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손가정 조부모 전담양육 경험의 특징에 대한 질적 연구

        김은정(Eun Jeong Kim) 한국학부모학회 2024 학부모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조손가정 조부모가 손자녀를 전담양육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어떠한지 현장에서 들여다보고, 조부모의 전담양육 경험의 특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지역에서 초등학생 손자녀를 2년 이상 전담양육하고 있는 조부모 5인을 인터뷰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조손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전담양육과정에 나타난 전담양육 경험의 주제와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분석결과 조손가정 조부모의 전담양육 경험은 크게 ‘돌봄 경험’과 ‘내적 경험’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조손가정 조부모의 ‘돌봄 경험’에서는 ‘의식주 관련 돌봄’, ‘성장 돌봄’, ‘시간관리 지도’의 세 주제가 도출되었다. 조손가정 조부모의 ‘내적 경험’에서는 ‘손자녀 및 자녀(손자녀의 부모)에 대한 감정’, ‘자신에 대한 감정’, 그리고 ‘양육의지와 보람’의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In this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ndparents actively raising their grandchildren were examined in the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xperience raising grandchildren were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five grandmothers or grandfathers raising elementary school-age grandchildren for more than two years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Through a phenomenological study, the themes and meanings of parenting experiences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grandparents actively raising their grandchildren were revealed in detai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ence of grandparents actively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are experience’ and ‘internal experience’. Three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care experience’ revealed in the grandparents’ experience: ‘care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growth care,’ and ‘time management guidance.’ Three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internal experience’ of grandparents in the study: ‘feelings toward grandchildren and children (parents of grandchildren),’ ‘feelings toward oneself,’ and ‘will and reward for raising grandchildren.’

      • KCI등재

        아내와 떨어져 0세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아버지의 사례연구

        안지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아내와 떨어져 자녀를 양육해본 아버지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이러한 과정에서 경험하는 아버지됨의 의미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러한 경험이 있는 아버지를 심층면담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아내와 떨어져 양육하는 것은 새로운 도전이었으며, 이러한 도전은 두려움으로 다가왔다. 연구참여자에게 주변 사람들은 낮은 육아 기대치를 가지고 있었으나 점차 역할비중을 스스로 높아나갔으며, 해보지 않았던 일상적 양육의 영역까지 경험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적으로 육아를 담당할 수 없었던 연구참여자는 주변에 도움의 손길을 구해야 했으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아버지로서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가족 모두의 행복을 추구해야 하며, 전통적인 아버지의 역할에 갇혀 있기보다 새로운 아버지됨을 만들어가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자신은 가족을 위해 희생이 아닌 당당한 선택을 하는 존재이며, 앞으로도 계속 고민하게 될 존재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는 홀로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들을 이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며, 이러한 아버지들과 자녀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at kind of experience does a father who has raised his child without his wife has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For this, we have deeply interviewed a father who has such experience and have analyzed collected data. Raising his child without his wife was a new challenge to him and a fear fell upon him as such challenge began. Raising experience was started from the low expectations of neighboring people toward him but gradually he increased his role in raising and started to know what is an actual raising. However, he had to ask for the help to neighboring people and sometimes he felt the difficult. Through such experience, he got to be realized that he has to strive continuously as a father, has to pursue the happiness of all family members, and has to create a new role of father rather than stuck in the typical role of father. Also, he realized that he has to make not a sacrifice but a fair choice for his family and will concern this continuously even in future. This will be an actual help to understand fathers who raise their children alone and will has the meaning as a basic data to prepare the system to support such fathers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

        The Effects of Consciousness-raising Tasks on EFL Learners' Grammar Acquisition and Flow

        마지현,조영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nsciousness-raising tasks on L2 learners' grammar competence and their flow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77 Korean college students who were assigned to two consciousness-raising task groups the hypothesis building/checking and classification and one control group. The study used a background questionnaire, pre-, post-, and delayed English grammar tests, and also pre-, and post-flow perceptions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ypothesis building/checking and classification task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rms of immediate learning effects, while the performance of hypothesis building/checking task was much grea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long-term retention. As for the flow experiences, learners in the hypothesis building/checking group rated themselves as having a faster flow state than the other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L2 grammar classrooms have been made.

      • KCI등재

        성학대 피해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경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3 청소년상담연구 Vol.31 No.2

        성학대 피해는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들의 부모로부터 경험하는 보호와 지원 등은 성학대 피해 후유증으로부터 벗어나 일상으로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성학대 피해는 자녀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도 충격적인 경험임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성학대 피해를 경험한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질적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학위논문과 학술지로 출판된 8편의 연구를 활용하여, Nobilt & Hare(1988)의 절차에 따라 7단계로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14개의 범주와 45개의 하위범주 주제어로 정리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양육경험의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학대 피해 자녀 양육 과정의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다. 우선 인과적 조건으로 ‘자녀의 성학대 사건이 발생함’이며, 맥락적 조건으로 ‘충격, 죄책감으로 혼란스러움’, ‘가족과 주위의 외면과 비난을 받음’, ‘가해자에게 유리한 제도에 분노함’으로 정리되었다. 중심현상은 ‘부모로서 성학대 피해 자녀를 양육함’이며, 중재적 조건은 ‘사건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부모인 내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함’, ‘사회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 정리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양육태도를 달리함’, ‘아이를 지키는 환경을 구축함’, ‘부모자신을 관리함’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아이와 가족이 회복되어감’, ‘엄마의 역량이 강화됨’, ‘후유증과 재발생에 대한 두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어머니의 경험은 자녀의 성학대 사건으로 충격과 혼란 속에서도 자신의 상황에 대한 수용과 역할을 재인식함으로써 부모로 재탄생하는 과정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학대 피해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개입에 대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상호작용 전략 중심으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Child sexual abuse negatively affects children, but parental protection and support help them heal after trauma. However, child sexual abuse is a traumatic experience not only to children but also to their parents;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xperiences of mothers of sexually abused children, using a qualitative meta-analysis. Material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eight articles publish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in seven stages guided by the procedure of Noblit & Hare. Data analysi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resulted in 14 categories and 45 subcategories that generated a theoretical model of parenting experience. The emergent model includes components as follows: "the occurrence of child sexual abuse" as a causal condition; "shock, confusion with guilt," "being neglected and criticized by family members and their surroundings," and "angry at the system in favor of perpetrators”as contextual conditions; "raising sexually abused children" as a central phenomenon; "accepting the incidence as it i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y role as a parent," and "receiving social services" as interventional conditions; “changing parenting attitudes”, ”creating an environment to protect children”, and ”taking care of themselves”a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children and families being recovered," "parenting competence being improved," and "dealing with trauma and fear of recurrence of child sexual abuse" as results. Overall, the mothers’experience was described as the process of being reborn as a new parent, accepting the situation and re-recognizing their role as a parent despite shock and confusion from child sexual abuse.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interventions tailored to mothers of sexually abused children.

      • KCI등재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주소희(So Hee Ju),이경은(Keung Eun Lee),권지성(Ji Sung Kw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0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0

        이 연구의 목적은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조손가정 아동들과 직접 만나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즉, 현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의미 구조를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질적 연구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손가정에서 생활하는 11명의 아동과 심층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 분석과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은 `돈이라는 괴물`, `버려지거나 맡겨지거나`, `몸이 떠나면 마음도 떠난다`, `허술한 울타리`, `마음을 보이면 안돼`, `그래도 괜찮아`, `익숙해진다는 것의 슬픔` 등이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조손가정, 특히 아동들을 돕기 위한 실천 지침들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children who were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We have chosen a methodology that allows us to meet them directly, see their experiences,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ir experiences. More specificall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children who were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and analyzed their experiences using categorization and theme analysis methods. The key subjects that were found from their experiences were "money is like a monster", "being abandoned", "out of sight, out of mind", "flimsy fence", "don`t want to open my mind", "never mind", and "the sorrow of getting used to the changes." Based on these finding, we propose a practice guideline to help children who are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장애자녀 양육경험

        진재섭,김윤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Multicultural Mothers Examined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Jaesup Jin & Yoonhee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by extracting universal factors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of individual cases of the experiences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determine what needs and support methods are available. Let’s see if there is. Existing individual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were searched using qualitative meta-analysi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even-step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suggested by Noblit & Hare (1988).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raising disabled children were experiencing both social discrimination because they were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could take a look. In addition, as marriage immigrant women, they demanded social support to adapt to Korean society and demanded detailed support to raise disabled children well.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essential to nurture competent experts, and a change in social perception about disabilit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s requir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examining change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Key Words: Qualitative Meta-analysis, Multicultural Family, Marriage Immigrant Wom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Raising Children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장애자녀 양육경험진 재 섭**ㆍ김 윤 희***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경험이라는 개별 사례들을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보편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이들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 어떠한 요구와 지원방안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기존의 개별 질적연구물들을 탐색하였으며, Noblit & Hare (1988)가 제시한 7단계의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 내용: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다문화가정이기에 받는 사회적 차별과 장애아동이기에 받는 사회적 차별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으며, 한국사회에 적응하여 장애자녀를 양육하고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결혼이민여성으로서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사회적인 지원을 요구하였으며, 장애자녀를 잘 양육할 수 있는 세분화된 지원을 요구하였다. 결론 및 제언: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다문화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역량을 갖춘 전문가의 양성이 필수적이며, 장애와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추후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핵심어: 질적 메타분석,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여성, 장애자녀, 양육경험 □ 접수일: 2022년 7월 26일, 수정일: 2022년 8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도 광주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에 의한 것임. ** 주저자, 광주대학교 아동학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jsjin@gwangju.ac.kr)*** 교신저자, 광주대학교 한국어교육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yhkim@gwangju.ac.kr)

      • KCI등재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과 목회적 돌봄

        안유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low income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Seoul by phenomenologic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grandparents over 65–year–old who are nurturing their grand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deducted to 18 lower component factors and 6 comprising factors ultimately. Deducted elements are ‘raising grandchildren by undertaking’, ‘inadequate reality of nurturing’, ‘internal source’, ‘social support’, ‘devoted care’, ‘integration of life.’ The findings suggest that pastoral care is necessary for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grandparents to help arousing interest of Korean church on societally alienate grand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밝혀냄으로써 그들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6명의 65세 이상의 조손가족 조부모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고, Giorgi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18개의 하위 구성요소, 최종적으로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떠맡겨져 시작된 손자녀 양육’, ‘양육의 열악한 현실’, ‘내적 자원’, ‘사회적 지원’, ‘헌신적 돌봄’, ‘삶의 통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손가족 조부모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사회적으로나 교회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조손가족 조부모들의 삶에 대한 한국교회의 관심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신체장애인 부부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송희 ( Songhee Lee ),임정숙 ( Jeungsuk Lim ),이미우 ( Miwoo Lee ),정세미 ( Semi Chu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6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1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ssence of disabled parents``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Method: Five families, which were composed with par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to this study. One-tim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mother of each family and it was recorded, coded, and analysed using method of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Result: Three superordinate themes, nine subordinate themes, and 22 concepts were derived. The essence of disabled parents``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was “disabled parents`` growth with their children despite of prejudice.” This represented that even though disabled parents faced with diverse kinds of difficulties, they put their heart and soul into raising their children and they encouraged their children to have their feet on the ground firmly. Finally, disabled parents went out into the world with their childre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illustrated how those stories about raising children could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mily relation, and suggested possible ways to support disabled parents for raising children.

      • KCI등재

        ADHD 자녀를 둔 부모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김은주,김선형,천성문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fully the parents’ experiences of raising a child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y finding out what their experiences were and examining their adaptive proces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hree-fold: 1. “What is the mother's adaptive process of raising a child with ADHD?”, 2. “What is the father’s adaptive process of raising a child with ADHD?” and 3. “How do clinicians and therapists perceive the parents’ adaptive process of raising a child with ADHD?” In studies 1 and 2, in-depth interviews from the paren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In study 3, focus group interviews from ADHD clinicians and therapists were conducted to assess results of the study in 1 and 2 and foster proper intervention and treatment plans for ADH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study1, 2 and 3 yielded an adaptive process of parents raising a child with ADHD. The adaptive process was a series of step-by-step stages: ‘Perceiving’ stage, ‘Critical’ stage, ‘Confronting’ stage, ‘Accepting’ stage and ‘Coping’ stage. 본 연구는 ADHD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의 경험과 적응과정을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치료사의 관점에서 세 가지의 연구주제로 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어머니 9명, 아버지 8명, 그리고 7명의 치료사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어머니의 적응과정은 어떠한지에 관한 연구주제 1과 아버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주제 2에서는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 부모들의 다양한 경험들을 범주에 대한 빈도수를 표기해서 다수뿐만 아니라 소수의 사례도 나타낼 수 있는 보다 엄밀한 절차를 지닌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법(CQR)으로 영역들과 범주들을 도출하였다. 연구주제 1에서는 11개의 영역들과 48개의 범주들이 도출되었으며, 연구주제 2에서는 7개의 영역과 25개의 범주들이 결과로 나왔다. 치료사의 관점으로 연구한 연구주제 3에서는 치료사들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방식으로 4개의 범주와 11개의 하위범주가 결과로 제시되어 ADHD 자녀를 둔 부모들을 위한 적절한 개입과 치료방법들을 이끌어내었다. 전체적인 연구결과로 ADHD 자녀를 둔 부모들은 일련의 단계별로 진행되는 ‘인식’, ‘위기’, ‘직면’, ‘수용’, 그리고 ‘대처’의 5단계의 적응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ADHD 아동에 대한 부모의 조기 진단과 개입이 중요하며 ADHD 진단에 직면하고 수용하면서 적절한 중재와 부모교육이 ADHD 자녀와 부모의 삶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근거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김은정 ( Eun Jeong Kim ),정순둘 ( Soon Dool Ch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1 No.-

        본 연구는 취업모를 대신해 손자녀를 대리 양육하는 조모들의 적응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 이에 대해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접근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6세 미만 미취학 영유아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들로서 총 6명이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olaizzi가 제시한 6단계 과정에 따라 경험의 본질적 구조로서 16개의 주제와 6개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최종 도출된 경험의 6가지 주제묶음은 ``어쩔 수 없이 손주를 떠맡음``, ``돌봄 역할이 버거움``, ``가족 안에서 내 처지가 억울하고 힘이 듦``, ``힘듦을 혼자서 삭임``, ``손주 돌봄이 나와 가족에게 도움이 됨을 깨달음``, ``점점 뿌듯함을 느낌``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손자녀를 대리 양육하는 조모의 적응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사회복지적 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adaptive experience of grandmother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n working mother``s place an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grandmothers and they have taken care of grandchildren under 6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six steps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we have derived 16 themes on the essential structure of experience and 6 theme clusters. The final six theme clusters that were derived are as following: undertaking a task of caring a grandchild reluctantly, struggling to caregiving role, feeling unfair and difficulty in family, burning the difficulty by herself, realizing benefit of raising a grandchild, feeling great gradually to raise a grandchild. Based on the findings, we hav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grandmother raising their children and lastly have made suggestions for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for them and their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