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비유아교사가 회상하는 어릴적 따돌림 경험에 따른 인식 및 유아교사 인식과의 비교

        김유화(Kim You hwa)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따돌림과 관련된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하는 유아교사와의 차이를 비교하고, 반성(reflection)해보지 않았던 어린 시절의 따돌림과 관련된 어떠한 경험들이 있고, 그것이 현재의 유아 따돌림에 대한 인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예비교사는 유아 학급 따돌림에 대해 교사의 책임을 높게 인식한 반면 따돌림 문제 지도와 관련한 효능감을 낮게 인식하여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있어 유아따돌림과 관련된 교육이 필요함을 밝혔다. 유아교사의 따돌림에 대한 인식과 비교해 본 결과 유아 학급의 따돌림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는 정도와 유아 따돌림 문제에 교사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있어 유아 따돌림 관련 사례수집을 통한 실질적 사례 중심 교육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따돌림과 관련된 어린시절 직접 경험을 가진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사의 책임 및 개입을 높게 인식했다. 또한 따돌림 피해 및 가해를 가진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유아 따돌림의 심각성이나 관심을 다소 높게 응답하긴 했지만 뚜렷하게 유의마한 차이는 없었다. 자신의 경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반성해보는 기회가 없을 경우 그 경험이 무의미할 수 있으므로 직전교육에서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고 반성해보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related to bullying, and compared how is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bullying, what experiences related to group bullying they have had during their own early childhood with no reflection, how that relates to the current awareness on early childhood bullying, and how it differs from actual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act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the resul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teacher to be high while recognizing the efficacy related to guidance of bullying issue to be low, which revealed that an education related to early childhood bullying is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lso,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suffered from group bullying according to experiences in their own early childhood responded a little higher for the severity or interest level for early childhood bully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out an opportunity to reflect upon one s own experience with interest, that experience may be meaningless, so an effort to interpret and reflect upon one s own experience would be necessary in a previous education. Also,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n bullying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of severity of bullying issue of early childhood classes and the degree of teacher responsibility on early childhood bullying issues. As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 education centering on practical cases through collecting ca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bullying and an education on the role of the teacher would be necessary.

      • KCI등재후보

        방문교사 및 부모가 인식한 저소득 가정 영유아를 위한 가정방문 문학 프로그램의 효과와 기대

        김유화 ( You Hwa Kim ),김지영 ( Ji Yong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아동복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영유아와 부모를 위한 가정방문 문학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방문교사와 부모가 인식한 효과를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고 가정방문 문학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반구조적 면담법을 이용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문교사가 높게 인식한 효과로는 ‘책을 읽을 때 감정이입적인 반응을 보인다’, ‘교사의 설명이나 지시를 잘 알아듣는다’가 많았다.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 대상 문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잠재력에 주는 효과를 증명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내용구성방향에 시사점을 가진다. 참여부모가 인식한 효과로는 정서적인 면을 지적한 부모가 많았다. 인지적인 면외에 사회·정서영역 면은 프로그램의 장기적 효과로 의미있게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반구조적 면담법을 이용해 방문교사가 인식한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책을 좋아하게 되었다’는 것과 ‘글을 읽고 쓰는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 ‘선생님에 대한 애정표현이 많아졌다’는 것이었다. 방문교사가 프로그램에 기대하는 바로는 부모의 참여를 더 기대했다. 부모는 프로그램의 효과로 집중을 잘 하게 되었다는 것, 당장 변한 것은 모르겠지만 ‘공부’시켜주니 좋다는 것, 아이의 놀이문화가 바뀌었다는 것, 책을 좋아하게 되었다는 것을 프로그램의 효과로 이야기했다. 그리고 기대하는 바는 ‘더 공부시켜주기’가 있었다. 방문교사가 프로그램 자체의 목표에 충실히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반면 부모는 추가적으로 표면에 드러나는 형식적 인지학습을 기대했다. 이에 근거해 가정방문교사교육프로그램의 수정보완이 이루어져야 하며 프로그램이 가지는 가치있는 영역의 효과에 대한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home-based literature programs for children and parents in low-income families that were recognized by visiting teachers and parents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were analyzed through surveys. The overall effects and expectations of home visit programs were examined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1) how teachers recognized the effects of the home-based literature program by visiting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2) how parents recognized the effects of the home-based literature program by visiting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nd 3) how visiting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all the effects and expectations of the home-based literature program. As a result, ‘child shows reaction when reading a book,’ ‘child shows empathetic reaction when reading a book,’ ‘child well understands explanation or direction of teacher,’ and ‘child became friendly with visiting teacher’ were found to be the effects most recognized by visiting teachers. The effects recognized by participating parents were ‘child enjoys stories in books,’ ‘child well understands explanation or direction of adults,’ and ‘child became friendly with visiting teach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effects of the programs based 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children were found to be ‘attached to books,’ ‘interested in reading and writing,’ and ‘more expressive of their affection towards teachers.’ The visiting teachers expected greater participation from the parents. In regards to the effects of the programs, the parents said that the children could concentrate better and although they did not exhibit many changes, nevertheless they were ‘studying,’ changing their play cultures, and coming to enjoy books. They expected the children ‘to study more.’ While the visiting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similar effects based on identical tendencies, they had different expectations. Contrary to the visiting teachers who expect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s, the parents expected formal cognitive learning to be exhibited. Therefore, the home visit teacher education programs must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such results, and parents must also be educated on the valuable effects of the programs.

      • KCI등재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김유화(You-Hwa Kim),곽영숙(Young-suk Kwa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드림스타트에 참여하는 저소득 가정의 유아들을 위해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균형적 언어교육의 기본 관점 및 교수학습방법의 특징을 기초로 하였으며 교수체제 개발의 일반적인 모형인 ADDIE에 근거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관점에서 총체적 그림책 읽기와 구조화된 읽기, 쓰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내용,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등의 교수학습방법, 교수학습평가체제가 제시되었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2015년 6월부터 11월 초반까지 드림스타트에 참여하는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유아 읽기 발달 검사, 교사 저널, 부모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적용된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유아들의 읽기 발달에 있어서 향상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교사저널의 질적 분석 결과 책 선호도, 글자에 대한 관심, 개별화된 언어교수법의 효과성 등 문해 발달의 기초적 능력의 향상에서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관점에서 저소득 가정 유아의 문해 발달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실행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 language education program model - based on balanced language education approach - on development of literacy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specially participating in Dream Start public welfare service. Development of this languge education program was based on the basic view and characteristis of balanced language education. It was progressed in accordance with Analyze-Design-Develop-implement-Evaluate(ADDIE), which is an widely-u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reading skills of picture books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and well-structured reading and writing sequenc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cluding the principles and the strateg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atic evaluation method are proposed in viewpoint of balanced language teaching approach.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targeting 20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Dream Start welfare service from June 2015 until early Novemb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ord reading inspection and nonsense word reading inspection developed by Ko, Yeon-Kyung(2002) were performed. The reflective thinking journal of visiting teachers and the satisfaction reported by parents were analys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reading skills of young children were improved. The superiority of the program - prefernce for the picture book, interests in written languages,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language education method – was demonstrated by qualitative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n presenting the executable language education model for literac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based on balanced language education approach.

      • KCI등재후보

        저소득층 유아 문학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에 대한 탐색

        곽아정 ( A Jung Kwak ),김유화 ( You Hwa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2

        저소득 가정의 유아는 빈곤으로 인해 성장과 발달에 여러 가지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A시 드림스타트 사업의 지원을 받아 저소득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이야기 다시 말하기, 이야기 예측하기, 책표지 만들기와 같은 문학교육 활동을 가정방문교사에 의해 일대일로 실시하는 문학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이후 나타난 저소득 가정 유아의 문학적 반응을 질적 접근을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이야기 구성의 결속성 증가, 등장인물 행동의 유기적 연결이 드러났다. 또한 이야기 구성의 도입부를 스스로 시작하는 것, 이야기 구조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는 것, 등장인물, 문제, 해결에 관한 이해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 했다. 그 외에도 인쇄물 개념의 이해, 대사 구연을 통한 의미전달력 향상, 문학교육활동에 대한 거부감 감소와 문학교육활동에 대한 집중도 증가를 나타냈다. The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re influenced negatively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by poverty.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reading story book, retelling the story and predicting a story, delivered by the home-visit teacher on face-to-face basis. This study also analyzed response to the literature of the young children in low-income class famili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hesion of story construction, organic connection of the behaviors of characters and understanding of story structure, character, problem and its solution. Also they showed decrease in the repulsive feeling against the literature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crease in concentration ability. In addition, they showed the enhanced ability in delivering the meaning of the story through narration.

      • KCI등재

        20대 여성의 내의류 상표 선호도와 구매시 평가기준

        김은영,김유화,권수애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7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ition structure and the brand image in underwear marke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preference and evaluation criteria on purchase among the age of 20's females. The samples are composed of 591 females aged 20's in cheong-ju city. For data analysis, MDS, ANOVA,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as; Brand group Ⅰ 〔BYC·Try·Vicman〕 was positioned on the dimensions of casual/classic image, brand group Ⅱ 〔BodyGuard·DonandDons·schaolphio·x-zon〕 was positioned on the dimension of casual/fashionable image, and brand group Ⅲ 〔Wacor·Venus·Ravora〕 was posiotioned on the dimension of elegant image. Brand preference in groupⅢ was the highest, and brand prefere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Customers who prefer the group Ⅰ evaluated useful and management attributes the most and customers who prefer the group Ⅱ, considered economical and esthetic arributes for purchasing underwaer. Also, customers who prefer the group Ⅲ, evaluated the esthetic appreciational quality, the functional quality, and the brand-symbolic quality. Also, the influence of advertisement is most effective to purchase underwears. A main source of information is the broadcast medium such as TV or radio. The main store types on purchase were types like a department store and underwear special st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