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적 국제정치 연구의 주요 사례와 바람직한 방향

        김영명 ( Young Myo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9 글로벌정치연구 Vol.2 No.2

        한국적 또는 자아준거적 국제정치학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논의들이 나왔으나, 그것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보였다. 1) 주로 현상황에 대한 원론적인 비판과 문제 제기에 그쳤다. 2) 개선 방안들도 안 나온 것은 아니나 별로 구체적이지 못했다. 3) 현실을 개선하려는 실제 연구 노력이 미흡했다. 4) 한국적 국제정치학의 실제 성과물이 없지 않았으나, 이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5) 그래서 한국 국제정치학의 대외의존성이 제대로 개선되지 않았다. 한국적 국제정치학 연구를 위해서는 세계관의 근본적인 변화나 역사, 전통의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될 것을 염두에 두는 근본 접근보다는 한국의 국제 정치 현실에 입각한 독자적인 시각이나 분석틀 확립에 중점을 두는 ‘실용 접근’이 더 유리하다. 지금까지 한국적 국제정치학을 시도한 소수의 저술들은 모두 이러한 실용 접근을 채택하였다. 그것이 더 쉽고 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 국제정치학과의 단절을 의미하지 않고, 그 성과를 이용하되 한국의 처지에 맞는 개념과 분석틀을 개발할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런 방법을 통해 점진적이고 부분적으로 국제정치학의 한국화를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능한 방법이다. There have been many talks about the dependency of Korea`s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on those of the United States, but the efforts to overcome the dependency have not been sufficient with little substantial results. Moreover, the not-many real efforts on Korean-style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we find have not been properly evaluated. This paper evaluates these efforts and seek proper ways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the autonomy of the Korean international studies in world academia. The existing Korean-style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have all adopted what may be called a “pragmatic” approach on this matter which can be more easily undertaken, as opposed to a “fundamental” One, more difficult to be achieved as the term itself demonstrates. A pragmatic approach aims at developing adequate concepts and analytical frameworks to explain international relations as mostly concern Korea, while a fundamental approach somewhat presupposes a radical shift of world views and/or in-dept studies of history and traditions of Korea and relevant areas. By following a pragmatic and piecemeal approach, we may accumulate fruitful results in building Korean-style international relations, someday hopefully establishing a “Korean” world politics studies.

      • 기획논문 :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경향과 쟁점

        부남철 ( Nam Chul Pu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8 글로벌정치연구 Vol.1 No.2

        최근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연구 경향과 과제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그러한 논쟁을 종합하여 서술한 것이다. 우선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학문적 성과를 소개하고 연구공동체의 형성, 연구방법론 모색, 그리고 한국정치사상사 교재편찬에 대해 논의되었던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쟁점 중에서 빈번하게 거론되었던 것은 한국정치사상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은 한국의 전통사상과 문화를 연구한다는 점에서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의 원천이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한 정체성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는 서양정치사상이 정치사상의 본령으로 여겨지고 있는 한국 정치학계의 상황에서 연구자가 속해있는 한국이란 연구대상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그러면서 과연 한국적인 것은 무엇이고, 한국적인 것을 찾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정치사상 연구에 있어서는 개념과 관념 중심의 고전적인 연구관점으로부터 역사적 사례 분석과 서술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고 혼합적인 연구 경향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학계의 상황에서 한국정치사상 분야에서는 역사적 사례, 역사적 서술의 관점에 대해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하였다. 그리고 한국 정치사상 연구자들은 현실정치에 대해 정치사상적으로 어떤 제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학계의 기대를 소개하고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로서 민족주의, 재산권 등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study of Korean political philosophy and thought has become a promising research field in Korean political science. The number of scholars who specialize in Korean traditional thinking has increas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90`s. And they have organized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 and The Korean Society for Political Thought. Now this field is recognized as important field of political theory in Korean political science. In this study, I have reviewed the critical problems and issues in Korean political thought research. First, I have suggested that we need to think about Korean political thought in the contex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political theory. Second, I have described the problem of methodology of Korean political thought. Usually in political thought study, scholars focus on the concepts and ideas analysis of political thinkers or Ideology. But some scholars insist that in Korean political thoughts study korean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and focused on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Korean political thought. So I suggest that historical study also should be considered. Lastly, I discuss the criticism of Korean political scientists that political science professors and scholars` research is an empty vision of the ideal world. So I propose that even in political thought study we need to focus more on real politics and policy oriented research. And I suggest the study of nationalism and the rights of property ownership as urgent research issues in Korean political thought.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 무당파의 정치적 참여와 태도양식 -연구지평 확대를 위한 시론적 고찰-

        이정희 ( Chung Hee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9 글로벌정치연구 Vol.2 No.2

        이 논문은 우리나라 정당정치와 의회정치의 풍향계라 할 수 있는 무당파의 정치참여 양태에 대한 시론적 고찰이다. 무당파의 존재와 확산 그리고 정치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조망은 우리나라의 민주화 과정, 그리고 정당정치와 선거과정에 대한 관심의 결과다. 따라서 무당파에 대한 연구는 한국 정치현상과 동떨어진 연구가 아니라 정당과 선거, 정치 문화, 나아가 정치체계 전반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무당파의 서구적 개념을 적용하여 미시적 분석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 연구를 위한 성찰이 필요하다. 우선, 무당파의 존재양식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의 무당파가 어떠한 역사적 맥락에서 생성, 성장하였고, 앞으로 그 중요성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중요한 연구주제로 삼아야 한다. 또한 정치문화에 따라 무당파의 행태가 다르고, 행태의 정치적 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정치 문화의 중요한 특징인 권위주의와 지역주의와 연계하여 무당파의 정치참여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직접적 연계성을 지닌 정당체계와 선거제도의 특성과 함께 급변하는 정치 환경을 주시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attern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non-committed people that is a barometer of party politics and parliamentary politics in Korea. The new outlook about the existence, diffusion, and political role of non-committed people results from democratization and concern with the party politics and the process of election. Therefore, the study on the non-committed people should be closely in conjunction with parties and elections, political culture, and, further, the whole of the political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template the overall study now that microanalysis has hit its stride in application by Western studies of the non-committed people. It is crucial to know in what sort of historical context the non-committed people were created and grew and how the non-committed people will change in terms of importance in the near future.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the pattern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non-committed people in terms of authoritarianism and regionalism, which are important distinctions in Korean political culture. Keeping an eye on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as well a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y and election systems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중·일 영토갈등과 일본 정치엘리트의 구성적 변화

        윤석상 ( Yoon Seok S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1 글로벌정치연구 Vol.14 No.1

        중국과 일본은 국교정상화 이후 영토분쟁을 이슈화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관리해 왔지만, 최근 센카쿠열도 갈등을 통해 중일 영토분쟁이 부각 되고 있다. 중일 영토갈등의 원인으로 동북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와 일본 정치엘리트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일본의 대중국 정책은 중국에 대해 다른 정치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정치엘리트들의 역학관계에 의해 결정되어왔으며, 집권 여당 내 정치엘리트의 교체는 대중국 정책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2000년 이후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갈등 심화는 일본 정치엘리트의 교차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여기서 정치엘리트의 교차란 정당간 정권교체에 의한 집권세력의 변화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여야를 불문하고 정치적 입장을 같이하는 정치엘리트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일 간 영토문제는 보수이념의 정치엘리트들이 주도권을 장악함으로써 심화되고 있으며, 자기중심적인 보수우파의 지속은 중일 영토문제를 안보 이슈로 확대해 동아시아지역의 안보불안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China and Japan have avoided territorial disputes since normalizing diplomatic relations. However, recent territorial disputes have led to the worst in Sino-Japanese relations. The Sino-Japanese territorial conflict can be attributed to changes in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changes in the Japanese political elite. Japan’s policy toward China has been determined by the dynamics of political elites who have different political views on China. Therefore, the change in the political elite in the ruling party can be seen as a change in policy toward China. In this sense, intensifying territorial disputes between China and Japan have been closely linked to changes in the Japanese political elite since 2000. The change in the political elite is not limited to regime change. It means that the number of political elites who share political positions regardless of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is increasing. In conclusion, the territorial problem in China and Japan is deepening as conservative political elites take the initiative. In particular, self-centered conservatism extends the territorial issue of China and Japan to security issues, adding to security instability in East Asia.

      • KCI등재후보

        인터넷 시대의 사회운동과 정치변동: 다중운동이론의 적용

        김범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8 글로벌정치연구 Vol.11 No.2

        The social movement in the Internet age is different from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and the civil movement in the 1990s. After the 2000s, the Icelandic Kitchenware Revolution, the Spanish Indignados Movement, and Korean Candlelight Movement, even which were different in time and space, could be explained in the view of Multitude Movement Theory. All of three examples are: ① revolutionary; ② not mediated by the organization; ③ immanent and self-expressive, and ④ creative positive, so they show same Multitude Movement characteristics. The three cases led to different political changes by three factors: on the left-right inclusiveness of the movement subject, the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and the scope of the closed political system recognized by the protestants. According to the factors, the Candlelight Protests resulted in regime change, the Indignados movement induced party system change and the kitchenware revolution led to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인터넷 시대의 사회운동은 1980년대 민주화운동이나 1990년대 시민운동과 다른 특징을 보인다. 2000년대 이후에 시간과 공간을 달리하여 발생한 아이슬란드의 키친웨어 혁명과 스페인의 분노자들 운동, 그리고 한국의 촛불집회를 다중운동이론을 적용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 사례에서 나타난 다중운동은 계급운동처럼, ① 혁명적 변화를 지향하지만, ② 조직에 의해 매개되지 않으며, 운동의 상징이나 가치를 ③ 내재적으로 형성하는 즉자성을 보이며, 저항이라는 사회운동의 일반적 양식을 보이면서도 ④ 동시에 대안 형성적이라는 특징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세 사례는 정치변동의 범위가 달랐고, 3가지 요인들이 서로 다른 정치적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운동 주체의 좌-우 포괄성”,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의 결합”, 그리고 “운동주체가 인식한 폐쇄적 정치체제의 범위”에 따라 촛불집회는 정권교체와 같은 작은 범위의 정치변동으로, 스페인의 분노자들 운동은 정당체제 변동으로, 그리고 아이슬란드의 키친웨어 혁명은 헌법개정이라는 큰 범위의 정치변동으로 이어졌다.

      • KCI등재

        메콩 유역에 대한 주요국의 접근 전략과 한국의 입장

        이요한 ( Yohan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5 글로벌정치연구 Vol.8 No.2

        풍부한 사회경제적 자원을 보유한 메콩 유역(MRB)의 거대한 잠재력이 주목 받음에 따라 미국, 중국, 일본과 같은 주요 강대국은 메콩 지역과의 긴밀한 협력과 제도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 또한 메콩유역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한국-메콩 연례 장관회의를 시작하는 등 한국-메콩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의 대 메콩 정책과 전략을 살펴보고 한국의 대 메콩 정책에 대한 고찰과 왜 그리고 어떻게 한국이 현재의 메콩 유역에 대해 참여해야 하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외교적, 경제적 한국-메콩 협력에 대한 상호적중요성과 기대 효과를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메콩 유역에서 다른 주요 강국과 차별화된접근과 전략적 포지셔닝을 취할 필요가 있음을 결론으로 맺고자 한다. As the Mekong River Basin (MRB) was increasingly regarded as a huge potential with abundant socio-economic resources and a core geo-political place, major power stat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have sought for the close relationship and multilateral governance with the Mekong region. Korea is also taking part in MRB development, embarking on various efforts to promote the Korea-Mekong relationship including the annual Korea-Mekong Foreign Ministers meeting started from 2011. This article looks at the approach and strategic positioning of Korea towards the MRB, it seeks to explicate why and how Korea has involved in the MRB issues under current geo-politic and economic circumstances. It also examines the mutual significances and expectations of the Korea-Mekong cooperation in terms of the diplomatic and economic approaches. This study draws out the conclusion that Korea needs to make differentiated approach and strategic positioning itself from other major states in the MRB.

      • KCI등재후보

        커뮤니케이션정치경제학의 방향에 대한 소고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서명준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9 글로벌정치연구 Vol.12 No.2

        Marx's theory first and foremost establishes the direction and criteria for the future "theory" of society. Marx's criticism as a critique of all domination influenced more or less critical media theorists. Marx's theory is a "forgotten theory" in contemporary communications research (Holzer 1994), but his thinking should not be denied, but positively appreciated. In this text the questions of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cation are discussed, which are discuss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o-called critical communication. Today it begins with a problem which, despite the influence of Marxist scholars of political economy, can not be thought of in Marx. To this end,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first discusses the inevitability of Marxist thought, the discussion of the most important communication theoreticians an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 core concept that misses the communication-political economy from a materialistic point of view. 오늘 자본주의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데에 마르크스는 실용적인 측면이 있다. 그의 이론은 무엇보다 미래 사회 “이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준을 제시해 준다. 모든 지배에 대한 비판으로서 마르크스의 비판은 모든 비판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이론가들에게 많든 적든 영향을 끼쳤다. 마르크스의 이론은 오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잊혀진 이론”이지만(Holzer 1994), 그의 사유의 유산은 부정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긍정적으로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른바 비판 커뮤니케이션의 한 분과로서 논의되는 미디어정치경제학의 쟁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 그것은 정치경제학이라는 마르크스적인 학문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마르스크의 사유에서 상당히 벗어나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먼저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마르크스적 사유의 불가피성에 대해 논하고, 관련하여 주요 커뮤니케이션이론가들의 논의를 살펴보며, 커뮤니케이션정치경제학이 놓치고 있는 핵심 개념인 커뮤니케이션 개념에 대해 유물론적 시각에서 고찰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중도적 실천지(中道的 實踐智)로서 한국(韓國); 동아시아 질서의 고전적 안정화 경로 추적

        윤대식 ( Dae Shik Youn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3 글로벌정치연구 Vol.6 No.2

        유교문명권으로 일반화하는 동아시아 고유의 기제는 동아시아를 구성하는 각 개별국 가의 내척 기제로 채택된 순간 개성을 초월한 보편적 통칙으로 작동했다. 역설적으로 그와 같은 보편적 통칙이 합의되지 못했던 이전 시기까지 동아시아의 국가 간 관계는 질서의 일 원성 및 전쟁의 교차라는 분열성을 특징으로 한다. 동아시아 질서의 분열성이 일원성으로 접합되는 시점은 일련의 정치변동과 동질적인 사유의 세계가 형성된 14-15세기 원영(元明)교체와 여선(麗鮮)교체이다. 이 시기 동아시아 질서의 주요 구성인자인 명-조선-일본의 관계는 적대적에서 우호적으로 변화했으며, 사대조공과 기미교린으로 고정되었다. 또한 동아시아 질서의 역동성은 17-18세기 명청(明淸)교체기에 또 한번 동일한 궤적을 반복하는데 청-조선-일본의 관계 정립에 기초한 질서의 재구축이 이루어진다. 반면 16세기 동으로부터 진행된 임란과 17세기 북으로부터 진행된 호란은 동아시아 질서의 기존 틀을 타파하거나 돌파하려는 시도였으며, 그 결과는 전쟁이었다. 그렇게 보자면 동서 양방향으로부터 출발한 질서와 도전의 모든 파장이 중첩되는 곳에 한국이 위치하며, 그 중간자의 합리적 선택을 위한 외교적 실천지(prudence) 여부에 따라 동아시아 질서의 틀은 유지되거나 흔들린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아시아 질서의 안전판으로서 한국의 위상과 역할은 말 그대로 외교적 중도(中道)의 담지자에 해당하며, 이에 주목해야 한다. Confucian civilization in East Asia was adapted by internal mechanism of individual state as a traditional heuristic, sooner or later transformed into universal laws. Before emerging such a tre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s was characterized by ritual institution and crossing wars based on Spring and Autumn Great Justice. By 14-15th century, split in East Asian order was sutured monic rule as Sino-centrism through change of Yuan-Ming dynasty and Corea-Chosun dynasty. Ming dynasty claimed suzerain in East Asian order, peripheral states simultaneously recognized Ming position. It was called submission and tribute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Chosun was fixed in submission and tribute system, the canons of both were moral and confucian civilization. On the other side,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Japan and Manchuria was applied by modified rule. That was called tightening the reins and friendship. That`s the way, the political and cultural waves from the West to the East made a certain order inside East Asian, adversely the waves from the East to the West made struggle. Is it correct? Far from it! The critical point was the status and role of Korea as a meditator who had a diplomatic prudence. If Korea could not function intermediary role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it was impossible to establish order in East Asia. To the present, the hegemony in East Asia shall be determined by diplomatic prudence of Korea.

      • KCI등재

        다양성(diversity)의 정치적 기반: 다양성의 수단적 가치 및 정책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

        김동훈,차승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2 글로벌정치연구 Vol.15 No.1

        This paper analyzes the public perception of diversity. We study how the Korean public understands the intrinsic value of diversity, which lies in ending discrimination, and the instrumental value of diversity, which is its potential to bring practical benefits for all. The results show a generational gap; young adults perceive diversity discourse more negatively. They are against discrimination in large but do not support diversity policies that are in line with affirmative action. They are also unlikely to support parties that advocate such policies. Notwithstanding the promotion of diversity across different socio-political sectors and its benefits suggested by the academia, Korea’s meritocratic landscape is a barrier to its implementation.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foundations of public support for diversity could be increasingly undermined so long as the young adults, the prospective stakeholders, hold negative views. With the ongoing discourse around th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in Korea,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initiatives. 본 논문은 다양성의 내재적 가치 및 수단적 가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소극적 의미에서 차이에 기반한 차별 및 편견을 금지하고자 하는 다양성 담론의 내재적 가치와 적극적으로 다양성을 확대하는 것이 모두에게 이익이라는 수단적 가치에 대하여 한국인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된 결과는 다양성의 내재적, 수단적 가치에 대한 세대균열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다양성 담론 및 정책에 대하여 청년세대의 인식이 다른 세대에 비해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차별을 반대하지만, 적극적인 다양성 확대 정책인 소수자에 대한 우대정책은 지지하지 않고, 이러한 우대정책을 추구하는 정당을 지지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고 나타났다. 최근 학교, 기업, 시민사회, 정부 등 한국 사회의 여러 단층에서 조직의 다양성(diversity) 및 다양성 가치가 강조되고 있다. 조직의 다양성이 그 집단의 혁신과 성과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는 가설은 많은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우리의 일상에서 다양성의 가치를 실행하는 것은 사회구성원의 능력주의에 기반한 인식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2022년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소위 차별금지법’에 대한 정치적 논쟁이 진행 중이지만, 한국사회의 주축이 될 청년세대가 가지고 있는 다양성의 수단적 가치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태도로 인하여 차별금지법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다양성의 수단적 가치에 대한 정치적 기반은 지속해서 축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후보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사전투표 유권자 특징 분석

        이재묵 ( Lee Jae-mook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0 글로벌정치연구 Vol.13 No.2

        본 논문은 21대 총선 유권자 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전투표에 참여한 유권자 집단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정치적 특징을 분석한다. 한국에서 사전투표제는 2013년 이래 유권자들의 투표편의 제고를 위해 전국단위 선거에 도입되었으며, 그간 학계를 중심으로 과연 사전투표제가 제도 도입의 취지대로 투표율 제고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논쟁이 있어왔다. 이번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제도 도입 이래 역대 최고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하였고, 전체 투표 참여자 대비 사전투표자의 비중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았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21대 총선에서의 사전투표 유권자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기권자들뿐만 아니라 당일 투표자들과도 뚜렷하게 구분되는 정치적 특징들을 보여주었다. 특히, 4.15 총선에서 사전투표에 참가한 유권자들은 당일 투표자들에 비해 이념적으로 진보적이며, 현 집권 세력에 대해 보다 긍정적 평가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에서 사전투표제도가 안착되어감에 따라, 비단 투표율 제고 효과를 넘어서 앞으로 우리 사회가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할 다양한 제도적, 정치적 과제들이 제기되게 되었는데, 결론에서는 이에 대한 간략한 논의들을 제공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voters who turned out before the exact election day by utilizing the original survey data for the 21st general election. In Korea, the early voting system has been introduced in national elections since 2014 to enhance voter convenience, and previous studies have been debating whether the new system will improve voter turnout as intend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the early voting rate recorded the highest ever since the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proportion of early voters among all the voters who turned out was higher than ever.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the early voters in the 21st general elections showed political features distinctly distinct from those of the day as well as abstentions in various aspects. In particular, early voters were more ideologically progressive than voters on the election day and tended to have a more positive assessment of the incumbent president Moon Jae-in. Meanwhile, as the early voting system was settled in Korea, various institutional and political tasks that our society should deal with in depth beyond the effect of raising voter turnout were raised, and the conclusion provides brief discussions o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