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김예리(Kim Ye-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1

        이 글은 김기림 시학에서 ‘시의 회화성’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이미지의 강조가 정태적인 이미지가 아닌 시대의 현실을 포착하고 이를 통해 문명 비판의 계기를 마련하는 단초였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개별적인 정서로서의 리듬이 아니라 상징적 주체의 눈을 통해 그려지는 대상-세계의 이미지로의 전환은 상상적인 시에서 구상적인 시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김기림은 보편적 언어로 구성되는 시만이 비판되고 감상될 수 있다고 여겼으며, 이러한 예술의 보편성 속에서 비로소 현실 비판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김기림이 현대시의 특질로 들고 있는 ‘시의 회화성’으로 구현되는 이미지가 문자 그대로 단순히 그림 같은 아름다운 이미지로 간주하거나, 활자의 배열이나 글자의 크기와 같은 인쇄 미학적인 시각으로만 ‘시의 회화성’의 문제에 접근해서는 안 되며, 시인주체의 현실의 인식문제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김기림에게 이미지란 시간성이 내포된 동력적이고 움직이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미래파적 감수성으로 설명되곤 했던 이러한 이미지는 오히려 에즈라파운드 등의 ‘소용돌이파’의 이미지와 유사하다. 에즈라 파운드는 미래파처럼 직선으로 뻗어나가는 시간 이미지 대신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이미지를 중첩함으로써 동적인 에너지가 풍부한 이미지를 생산하고자 했다. 김기림 역시 이미지의 역동성을 시어의 배열이나 결합이라는 언어구조 속에서 포착하려고 한다. 이러한 병치의 기법은 수사학에서 알레고리 기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병치로서의 알레고리 이미지는 ‘시공간의 동존성’이라는 말로 설명되는 초현실주의 기법이 생산하는 이미지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시공간의 동존성이나 비약과 같은 방식으로 현실 시간의 문법적 질서를 비웃는 초현실주의적 방법론은 현실이지만 근대적 이성의 문법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현실의 무의식을 이미지화할 수 있다고 김기림은 생각했다. 이렇게 평범한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세계를 이미지로 드러내는 것이 새로운 가치 창조자로서의 시인의 임무로 여겼다. 즉, 의식과 무의식, 주관과 객관, 과거와 현재와 미래, 현실과 꿈의 모든 경계를 와해하는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는 김기림에게 세계의 고정된 질서를 파괴하고 억압된 의식의 빈곤한 상상력을 자극시켜 세계의 역사적 흐름의 방향을 뒤흔들어 놓는 혁명적인 이미지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런 역사적 혁명성을 상실할 때, 초현실주의는 센티멘탈리즘과 구분되지 않는다. 즉, 김기림의 센티멘탈리즘의 비판은 단순히 애상적인 정조에 있지 않았다. 그의 센티멘탈리즘 비판의 핵심은 현재를 보지 못하는 과거 회귀적인 태도에 있었다. 현재 시간의 상실감을 퇴행적 시간으로 채우려는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노스탤지어야말로 김기림이 비판하는 핵심이었다. 현재의 상실의 체험을 서늘하게 인지하고 있는 멜랑콜리적 태도와는 구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김기림에게 미래라는 시간은 언제나 현재를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며, 현재를 무시한 미래 진보적 태도는 아니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김기림에게 미래로 진보한다는 것은 현재의 시대를 예각적인 각도를 통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태도에 의한 정확한 판단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When Kim Kirim emphasizes the workings of image or painterliness of poem in his poetics, his focus is not on the statics of images. This paper argues that Kim's concept of image provides him with the base for his own apprehension of the reality and critiques of civilization. His concept of image epitomizes the transition from the rhythm a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emotions to the image of objective world which is essentially visualized through the symbolic subject. This transit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transition from imaginary poem to figurative poem Kim thinks that the only poem that we can appreciate is the poem that is written in the universal language and the universality realized in this kind of poem opens the possibility to critique the reality. The image realized through the painterliness of poem, which Kim defines as characteristic of modem poem, cannot be regarded as the pictorial beautiful image. It also cannot be limited to typographic techniques, such as unusual arrays of types or irregular size of letters. It has to be considered with the issue of poet-subject's perception of reality. For Kim, image is the dynamic and moving image which implies temporality. This image, that has been explained in tandem with the futuristic sensitivity, is rather related to the concept of image in vorticism, whose primary figure was Ezra Pound. Instead of futurists' linear temporal images, Pound attempted to produce the image charged with the dynamic energy through reiteration of complex and multi-layered images. Kim also tries to grasp the dynamics of images in structure of language, which is expressed through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poetic words. This technique of arrangement is similar to allegory in rhetoric. This allegoric image as arrangement is related to surrealistic image characterized as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From Kim's point of view, the surrealist methods of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or jump of logic, with which one can ridicule the grammar of temporality in the reality, are strategies to imagine the unconscious of the reality that is blocked from the eyes of modem form of reason. It is poet's calling to reveal the world that is blocked from these ordinary eyes. The surrealist image, that blurs the borderlines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subject and object, past, present, and future, reality and dream, is the image of revolution. This revolution implies the turnabout of the world history through destructing the fixed order of the given world and giving an impetus to poor imagination of the repressed consciousness. If surrealism loses this revolutionary character, it will not be distinguished from sentimentalism When Kim critiques sentimentalism, his focus was on rather regressive attitude than elegiac tone of poem. In other words, Kim criticizes the attitude to fill in the sense of loss in the present with the regressive time. He defines this attitude as the passive and negative nostalgia. This needs to be discerned from the melancholic attitude with which one can face the reality of loss.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Kim's poetics, it is necessary to conceive the time of future can be perceived only through the present. His futuristic attitude always accompanies with the precise conception of the present. For Kim, the task to progress to the future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precise judgement of the present world with objective and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

        정지용의 시적 언어의 특성과 꿈의 미메시스

        김예리(Kim Ye 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7

        이 글은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이라는 범주 속에서 정지용의 시적 세계가 만들어내는 특이성을 환상성과 미메시스의 관점으로 접근해보았다. 김기림과 함께 정지용을 모더니스트로 규정할 수 있게 만드는 것 중의 하나는 바로 근대적 주체에 의해 구성되는 내면만이 아니라 그 내면을 구성하는 언어를 글쓰기의 대상으로 호출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언어에 의해 전달되는 특정한 내용이 아니라 언어라는 매체 그 자체를 메타적이고 의식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정지용의 시적 세계는 김소월보다는 김기림이나 이상과 같은 시인들의 문학적 세계와 가까워진다. 하지만 정지용은 김기림이나 이상이 불가능성으로 전제하고 있는 낭만적 총체성에 대한 지향성을 끝까지 유지한다는 점에서 그만의 독자적인 세계를 구현한다. 이러한 점을 해명하며 이 글은 김기림의 시적 언어의 특성을 '차이'로, 정지용의 시적 언어의 특성을 '유사성'의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전통성과 근대성이라는 이분법적인 범주는 한국 근대시를 해명하는 중요한 방법적 시선을 제공해왔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용 역시 이른바 '최초의 모더니스트'로서, 그리고 해방 이전 조선 문단의 전통 담론을 이끌어온 잡지 『문장』의 좌장으로서, 전통성과 근대성이라는 이 폭넓은 스펙트럼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시인으로 평가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정지용은 전통과 근대라는 이분법적 범주 자체를 무화시키는 시인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이 글은 후자의 견해에 동의하며 정지용이 전통과 근대라는 범주를 무화시키고 새롭게 형상화하고 있는 환상적인 시적 세계의 작동원리를 은유의 유사성과 미메시스라는 개념으로 해명해보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what the singularity of the Jiyong Jeong's text is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On this subject, it was approached in terms of fantasy and mimesis. One of the things that allow you to define Jiyong Jeong and Kirim Kim as modernist is that they consider language itself as the object of writing. In other words, when he looks at the medium of language itself, not message, Jiyong Jeong's text is closer to Kirim Kim and Sang Lee's text than So-Wol Kim's text. But he takes his own line in that he maintains the directivity of the totality of romantic love in contrast with Kirim and Sang. In order to clarify these points, this paper looks at Kirim Kim's Characteristics of Poetic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difference and looks at Jiyong Jeong's Characteristics of Poetic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similarity. The dichotomous category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has been performed by an important point of view. Jiyong Jeong has been recognized as a poet who show us a wide spectrum, as 'the first modernist of the Joseon and as the senior person present of journal Munjang that has been at the center of the discourse of tradition. On the other hand, Jiyong Jeong has been ranked as a poet who negated the dichotomous category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ain the singularity of the Jiyong Jeong's text through the concepts of mimesis and the similarity of metaph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tter.

      • KCI등재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비판과 시의 타자성

        김예리(Kim, Ye 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8

        김춘수는 언어를 매체이자 질료로 하는 시가 사물과 관계하는 양상 그 자체를 시로 형상화한다. 다시 말해 그는 시를 규정하는 이론을 다시 시적 사유의 대상으로, 혹은 개념을 이미지로 전치시키고 있는 시인인 셈이다. 김춘수 텍스트의 문학사적 위치를 이렇게 규정해볼 때, 김춘수 텍스트의 시적 주체의 인식범위는 근대적인 인식주체의 인식범위를 초과하는 동시에 그것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김춘수의 시적 주체는 메타적인 위치에서 코기토적 주체가 보지 못하는, 주체와 대상 상호간의 관계성을 응시하는 동시에, 코기토적 주체처럼 대상을 장악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김춘수가 단지 존재와 인식의 문제만을 사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를 표현해내는 언어의 층위까지 사유의 대상으로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에 가능해진 사태일 것이다. 이글은 김춘수의 텍스트를 해석함에 있어 이와 같은 김춘수의 독특한 인식태도를 염두에 두며, 크게 두 가지를 논의해보았다. 첫째는 김춘수의 시적 언어에 대한 탐구의 여정을 기존의 김춘수 연구들이 주로 선택했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는, 주체의 호명행위나 주체의 인식행위의 관점과 같이 주체의 자리에서 출발하는 방식을 역전시켜, ‘관람자-주체’의 관점으로 재구성해봄으로써, 존재와 언어에 대한 탐구라는 주제가 특히 선명하게 드러나는 『꽃의 소묘』와 그 이전 시집들 간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순수’의 극단까지 치달았던 ‘무의미시’라는 시적 실험의 한계를 논의해보았다.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무의미시’라는 김춘수의 시적 실험은 관습적인 의미를 해체함으로써 의미를 무화하는 시적 상상력과 관계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극한의 시적 자유를 구현해내는 것이라는 평가에 김춘수 연구사는 동의하고 있다. 이글은 이러한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며, ‘무의미시’가 추구하는 ‘예술의 자율성’으로서의 ‘순수’라는 개념을 비판하고, 이러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무의미시론’의 한계와 김춘수의 새로운 시론으로서 ‘접붙이기’ 시학의 의미를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Choon-soo Kim embodies the aspects itself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the thing by poems. That is, he transposes the theory itself that regulates poetry to the object of poetic thinking, or the concepts to the images. In this regard, the recognition range of poetic subject of his texts excesses the range of modern epistemic subject and doesn"t meet it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subject of his texts gazes at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at is the subject of cogito cannot, and accepts that he cannot grasp the object like the subject of cogito. This is possible because Kim doesn"t speculates only the matter of the perception and the being but also the language itself that express the being. This study argues about two themes, considering Kim’s suchlike attitude. First, this study, in terms of a ‘spectator-subject’, looks in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rly collections of poems and “A Sketch of Flower”(『꽃의 소묘』) that is revealed the theme of the search of the being and languages. Second, it argues about the limit of his experiment in poetry named ‘Nonsense poem theory’. There is not without a different view, on the whole, the studies about Kim have estimated that his experiment in poetry named ‘Nonsense poem theory ’embodied poetic liberty to the limit. This study raises questions about the concerns and criticizes the concept of the ‘pure’ in terms of autonomy of art. In this critical reflections, this study looks into the limit of ‘Nonsense poem theory’ and the meaning of the poetics of the ‘Grafting’ that he newly pres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기 배려를 통한 인간주체성의 탐색과 생태담론의 새로운 가능성 -90년대 생태문학담론과 이문재의 시를 중심으로-

        김예리 ( Kim Ye-rhee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0 No.-

        생태문제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전 지구적으로 자본의 권력에 지배되고 있는지, 우리의 일상이 얼마나 자본에 종속되어 있는지 실감할 수 있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자본에 대항하고 반대하는 모든 논리를 자기화하여 자기 운동의 추진력으로 삼을 수 있는 자본의 괴물스러움이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는바, 자본의 바깥을 상상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 보인다. 이런 불가능성 가운데에서도 이문재의 시학은 생태 문제를 향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생태주의적인 관점을 취하면서도 자연이 아니라 ‘나’를 사유의 중심에 세우면서 우리의 욕망을 응시하고, 가능한 새로운 주체성을 탐색한다. 이러한 문학적 탐색은 자본의 욕망에 사로잡힌 우리의 욕망을 응시함으로써 어떤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단독적인 인간으로서의 나를 발견할 수 있는 욕망의 지도를 새롭게 그리려는 시도이며, 이 시도는 교환가치의 외부를 상상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자본의 외부에 대한 상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문재는 이런 상상을 ‘산책’이라는 방법론으로 시작한다. 그에게 ‘산책’이란 ‘일상과 휴식의 경계’이면서 동시에 ‘산책과 비-산책’의 경계를 의미한다. ‘일상과 휴식의 경계’로서의 산책은 자본의 동력이 되지만, ‘산책과 비-산책의 경계’로서의 산책은 자본의 권력을 무력화한다. 하지만 산책의 방법론에 내재해있는 이 경계선은 매우 희미하여 자본 권력을 무력화하려는 시도가 자기의 존재 상실을 초래하는 위험한 사태에 직면케 한다. 그러나 네 번째 시집인 『제국호텔』에서부터 그는 조금씩 태도의 변화를 보이며 인간으로서의 나라는 존재를 긍정하고 어루만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에 대한 그의 독특한 사유에서 시작된다. 나의 시간은 나의 육체에 모든 시간이 응축되고, 그 응축된 시간을 품고 있는 나의 몸은 단순히 나의 육체를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체인 동시에 자연 전체가 된다. 자연으로서의 나의 몸은 니체의 영원회귀적 세계를 표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육체와 정신, 나와 타인, 인간과 자연, 땅과 우주는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나는 타자이고, 타자는 다시 나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나는 변화와 생성의 존재가 된다. 스스로의 존재를 염려하고 보살피는 태도 속에서 나의 존재는 긍정되고, 나의 몸은 자연을 포함한 모든 타자적 존재를 품을 수 있는 장소가 된다. 영원회귀적 반복 속에서 인간들은 삶의 주체성을 회복하고, 나아가 영원회귀적인 반복의 시간은 각각의 개채로서의 인간들을 공동체적인 우리들로 사유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여전히 자본의 욕망은 강력하게 우리를 위협하고 있지만, 자신의 욕망을 긍정하고 또 새롭게 생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피는 자기배려적인 시선 속에서 이문재는 자본의 외부를 상상하는 시적 사유를 펼치고 있다. 이문재의 생태의식은 지금 이렇게 생성적인 욕망을 통해 세계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는 중이다. Ecological issues have helped ones realize how money controls the whole globe with its power and our everyday lives heavily depend on capital. However, the monstrous nature of capital in the end includes all the logics against capitalism and uses them as its driving force,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imagine another world out of capital. In spite of such impossibility, Lee Mun-jae’s poetics provides a new approach to ecological issues. His perspective is based on ecologism, but places “I, myself,” not Nature, in the center of thinking to look into our desire and helps explore a new subjectivity. This way of thinking on human subjectivity with a consideration of ecology can be named “the new anthropocentric discourse on ecology.” This anthropocentric discourse on ecology looks deep into the human desire for money, and in turn leads to discovering “me” as an independent man that cannot be alternated. This is an attempt to map human desire in a new way, and an imagination of a world out of capitalism as it imagines an outside world of exchange value. Poet Lee starts the imagination with a method called “walk.” A “walk” means to the poet a “boundary between walk and non-walk” as well as a “boundary between work and rest.” Walk as a boundary between walk and non-walk removes the potent force of capital while walk as a boundary between work and rest serves capital. Here since the boundary is blurred in the methodology of “walk,” the effort to get rid of capital power leads to a chance to lose one’s being. However, with his fourth collection of poetry Imperial Hotel (2004), he begins to embrace and take care of myself as a human being. This change starts with his unique way of thinking on time. My time is condensed in my body, and the body harboring the condensed time is not only an independent entity of a body but becomes part of Nature. My body as part of Nature represents the world of eternal recurrence of Nietzsche. In this regard, body and mind, me and the others, and earth and space are all closely connected. I am the others, the others bear me, and so I become a being of change and creation. Myself is recognized positively in the attitude of concerning for and taking care of my being, and my body grows a place that embraces all other beings including Nature. In eternal recurrence, mankind recovers its subjectivity, and furthermore the time of eternal recurrence helps move our recognition of humans from as an independent entity to as connected us in community. Still, capital places threats on us with its greed. Under such threats, the poet gives a poetic way of thinking for imagining outside of capitalism, in his attitude of self-consideration that accepts one’s desire and looks for a possibility for creation. This is Lee’s ecological thinking to explore a possibility of a world through creative desire.

      • KCI등재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존재미학과 탈근대적 사유

        김예리(Kim, Ye-Rhee)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2

        ‘Pictorialism of poetry’ is regarded to a noticeable feature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The pictorial elements in poetry are closely related with modernity. And the literacy subject which is concerned with pictorialism of poetry is intended to be wider to interaction of genre between poetry and art. Thus, viewpoints of research which is concerned with the subject of the ‘pictorialism of poetry’ are various. But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crack occurs in the system when a symbol system is transformed to another symbol system. Namely, the meaning of ‘pictorialism of poetry’ have a very significant implication related to signification. The subject of ‘pictorialism of poetry’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is very relevant to thinking about poetic language which is vibrating on the border between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and the im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So what’s important in this subject are how to enter into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ictures, or how the language vibrates on the border, or what this vibration on the border creates something new. Through these critical mind, this study analyzes the new art aesthetics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 KCI등재

        80년대 『시운동』동인의 상상력과 감각의 언어

        김예리(Kim Ye 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은 80년대 시 동인지 『시운동』의 상상력과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80년대 시 문학은 동인지 등 소집단 활동과 무크 문학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졌다는 문학사적 독특함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소집단활동은 국가권력에 대한 문학가들의 대응양식으로 평가된다. 80년대는 시와 정치가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이런 시대에 문학의 목적, 혹은 그 지향점은 아주 분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운동』은 바로 이러한 시대에 시의 무용성을 주장한다. 한국문학사의 맥락에서 80년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는『시운동』의 이런 주장은 현실 괴리적이고, 또 그런 점에서 파격적인 것으로 다가온다. 본 논문은 80년대 정치적 현실 담론과의 쟁투 속에서 예외적인 발언을 하는 『시운동』의 시적 사유를 안재찬과 남진우, 그리고 이문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들은 조금씩 다른 시 세계를 보이고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현실과 삶을 직접적으로 재현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사회적 상상력을 구상할 수 있는 근원적 힘으로서의 시적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안재찬은 사회적 담론이 놓쳐버리는 타자의 신체성을 끊임없이 상기시키고, 남진우는 사회적 상상력으로는 다가가지 못할 상호가역적인 세계를 이미지로 보여주며, 이문재는 담론적 언어 속에 함몰되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상실의 감각으로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들은 공통적으로 상상력의 결과물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힘’ 그 자체를 이미지화한다. 다시 말해 ‘상상하다’라는 동사를 주어의 자리로 올려놓는 것이다.『시운동』은 현실의 운동을 언어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운동하게 함으로써 우리의 현실을 능가하는 저 너머의 세계에서 전해오는 들리지 않는 목소리가 이쪽 현실 세계로 넘어올 수 있는 통로를 만드는 존재들이며, 이를 통해 언어가 현실을 능가할 때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존재들이라 하겠다. This paper analyzes peculiar imagination and its meaning developed in the coterie magazine “Si Undong”[Poetic Movement]. Reflecting o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Korean poetry in the 1980s is commonly characterized by small literary coteries’s active engagements in coterie magazines and mooks. The writers organized the movement in order to express their disapproval of state power. It is no wonder that literary writers as well as poets were engaging in dissident movement considering the political situation in 1980s South Korea. In short, poem functioned as a weapon against the authoritarian regime. However, “Si Undong”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others by declaring their motto of “the poem’s uselessness.” One might think that this easily alienates them from the real politics of the era and they are exceptional to the mainstream literature. In analysis of poetic thoughts of the group’s members, such as An Chaech’an, Nam Chin’u, and Yi Munjae, I focus on how dramatically they were exceptional. Despite minor differences in detail, they posited that poetic imagination was the only source that drove us toward a new society, distancing themselves from representing or intervening in real life and planning the future that replaces the present reality. An constantly reminds of corporeality of the other, which necessarily slips through social discourse. Nam presents the world of interchangeability, which prevents social imagination’s penetration. Yi keeps reviving movements that cannot degenerate into discursive language in his sense of loss. To sum up, they imagine the faculty to imagine itself, not the result of imagination’s working. In their poems, the verb “imagine” comes in the place of the subject. “Si Undong” opens the way through which unheard voices from the other side finally becomes audible on this side by letting language move itself, not by representing movements in reality via language. They present the language’s new possibility that transcends reality.

      • KCI등재

        ‘언어로의 전회’와 인문학으로서의 작가론

        김예리(Kim, Ye Rhee)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지금까지 본 논문은 ‘언어로의 전회’ 이후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작가론이라고 하는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여전히 유효하다면 작가론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문학 연구가 담론 연구 중심으로 전환되고, 저자라는 개념 역시 담론의 질서 속으로 포섭이 된 이 시대에, 작가론이라고 하는 이 고루한 문학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 이유는, 작가론의 목표가 단지 ‘저자의 의도’를 밝히는 데에 있는 아니라, 저자가 그런 의도를 품고, 또 그런 말을 하게끔 한 원인을 읽어내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는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즉, 저자가 하는 말이 담론의 구조 속에서 비틀려버렸기 때문에 비로소 저자들이나 저자들의 말이 차지하고 있어 보이지 않던 ‘저자의 자리’가 보이기 시작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저자가 죽은 뒤 마침내 드러난 ‘저자가 차지하고 있던 자리’란 작가가 자신의 말로 감추고 있던 바로 그 자리이자, 누구나 그 자리에 들어서면 그 말을 할 수밖에 없게 하는 일종의 억압인 동시에 칸트적인 의미에서의 초월론적인 형식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견된 형식이란 담론이라는 언어의 그물망 속에 갇힌 작가론이라는 글쓰기가 언어의 그물망으로부터 탈출하여 마침내 다가가야 할 문학적 진실 그 자체이다. 문제는 구조주의 이후의 시대 작가론의 새로운 연구 대상이 된 이 ‘문학적 진실’이 네거티브하지 않은 방식으로 언어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은 작가론이 나가야할 방향으로 트랜스크리틱을 제안했다. 작가론이 작가의 진실이라는 것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그것을 숨기면서 드러내는 방법 밖에 없고, 이는 곧 자신의 시선을 이동시키는 행위가 없으면 작가의 진실은 결코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research type as the study of authorship still stands, despite the linguistic turn. Even though the author has already been sentenced to death, the reason that the study of authorship is still valid is the fact the goals of the study shifted. The goal of the study in the era in which the concept of the author was valid aimed to find the intension of the author, wherea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of authorship is extended even to reading the author’s unconsciousness. The ultimate goal of such a converted purpose is to look out a transcendental form from the Kantian meaning. This form means the truth of literature, which the writing named the study of authorship captured in linguistic order should come close to, after escaping linguistic order. This truth of literature, which has been dealt as an object of the study of author since the era of structuralism, does not have methodology to be expressed in language in a non-negative way. For this reason, this paper suggests the transcritique to which the study of authorship should move forward. The truth of author should be revealed in a veil for the study of authorship to approach the truth of author. This is because it means that the truth of author never comes out without an act moving a researcher"s point of view.

      • KCI등재

        살아있는 관계의 공적 행복 -1970년대 김종철 문학비평을 중심으로-

        김예리 ( Ye Rhee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이 글은 한국의 70년대 문학비평 담론에서 김종철 문학비평이 갖는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김종철은 그의 문학비평에서 세계를 매우 가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김종철에게 세계가 인식하고 파악하며 재현해야하는 정태적 대상이 아니라 창조하고 생성하며 대화하는 관계적 지평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의 이러한 독특한 세계인식은 70년대 문학비평의 근대적 담론으로부터 문학을 자유롭게 해방시키는 힘을 생성하며, 이러한 힘을 통해 타자와의 연대 가능성을 문학적인 방법으로 성취한다. 김종철이 그의 문학비평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변화와 과정 속에 있는 현실과 관계를 맺는 문학이며, 그러한 현실 경계를 넘어설 수 있는 문학의 가능성이다. 그는 문학에는 구조로 환원될 수 없는 구체성의 영역이 존재함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현실과 문학을 생생하게 살아있는 관계의 지평 위에 올려놓으려 한다. 문학의 구체성에 대한 김종철의 강조는 산업화와 노동소외라는 근대 산업 사회의 변화 속에서 공적 영역이 상실되고 자율적 인간의 소멸하여사회의 공적 기능이 마비된 사회적 현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학에 대한, 혹은 문학을 통해 보여주는 삶의 구체성에 대한 그의 감각은 문학이나 삶을 이야기하는 언어가 추상적인 개념이나 개념적 표상으로 전환되는 것을 중지시키곤 하는데, 이러한 점은 70년대 후반 문학 비평의 주요 논점이었던 ``제3세계 문학``에 대한 서술에 있어서도 나타난다. 김종철의 ``제3세계 문학론``은 민족주의.민중주의에 기반하고 있는 당대의제3세계 문학론의 담론적 경향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그것은 그가 민족이라는 특수한집단, 혹은 민중이라는 특수한 계층 및 계급이 아니라 인간이라는 보편적 존재에 관심을 보인다는 점이다. 김종철은 제3세계 문학에 등장하는 억압받는 민중들에게 민족이나 민중과같은 집단적 개념으로 그들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타자적 존재로서그 누구도 대신하거나 교환될 수 없는 보편 존재로서의 인간성을 그들에게서 발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임을 강조한다. 그것은 사회로부터 밖으로 내몰려 있는 타자를 가시적인 세계로 현상하는 일, 다시 말해 공적인 관계로 타자와 마주하는 것이야 말로 새로운 세계의 열림을 현시하는 것이며, 이러한 생생한 관계의 변화 속에서 개인적 수준이 아닌 세계의 전체적인 구조 변혁에 준하는 인간 해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이다. 끊임없이 추상적인 개념과 언어의 세계에서 구체적인 삶의 세계로 내려가서 타자와의 생생하게감각할 수 있는 ``살아있는 관계``를 회복하려는 그의 문학적 노력은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Kim Jong Cheol`s criticism in the literary discourse of the 1970s. Kim recognizes the whole world as very variable in his criticism, which means he considers the world as relational horizon, not as a static object. Such recognition of the world gives the power to liberate literature from the modern discourse of literary criticism in the 1970s. Furthermore, he achieves aliterary way to create solidarity with others through literary power. He emphasizes the ability to relate literature to variable reality and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the limit of reality. In addition, his emphasis on concreteness within literature is connected to social reality, where the publicfunction is paralyzed because of industrialization and alienation of labor. In particular, while discussing the literary theory in the third world, he attaches importance to identifying the others as the universal existence relatively to identifying the others as the collective concept such as ethnic groups or the public. It is because he insists on the possibility of human liberation at the level ofoverall structural change. In this way, the others will be able to appear to the visible world. The meaning of reflection on his literary criticism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 KCI등재

        논문 : 시적 주체의 탄생과 경성 아케이드의 시적 고찰 ; 30년대 모더니즘 문학과 장 콕토 예술의 공유점에 대해서

        김예리 ( Ye Rhee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9 No.-

        한국의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을 특징짓는 것 중의 하나는 시인의 자기탐구, 혹은 문학의 자기반영성이라는 테마가 중요한 문제로 제시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학의 자기반영성은 근대 미학의 미적주체성의 확립에 근거한다. 외부 현실에 대한 미메시스로 규정되었던 문학 혹은 예술은 이제 ``자기``를 표현하고, ``자기``를 재현한다. 그런데 이렇게 ``자기``를 지시한다고 했을 때에는 필연적으로 발화주체와 발화행위 주체 사이의 분열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러한 분열의 경험 속에서 언어라는 상징의 그물망으로부터 후퇴하여 스스로의 정체성을 파열하고 재구성하는 시적 주체가 탄생한다. 김기림의 ``움직이는 주관``은 특정한 정체성으로 보호받고 있는 사유 주체로서의 단일한 인격성을 완전히 해체시켜 끊임없는 정체성의 파열을 야기하는 것으로, 유동하는 현실을 사유하고 포착하기 위해 김기림이 새롭게 제안하고 있는 독특한 주체론이다. 즉, ``움직이는 주관``이란 전통적인 저자의 지위를 대신하는 텍스트 주체에 대한 김기림 식의 호명이며, 예술이라는 제도나 특정한 이념에 갇혀있는 자폐적 주체 개념의 파기라고 할 수 있다. 김기림의 이러한 주체론은 장 콕토의 ``각도`` 개념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장 콕토 예술과 관련하여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에서 시적 주체가 탄생하는 지점을 살펴보며, 실재와 허구, 삶과 예술의 경계를 무화하는 텍스트성의 맥락 속에서 30년대 모더니즘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테마라 할 수 있는 거리 시학의 문제를 콕토의 ``각도`` 개념과 함께 논의해보았다. The theme known as the self-enquiry of a poet or the self-reference of literature is the one of the characteristic trends of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And the self-reference of literature is based on the establishment modern aesthetic subjectivity. Before literature and art is regarded as the mimesis of the outside world, but now it represents itself. When it indicate oneself, it must be split inevitably. And the subject of poetic subject comes into being who bursts and rebuilds self-identity by withdrawing oneself form a web of the symbolic in the experience of the division. Kim Kirim`s peculiar concept called moving subject is defined as constant burst of self-identity a specified identity protects single personality as a cogito. Namely, moving subject is a kind of modern text-subject and the destruction of the concept of the autistic subject that has been confined in the system as art and the idea. His concept called moving subject is relevant to the angle of Jean Cocteau.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ain the meaning of poetic subject and, under such an account, to reconstruct the poetics of the Kyoungsung stre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