to the works of Kim Chun-Taek, these being done during Kim`s exile to Jeju. Im Zhing-Ha received bangyongyeon from Kim Chun-Taek so that he is considered to have a great interest in the traces of Bukheon Kim Chun-Taek during his exile to Jeju.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ry characters of the three authors enables us to confirm that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is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al emotions. The continuity in literature that this paper examines has not been well shed upon in this research field. Further studies upon this research topic is expected to pave well to establish the proper orientation for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 KCI등재

        식민지 본국의 지식 수용 양상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 2차 유학 이후의 김기림 비평을 대상으로

        강정구 ( Jeong Gu Kang ),종회 ( Jong Hoi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This paper researches the post-colonialnistic aspect of Kim, gi-rim`s criticism and essay that the colonized accept colonizer`s savoir from 1936 to 1941. His criticism shows acceptance of colonizer`s savoir and cultural difference. This paper refers Homi Bhabha and John McLeod`s post-colonialnism. This paper analyzes that Kim, gi-rim is misty existence because he is or not in colonial ruler in the his criticism and essay. Korean traditional apple and bower is "in-between", because these is not for modern culture. Also his criticism is "in-between". On the contrary, his criticism serves as a momentum in that colonizer`s savoir is not absolut and powerful. And, I search the aspect of acceptance of colonizer`s savoir and cultural difference in Kim, gi-rim`s criticism from 1939 to 1941. Kim, gi-rim indicates historial and social difference whice endangers narcissistic demand. This analyzes Homi Bhabha"s concept such as micmicry. His ciritism is mimicry that shows acceptance and cultural difference on I. A. Richards"s poetics(savoir) Moreover his ciritism is rewriting that gives the meaning on Miki Giyosi"s discourse of east-asia(savoir), but informs cultural difference which is deny representation of the colonized by colonizer. Miki Giyosis`s discourse of east-asia is fantastic and powerful. Kim, gi-rim shows cultural difference that he accepts Miki Giyosis"s discourse of nation and culture, but cultural self-examination is important. 이 논문은 2차 유학 이후부터 1941년까지 발표된 김 기림의 비평과 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피식민자가 식민지 본국인 일본의 지식을 수용하는 양상을 살펴봤다. 일찍이 서구의 근대를 수용, 재창조한 일본의 지식이란 그것을 수용한 위치에 있는 한인에게는 진의 담론적인 위상을 지닌 것이었지만, 김 기림의 비평은 그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주로 민족주의적인 시각이 부지불식간에 전제된 감이 있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호미 바바와 존 맥클라우드의 탈식민주의론을 참조하여 지식의 수용과 문화적 차이화의 양상을 세밀히 분석했다. 첫째, 2차 유학 중의 비평과 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김 기림이 식민지 본국에서 있으면서도 없는 "사이에 낀 위치"에 있는 희미한 실존임을 검토했다. 2차 유학 중에 발표한 수필 「林檎의 輓歌」의 "능금"과 수필 「인제는 늙은 望洋 停-어린 꿈이 航海하던 저 水平線」의 "정자"는, 근대 문화가 식민지에 전파되는 것이 절대적, 권력적, 위계적이었고, 그로 인해서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사이에 낀 위치"에 있는 사물이었다. 김 기림의 비평 역시 본격적으로 수용한 식민지 본국의 지식에서 피식민자에 대한 논의가 부재했다는 점에서 "사이에 낀 위치"에 있었다. 이 때 평론 「科學과 批評과 詩-現代詩의 失望과 希望」과 「現代와 詩의 르넷상스」에서 확인되듯이, 그의 비평은 오히려 식민지 본국의 지식이 절대적, 권력적, 위계적이지 않음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2차 유학 직후부터 1941년까지의 비평을 대상으로 하여서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양상을 검토했다. 김 기림은 리처즈의 시학(지식)을 수용하되 그 지식의 권위가 지닌 “나르시즘적 요구를 위태롭게 하는” 역사적, 사회적 차이를 드러냈는데, 이러한 수용과 문화적 차이화는 흉내내기의 양상으로 잘 분석됐다. 김 기림의 평론 「科學으로서의 詩學」은 리처즈가 게쉬탈트 심리학을 활용하여 시학을 구성하는 과정을 잘 이해하고 그 논의(지식)를 수용하면서 피식민지의 “文明의 一定한 段階의 歷史的 特徵”이 "反映"돼야 한다는 역사적, 사회적 차이를 드러내는 흉내내기의 일종이었다. 또한 김 기림은 평론 「詩와 科學과 會話-새로운 詩學의 基礎가 될 言語觀」에서도 리처즈가 당대의 언어학에 영향 받아 구성한 시학을 잘 따르고 있음에도, 식민/피식민의 관계를 고려한 “一定한 歷史的 社會”를 중시해애 한다는 흉내내기의 전략을 보여줬다. 셋째, 김 기림의 비평은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론에 일정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면서도 식민자의 재현을 거부, 반발하는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다시 쓰기였다.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론은 당대의 일본 지식인들에게 매혹적이고 권위적인 것이었다. 김 기림은 평론 「朝鮮文學에의 反省-現代 朝鮮文學의 한 課題-」에서 서구 근대가 파산된 당대의 시점에서 배타적 민족주의를 넘어선 민족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미키 기요시의 민족 논의를 수용하면서도, 한 민족의 우월적인 "지도"보다는 “서로서로의 文化의 接 脈과 包容과 尊敬”이라는 호혜적 원칙이 중요하다는 방식의 다시 쓰기를 보여줬다. 그리고 김 기림은 평론 「「東洋」에 관한 斷章」에서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 문화 논의를 반복하면서도 동아시아 문화의 “가장 빛나는 얼굴”을 “고대와 중세에서 찾”아야 한다는 성찰적인 다시 쓰기를 시도했다. 김 기림이 발표한 2차 유학 이후의 비평과 수필은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발생시키는 탈식민주의적인 양상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인 의미가 있다. 김 기림의 문학은 식민지의 지식인 타자가 지식 담론 속에서 존재하는 문화적인 양상을 잘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그의 문학은 일본이 1940년대 중반을 향해 군국주의, 파시즘으로 치달을 때에는 현실적으로 유의미한 담론의 지점을 찾기 어려운 것이었으나,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부분적으로 위반, 거부, 해체해 나아가는 피식민자의 담론적인 위치를 설정하고자 노력한 결과물이었다는 점에서 1940년 전후의 비평사적인 의미가 있다. 해방 이후의 김 기림 비평 연구는 후속과제가 된다.

      • KCI등재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예리(Kim Ye-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1

        이 글은 김기림 시학에서 ‘시의 회화성’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이미지의 강조가 정태적인 이미지가 아닌 시대의 현실을 포착하고 이를 통해 문명 비판의 계기를 마련하는 단초였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개별적인 정서로서의 리듬이 아니라 상징적 주체의 눈을 통해 그려지는 대상-세계의 이미지로의 전환은 상상적인 시에서 구상적인 시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김기림은 보편적 언어로 구성되는 시만이 비판되고 감상될 수 있다고 여겼으며, 이러한 예술의 보편성 속에서 비로소 현실 비판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김기림이 현대시의 특질로 들고 있는 ‘시의 회화성’으로 구현되는 이미지가 문자 그대로 단순히 그림 같은 아름다운 이미지로 간주하거나, 활자의 배열이나 글자의 크기와 같은 인쇄 미학적인 시각으로만 ‘시의 회화성’의 문제에 접근해서는 안 되며, 시인주체의 현실의 인식문제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김기림에게 이미지란 시간성이 내포된 동력적이고 움직이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미래파적 감수성으로 설명되곤 했던 이러한 이미지는 오히려 에즈라파운드 등의 ‘소용돌이파’의 이미지와 유사하다. 에즈라 파운드는 미래파처럼 직선으로 뻗어나가는 시간 이미지 대신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이미지를 중첩함으로써 동적인 에너지가 풍부한 이미지를 생산하고자 했다. 김기림 역시 이미지의 역동성을 시어의 배열이나 결합이라는 언어구조 속에서 포착하려고 한다. 이러한 병치의 기법은 수사학에서 알레고리 기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병치로서의 알레고리 이미지는 ‘시공간의 동존성’이라는 말로 설명되는 초현실주의 기법이 생산하는 이미지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시공간의 동존성이나 비약과 같은 방식으로 현실 시간의 문법적 질서를 비웃는 초현실주의적 방법론은 현실이지만 근대적 이성의 문법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현실의 무의식을 이미지화할 수 있다고 김기림은 생각했다. 이렇게 평범한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세계를 이미지로 드러내는 것이 새로운 가치 창조자로서의 시인의 임무로 여겼다. 즉, 의식과 무의식, 주관과 객관, 과거와 현재와 미래, 현실과 꿈의 모든 경계를 와해하는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는 김기림에게 세계의 고정된 질서를 파괴하고 억압된 의식의 빈곤한 상상력을 자극시켜 세계의 역사적 흐름의 방향을 뒤흔들어 놓는 혁명적인 이미지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런 역사적 혁명성을 상실할 때, 초현실주의는 센티멘탈리즘과 구분되지 않는다. 즉, 김기림의 센티멘탈리즘의 비판은 단순히 애상적인 정조에 있지 않았다. 그의 센티멘탈리즘 비판의 핵심은 현재를 보지 못하는 과거 회귀적인 태도에 있었다. 현재 시간의 상실감을 퇴행적 시간으로 채우려는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노스탤지어야말로 김기림이 비판하는 핵심이었다. 현재의 상실의 체험을 서늘하게 인지하고 있는 멜랑콜리적 태도와는 구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김기림에게 미래라는 시간은 언제나 현재를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며, 현재를 무시한 미래 진보적 태도는 아니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김기림에게 미래로 진보한다는 것은 현재의 시대를 예각적인 각도를 통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태도에 의한 정확한 판단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When Kim Kirim emphasizes the workings of image or painterliness of poem in his poetics, his focus is not on the statics of images. This paper argues that Kim's concept of image provides him with the base for his own apprehension of the reality and critiques of civilization. His concept of image epitomizes the transition from the rhythm a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emotions to the image of objective world which is essentially visualized through the symbolic subject. This transit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transition from imaginary poem to figurative poem Kim thinks that the only poem that we can appreciate is the poem that is written in the universal language and the universality realized in this kind of poem opens the possibility to critique the reality. The image realized through the painterliness of poem, which Kim defines as characteristic of modem poem, cannot be regarded as the pictorial beautiful image. It also cannot be limited to typographic techniques, such as unusual arrays of types or irregular size of letters. It has to be considered with the issue of poet-subject's perception of reality. For Kim, image is the dynamic and moving image which implies temporality. This image, that has been explained in tandem with the futuristic sensitivity, is rather related to the concept of image in vorticism, whose primary figure was Ezra Pound. Instead of futurists' linear temporal images, Pound attempted to produce the image charged with the dynamic energy through reiteration of complex and multi-layered images. Kim also tries to grasp the dynamics of images in structure of language, which is expressed through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poetic words. This technique of arrangement is similar to allegory in rhetoric. This allegoric image as arrangement is related to surrealistic image characterized as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From Kim's point of view, the surrealist methods of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or jump of logic, with which one can ridicule the grammar of temporality in the reality, are strategies to imagine the unconscious of the reality that is blocked from the eyes of modem form of reason. It is poet's calling to reveal the world that is blocked from these ordinary eyes. The surrealist image, that blurs the borderlines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subject and object, past, present, and future, reality and dream, is the image of revolution. This revolution implies the turnabout of the world history through destructing the fixed order of the given world and giving an impetus to poor imagination of the repressed consciousness. If surrealism loses this revolutionary character, it will not be distinguished from sentimentalism When Kim critiques sentimentalism, his focus was on rather regressive attitude than elegiac tone of poem. In other words, Kim criticizes the attitude to fill in the sense of loss in the present with the regressive time. He defines this attitude as the passive and negative nostalgia. This needs to be discerned from the melancholic attitude with which one can face the reality of loss.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Kim's poetics, it is necessary to conceive the time of future can be perceived only through the present. His futuristic attitude always accompanies with the precise conception of the present. For Kim, the task to progress to the future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precise judgement of the present world with objective and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

        본풀이와 전설에 나타난 신들의 전쟁양상 - 김통정 사례를 중심으로 -

        채리(Kim Chae Lee) 한국무속학회 2021 한국무속학 Vol.- No.43

        본고는 ‘폭력의 신화학’라는 대전제에 의거하여 제주도 당신본풀이와 제주도 전설에 주목하여 이를 다루고자 한다. 특히 〈광정당신본풀이〉와 〈김통정 전설〉을 중심으로 하여 이 문제에 접근하겠다. 광정당신본풀이는 광정당의 삼형제 신이 적대적인 세력으로 간주되는 김통정을 퇴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특히 삼형제 신이 김통정을 살해하는 과정에서 바다의 사해용신과 연대를 하게 되는데, 그 대목이 굉장히 흥미롭게 전개된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제주도 전역에서 전승되는 김통정 전설과 그 서사적인 얼개와 짜임새가 일정부분 공유한다는 점이다. 김통정 전설은 역사적 전설임에도 불구하고 김통정을 〈아기장수 전설〉의 전형적인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또 제주도 토착인물인 아기업개에 의해서 항파두리의 전쟁에서 패배하는 영웅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러므로 서사적 동질성에 서로 견주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 그러한 점에서 김통정 전설 전승의 기본적 면모는 〈아기장수 전설〉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풀이와 전설의 전승 내용에 있어 주체가 다르고 김통정과의 대결을 확연히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고 이를 형상화하는데 중요한 특징이 있다. 이 지점에서 본풀이의 전승과 전설의 전승에 대한 법칙과 내용이 다른 점을 확인하게 된다. 그렇다면 동일한 서사의 내용을 이렇게 달리 전승하는 이유를 찾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이 신성한 이야기를 내용으로 하는 것과 영웅적인 이야기를 드러내는 전승기반과 인식의 형상화에 차이가 있음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본풀이는 외래신격 김통정을 적대자로 간주하고 이를 퇴치의 방식으로 재래 신격들이 서로 협조하여 외래의 신격을 물리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전설에서는 김통정의 아기장수 전설적인 능력을 인정하고 김통정과 김방경의 대결을 크게 부각시켰다. 특히 전설적인 영웅들의 전쟁에서 아기업개라고 하는 여성을 내세워 외적의 도움을 강조하는 점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한 점에서 신들의 전쟁을 벌이는 폭력화와 양상이 다른 점이 확인된다. 결국 본풀이는 신들의 전쟁이다. 그러므로 신은 불패(不敗)의 면모를 가진다. 광정당신이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근간은 이렇게 해서 마련된다. 이와 달리 전설에서는 영웅들의 전쟁이고 영웅의 죽음은 비극적 최후를 핵심으로 한다. 김방경과 김통정의 대결이 제주도에서 전개되는데 내부의 밀고자 구실을 하는 것이 아기업개이다. 이 여성의 존재에 의해서 판세가 뒤바뀐다. 이 때문에 일정하게 주인공이 비장(悲壯)한 영웅으로 전환하게 된다. 동시에 아기업개를 매개로 폭력이 정당한 것과 참혹한 것에 대한 차이를 보인다. 그렇다면 본풀이는 신화적 성격이라고 한다면, 전설은 역사적 성격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requisite of “The Theological Chemistry of Violence,” this paper intends to address this issue by paying attention to Jeju Island’s DangSinbonpuri and Jeju Island’s legend. In particular, we will approach this issue with the focus of “GwangjeongDangSinbonpuri” and “Legend of Kim Tong-jeong”. GwangjeongDangSinbonpuri focuses on eradicating Kim Tong-jeong, who is considered a hostile force by the three brothers of the Gwangjeong Party.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the murder of Kim Tong-jeong, the three brothers solidify with the God of sea called “sahaeyongsin”, which unfolds very interestingly. Attention is drawn to the fact that the legend of Kim Tong-jeong, which is handed down throughout Jeju Island, and its epic face and weave share some of them. The legend of Kim Tong-jeong depicts Kim Tong-jeong as a typical creatures in the legend of in tale of “baby general. It is also portrayed as a hero who is defeated in the war in Hangpaduri by the local resident of Jeju Island, Agyeonggae. Therefore, it is more noticeable that it has a comparable characteristic of epic homogeneity. In this regard, the basic aspect of Kim Tong-jeong’s legend is the form of a in tale of “baby general”. In terms of the content of Bonpuri and Legend, the subject is different, an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nd embody the confrontation with Kim Tong-jung in a distinctly different way. At this point, it is confirmed that the rules and contents of the passing of Bonpuri and the passing of legends are different. If so, we cannot help but find a reason to pass on the same narrative in such a different way. It cannot help but not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elling a sacred story and the embodiment of the tradition base and perception that reveals a heroic story. Bonpuri considers Kim Tong-jeong, an outpatient deity, as an adversary, and conventional deities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defeat foreign deities in a way to combat it. On the other hand, the legend recognized Kim Tong-jeong’s legendary ability to live a long life and highlighted the confrontation between Kim Tong-jung and Kim Bang-kyung. In particular, there is a decisive difference in emphasizing the help of foreigners by putting forward a woman called Agyeonggae in the war of legendary heroes. In this regard, the violence and aspects of fighting the war of the gods are different. After all, the example is the war of the gods. Therefore, God has an undefeated aspect. This is how you can win the war. On the other hand, in legend, it is a war of heroes, and the death of heroes is centered on a tragic end. The confrontation between Kim Bang-kyung and Kim Tong-jeong takes place on Jeju Island, and it is the Agyeonggae that acts as a snitch inside. The situation changes with the presence of this woman. Because of this, the main character is constantly transformed into a heroic hero. At the same time, violence is different from what is justified and what is terrible. Then, if Bonpuri is a mythical personality, the legend is close to the historical personality.

      • KCI등재

        ‘金溪’・‘西齋’ 藏書印을 통해 본 奎章閣 藏書의 한 局面

        하라(Kim Ha ra)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8 No.-

        본고는 규장각에 소장된 일군의 문헌에 보이는 ‘金溪’・‘西齋’ 장서인이 가리키는 지점을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장서인이 찍힌 규장각 소장 문헌은 집부 별집류 41건, 집부 총집류 6건, 사부 2건 등 49건이 있으며, 규장각에 위탁된 해군사관학교의 자료 2건까지 합하면 도합 51건이 같은 기관에 소장된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국립중앙도서관의 1건, 일본 동양문고의 2건까지 더하면 무려 54건의 고문헌에 ‘金溪’・‘西齋’의 장서인이 찍혀있어, 그 문구가 지칭하는 소장자의 신원을 밝히고 그를 한 사람의 유력한 장서가로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하게 된다. 해당 圖書群의 성격과 내용을 분석하여 이 책들이 경북 북부, 특히 안동으로 수렴되는 지역성을 띠고 있다는 단서를 찾은바 ‘金溪’를 경북 안동시서후면 금계리로 확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저자와 관련인물, 수록내용, 간행시기 등을 고려한 결과 이 책들이 19세기 후반 20세기 초까지 금계리 소재 학봉 김성일 종택에 수집되어 장서인이 찍히게 되었다는 前史를 추론했으며, 이 점은 ‘金溪’와 ‘西齋’를 김성일의 주손 金興洛(1827~1899)에게 귀속시킬 근거가 된다. 따라서 해당 도서군은 한말 영남학파의 종장으로 언급되는 김흥락의 장서로 재조명할 여지를 갖는다. 한편 학봉 종택과 규장각에 공히 전하는 장서인인 ‘溪堂’을 단서로 삼아 조사한 결과 금계리 학봉 종택의 거주자를 지칭하는 다른 이름인 ‘召福山人’, 김흥락의 부친인 金鎭華 및 8대조 金煃의 명의를 나타내는 ‘坦窩居士’ 및 ‘定跟齋藏’ 등 김흥락 가의 장서를 구성하는 여타 장서인들도 새로이 발견할 수 있었다. 김흥락의 ‘金溪’・‘西齋’, 김진화의 ‘坦窩居士’・‘召福山人’, 김규의 ‘定跟齋藏’ 등 김성일의 후손에 해당하는 일가의 장서가 규장각 한 곳에 소장되어 있다는 이 현상은, 영남 남인 장서가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고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On a group of the books in Kyujanggak Archives is stamped with words ‘Geumgye’金溪 and ‘Seojae’西齋. These two words are the seals of the owners of the collection, in other words, proprietary seals. In this paper I tried to identify who was the owner of the book collection. Among the books of the Kyujanggak, there are 49 books with the seals. Plus five books with the same seals are also found in the collections of the Naval Academy,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the Japanese Oriental Library. Through this study, I came to assume that the owner, who has left his mark on 54 pieces of data, is Kim Heungrak金興洛, a Confucian scholar in the 19th century. ‘Geumgye’ is a term referring to the descendants of Kim Seongil金誠一 of Geumgyeri in Namhu-myeon, Andong City, Gyeongsangbuk-do. It seems that ‘Seojae’ refers to the school where Kim Heungrak, a descendant of Kim Seongil, was teaching the students in the Yeongnam area.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collections of Kim Jinhwa金鎭華, the father of Kim Heungrak, were found in Kyujanggak. This study reveals that the collection of Kim Heungrak s family is a part of the collections of Kyujanggak.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history of publishing and circulating book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se of Kim Heungrak should be paid attention to.

      • KCI등재

        아시아계 미국시의 재편성: 캐시 송, 명미 김, 수지 곽 김의 차이를 중심으로

        양순 ( Yang Soon Kim ) 한국아메리카학회 2010 美國學論集 Vol.42 No.3

        This study examines Asian American poets` activities that have contributed to contemporary American poetry`s heterogeneity and pluralism, and especially focuses on the works of three women poets?Cathy Song, Myung Mi Kim, and Suji Kwock Kim. Reading closely Cathy Song`s Picture Bride (1983), Myung Mi Kim`s Under Flag (1991), and Suji Kwock Kim`s Notes from the Divided Country (2003), this paper discusses not only their shared views but also their differences, which are particularly noteworthy. These three poets share their consciousness of the problems of culture, identity, family, ethnicity, region, and language. Yet there exist differences among these poets arising from dissimilarities in their family background, time of immigration, birthplace, and generation. This paper explores how differently and in what ways they embody their seemingly similar themes. Through her lyrical voice and organic images, Cathy Song`s Picture Bride deals with issues of family, assimilation, female experience, ethnic identity, and bond or distance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At the same time, Song,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Asian American poets, attempts to show a threshold of imagination and creation, and a space where creative transformation begins. Myung Mi Kim`s Under Flag in an epic narrative explores the ruptures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With her experimental language and forms, Kim, a 1.5 generation Korean American, expresses "the uncertainties and sense of ruptured suspension of personal and communal displacement," more subversively than Song. Through the work of "postmemory" and the deliberate distance between the poet and the speaker, and in dealing with Korean War and the psychology of individuals "traveling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between past and future, Suji Kwock Kim, a second generation Korean American, reveals a "more fluid sense of ethnic boundaries." Since for her Asian heritage is just one of many facets of her identity, she can venture into new subject matter with a certain air of feminine strength.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and critical views of Asian American (women) poets that have been less visible than those of Asian American fiction writers, and mostly presented in terms of ethnicity and gender. Thus, this stud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discussion of Asian American poetry`s implications for language, form, and narrative on the broader landscape of American poetry.

      • KCI등재

        1920년대 통영지역 청년운동과 ‘김기정 징토운동’

        상환(Kim, Sang-Hwan)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1 No.-

        본 논문은 3.1운동 이후 통영청년단을 비롯한 청년운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김기정 징토운동’이 통영지역에서 항일운동으로까지 전화되어가는 과정을 검토해보았다. 1919년 7월 창립된 통영청년단은 지역사회운동과 항일운동의 중심이었다. 통영청년단의 멤버들은 다수의 다른 청년단체에 복수의 멤버십으로 가담하기도 했으며, 시대의 조류와 중앙의 청년단체들의 변화에 부응하면서 발전해 갔다. 즉 1925년에는 통영지역에도 ‘정의단’, ‘거화동맹’, ‘안우회’, ‘사과실탄티’ 같은 사상단체도 만들어 지고, 청년조직들도 청년동맹으로 변화되어 가기도 했던 것이다. 김기정 사건에서도 이들은 함께 ‘민정회’를 출범시켜 한시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특별위원회’의 위상을 부여하였다. 각 청년조직들이 이렇게 별도의 조직을 만들어가면서 개별단체들이 한계를 극복해 나갔다. 김기정 징토운동은 경상남도 도 평의회에서의 김기정의 발언이 단초가 되었고, 통영 사상단체의 효시인 ‘정의단’에서 활동한 김원석의 징토문 살포로 촉발되었다. 게다가 경찰 출신자들의 모임이자 친일 단체인 ‘삼구회’라는 친일조직에 대한 통영민들의 반감으로 항일의식은 더욱 고취되었다. 김원석의 전격구속에 이은 3월 25일의 보고대회가 진행되어 김기정에 대한 징토운동운동이 확산되어가는 시점에 김기정이 관선 도 평의원으로 재임 된다든지, 5월 9일 앞의 보고대회 집행위원 11인을 추가 구속함으로써 사건은 증폭되었다. 3월 15일부터 시작된 이 운동은 동년 5월 15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도합 33인이 구속되고 김기정이 공직에서 사퇴함으로 마무리 되었다. 이 운동을 주도한 것은 ‘통영청년단’을 비롯한 지역의 청년조직이었다. 이 운동이 두 달 동안 지속되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통영지역민의 일치단결된 항일의식과 민족반역자에 대한 분노였다. 통영지역의 김기정 징토운동은 지역을 넘어 전국으로, 해외로까지 알려져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 가운데 내선일체에 대한 허구를 공격하고, 부일협력자에 대한 경종을 울려주었다. This thesis examines Tongyeong Youth Union as well as the youth’s movement after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lso, the thesis has identified the process in which the ‘Punish-Movement Ki-jeong Kim’ has evolved into an anti-Japanese movement. The Tongyeong Youth Union which was established in July 1919, was the center of the regional society movement and the anti-Japanese movement. The members of Tongyeong Youth Union participated simultaneously in other numerous youth associations and continued developing after adapting to and fulfilling the changes which the central youth organizations underwent with the tides of the times. In other words, an organization advocating a particular system of ideology emerged in Tongyeong 1925, such as ‘Jeongeuidan’, ‘Geohwa-alliance’, ‘Ahnwoohwae’, ‘Sagwasiltanti’ and other organizations. Moreover, youth organizations transformed into youth alliances. Also in the ‘Ki-jeong Kim Incident’, the youths established the ‘Minjeonghwae’ and for carrying out temporary duties, they also appointed the status of special commission. Each and every youth organization established these separate organizations, which supported independent organizations to overcome limits. The ‘Punish-Movement Ki-jeong Kim’ was triggered by Won-seok Kim (an individual who had participated in the ‘Jeongeuidan (the first ideology organization in Tongyeong))’s Punish-Movement and also by Ki-jeong Kim’s remark during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council. Furthermore, the pro-Japanese organization ‘Samgoohwae’, consisting of personnel with backgrounds as policemen and in pro-Japanese organization, had forced the people of Tongyeong to foster a sense of rebellion towards the Japanese during this organization’s development. Following the imprisonment of Won-seok Kim, a briefing conference had been held on the 25th of March when ‘Punish-Movement Ki-jeong Kim’ was expanding. This period marked a point when Ki-jeong Kim was to be repositioned for office by the government as a provincial councillor, and marked the amplification of the incidence when 11 more member of the executive committee (briefing conference) were imprisoned on the 9th of May. This movement, which started on the 15th of March, resulted in 33 total individuals being imprisoned until the 15th of May and ended with Ki-jeong Kim’s resignation from public office. Those who led this movement were nonetheless, the Tongyeong Youth Union and the region’s youth organizations. The reasons as to how this movement continued for two months were down to the unanimity of Tongyeong residents’ anti-Japanese sentiment and the rage felt towards traitors. The ‘Punish-Movement Ki-jeong Kim’ of the Tongyeong region spread across the nation to overseas, which attached the fabrication of the ‘Naeseon Ilche (‘Korea and Japan are One’ policy) which was part of Japan’s policy of domination. Lastly, it sounded the alarm for those who acted for the Japanese domination over Korea; traitors.

      • KCI등재

        간찰을 통해 본 扶安金氏家의 교유관계 : 陶菴 李?가 醉醒堂 金守宗에게 보낸 親筆 簡札을 중심으로

        상환(Kim Sang-hw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장서각 Vol.- No.12

        Ganchal (簡札, handwritten letters) wa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forms of written communication by which the men of old could exchange information among themselves. The form and substance of ganchal differ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Studies on ganchal are stagnant because ganchal is not only hard to understand but illegible in most cases due to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writing style in cursive (草書) or semi-cursive (行書) script.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n ganchal which was sent by Lee Jae (李縡, 1680~1746, pen name of Doam 陶菴) to Kim Soo-Jong (金守宗, 1671~1736, pen name of Chwiseongdang 醉醒堂) and has been handed down within the Buan Kim family since then. this study shows the aspects of their companionship. Lee Jae is from Woobong Lee clan (牛峯李氏) and Kim Soo-Jong is from Buan Kim clan (扶安金氏).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because the two families were connected through marriage in that the mother of Kim Soo-Jong was a daughter of Lee Man-Hee (李晩熙) from the Woobong Lee clan. Of the 50 ganchal sent to Kim Soo-Jong by Lee Jae, 19 included in the book entitled Gancheop (間帖, Collection of Ganchal) and 31 in Doam sudok (陶菴手牘, Handwritten Letters by Doam) have been handed down to date. These 50 ganchal were not included in the Doamjip (陶菴集, Collection of Doam's Works) at all, and Kim Soo-Jong's works were not published in the form of a book in his life time, much less posthumously. However, the ganchal with which literary men like Lee Jae and the family of Kim Soo-Jong corresponded are very valuable materials to Buan Kim clan, resulting in the publication of collected works. Gandok (簡牘, Printed Version of Ganchal from Doam and Other Scholars) is one book divided into three chapters with 116 ganchal sent by 44 people. The third chapter includes 28 ganchal sent by Lee Jae sent to Kim Soo-Jong. Lee Jae, a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朝鮮), was an outstanding scholar in calli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50 ganchal which he sent to Kim Soo-Jong are as below: First, ganchal written by his own hand with which he corresponded with Kim Soo-Jong for 41 years from 1701 to 1742. Second, Lee Jae lived in Seoul, Injae (麟蹄) in Gangwon Province, and then Hwajeon (花田) in Goyang, etc, and Kim Soo-Jong lived in Wooban-dong in Buan. Third, ganchal was not sent or received from Doam when Kim Soo-Jong was involved in the Musin Rebellion (戊申亂) of 1728 and suffered hardships. This seems to be due to his attempt to avoid any suspicion of being linked to the rebellion. Fourth, the content of the ganchal varied, ranging from asking after the welfare of the recipient as well as the daily activities in purchasing and management of the farm. Due to the fact that the Woobong Lee clan and the Buan Kim clan were related by marriage, not only Lee Jae but four generations from his grandfather, Lee Suk (李?, 1626~1688), and his father's older brother, Lee Man-Sung (李晩成, 1659~1722), to his son, Lee Jae-Won (李濟遠), and a niece of collateral family corresponded with each other. The contents of ganchal are various as follows ① asking after the welfare; ② sending of condolences; ③ sending of gifts or expressing gratitude for gift and warm friendship; ④ introducing his friend who was being exiled and asking for adequate arrangements for him; ⑤ sending of congratulations and admonitions; ⑥ entrusting of household affairs; ⑦ writer's recent state of affairs. The contents of ganchal, however, did not contain scholarly attainments, moral cultivation, opinions on the current state of politics. Through ganchal, the scholars of old kept in touch with each other by exchanging news of neighboring families, relatives, friends, and the government. If we analyze ganchal in conjunction with other documentary records, ganchal can become a valuabl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matters that cannot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other material

      • KCI등재

        『토지』의 역동적인 가족서사 연구 -"성장,변신" 원리와 "대조"의 원리를 중심으로-

        승종 ( Seung Jong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3

        이 논문은 『토지』의 등장인물들이 가족과 가족의 재산을 지키기 위하여 노력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가족이라는 한계를 넘어서서 민족공동체와 모든 생명체의 공존을 위하여 기여하고자 하는 역동적인 가족서사를 연구한 논문이다. 『토지』의 가족서사를 민족서사, 생명서사로 발전시키는 원리로는 ‘성장·변신’의 원리와 ‘대조’의 원리를 들수 있다. 길상과 서희, 김환, 조병수, 김한복과 같은 인물들은 낮은 신분이나 가문의 위기, 장애, 살인자의 아들이라는 멍에 등을 승화시켜 스스로를 낮추고 비우며 약자를 배려하는 가운데 항일운동, 장인 정신, 예술혼 등의 긍정적 가치를 추구하며 ‘성장·변신’해 간다. 또한 조준구와 조병수, 최치수와 이용, 김거복과 김한복, 김두만과 이도영,김훈장과 김범석 등이 대조되면서 신분의 해체, 부친이나 형이 저지른 악행의 정화,도리와 근본에 대한 존중 사상, 시대적 변화 등의 다양한 주제들을 구현하는 가운데『토지』는 가족서사의 한계를 넘어 민족서사, 나아가 생명서사를 지향하게 된다. The Toji(land) dose not deal with major historical events directly, but this work reveals detailed impact on Koreans daily life. Park Kyeng Li -the writer of The Toji did not concern historical events themselves. She tried to reveal ‘Han’ and idea of life through Koran’s life who endured strongly suffering and sorrow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thesis focused on family narrative, especially family of Choi Cham Pan. The first woman of Choi Champan, Madam Yun was raped by Kim Kaeju, who is a leader of DongHak. And she gave birth to Kim Hwan in secret. She ruled the town, Pengsari by federal authority. But she suffered from two son, Choi Chisu, and Kim Hwan. Choi Chisu experienced conflict because of mother’s secrete. Kim Hwan carried on an extramarital relationship with brother’s wife. Choi Chisu murdered by conspiracy of Kim PengSan and KwuiNye who dreamed ascent of social status. Madam Yun save lives Kim Hwan and Choi Chisu’s wife. And she endowed wide land to Group of DongHak for Kim Hwan and Korea people. Choi Sehi who granddaughter of madam Yun, was deprived property from Cho Jungu. And she fled a country to YongJung in China with Kim Kilsang, Lee Young, WalSun etc. She accumulated wealth for revenge and retake of Choi Champan’s property. She merried with Kilsang who was servant for success of revenge and retake. She succeeded retake of property. But she experienced a sense of futility. She overcomed futility through loving her son, adopted daughter, and help to family of fighters for national independence. She also endowed wide land to fighters for national independence. Choi Champan’s family cut off blood by death of Choi Chisu. But Choi Sehi revived family by exchange family name with Kim Kilsang. Kim Hwan and Kim Kilsang Who are not family of Choi Champan, help revive of family, and reestablished new spirits of family through national independence. The principle of ``growth·transformation`` refers narrative of The Toji. The characters of This work changes positively by this principle. And contrast is another principle of The Toji -land`s narrative. Lee Yong who was commoner lived more valuable life than Choi ChiSu who was noble. He helps men who experience suffering and fights for right, and endures any difficulties. Kim Han Bock purified father and elder brother``s evil. His father committed murdering and his brother lived as a traitor. He and his son carried on an independence movement in defiance of Japanese coercion, and are credited from peoples of Pengsa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