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신화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mentalization on parenting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199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Seoul and a daycare center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earsons'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on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ntalizatio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ll the sub-factors of mentalization, excluding emotional awarenes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Among the sub-factors of mentalization, regulation of affect and non-psychic equivalence mode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regulation of affect was the largest predictive variable explaining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entalization-based program to reduce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positively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대인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대인관계 및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놀이성과 대인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학생 5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성 전체 및 하위요인인 재미신념, 주도성, 반응성, 비억제성, 즉흥성과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인관계 전체 및 하위요인인 대인인지, 대인정서, 대인행동은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주도성과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인 대인정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향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playful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playful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58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SPSS 2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layful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itiative, sub factor of playfulness and interpersonal emotion, sub 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metho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신화와 공감이 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 한국독서치료학회 2018 독서치료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신화와 공감 및 부모 효능감 간의 관계와 정신화와 공감 능력이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209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신화 질문지와 공감 질문지 및 부모 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신화의 하위 요인인 자기 성찰, 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신적 동등모드와 공감 및 부모 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신화와 공감이 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단계적 회귀 분석을 한 결과, 부모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신화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과 공감이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정서조절과 공감 능력을 향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어머니의 정서조절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동시제시와 순차제시의 그림이야기 제시형태가 유아의 사건기억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 한국보육학회 2007 한국보육학회지 Vol.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resentation methods using picture with narration on children"s event memory. Twenty-thre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novel event. The day before participating, children were: (l) presented with information about up-coming event in presenting consecutively without regard categorized with related actions; (2) presented with information simultaneously regard to categorized with related actions. In the results, information presented simultaneously led to better recall compared with presentation of information consecutively in case of the children"s memory of content and sequence of actions in the novel event.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simultaneously presentation in types of information, this finding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children"s event memory. 본 연구에서는 사건을 경험하기 전에 유아들에게 들려주는 그림이야기의 제시 방법에 따른 유아의 사건기억 수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Y 어린이집의 6세 유아 33명으로 그림이야기를 제시할 때 동시제시 형태로 제시한 조건에 참여한 유아는 17명, 순차제시 형태로 제시한 조건에 참여한 유아는 16명이었다. 동시제시 조건에 참여한 유아들에게는 사건에 관한 그림이야기를 목표활동을 중심으로 관련 있는 내용들을 묶은 자료를 제시하였고, 순차제시 조건에 참여한 유아들에게는 사건관련 내용들을 순서에 따라 차례로 구성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유아들에게 그림이야기를 들려준 다음날 유아들이 사건을 직접 경험하도록 하였다. 사건을 경험한 4일 후에 유아들의 기억수행을 평가한 결과, 동시제시의 조건에 참여했던 유아들의 사건기억 수행이 순차제시 조건에 참여했던 유아들의 사건기억 수행보다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이 사건을 더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특성이 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특성이 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56명이었다. 성인용 놀이성 척도와 성인용 창의적 성격특성 척도 그리고 부모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피어슨의 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특성 및 부모 효능감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어머니의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특성은 부모 효능감을 설명하는 유의한 설명변인이었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find out if playfulnes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i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have any influence on their parental efficacy.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256 mothers with 5-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layfulness scale for adults, creative characteristics scale for adults and Parental efficacy scale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layfulnes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efficacy. Second, mother's playfulnes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were reliable predictors of parental efficac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일상적 창의성의 매개효과

        고태순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일상적 창의성 및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놀이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상적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 일상적 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일상적 창의성은 놀이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향상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playfulness,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veryday creativity within effect of playfulnes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25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layfulness, everyday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Second, pre-service teachers’ everyday creativ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ithin effect of playfulnes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lan to improve the play teaching efficacy.

      • KCI등재후보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원인 분석

        고태순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03 협동조합경영연구 Vol.29 No.-

        The open market fund concentration on the banks, the decrease of the corporative finance demand, the continued low interest rate, the increase of the fund requirement demand for real estate, and the policy to promote credit card use have brought about the household debt increase since 1999. The consumption rise has caused household debt increase, and the scale of consumption expenditure is larger than that of income rise. It involves analyzing household debt increase to determine if the household debt levels and the household’s repayment ability is appropriate. The analyse has shown that the household debt levels and the household’s repayment ability is appropriate, but it has also shown that low income class and low age class have some problems. It has shown that the insolvency of the monetary circles is not possible, but in the case of some credit card company it is possible. The solution involves the program to enhance capital market, to check household loan, to stabilize real estate price, to protect low income class and low age class, to deal with people with bad credit status, and the plan to expand the scale of the corporative financing.

      • KCI등재후보

        아버지의 공감 능력과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김민화 한국독서치료학회 2018 독서치료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지원을 돕는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아버지의 공감 능력과 중학생 자녀의 긍정적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반영하여 중학생의 학교생활을 돕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함의를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6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아버지 공감 능력의 하위요인 중 정서지각, 관점수용, 공감 정서와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버지의 관점수용과 정서지각 및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였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는 아버지의 공감 능력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없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정서지각 능력과 관점수용 능력을 높이려는 노력과 더불어 동시에 중학생의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이려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