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가활동 제약, 대학생활적응,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김흥렬 한국호텔관광학회 2010 호텔관광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tries to examine and analyze relationships of leisure constraints,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about the effect relationship among leisure constraints,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 in Korea, leisure constraints showed its positive effects on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 factors of intrapersonal constraint and structural constraint were the only significant influence on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of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cond, it showed that university life adjust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e factor of emotional adjustment except social and academic adjustment factor was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 in Korea.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인성함양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진정아 ( Chen Jing Ya ),고영춘 ( Ko Young Ch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적응이 자아탄력성과 인성함양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즉, 대학생활적응이 자아탄력성이 인성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요인인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고,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 Sobel 테스트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의 자아 탄력성, 인성함양과 대학생활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과 인성함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도 인성함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을 통해 인성함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인성함양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이 모두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인성함양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개별 요구를 파악하여 맞춤형 학습 지원, 심리 상담, 신체 건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생활적응을 개선하고 대학생의 인성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ping, and Sobel test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character development,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character development,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aracter development. Self-efficacy was found to indirectly influence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urthermor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ct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for university stud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ing tailored learning support,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physical health programs based on individual needs, can improve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foster their character development.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도정임 ( Do Jung-nim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 판단되는 27부를 제외한 318부가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의 3가지 변인으로 전공만족도는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을 하위요인으로,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신뢰도와 친밀감을 하위요인으로, 대학생활적응은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교환경적 적응을 하위요인으로 총 40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위한 상관분석,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요인별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력과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관계만족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교과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사회적 적응과 대학환경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교과만족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신뢰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대학환경적 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신뢰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 전공만족의 총점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 요인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무용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만족스러운 교과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수는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격과 자질, 실력을 겸비해야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5 students major in Dance in universities located at capital area selected. 27 unreliabl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18 remained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have forty questions regarding three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re General satisfaction, recognition satisfac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re reliability and intimacy. Sub-factors of adjustment of school life are affective reacti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was conducted to find an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with its sub-factor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Detailed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relationship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adjustment, a sub-factor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tatistic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2. Amo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nly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hen compari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four sub-factor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3.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4. Overall score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In conclusion, major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partially but strongly depending 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chool life, appropriate and satisfactory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nd the faculties should be personable, well qualified and competent to build trust with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이서정(Lee Seo Jeong)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8 교정상담학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남녀 대학생들이 건강한 대인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을 하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성숙하기 위해서 어떤 조력이 필요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부권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318명에 대한 자료가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 보면 첫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대학생의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 상황에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특히 자아를 통합하고 정서적으로 인지분화를 하고 있었으며, 가족퇴행이 낮을수록 대인관계 문제가 적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학생활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셋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대학생들이 다양한 인간관계를 통해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때 대학생활 적응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 해결능력도 높고,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다는 서로 상관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e which support was needed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form healthy relationships, well-adapt to school life and furthermore, come to maturity social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relation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For achieving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1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f 4-year universities situated in Chungbu reg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f students in univers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implies that as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mproves, they have sources to deal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ctively. They especially have l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s they integrate egos, and are able to perform cognitive-differentiation emotionally and experience less family regression. Second, the survey of students in univers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dicating that they can adapt to university life better, as they have a high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Third, the survey of students in univers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relationship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is indicates that levels fo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rise as university students maintain variou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how to improve a self-differentiation level for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of university students, and made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es.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존감, 삶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고태순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4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bu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Second,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Breaking analysis down to sub-factors fo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major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presence of meaning and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 by self-esteem and stress; academic adjustment by self-esteem, stress, and presence of meaning.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verall was affected by self-esteem, stress, and presence of meaning.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efforts to lower students’ stress levels and enhance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in order to encourage bette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존감, 삶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442부의 질문지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Pearson의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활적응은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는 반면에 자존감 및 삶의 의미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와 자존감 및 삶의 의미는 대학생활적응을 설명한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구체적으로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별로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의미발견과 스트레스,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존감과 스트레스,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존감과 의미발견, 스트레스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존감, 의미발견,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자존감 및 삶의 의미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도정님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 판단되는 27부를 제외한 318부가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의 3가지 변인으로 전공만족도는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을 하위요인으로,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신뢰도와 친밀감을 하위요인으로, 대학생활적응은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교환경적 적응을 하위요인으로 총 40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위한 상관분석,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요인별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력과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관계만족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교과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사회적 적응과 대학환경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교과만족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신뢰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대학환경적 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신뢰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 전공만족의 총점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 요인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무용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만족스러운 교과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수는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격과 자질, 실력을 겸비해야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5 students major in Dance in universities located at capital area selected. 27 unreliabl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18 remained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have forty questions regarding three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re General satisfaction, recognition satisfac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re reliability and intimacy. Sub-factors of adjustment of school life are affective reacti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was conducted to find an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with its sub-factor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Detailed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relationship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adjustment, a sub-factor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tatistic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2. Amo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nly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hen compari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four sub-factor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3.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4. Overall score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In conclusion, major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partially but strongly depending 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chool life, appropriate and satisfactory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nd the faculties should be personable, well qualified and competent to build trust with students.

      • KCI등재

        미술치료 전공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영두,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mediating effects on life stress and adaption to university life i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Subjects comprised 335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t universitie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Provinces. We used lif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 scale, ego-resilience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cale. We us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Scheffe-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o analyze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tudent life stress of univers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hereas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econd,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life stres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onfirmed that students can better cope with life stress i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re improv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 전공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미술치료 전공 대학생 335명이다. 연구도구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사회적 지지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술치료 전공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매개자원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킴으로써대학생활을 안정적으로 해 나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내ㆍ외향성의 조절효과

        김영희 ( Younghee Kim ),고태순 ( Taesoon K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ㆍ외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의 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및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내ㆍ외향성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 중 수행상황 관련 외상경험과 내ㆍ외향성은 대학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인이었다. 셋째,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 중 수행상황 관련 외상경험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내ㆍ외향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oversion-extraversion in the way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influence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352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d two-way ANOV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introversion-extravers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econd, performance-related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introversion-extraversion are factors that can explain the subjec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ird, introversion-extraversion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related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establishing programs to help university students adjust to university life better.

      • KCI등재

        외국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변인 연구: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이수경,정지혜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1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논문 중 총 16개의 논문에 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전체 대학생활 적응 변인 및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 적응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관련 변인은 Berry의 스트레스 대처 접근 이론에서 제시된 문화적응 과정 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화적응 조절변인을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관련 변인은 대체적으로 대학생활 변인 및 학업적·사회적·정서적·대학환경 적응 간에 상관관계에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각각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전체적으로 자아탄력성,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변인은 대학생활 적응과의 평균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focuses on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justment variable and its related variables of foreign students residing in South Korea. We selected such articles that relate to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from year 2000 to 2015 and processed a meta-analysis on two related variables. University life adjustment variable was divided into four sub-adjustment variables: academic adjustment, sociological adjustment, personal affective adjustment, and university environment adjustment. The results show acculturation moderating variables and university life variable with 4 sub-adjustment variables have average effect size. Each of cultural adaptation moderating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whole, ego-resilience was most related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variable. Variables such a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showed moderate effect size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variable. Lastly, the article concludes with limitations and contributions of the research.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University Freshmen's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the Public Value

        Seohyun Song(Seohyun Song),Younghee Pyo(Younghee Pyo),Jongpil Lee(Jongpil Lee) J-INSTITUTE 2022 Public Value Vol.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by examining whether it is effective for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student competenc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Method: As for the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freshmen in the natural science department of O University O located in in the metropolitan area. 1. To analyze as to whether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 validity of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and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fac-tors was verified, then the inter-individual effect was verified. 2. Group statistics were analyzed to analyze as to whether the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university freshmen's adaptation to the university life. 3. To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and the student competency enhance-ment, the O University’s 5L Core Competency Diagnostic Tool(2021) was used, and the competency evaluation scores for the 4 competencies except for L3 were compared on an ex ante and ex post basis. Results: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for Research Question 1 was verified to have an effect on the university freshmen's adaptation to the university life, and consequently, it was apparent that motivation is more important before publicity or program improvement for the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is as to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for Research Question 2 and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freshmen, the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as effective for all questions about university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for Research Question 3, it was apparent tha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related to the auditory per-sonality competency L1, future learning competency L2, and job-based competency L3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 competenc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related to the competency L5 needs to be improved for quality control to strengthen the student competency.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freshmen in the natural science department, and hence,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ing to all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studies, if factors such as segmentation by category and program learning efficacy are considered together, it will be possible to present a more specific way to activate the extracurricular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