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타당도 탐색: 후기 실증주의 타당도

        서재성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1

        In the context of post-structuralism,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new concept of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dealt with in pedagogy is accepted and applied to dance qualitative research. A new concept of validity in dance quality research is being presented, and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criteria in qualitative research a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ism and post-positivism. Second, it is to find out the criteria for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Third, it explores the alternative validity of dance education and presents the validity based on post-positivism. Even if the attributes of validity itself are challenged through research, the core of useless research is validity. Dance education researchers should use appropriate validity tools for creative art styles and aesthetic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world. Post-positivism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the body will be able to provide effective standard frameworks and research methods to researchers related to art. The validity characteristic based on post-positivism is that it does not fix the framework of research in dance qualitative research, but is flexible and not bound by a standard framework and is creative feasibility. The attribute of the post-positivism validity to creativity can be a validity suitable for dance qualitative researchers whose body and mind are research-oriented. 탈구조주의적 맥락에서 교육학에서 다루어지는 질적 연구에서의 새로운 타당도 개념을 무용 질적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적용되는지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무용 질적 연구에 있어 타당도의 새로운 개념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기준을 실증주의와 후기 실증주의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의 준거를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무용 교육의 대안적 타당도를 탐색하고 후기 실증주의 기반한 타당도를 제시하는 것이다. 타당도 자체의 속성이 연구를 통해 도전받을지라도 무용질적 연구의 핵심은 타당도라 할 것이다. 무용 교육 연구자는 창조적인 예술 양식과 세상을 이해하는 심미적 방법에 대해 적합한 타당도 도구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후기 실증주의 연구와 몸에 대한 이해는 예술과 관련된 연구자들에게 효과적인 규준적 틀과 연구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후기 실증주의 기반한 타당도 특징은 무용 질적 연구에서 연구의 틀을 고정시키지 않고 유동적이면서 규준적 틀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 실현 가능성에 있다. 후기 실증주의 타당도의 창의성에 대한 속성은 몸과 마음이 연구 중심인 무용 질적 연구자들에게 적합한 타당도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법의 효력: 요건과 효과를 중심으로

        최봉철 한국법철학회 2014 법철학연구 Vol.17 No.3

        이 논문은 효력론의 기초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그 이유는 혹시라도 효력론에서 우리가 잘못 이해하는 바가 있었다면 그것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법적 효력의 요건과 효과에 대해 살폈다. 먼저 법개념론을 4분하였다. 자연법론을 양분하여 강한 자연법론과 약한 자연법론으로 나누었고, 법실증주의도 양분하여 포용적 법실증주의와 배제적 법실증주의로 나누었다. 법적 효력이란 법으로서의 효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요건 구성에서 법이론은 양분된다. 하나는 가치론적 효력론을 기본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체계적 효력론을 기본으로 한다. 이에 따라 법적 효력이 있다는 판단의 의미 또한 양분된다. 강한 자연법론은 도덕적인 심사를 법적 효력 여부의 판단과정에 포함시키기 때문에 법적 효력이 없다는 것은 법적인 의미에서나 도덕적인 의미에서나 준수할 의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머지 법이론들은 체계적 효력을 위주로 심사하기 때문에 어떤 법의 내용이 반도덕적이라고 할지라도 도덕성을 체계내적 기준으로 수용하지 않는다면 법적 효력은 인정되지만, 도덕적 효력은 부정될 것이다. 이 4가지 법이론은 악법에 대해 도덕적 준수의무를 부정하는 데 일치하지만, 강한 자연법론을 배제한 3가지 이론은 그 내용이 사악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게 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강한 자연법론은 강한 효력개념을 나머지 이론은 약한 효력개념을 채택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basics of legal validity.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of my research is to make the conceptual misunderstandings in the field of legal validity correct if there are any. It concentrates the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and effects of legal validity. Assuming that different legal theories would adopt different conceptions of legal validity, this paper classifies the theories of the concept of law into four categories; strong natural law theories, weak natural law theories, inclusive legal positivism and exclusive legal positivism. While the former theory takes the axiological validity when judging whether a law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legal validity, the latter three theories adopt the systemic validity. Strong natural law theories include some morality requirements in testing the satisfaction of the legal validity. When the last three theories test whether a law satisfies systemic validity, even extremely unjust law can be judged to be valid law, though its moral validity might be denied. In conclusion, though all four theories agree to deny the moral obligation to obey evil laws altogether, the three theories of law excluding strong natural law theories allow us to judge those to be legally valid.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strong natural law theories adopt strong conception of legal validity while the three do weak conception.

      • KCI등재

        Clinical Validity of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in Dementia: A Univariate and Multivariate Methodological Comparison

        곽세열,김근유,박수미,오다영,Hairin Kim,이다솜,이준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2 No.4

        Previous studies have documented validity evidence of neuropsychological measures in the assessment of dementia. However, known cognitive test measures were mostly validated as separate measurements rather than asconstituents of a whole battery. In this study, the neuropsychological battery (CERAD-K) and neuropsychiatric measures were acquired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of Alzheimer’s Disease (AD), and Vascular dementia (VD). The assessment measure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were used to predict two validity criteria: dementia severity (CDR) and dementia type (AD or VD). A correlation between a single test measure and the target criteria indicated univariate validity, whereas relative impor- tance amo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indicated the multivariate validity of a single measure as a constituent of the battery. We identified that test measures including the Boston Naming Test, Trail Making Test, and Word List Recall were predictive of the clinical outcome criteria as univariate validity; however, this strength of association did not remain consistent when evalu- ated in terms of multivariate validity. Regarding the multivariate validity, measures including Word List recognition, and neu- ropsychiatric impairment showed robust validity. This contrasting validity indices betwee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frame- works may be owing to shared information between other measures, which can distort the conclusions of validity evid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validity of a neuropsychological test differs as a function of the target criteria and whether ad- ministered as a whole batter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validity of a neuropsychological measure differs as a function of the criteria of clinical context and whether tested under a comprehensive battery.

      • KCI등재

        자연과학편 : Messick의 타당도 관점에서 한국성인용 비만위험측정척도의 외적타당화

        김세형(SaeHyungKim)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5

        비만을 일으키는 주요인으로 밝혀진 신체활동, 식습관, 심리, 유전의 위험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세형(2011)은 한국성인을 대상으로 비만위험측정척도(ORMS)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개발과정에서 검증된 타당도만으로 척도를 일반화하는데 많은 제한점을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타당화 연구의 분석틀로 사용되고 있는 Messick(1989)이 제시한 6가지 타당도 중에서 외적준거에 기초한 타당도와 검사 결과에 기초한 타당도를 통해 외적타당화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화된 비만측정치인 한국성인 체질량지수(BMI) 범주(정상, 과체중, 비만)를 준거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외적준거에 기초한 타당도와 검사결과에 기초한 타당도를 검증하기위해 SPS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외적준거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식사습관, 간식습관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신체활동, 식탐, 심리, 유전)의 측정치는 BMI 범주에 따라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검사 결과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로지스틱회귀계수와 승산비의 유의성으로 판단할 때 신체활동과 유전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은 모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ORMS를 수정, 보완하여 한국성인에게 적합한 비만위험측정척도 개발이 요구된다. Obesity Risk Measurement Scale(ORMS) was developed to measure property of obesity risk attitude for Korean adults. The ORMS consisted of six factors that are physical activity, meal habit, snack habit, gluttony, psychology, and heredity. Although it was developed and verified validity, it was not verified external validity to use gener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xternal validity of the ORMS. This study used the external aspect of validity and the consequential aspect of validity in Messick`s six validity. The Korean adult`s Body Mass Index(BMI) category(normal, overweight, obesity) was external aspect of this study. One-way ANOVA was used to establish the external aspect of validity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stablish the consequential aspect of validity evidence of the ORMS. The SPSS program was used and all alpha level was set at 0.05. The result of analysed the external aspect of validity indicated that factors of the physical activity, the gluttony, the psychology, and hered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MI category. The result of analyz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o verify the consequential aspect of validity determined that all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actors of physical activity and here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ORMS sh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increase external validity.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in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정윤철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2

        The research problem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Generally it is said that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Criticizing the inverse relationship, the study supports that generally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The main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view. The main materials are books and journal articles which are related with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validity especially. First of all the study brings out the problems which are incurr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verse relationship. Then the author makes 2 arguments against the inverse relationship. That is, first there is no empirical data for the inverse relationship and the inverse relationship comes from the background of clinical research which is very different with educational research. Second, according to the logic of inverse relationship lab research is apt to have high internal validity and low external validity and field research is apt to have low internal validity and high external validity. However, Dipvoye et al. verified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lab and field research, that is,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Also the author makes 2 arguments for the direct relationship. That is, first there are very similar threats to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So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controlling the same threats at the same time. Second, there is high probability that the representativeness of sample could be sustained or increased through the control of critical factors. That is, the lab research could have high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through even controls.

      • KCI등재

        한국 청소년 말더듬 검사 도구 개발 연구 (KAST) : 구어 유창성 평가를 중심으로

        신명선,김효정,장현진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 Although adolescents who stutter (AW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peoples who stutter (PWS), there is no stuttering test tool for them in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 Korean Adolescent Stuttering Test (KASA), which is a test for AWS, and to analyze the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specialists who had majored in speech-language therapy and who had clinical or teaching experience of more than 10 years for the assessment of content validity. To measure facial validity, 20 students participated (10 middle- and 10 high school students).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were rated on a 5-point scale. First, the content validity index was calculated, then the facial validity result was obtained for each group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genders. Results : First, 6 reading materials for reading task, 55 questions in 11 question types for answering task, 25 scenes for scene speaking task, and 25 topics for topic story task were selected for the spoken fluency task. Second,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showed that the overall CVI was over .80, which showed high validity. There were relatively low-rated items and expert's suggestions. Third, there was a need to revise the items with relatively low facial validity, and high difference item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between gender. Conclusions : The development of the KAST tasks and items and the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process made it possible to develop a valid stuttering test for AWS.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items on both sides of the examiner and the subject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test tool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process for ensuring the validity of the test tool. Subsequently, KAST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process should be continued. 목적 : 말더듬 청소년은 말더듬 아동이나 성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도 불구하고 이들만을 위한말더듬 검사도구는 국내에 없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청소년용 말더듬 검사인 한국 청소년 말더듬 검사(Korean Adolescent Stuttering Test: KASA)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검사의 하위 검사인 구어 유창성평가를 위한 과업과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분석을 통해 문항을 수정하고자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내용타당도 측정을 위한 언어치료를 전공하고 치료 또는 강의 경력이 10년이상인 전문가를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안면타당도 측정을 위해서는 중고등학생 각 10명씩 20명으로 하였다(남 10명, 여 10명).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는 개발된 문항을 제시하고 타당한 정도를5점 척도로 응답하게 하였고, 내용타당도는 내용타당도지수를 산출하였고, 안면타당도 결과는 중고등학생 각 집단과 성별 집단의 평균을 구하였다. 결과: 첫째, 구어유창성 과업으로 읽기과업을 위하여6개 읽기자료, 질문에 답하기 과업을 위하여 11개 질문유형의 55개 질문, 장면말하기 과업을 위하여25개의 장면, 주제이야기 과업을 위하여 25개 주제를 선정하였다. 둘째, 내용타당도 결과 전반적으로CVI가 .80이상으로 나타나 높은 타당도를 보였고, 상대적으로 낮게 평정된 문항과 전문가의 수정제의가 있었던 문항이 있었다. 셋째, 안면타당도 결과 전체적으로 안면타당도가 낮은 문항, 중고등학령간, 남녀 성별간에 편차가 크게 나타난 문항의 수정 필요성이 있었다. 결론: KAST 문항 개발과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 과정을 통해 국내 청소년에게 보다 적합한 문항으로 수정개발이 가능하게되었다. 검사도구의 개발과정에서 검사자와 피검자의 양쪽 입장에서 문항에 타당도를 검증하는 과정은검사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생각되며, 후속적으로 KAST 검사도구개발과 표준화 과정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영은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rstly introduce a sexual harassment scale for use in relation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Yeungeun Lee & Yeunghee Kim, 2008), and secondly, to prove its valid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latter goal, the researcher analyzes the scale according to criterion-related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finally cross validity. These three measures of validity, indicate that this measurement tool is indeed a reliable one for the measurement of sexual harassment. In addition, this research confirms both the usability and the potential for generalizing the use of this tool in future work. 최근 이영은과 김영희(2008)에 의해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충분한 측정학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신뢰도분석 뿐 아니라 다양한 타당화 연구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준거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분석하였다. 준거관련타당도는 외적준거로 성희롱 경험 유무(24번 문항)와 성적불쾌감정도를 통해 살펴 본 결과 준거관련타당도가 일관성 있게 지지됨을 나타내었고, 수렴타당도는 성희롱 척도와 부정적 정서 및 성희롱 허용태도와의 관련성 여부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두 척도 모두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관계수가 높지 않은 편으로 수렴타당도 검증에 다소 제한점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을 시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전반적 부합지수가 적절한 수준의 값을 보여 구성타당도가 지지되었음을 시사하였다. 이와 같은 타당화 검증을 통해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가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으며, 그 유용성과 일반화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신체활동참여 대학생을 위한 자아탄력성측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기범(Kim Ki-Beom),김세형(Kim Sae-H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1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No.1

        There are many scales to measure ego-resiliency but those are not verified validity and doesn't have stability of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resilienc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 participating sport activity. This study applied that the ego-resiliency scale was developed by Klohenn(1996) and verified validity. The 4-factor 24-item was developed by evidence based on test content. AMO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cale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ICR(Internal Composite Reliability) and AVE(Average Variance Extracted) must have more optimum standard(ICR≥.70, AVE≥ .50). The result was not satisfied goodness-of-fit(GFI=.860, RMSEA=.062, CFI=.903, TLI=,914). The factor was not satisfied optimum standard of ICR and AVE, the 6-item that showed small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was eliminated to increase goodness-of-fit. The 4-factor 18-item was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convergent validity. The result satisfied goodness-of-fit(GFI=.900, RMSEA=.062, CFI=.917, TLI=,930). The 4-factor was satisfied optimum standard of ICR and AVE.

      • KCI등재

        타당도 분석을 위한 평가적 접근 모형

        이원석(Wonsuk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타당도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연구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모형, 즉, ‘타당도 분석을 위한 평가적 접근 모형’을 제시한다 1970년대 이 후, 많은 타당도 이론가 들은 타당도에 대한 전통적 관점의 한계를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통합적 관점으로 대변될 수 있는 타당도에 대한 새로운 이론들이 점차 학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타당도에 대한 대부분의 현장 연구들은 전통적 관점에 따라 수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적 관점의 특성들, 다시 말해, (1) 모든 타당화의 원리로서의 구인타당도, (2) 가치(value)와 검사 활용 결과(consequences)에 대한 명시적 고려, (3) 모든 가능한 증거들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적 판단, (4) 평가(evaluation)로서의 타당화 과정을 연구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모형을 제시한다. 또한, 본 평가적 접근 모형이 실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를 SAT 논술시험의 타당도 분석 계획을 통해 살펴본다 This article presents a framework for applying the unified view on validity to validation practice, i.e. 'the evaluative approach to validation'. Since the 1970s, many validity theorists have realized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view on validity, and reached an agreement on new concepts of validity, which can be called the unified view on validity. However, the majority of validity studies in practice have still been performed according to traditional validity approaches. Therefore, the evaluative approach to validation is proposed as a framework for validation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ed view, that is, (1) construct validity as the rationale of whole validation, (2) the explicit consideration of values and consequences of test use, (3) unified evaluative judgment through all sources of evidence, and (4) validation process as evaluation. This evaluative approach is illustrated through an example, that is, a study plan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SAT essay.

      • KCI등재

        심리측정도구의 타당도에 관한 새로운 개념과 검증방법

        오수학,김병준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3 No.3

        타당도는 심리측정도구의 고유속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자료 해석의 적절성, 적합성 및 의미성의 정도를 의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타당도의 새로운 개념이 무엇인지를 전통적인 개념과 비교하여 설명하고, 새로운 개념을 활용한 심리측정도구와 타당화 절차 및 검증방법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타당도의 새로운 개념은 단일성, 통합성, 다양성 등의 특성을 나타내며 전통적인 타당도의 개념을 부인한다. 심리측정도구를 개발할 때 새로운 개념을 적용하여 이전 보다 더욱 강력한 타당화 절차와 검증 방법들이 동원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타당도 개념을 반영한 삼단계 타당화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새로운 도구의 개발, 한국어 번역판 도구의 개발, 원본 도구의 변형 사용의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어떠한 타당화 검증방법을 적용해야 하는가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introduce new concept of validity and (b) to suggest some guidelines so that researchers effectively implement its concept for developing psychological assessment instruments in sport science. The traditional concept of validity is known as content, construc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hereas new concept of validity is not considered separate and distinct forms. That is, the varieties of validity evidence are not alternative but supplemented. Validity is not the property of an instrument but rather the meaning of test scores.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inferences for validity from test scores, but not types of validity. In this paper, the validation procedure was outlined to help researchers to develop new, translated, and modified sport psychological measures with sound evidence of val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