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정투쟁으로서의 부부갈등

        정연득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1 No.-

        이 논문은 악셀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투쟁 이론을 통해 부부갈등을 이해하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사회적 무시를 극복하고 새로운 상호인정 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는 인정투쟁 이론에는 부부를 위한 목회상담과 목회신학을 위한 중요한 통찰이 담겨있다. 헤겔에게서 인정이론의 기초를 발견한 호네트는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의 사회심리학을 통해 인정투쟁의 사회과학적 기초를 마련한다. 호네트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목적격 나(me)와 이와 대립하면서 자기의 고유함을 주장하는 주격 나(I) 사이에는 창조적 변화를 촉발하는 인정투쟁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호네트에 의하면 인정투쟁이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역은 정서적 유대, 권리의 인정, 공동의 가치 지향이다. 호네트는 이 영역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사랑’과 ‘권리’와 ‘연대’라고 하는 세 가지 형태의 상호주관적 인정 경험의 유형들로 구별한다. 이 상호주관적 인정 경험의 영역들에서 인정이 아닌 무시가 경험될 경우, 인정관계를 회복하고 얻어내고자 하는 인정투쟁이 발생한다. 이 세 가지 인정 경험의 유형들은 부부치료 현장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호주관적 인정관계는 부부관계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며, 인정투쟁은 상호인정에 기초한 부부의 상호주관성에 상처가 발생했다는 표시이며, 그 상호주관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상호주관적 인정투쟁의 관점은 부부를 돕는 목회상담 현장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목회상담자는 부부갈등을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적 인정욕구의 좌절로 인해 발생한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발전시킨 증상으로 이해할 때 부부를 도울 수 있는 중요한 치료적 관점을 얻을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인정투쟁으로서의 부부갈등은 목회상담자의 지혜로운 안내에 따라 상호인정으로 나아가는 창조적 에너지로 사용될 가능성을 품고 있다. 목회신학적 관점에서 이해할 때, 인정투쟁을 통해 상호주관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부부의 분투는 상호주관적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여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marital conflicts using Axel Honneth's struggle for recognition theory. The theory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which strives to overcome social disrespect and construct new relationships of mutual recognition, contains rich insights for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theology for couples. Honneth present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not as a mere speculative pursuit but as a powerful practical and normative perspective that has much to do with contemporary society. Drawing upon George Herbert Mead, Honneth attempts to present a social scientific formulation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s the process of asserting one's uniqueness while being formed through the influences of others. According to Honneth, the areas of social interaction where struggles for recognition occur are emotional bonds, recognition of rights, and endowment of social value. These three areas can be co nceptualized as three types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love, rights, and solidarity. When social disrespect rather than recognition is experienced in these areas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individuals struggle to restore and obtain recognition in relationships. In couple relationships, a struggle for recognition can be seen as a sign that some disrespect has occurred in the couple's intersubjective recognition and as an attempt to restore their intersubjectivity. Moreover, pastoral counselors can gain an important therapeutic perspective that can help couples understand marital conflict not as a problem but as a struggle for recognition. When considered to be a struggle for recognition, marital conflic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creative energy to move toward mutual recognition under the wise guidance of pastoral counselors. Regarding pastoral theology, the attempt to recover intersubjectivity through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can be understood as a journey to recover the image of the Triune God who exists in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 KCI등재

        호네트의 ‘인정투쟁’으로 바라본 동시대 국내 노동연극: <구일만 햄릿><미아리고개예술극장><굴뚝을 기다리며>를 중심으로

        신광민,조준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4

        Since 2010, the Korean theater scene has experienced a surge of interest in labor, driven by the ex- pansion of the concept of labor and various political events. In particular,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the National Agricultural Organization in 2016, the Blacklist in 2017, and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have provided major motivations for theater ar - tists to create plays related to labor. Through this, the Korean theater industry has been staging labor issues in individual or company-specific ways and making them real. In fact, labor plays have been ac- tively produced since 2010, with a total of more than 70 plays, and the trend is continuing. However, contemporary labor plays since 2010 have surged not only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and in- terest in political theater. Contemporary labor theater can be interpreted as a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value of labor as theater artists reflect on their own lives while examining labor issues. Axel Honnet was a German philosopher who described the workings of human life in terms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Honnet's 'struggle for recogni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labor movement, a movement of workers who crave recognition from other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the struggle of manual workers who are not recognized by others can be seen directly as the issue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refore, this research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anded con- temporary labor theater from the perspective of Hornet's 'struggle for recognition'.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2.1.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abor' will be examined, followed by '2.2. New documentary theatric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abor plays' and '2.3. Recognition struggle' in Hornet. Next, in Chapter 3, contemporary labor plays viewed through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will discuss the recognition aspects of different labor plays by separating them into '3.1. Struggle through solidarity: <Hamlet Only for Nine Days>', '3.2. Struggle through the 'body' of female art workers: <Miarigogae Theater of the Arts>', and '3.3. Struggle through the self-awareness of art workers: <Waiting for the Chimney>'. Through this, we will examine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abor theater since 2010 and present a paradigm for analyzing labor theater by deriving recognition patterns.

      • KCI등재후보

        일본 정치사회의 인정투쟁과 한일 갈등

        윤석상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0 글로벌정치연구 Vol.13 No.1

        This article analyzes the 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matter of recogni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norms of recog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based on them promote cooperation or cause conflicts among countries. Therefore,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needs to be replaced by a domestic issue.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s similar to the content and pattern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inherent in the post-war Japanese political society. Because, the postwar period of Japan can be seen as a system that has been led by discrimination, distortion or sacrifice. The explanation of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focuses o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we can objectively identify and predict the level of risk caused by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in Japanese political society. Second, the pattern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in Japanese political society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ut the behavior and process of the conflict are similar. Therefore, by replacing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with a contradiction in Japanese political society, preemptive responses to the resolution of the conflict will be possible.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인정투쟁과 사회적 인정: Axel Honneth의 인정이론 중심으로

        김정희 ( Kim Jung Hui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3

        본 연구는 Axel Honneth의 인정이론의 관점에서 요양보호사의 돌봄 노동의 사회적 인정과 처우향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고령화, 시간제 근무 형태, 초과 근무수당 부재 등의 열악한 근무환경은 요양보호사의 도덕적인 인정투쟁 시도조차 어렵게 하는 기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파출부’, ‘하찮은 일자리 종사자’ 등의 낙인과 인권침해를 기제로 하는 사회적 인정의 부재함과 인정투쟁 실패를 확인하였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인정 획득 실패 요인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 실패요인은 요양보호사의 연령과 학력 등을 고려하지 않은 요양보호사 교육원 및 평생교육원의 교육과정 이수 중심의 요양보호사 양성체계이다. 두 번째 실패요인은 요양보호사의 시간제 저임금 돌봄 종사자 양산이다. 세 번째 실패요인으로 요양보호사 근무환경개선의 기제로 작동될 수 있는 노동조합 부재, 노동법 및 사회복지법 등의 제도적 차원 요인이다.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의 노인돌봄사회화를 위한 요양보호사 양성과정의 변혁을 통한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획득, 정규직 돌봄 노동자 전환 시도를 위한 사회적 인정 획득을 필요조건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담보를 필요조건으로 하되, 도덕적인 인정투쟁을 토대로 둔 사회적 인정 획득과 노동법 및 사회복지법 규율 적용 확대를 통한 요양보호사의 처우향상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social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care work for care workers from the perspective of Axel Honneth's accreditation theory.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 new direction for the moral viewpoint of recognition struggle that presupposes social recognition for improved treatment of care workers from Axel Honneth's viewpoint of Monistic Theory of Recognition. It also presents the development of care worker‘s recognition struggles, analysis of their success and failure and the requisites for acquiring social recognition. Specific description is as follows.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aging of care workers and poor working environment such as part-time work pattern and lack of overtime allowance are the mechanism that make it difficult for the care workers to attempt even moral recognition struggle.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care worker‘s failure was due to lack of social recognition accompanied by stigmatization such as 'housekeepers' and 'insignificant workers'. Thirdly, three causes of failure for care workers to obtain social recognition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e first cause is the training system for care workers, which focuses on completing training courses of care worker training institutes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that do not consider age and education of the care workers. The second factor is the mass production of care workers for part-time low-wage care workers. The third factor of failure is institutional dimension such as the absence of labor union, labor law and social welfare law that can be operated as a mechanism for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of care workers. This study suggested acquisition of professionalism through revolutionary change of training course for care workers to socialize elderly caring in the aging society, social recognition of care workers, and conversion of care workers into full-time care workers as conditions to acquire social recognition.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care workers through the acquisition of social recognition based on the moral recognition struggle and expansion of the labor laws and social welfare laws.

      • KCI등재

        고연옥 희곡의 인정투쟁 양상 연구- ‘내가 까마귀였을 때’를 중심으로 -

        진주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1 No.-

        본 논문은 작품을 통한 고연옥의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사회비판과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사회상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신화와 비극의 세계가 파국으로 치닫는 작품들이 주로 연구되면서, 고연옥의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적 사회상과 그 언어들은 소홀히 연구되었다. 「내가 까마귀였을 때」는 그녀의 다른 작품과 달리 미래지향적 결말과 인정투쟁을 통한 긍정적 자기인식의 추구, 공동체의 회복이라는 주제를 그리고 있다. 특히, 작품의 주된 갈등을 촉발시키는 주인공 아이가 자신을 부정하는 공동체를 수용하게 되는 과정과 공동체로부터 자신 역시 수용되는 상호적 인정 과정은 주인공뿐만 아니라 각 등장인물이 긍정적인 자기 인식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며 성숙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의 주요 전제를 떠올리게 한다. 호네트에 따르면, 투쟁의 동기는 무시이며, 투쟁의 목표는 인정이다. 인정투쟁의 촉발 요인은 자기 존엄에 대한 부정이며, 무시로 인하여 부정당한 자기 존중을 되찾는 과정이다. 그는 이러한 인정투쟁 모델을 통해 사회의 역동성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사회의 병리적 현상을 분석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아이의 인정투쟁은 위협적인 태도를 취하지만, 그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는 자신을 타자화하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무시당한 자기 존중, 자신의 존엄성을 되찾는 것이다. 그의 투쟁은 개인의 투쟁으로 그치지 않고, 그의 투쟁은 그의 형제 자매들이 각자의 욕망과 자아를 발견하도록 돕는다. 이 작품은 ‘중산층’과 ‘정상 가족’에 대한 풍자보다는, 각자가 지닌 진실에 대면하여 올바른 개개인의 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가족들은 기존의 내면화된 가부장적 위계질서에서 벗어나, 가족 구성원 개개인은 동등하고 평등한 관계로 서로의 관계를 인정함으로써 자신들도 존재할 수 있음을 깨닫는다. 구성원의 개성과 선택을 존중하면서, 공동체의 영역을 물리적으로, 또 관념적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를 보여주고자 한다. 작가는 사회적 위기 속에서 균열과 붕괴를 겪은 현실 공간과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거부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동등한 존재로 받아들이며, 있는 그대로의 공간과 존재로서 서로를 존중할 때 진정한 재생과 회복이 시작된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Go, Yeon-Ok’s practical, specific social criticism and a alternative social aspect through her works. As the myths and tragedies of her work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the practical and specific alternatives of the playwright and her languages have been neglected. 「When I was a Raven」 is different for other works about the point that the play have futuristic ending and recover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self-recognition by the members. In particular, the proces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Boy’ embraces the community denying himself and the mutual recognition process in which the boy is accepted from the community is the process of not only the main character but also each character is meeting, In this regard, it reminds the main premise of Honneth'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ccording to Axel Honneth, the motive of struggle is disrespect, and the goal of the struggle is recognition. The cause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is the negation of self - dignity and the process of regaining unjust self - esteem due to neglect. He tried to explain the dynamics of society through this model of recognition struggle, and hoped that he could analyze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society. The boy's recognition struggle takes a threatening attitude. His goal, however, is not to threaten his family, but to regain self-esteem and his dignity that are ignored by family members. His struggle is not just about his own. His struggle helps his brother and sister discover their own desires and selves. This work deals with 'middle class' and 'normal family' but does not aim at satire of a certain class. Rather, it shows how to establish the right individual identity in face of each person's truth. This Family recognize that each other can exist in one another through equal mutual recognition, not hierarchical order. It shows an attempt to extend the domain of the community physically and ideologically, while respecting the individuality and choice of the family members. The playwright says that the real space and community members who have undergone cracks and collapses in the social crisis accept each other as equal, not ignoring or denying one another, and real regeneration and recovery begin when they respect each other as space and existence as they are.

      • KCI등재

        ‘인정투쟁’의 관점으로 바라본 중국조선족 소설사 시론(試論) - 금희 소설의 소설사적 맥락과 쟁점을 중심으로 -

        차성연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6 No.-

        본고는 한국과 세계문학과의 접점이 점차 잦아지고 있는 중국조선족 소설을 ‘인정투쟁’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문학사적 연속성을 찾고자 하며, 금희 소설의 문학사적 맥락과 쟁점을 통해 ‘인정투쟁’ 관점의 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중국조선족문학은 ‘경계적 위치’에서 어떤 대상을 향한 말하기의 형식으로 쓰이어졌다는 점에서 ‘인정투쟁’의 발화로 볼 수 있다. 늘 약소자 혹은 주변인으로 위치했던 중국조선족의 ‘인정’ 욕망은 스스로의 존재를 증명하고 중심을 향해 ‘존재하고 있음’을 외치는 ‘인정투쟁’의 문학적 형식으로 발화되었다. 한국에서 발표된 금희 소설 <옥화>는 한국이라는 문학장 내의 발화로 바라볼 필요가 있으며, 소설에 재현된 탈북 여성을 바라보는 조선족 사회의 시선을 통해 조선족 여성을 바라보는 한국 사회의 시선에 대해 비판적 물음을 제기한다. 이처럼 ‘경계적 위치’에 서 있는 중국조선족문학은 어떠한 문학장에서 누구를 향해 발화하는가라는 거시적 관점이 중요하다. 한국 내 중국조선족 공동체의 존재가 그러하듯, 금희의 소설은 존재 자체로 ‘인정투쟁’의 발화로 기능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정투쟁의 발화가 상호인정과 이해, 연대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경계적 위치에서의 ‘말하기’, ‘자기 세계’의 정립, 그들 간의 상호인정이 서사적 긴장을 유지시키며 ‘디아스포라’의 의미가 보편성이나 특수성 쪽으로 지나치게 기울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는 점도 살펴보고자 했다. 이주민 문학에 뿌리를 둔 중국조선족문학이 오히려 이주가 일반화된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존립의 위기를 맞고 있다.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중국조선족문학은 ‘인정투쟁’의 발화를 계속해나갈 것이지만, 중국과 한국, 나아가 세계문학을 향한 ‘인정투쟁’이 수직적 상승 욕구가 아니라 ‘자기 세계’와 ‘상호인정’에 기반한 것일 때 지금까지의 역사적 독자성을 잃지 않는 ‘경계적 위치’에 선 문학으로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find continuity in literary history by looking at Chinese-Korean novels, which are becoming more frequent in contact with Korean and world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recognition struggle” through the literary history context and issues of Geumhee novels. The Chinese Korean literature can be seen as the utterance of the “recognition struggle” in that it was used in the form of speaking toward an object in the “boundary position.” The desire for “recognition” of the Chinese Korean people, who had always been located as the weak or marginal people, was spoken in the literary form of “recognition struggle” that proved their existence and shouted “exist” toward the center. The Geumhee novel “Okhwa,” released in Korea, needs to be viewed as an utterance in the literary-field of Korea, and raises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gaze of Chinese-Korean women through the gaze of Chinese-Korean society looking at North Korean defectors reproduced in the novel. In this way, the macro perspective of Chinese-Korean literature, which stands in a “border position,” is important in which literary field it fires toward. As with the existence of the Chinese-Korean community in Korea, Geum-hee's novel functions as an utterance of the “recognition struggle” in its existence.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at the utterance of such a struggle for recognition awaits mutual recognition, understanding, and response of solidarity. It was also intended to examine that the establishment of “talking” and “self-world” in a boundary position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them maintain narrative tension and prevent the meaning of “diaspora” from tilting too much toward universality or specificity. Chinese Korean literature, which is rooted in immigrant literature, is facing a crisis of existence due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en migration has become common. As it has been, Chinese Korean literature will continue to speak of the “recognition struggle,” but it can exist as a literature in a “border position” that does not lose historical uniqueness when the “recognition struggle” toward China, Korea, and even world literature is based on “self-world” and “mutual recognition.”

      • KCI등재

        순자사상에 나타나는 인정욕구

        김정희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9 No.-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인간의 삶은 남들의 인정을 받기 위한 투쟁, 즉 '인정투쟁'의 연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정투쟁 이론은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는 것이 인간의 행동을 지배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라는 이론이다. 헤겔이 처음 제시했으며 이후 여러 철학자들에 의해 발전ㆍ대중화되었다. 최근에는 SNS를 통한 자기 과시가 일상화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가상의 인정투쟁과 관련해 논의되고 있다. 그렇다면 인정투쟁은 인간의 삶에서 불가피한가? 이러한 인정욕구를 유학에서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공자 이래 모든 유학자의 모토는 ‘입신양명’이다. 높은 관직에 올라 출세를 해서 자신의 이름뿐만 아니라 가문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것이다. 유학자들이 주장하는 仁人이나 義人이란 사람은 공동체, 혹은 타자 일반에게서 인정을 받는 사람을 가리킨다. 여기서 유학이 지향했던 인간형이 기본적으로 인정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순자를 비롯한 유학의 주류는 인정욕구를 매우 중시하였다. 순자도 인간의 본질이 인정욕구에 있다는 입장을 확고히 견지하고 있다. 인정투쟁을 집요하게 주장했던 순자는 송견을 비판한다. 송견은 인정투쟁 자체를 무력화시키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순자의 사상에서 드러나는 인정욕구를 파악한 후, 『순자』「정론」 편에서 송견의 핵심 주장을 조목조목 비판하는 순자의 자세를 통해 인정욕구를 비판한 송견 사상의 핵심을 논하였다. Human beings are social animals. As for human lif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an ongoing struggle to gain recognition from others, in other words, a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theory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sserts that the recognition of others is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 that governs human behavior. It was first proposed by Hegel, then later developed and popularized by a number of different philosophers. Recently, with self- gratification via SNS platforms becoming more commonplace, scholars have begun a discourse pertaining to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nline in the virtual world. So, i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inevitable in human life? How does Confucianism view this need for recognition? Since Confucius himself, the motto of all Confucian scholars has been to “achieve fame and prestige (lì shēn yángmíng).” In other words, Confucian scholars have aspired to rise through the ranks of politics and administrative positions to gain recognition not only for their own names, but also their family names. The concept of a “virtuous man(rénrén)” or “righteous man(yìrén)” Confucian scholars refer to are people who have gained a certain recognition from the community or the general public. This indicates that the perfect human being, in the eyes of Confucian scholars, had an innate desire for recognition. Mainstream Confucianism scholars, including Xunzi, emphasized the desire for recognition. Xunzi also firmly asserted that it was human nature to have a desire for recognition. As a proponent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Xunzi was highly critical of Song Jian. His criticism stemmed from the fact that Song Jian was a champion of neutralizing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ltogether. This research will explore the desire for recognition in Xunzi’s philosophies, and look at Xunzi’s “Political Commentary(zhènglùn)” to review his point-by- point criticism Song Jian’s core arguments to discuss the essence of Song Jian’s philosophy which criticized the desire for recognition.

      • KCI등재

        대만의 인정투쟁 연구: 정당의 통독 입장 변화를 중심으로

        이광수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3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hange of the Taiwanese bi-party recognition struggle from the pursuit of ideals to the reflection of reality. The Taiwanese struggle for recognition is seeking recognition of Taiwan's sovereignty and state status against China. However, China is now ignoring Taiwan 's recognition struggle by presenting one China principle. The KMP which experienced the war with the Communist Party, did not have a recognition struggle as an initial intransigent ignorance strategy, but after the beginning of bilateral exchanges, it has been compromised due to its characteristics rooted in the continent. On the other hand, the DLP which was created after the KMP move to Taiwan, initially had strong uncompromising elements i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China, but recently it is also showing a compromise due to the practical limitations. In other words, the Taiwan Political Parties struggle for recognition is characterized by minimalism and intermediateism. 대만의 인정투쟁은 대만의 주권과 국가로서의 지위를 중국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은 현재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면서 대만의 요구를 무시하고 있다. 대만의 인정투쟁은 통일지향의 국민당과 독립지향의 민진당의 태생적 차이에 따라 한편으로 인정투쟁 방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나,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적 필요에 따라 타협하고 수렴하는 등 유사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공산당과의 전쟁을 경험한 국민당은 초기의 비타협적 무시전략으로 인정투쟁 자체가 없었으나, 양안교류가 시작된 이후에는 대륙에 뿌리를 두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타협적 자세를 보인다. 반면에 국공내전과 국민당의 대만 이주 이후 생겨난 민진당은 초기에는 중국에 대한 인정투쟁은 비타협적 요소가 강력했으나, 최근에는 현실적 제한으로 인해 역시 타협적 자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대만 정당의 인정투쟁은 최소주의와 중간주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보인다.

      • KCI등재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인물 갈등에서 나타난 인정투쟁의 양상

        이승제(Lee Sung Je),안숭범(Ahn Soong Beu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7 애니메이션연구 Vol.13 No.2

        본고는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 개념을 통해 <에반게리온>에 나타나는 주요 인물들이 당시 일본 사회의 인정 투쟁 주체였던 로스제네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아울러 작품 서사 내부의 갈등 관계가 로스제네의 인정투쟁이 좌절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먼저 인정투쟁 관점에서 1990년대 일본의 사회 문제를 해석하고 로스제네의 무기력한 인정 투쟁 양상을 오타쿠, 프리터 현상 등으로 설명했다. 이후 호네트의 인정 유형에 따라 〈에반게리온〉의 주인공들인 신지, 아스카, 레이 캐릭터의 상이한 성격과 갈등적 관계망을 분석하고 이들이 어떻게 당대 일본의 젊은 계층에 호응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그들이 사적 · 심리적 인정 관계 내에서 자기 믿음을 갖지 못하게 된 다른 배경을 변별해보고, 제레, 네르프로 상정된 기성세대의 질서 안에서 고유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을 인정투쟁의 좌절 형상으로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EOE〉의 후반부를 분석하면서 신지와 아스카의 정서적 결속과 연대를 확인하고 희망적으로 묘사된 인정투쟁의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The current study tried to confirm that the characters on 〈Neon Genesis Evangelion〉 wer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st-generation” who have been the main agent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in Japanese society at that time period through the concept of “struggle for recognition” of Axel Honneth. Moreover,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onflicting relationships within the narrative of the story as a part of the aspect of “struggle for recognition.” First, the study interpreted the problems of Japanese society in 1990s also called as the “lost decade” in the aspect of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conflicting relationship of the main characters of 〈Neon Genesis Evangelion〉 including Shingi, Asuka and Rei based on the types of recognition suggested by Axel Honneth. Afterwards, the study marked the different backgrounds for the lack of faith in oneself within the characters’ personal and psychological recognition relationship and interpreted the circumstance where their unique values were not recognized within the order of older generation introduced in the name of SELLE and NERV. Lastly, the study confirmed the emotional bonding and solidarity of Singi and Asuka while analyzing the latter half of 〈End of Evangelion〉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truggle for recognition” described hopefully in the film. As for the limit of the study, the lack of ability to avoid the error of simplification during the process of macroscopically viewing the aspect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Lost Generation appeared at that time period in Japan was suggested.

      • KCI등재

        <박문수와 백정> 유형 설화를 통해 본 인정 욕망의 이해

        홍나래(Hong, Na Rae)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9

        <박문수와 백정> 설화는 인간답게 살고자 박문수의 친척을 사칭하며 양반행세를 한 백정과 그를 도와 당당한 양반으로 살게 한 박문수, 변화를 거부하다 백정에게 굴복당한 박문수의 동생이 등장하는데, 본고는 공통된 화소와 서사구조를 살펴 문헌과 구비설화에서 유사한 이본군을 함께 모아 격동의 시대, 하위계층의 인정 욕망에 대한 환대의 문제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전승과 변이 과정을 살펴보면, ‘양반형’이 문헌과 구비로 전승되다가 설화에서 박문수 인물상이 부상되는 시기에 구비전승층에서 일부가 ‘박문수형’으로 변이되며 인기를 누렸고, 더하여 인정 문제에 관련된 삽화가 박문수 설화에 통합되면서 ‘기도형’과 같은 하위유형을 분화시켰다. 곧 <박문수와 백정> 유형 설화는 인정받고자 하는 존재와 인정해주는 존재 간 발생하는 다양한 도덕적 상황에 대한 공동체의 문제제기와 해법을 담으며 전승되어 왔다. 신분사회에서 무시당하던 노비ㆍ백정이 인간다운 삶을 살고자 인정받으려는 행동은 당대 사회의 주요 가치에 대한 투쟁이기도 한데, 각편에 따라 하층의 인정 욕망에 상층이 조건 없이 화답하며 상호 인정하게 되는 선구적인 시각도 나타나지만, 때로 인정받고자 하는 인물과 인정하는 인물의 우열 관계가 경제력ㆍ능력ㆍ인품 등 다양하게 대비되면서, 돈이 모든 가치를 잠식해가는 위기 상황이나 인간답게 살겠다는 욕망 모델의 시대적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이와 같이 인정 욕망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제기를 생각해 볼 때, 설화에서는 인정과 환대의 지평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면서, 그 실천에서 문제될 불안 요소들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하고 반성적으로 사회를 구성해 갈 도덕적인 존재로서 박문수가 요청되었다. 설화세계에서 누구보다 입체적이고 힘 있는 인물이 된 박문수를 통해서라면, 인정에 대한 사회적 의의를 환기시키고 인정 방식에 내재된 욕망 모델의 한계 또한 박문수라는 도덕적이고 진보적인 지도자의 가능성으로 언젠가 분명하게 비춰낼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e <Park Moon-Soo and Butcher> type of folktale, a lowly man pretends to be an aristocrat to live a human life, an aristocratic official helps such a lowly person, and an aristocrat who surrendered after refusing to change the spirit of the times appears. The story contain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lower clas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social relationships have collapsed.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y of hospitality as the desire for recognition by the lower class in a turbulent era, and targets this type of story in literature and oral traditions. This story was discus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but at the time that the character Park Moon-soo appeared, part of the story was transformed into a “Park Moon-soo story” and became popular. In addition, as the story of Park Moon-soo was widely expanded, illustrations such as “a woman praying for a nobleman” were added to the issue of recognition. Soon, in the <Park Moon-Soo and Butcher> type of story, various moral problems arise between the person who wants to be recognized and the person who acknowledges that, and the story brings together the concerns and solutions of the community. People who were ignored in the lower social class wanted a life of recognition, but their actions to be recognized were also a struggle against the values of society at the time. Among the stories, there are works in which vested interests respond unconditionally to the lower class’ desire for recognition, and eventually mutual recognition. However, a moral issue arise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who wants to be recognized and the person who recognizes them shows various contrasts such as economic power, ability, and personality. It is a crisis situation in which money becomes superior to all other values, or a situation in which the desire for recognition models the old-fashioned vices. The story calls for a solution by summoning a character named Moon-Soo Park, as various problem situations surrounding the desire for recognition arise. He is a person who can see the pain of those excluded from societ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personal profits or the other s economic power. In the world of folklore, the character of Park Moon-soo contains the hopes of so many people that he becomes a free, moral, and ever-changing person, moreso than anyone else.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Park Moon-soo would evoke the social significance of recognition, and that the limits of the desire for recognition would be solved morally and progressively. As such, the narrative topic of the story of <Park Moon-soo and Butcher> continues in our society today as a matter of ‘cordial reception’ from various subjects who struggle for re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