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의 철인정치론

        김영균 ( Young Kyu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정치권력과 철학이 결합할 때에만 인류가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는 플라톤의 철인정치론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는 글이다. 필자는 먼저 철학자는 완전한 인식을 소유하고 있는 ‘지자(智者)’가 아니라 진리를 추구하는 자임을 밝혔다. 『국가』편에서 이상적인 철학자에 대한 묘사에 근거해서 철인치자가 궁극적 진리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어야만 철인정치론의 근거가 마련된다고 보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다. 기본적으로 철학자는 비철학자와 달리 인식과 의견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통치할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다. 더 나아가 진리를 사랑하는 철학자는 세속적인 욕망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는 그의 주장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배의 비유’에서 두 가지 측면을 주목하였다. 첫째로, 민주정에 대한 플라톤 비판의 핵심은 당시의 직접민주주의가 나라에 필요한 전문적 식견을 지니고 있는 인물들이 그에 적합한 역할을 수행하기 힘든 구조라는 점에 있다. 둘째로, 철인치자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은 『카르미데스』와 『에우티데모스』편에서 모색되었던 `총괄적인 지식’과 같은 것이 아니다. 그는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인식에 근거해 적도와 균형을 통해 좋음을 구현하고자 하는 자이다. 또한 철학자는 단지 양육과 교육의 빚을 갚으라는 요구 때문에 정치 현실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좋음의 구현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의 철인정치론은 지성이 지배하는 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도로서 제시된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nsider Plato`s argument for philosopher-kingship, that means human happiness can be possible only when political power combines with philosophy. First I tried to prove the philosopher not a knower who attains the full knowledge, but a man who seeks truth. It is an exaggeration to say,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ideal philosopher" in Republic, that philosopher-kingship can be a valid theory only when the philosopher-ruler should own the full knowledge of the ultimate truth. Basically the philosopher, unlike the non-philosopher, can tell knowledge from belief, so as to be qualified to rule. Then I examined Plato`s assertion that the philosopher, lover of truth, will stand aloof of worldly desires. And I remarked on the two aspects in "the figure of a ship". First, what Plato criticized about democracy was that the direct democracy of his times provided an unfavorable structure where the people with expertise for the nation could not perform their proper roles. Secondly, the expertism required of the philosopher-ruler is not the same as the architectonic knowledge, groped out in Charmides and Euthydemus. He relies on the knowledge of the form of the good and seeks to realize the good through measure and symmetry. And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philosopher enters the political arena, not merely for the demanding that he repay the breeding and education he had received, but for the purpose of realization of the good. In short, Plato asserted philosopher-monarchism as a means to realize an ideal community dominated by intelligence(nous).

      • KCI등재

        플라톤의 『국가』와 철인왕의 패러독스

        박성우(Sung-woo Park) 한국정치사상학회 2004 정치사상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철인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플라톤의 철인왕에 대한 해석은 종종 도식적으로 이해되거나, 그것이 논의되는 시공적 컨텍스트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음으로써, 플라톤이 『국가』라는 텍스트를 통해서 전달하고자 했던 의도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철인왕에 대한 해석은 플라톤의 정치사상이 꽤나 왜곡되는 데 일조를 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철저하게 텍스트적 맥락에서 플라톤이 전달하고자 했던 철인왕의 의미를 추적했다. 먼저 철인왕에 대한 주장이 담고 있는 패러독스적 요소를 밝혔고(2장)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계의 논의들과 그 한계점들을 지적히였다(3장). 두 번째로, 플라톤은 왜 이런 패러독스적인 구조 속에서만이 철인왕에 대한 주장을 펼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서 논했다(4장). 이러한 검토를 통해 본 논문은 정치와 철학의 갈등, 비철학자와 철학자 간의 갈등, 로고폴리스와 칼리 폴리스의 내재적 차이 등을 부각시켰다 결론적으로, 철인왕에 대한 플라톤의 주장은 현실적으로 그러한 정체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그것의 완화된 형태로서 철학자의 정치참여를 암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플라톤은 정치와 철학의 갈등, 비철학자들과 철학자간의 갈등이 완벽하게 해결될 수 없음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양자 간의 조화가능성을 여전히 열어 두고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er-king,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Plato's Republic. The concept has been subject to distortion and misrepresentation, due to the historical context that has mistaken Plato's philosopher-kings as authoritarian leaders, the most abominable public enemies. The result is unfortunate to the student of Plato, because such an (mis)interpretation has dislocated Plato's intension in the ingenious text, the Republic. The paper thus returns to the text, which, I argue, is the best place where we can chase Plato's intension. The paper starts with analysing paradoxial elements in Plato's argumentation of philosopher-kings. Second, it reveals why Plato "has to" put philosopher-kings in the paradoxical structure, while it examines the efficacy and the truthfulness in Plato's argumentative persuasion of philosopher-kings. The paper argues that Plato employs rhetorical device in order to mitigate the tension between politics and philosophy. One can explain Plato's paradoxical language such as "forcing philosophers to rule" only in the Plato's rhetorical position, which demands the balance between philosophers and non-philosophers. The paper concludes that Plato succeeds in hitting and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the two through this rhetorical device. In so doing, the paper argues, Plato opens the possibility of reconciling politics with philosophy. To put it bluntly, Plato does not affirm emergence of philosopher-kings in practice. However, he expects (and persuades) potential philosophers to participate in politics in different ways. Are philosophers to be persuaded by Plato? Before answering this question, one has to ask oneself what one is: a philosopher or a non-philosopher?

      • KCI등재

        철인왕과 정치의 리더십

        서영식 ( Suh Young-sik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2

        주지하듯이 『국가』(Politeia)는 서구지성사에서도 손꼽히는 고전 중의 고전에 속하며, 21세기에 들어선 오늘날에도 이 작품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검증되고 있다. 『국가』의 핵심적인 논의들 가운데 한 가지로 이른바 `철인왕` 담론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의 저술동기이자 궁극적 지향점인, 인간의 공동체를 정의가 살아 숨쉬는 “이상적인 나라(kallipolis)”로 만드는 것은 바로 철인왕의 과업이자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이 글의 주제는 플라톤이 구상한 철인왕은 누구이며, 그에게는 어떤 역할이 주어졌는지 가능한 범위 안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플라톤의 철인왕에 관해 다시 논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가 주목하고자 하는 바는, 이 철인왕 담론 속에는 2017년 현재 우리 한국사회에서 무엇보다 절실히 요청되고 있지만 동시에 가장 희귀한 가치개념 중 하나인 `정치적 리더십`의 의미와 역할이 현대인의 시각에서도 꽤 흥미로운 방식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상당히 설득력 있게 소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국가 운영의 자격을 갖춘 철학자는 어떤 존재인가? 첫 번째, 철학자는 “지혜(sophia)”를 추구하고 “진리(aletheia)”를 관조하기 좋아하며 이를 위해서는 어떤 유형의 학습과 배움도 흔쾌히 받아들이는 성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 철학자는 내면의 불필요한 욕망을 억제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절제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세 번째, 통치에 참여하는 철학자는 국정의 책임자로서 현실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보여주어야 하는 동시에, 시민들의 지도자로서 사익보다는 공익을 앞세우고 정의로운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구성원 누구에게나 인정받는 최상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철인왕은 내적으로는 지성과 절제의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욕망을 거의 완벽하게 컨트롤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다. 또한 외적으로 철인왕은 국가운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정의감과 용기를 바탕으로 자신의 능력을 사익보다는 공익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나라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나아가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고유한 능력을 깨닫고 이를 제대로 발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국가조직의 잠재력을 최고치로 끌어올리는 지도력을 갖춘 사람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우리 한국사회는 한편으로 지난 20세기 중반 이후 지구상에서 거의 유일하게 경제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21세기에 접어든 오늘날 경제 양극화, 지역·세대 간 갈등, 북핵과 통일문제 등 사회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수많은 난제들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채 이른바 `헬조선`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 또한 우리 역사에서 오늘날처럼 리더와 리더십의 부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던 때도 일찍이 없었던 것 같다. 플라톤의 시각에서 볼 때 그 원인은, 우리 사회 각 계각층의 지도급 인사들이 사실상 철인왕 리더의 모습과는 정반대의 길을 선택함으로써, 정의와 평등 같은 공공선의 추구를 통해 공동체에 새로운 가치와 비전을 제시하려는 노력이나 공인으로서 자신의 생각과 말과 행동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는 망각한 채, 오직 사적인 이익과 허명 같은 개인의 영달만을 좇는 삶에 만족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철인왕으로 지칭된 국가의 리더는 누구이며 어떤 능력과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지(존재론적·인식론적 차원의 자격), 그리고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때 올바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지(도덕·윤리적 차원의 자격), 『국가』의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플라톤은 철인왕이 이상적인 나라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어떻게 국정의 밑그림을 그려야 하며, 또한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응하는 판단원칙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였는지(실천적·정책적 차원의 자격), 『국가』편의 다양한 논의 맥락들 속에서 단편적으로 제시된 그의 정책적 단상들을 매개로 음미해보고자 한다. The Republic, one of the most famous and influential classic works in the world, focuses on the way of happy life of the ideal polis state(kallipolis). The main subject of this work is, as we all know, justice(dikaiosyne). In the meanwhile, one of the main themes of this very important book is the so called “philosopher king”. Philosopher kings are the rulers of Plato`s ideal polis state. According to Plato, if the ideal state is to ever come into being, philosophers must become kings, or those now called kings must genuinely and adequately philosophize. Plato defined the philosopher as an wisdom(sophia)-lover. Philosopher is the only person who has access to Ideas and loves true knowledge(episteme). He can also have virtues(arete) which Plato emphasizes as very important moral elements of the ideal state. In this thesis we will discus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o is the real leader of the ideal state and which qualification is needed for it? 2) What is the real condition of leadership in the ideal state? 3) What is the principle of the rule by philosopher king? 4) How can philosopher kings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the rule of the ideal state?

      • 인공지능과 철인통치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플라톤의 ‘이상 국가(Kallipolis)’ 속 ‘철인 통치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고찰 ―

        송석현 ( Song Seok Hyu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8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9 No.1

        국가를 운영하는 정치형태는 다양하고, 가장 대표적인 것이 법치이다. 플라톤은 ‘철인통치’를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했지만 차선 중 가장 우월한 것으로 ‘법의 지배’를 꼽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서양 고전(古典) 중 하나인 플라톤의 『국가』를 중심으로 거기에서 밝히고 있는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과 그 국가를 이끄는 철인치자의 존재가 자연인이 아닌 인공지능(AI)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법치주의의 한계 극복 가능성을 살펴본다. 그를 위해 먼저 플라톤이 생각한 이상국가란 어떤 모습이고 그 국가를 이끄는 철인 통치자는 어떤 모습인지 확인한다. 그런 다음 기본적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하여 최근의 딥러닝 기술에 이르기까지의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상을 살펴보며, 인공지능이 지성을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강인공지능’의 형태로 플라톤이 제안한 철인 통치자를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님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비록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많이 부족하지만 그러한 인공지능의 출현은 시간문제일 뿐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며, ‘법의 지배’아래서 살고 있는 우리세대가 기술적 발전을 통해 찾아올 특이점을 맞이하는 때에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 생각해 본다. There are various forms of government that run the nation, and the rule of law is most representative. Plato considered ‘rule of philosophers’ the most ideal, but he referred to‘rule of law’as the best alternativ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philosopher k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cept of ideal nation and the Philosopher king which are described in 『Republic』 by Platon. Then, It checks whether characteristics of philosopher king are accomplished by AI and it also explores the way of evolution for our government. For this purpose, it finds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nation and philosopher king at first. And the bas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rimitive technologies to state-of-the-art such as deep learning, are described in this paper. Based on them, it shows the developing and realizing the philosopher king is not the impossible mission.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has large potential. Although technologies for copying and implementing neural network artificially are on the primitive stage, it’s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strong AI appears. At last, this article suggests an attitude of our generation, who leave under the rule of law, toward singularity the moment when AI has become so advanced that humanity undergoes a dramatic change.

      • KCI등재

        계몽주의 시대의 `철학자/작가`의 시기별 개념 변화와 그 의미 : 출판시장의 확대와 철학자, 문인 그리고 작가들

        정해수 ( Chung,Hais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7 No.-

        이 글은 「계몽주의 시대의 `철학자/작가`의 시기별 개념 변화와 그 의미 - 1. 용어의 사전적 의미와 18세기 문학장의 기원」의 후속 논문이다. 우리는 이 글에서 출판시장이 확대된 이후 17세기 말엽의 문학장의 변화를 고찰했다. 특히 현대철학자들과 교수직을 가진 전통 철학자들 간에 철학자로서의 정체성을 두고 벌어진 다툼의 양상이 이 글의 핵심내용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독자층의 형성으로 인해 전통 철학자들도 독자들의 기대지평에 민감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몇몇 전기 작품도 이 글의 관심사항이었다. 17세기 말 갑자기 예전과 달리 철학자나 작가가 전기 작품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자들은 새로운 시대를 선도할 새로운 영웅, 즉 위대한 철학자 또는 위대한 작가의 도래를 희구했고, 이러한 희망이 전기 작품의 출판으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저자, 작가, 철학자 등에 대한 개념변화가 자연스럽게 드러났다. 다음 글에서 우리는 철학자/작가에 대한 보다 진전된 논의를 이어갈 것이다. This article is a follow-up on the concept of philosopher/writer and its transformatio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 1.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term `philosopher/writer` and the origins of `literary fields` of the Enlightenment era. In this article, we analyzed changes in the literary field in the late 17<sup>th</sup> century after the expansion of the publishing market. We examined the conflict surrounding philosophers` identifying between modern and traditional philosophers. We have validated that the formation of new readers has made traditional philosophers more sensitive to the `horizon of expectations` of readers. Some biographical works are also one of our concern. By the end of the 17<sup>th</sup> century, philosophers and writers suddenly became objects of biographical works unlike in the past. Through our research, we found that readers have sought the arrival of a new hero, a great philosopher or a great writer, that will lead a new era, and due to this anticipation, it has led to the publication of biographical works. In this process, we have revealed conceptual changes about authors, writers, philosophers, and so on. In the next article, we will continue advanced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philosopher/writer.

      • 플라톤의 철인왕과 평화의 리더십

        서영식(Suh, Young-Sik)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 아테네에서 활동했던 철학자 플라톤(Platon, BC 428/7-348/7)의 『국가』(Politeia)는 서구지성사에서도 손꼽히는 고전 중의 고전에 속하며, 이 작품의 가치는 21세기에 들어선 오늘날에도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지하듯이 이 작품의 표면상의 주제는 ‘정의(dikaiosynê)란 무엇이며, 정의로운 생각을 하고 이를 실천하는 사람에게는 행복(eudaimonia)한 삶이 보장되는가?’이며, 구체적인 논의 전개과정에서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훌륭하고 가치 있는 삶에 관한 고찰이 다양한 분과 학문적 토론을 바탕으로 폭넓게 전개된다. 그런데 『국가』에 등장하는 수많은 논의들의 방향은 사실상 이른바 ‘철인왕’ 담론으로 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저술동기이자 궁극적 지향점인, 인간의 공동체를 정의가 살아 숨쉬는 “이상적인 나라”(kallipolis)로 만드는 것은 철인왕의 과업이자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플라톤의 철인왕에 관해 다시 논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가 주목하고자 하는 바는, 이 철인왕 담론 속에는 2022년 현재 우리 한국사회에서 무엇보다 절실히 요청되고 있지만 동시에 가장 희귀한 가치개념 중 하나인 ‘정치적 리더십’의 의미와 역할이 현대인의 시각에서도 꽤 흥미로운 방식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상당히 설득력 있게 소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 리더십 용어를 차용하여 표현하면, 『국가』편은 ‘修己’(self-leadership)와 ‘獻身’(servant leadership)의 자세를 확립하고, ‘정당한 권위’(charisma leadership)를 바탕으로 국민(follower) 각자가 자신의 ‘소질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이끄는 능력’(empowering leadership)을 갖춘 ‘전인적 지도자’(authentic leader) 양성에 관한 인문학 차원의 ‘야전교범’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철인왕으로 지칭된 국가의 리더는 누구이며 어떤 능력과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지(존재론적·인식론적 차원의 자격), 그리고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 때 올바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지(도덕·윤리적 차원의 자격), 『국가』의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플라톤은 철인왕이 이상적인 나라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어떻게 국정의 밑그림을 그려야 하며, 또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응하는 판단원칙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였는지(실천적·정책적 차원의 자격), 『국가』편의 다양한 논의 맥락 속에서 단편적으로 제시된 그의 정책적 단상들을 매개로 살펴볼 것이다. The Republic, one of the most famous and influential classic works in the world, focuses on the way of happy life of the ideal polis state(kallipolis). The main subject of this work is, as we all know, justice(dikaiosynê). In the meanwhile, one of the main themes of this very important book is the so called “philosopher king”. Philosopher kings are the rulers of Plato’s ideal polis state. According to Plato, if the ideal state is to ever come into being, philosophers must become kings, or those now called kings must genuinely and adequately philosophize. Plato defined the philosopher as an wisdom(sophia)-lover. Philosopher is the only person who has access to Ideas and loves true knowledge(epistemê). He can also have virtues(aretē) which Plato emphasizes as very important moral elements of the ideal state. In this thesis we will discus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o is the real leader of the ideal state and which qualification is needed for it? 2) What is the real condition of leadership in the ideal state? 3) What is the principle of the rule by philosopher king? 4) How can philosopher kings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the rule of the ideal state?

      • KCI등재

        국가에서의 철학자-군주의 역할

        이호찬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1

        In The Republic, the ‘philosopher-king’ represents the concept that the ‘philosopher’ should be the ruler. The philosopher is a person who has the knowledge of the absolute standard that rules the whole world, ‘the Form of the Good’. Aristoteles criticizes the Form of the Good since it asserts that it exists beyond this world, and that even if there is such a thing, it is not possible to know. However, Plato shows through the three consecutive metaphors—the Sun, the Line, and the Cave—that the Form of Good is only in the mind of well-educated philosopher. Metapraxis is a form of discourse that explains the cultivation of the mind by means of three semantic elements: the double-layered structure, the circularity, and the personal involvement. The elements of the double-layered structure and the circularity provide an answer to Aristotle's criticism by maintaining that the Form of Good is not the same kind of standard as those of the world of phenomena, but it is also not irrelevant. The element of the personal involvement of Metapraxis defines the attitude of a properly educated person and a true politician. Thus, The Republic turns our eyes to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poli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국가론」에서 ‘철학자-군주’는 ‘철학자’가 통치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나타낸다. 이 주장의 근거는 철학자가, ‘좋은 것의 형식’이라는, 이 세상 전체를 포괄하는 절대적 기준을 갖춘 사람이라는 데에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것의 형식’이라는 주장은이 세상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며, 혹시 그런 것이 있다고 해도 알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비판을 가한다. 그러나 플라톤이 ‘좋은 것의 형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드는 세 개의 비유—태양, 선분, 동굴—는 ‘좋은 것의 형식’이 교육을 받은 결과 가지게 되는 마음임을 보여준다. 메타프락시스는 심성함양을 설명하는 담론 형식으로서, 중층구조, 순환론, 당사자적 자세라는 세 가지 의미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중층구조와 순환론은 ‘좋은 것의 형식’과 같은 절대적 기준이 현상 세계와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무관한 것도 아니라는 것, 뿐만 아니라 교육, 정치, 종교의 ‘매체’를 통하여 그 절대적 기준을 갖추게 된다는 것을 이성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에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된다. 특히 「국가론」에서의 ‘철저히 정의로운 사람’이나 메타프락시스의 ‘당사자적 자세’는 올바르게 교육받은 사람, 참된 정치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리하여 「국가론」과 메타프락시스는 교육과 정치의 목적, 그리고 그 양자의 관계, 나아가 우리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 KCI등재

        여성 리더십의 이상과 현실: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철인여왕’을 중심으로

        문지영,강철웅 철학연구회 2019 哲學硏究 Vol.0 No.1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a of ‘philosopher queen’ presented in Plato’s Politeia, and to consider what implications the idea provides us wi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politics and female leadership. Plato puts forward the claim that women can play an equal role with men in protecting and managing a state (at least, ideal one), which suggests that the idea of philosopher quee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rule,’ and needs to be interpreted in the whole context of his so-called ‘ideal state theory.’ In this study, we read the suggestion of philosopher queen as a device that dramatically reveals Plato’s conception of the qualification which should be satisfied by individuals who participate in such an ideal rule as a political leader. In Politeia, ‘politics’ is not envisaged as something that is affected by gender differences; rather,what matters is whether the person, regardless of gender, has the nature for guardianship of the state and is properly educated as apolitical leader. When Plato included the idea of philosopher queens in his discussion on the ideal state, which unfolded against the historical reality of ancient Athenian democracy, he emphasizes that political leadership is not just a role or ability that only men can play or possess, but a mission or duty of those who know what is good for the community and how to realize it. In Plato’s view, the numbers of people who participate in political decisions is not of a decisive issue; it is more of his concern that properly guided and educated persons should exercise leadership so that the right decisions can be made for the sake of the entire community. From this, we can learn one important lesson for women’s political leadership issues today: it would be more desirable for us to focus on political education that develop the abilities and ambitions of women to understand the overall situations and common needs of their own societies and present their future directions, rather than arguing about what is ‘the feminine’ and how to develop such feminine characteristics.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에서 플라톤이 여성에게 열어 놓은 철인통치자의 가능성을 그의 이상국가론 전체 맥락 속에서 해석하고, 이른바 ‘철인여왕’(philosopher-queen) 비전이 여성과 정치의 관계 및 여성 리더십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플라톤은 여성이 남성과 평등한 역할을수행할 수 있다는 획기적인 주장을 하필 ‘국가를 수호하고 경영하는 사안’과 관련하여 제기하는데, 이는 철인여왕에 대한 아이디어가 그의 이상국가론 및 이상국가의 정치와 연결시켜 이해해야 할 문제임을 말해준다. 이 연구는 ‘철인여왕’의 제안이 ‘철학적 지배’로서의 정치에 대한 구상과 연결되면서 누가 그런 이상적인 지배에 참여하는 정치 리더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플라톤의 생각을 극적으로 드러내는 장치 역할을 한다고 해석한다. 『국가』에서 ‘정치’는 여성이어서혹은 남성이어서 할 수 있는 어떤 일이 아니며, 여성이든 남성이든 필요한 본성과 교육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비로소 참여할 자격이 생기는 일이다. 즉, 고대아테네 민주정의 역사적 현실을 배경으로 전개된 이상국가의 구상에 플라톤이굳이 ‘철인여왕’의 아이디어를 포함시켰을 때, 그는 정치적 리더십이 ‘남성’이기에, ‘남성’으로서, ‘남성’만이 갖는 자격이나 능력이 아니라 공동체의 보편적인가치와 그것을 실천하는 방법을 배워 아는 자들에게 따르는 사명이자 의무라는점을 강조한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정치적 결정에 참여하는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공동체 전체를 위해서 최대한 올바른 결정이 내려질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을 받은 자들이 리더십을 발휘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오늘날 여성의 정치적 리더십 문제와 관련하여 생각해볼 한 가지 중요한통찰을 얻는다. 여성 리더십 논의의 초점은, ‘남성적’ 특성과는 다른, 그것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여성적’ 특성이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보다, 자신이 속한 사회 또는 영역을 이해하고 장차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교육에 맞춰질 필요가 있다는 통찰이 그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의 철인왕 통치

        김윤동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7 No.-

        Plato's political thought is developed in <Republic>, <Statesman> and <Laws>. He hopes 'justifiable state' that all citizens can get happiness. He suggests the plan of the ideal state. An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is ideal state is philosopher-king. His metaphysics, psychology and education theory are melted in philosopher-king. But in actual, the appearance of this ideal ruler is impossible. Therefore he finds the second best state in <Laws>. Then does Plato gives up his dream of the ideal state or approaches to that closely? And ruler stands against laws or relates with partnership?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problems. As last, we will compare Plato's ideal state and philosopher-king to God's kingdom and Jesus in the Bible. 플라톤의 정치사상은 <국가>, <정치가>, <법률>이라는 세 대화편에서 전개된다. 당시의 혼란스런 정치적 상황에서, 그는 모든 시민이 행복할 수 있는 ‘정의로운 나라’를 염원하면서 <국가>에서 이상국가의 설계도를 제시한다. 그런데 이상적인 나라의 핵심요소는 철인왕이다. 플라톤은 철학적 이성과 통치 권력이 결합되지 않는 한, ‘아름다운 나라’가 건설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국가>에서 보여준 그의 형이상학, 영혼론, 교육론 등은 모두 이 철인왕 통치를 위해서 동원된 수단들이다. 다시 말해 철인왕 안에서 그의 모든 철학적 이론들이 용해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이상적 통치자의 등장이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정치가>의 과도기를 거쳐 <법률>에서 법률로 다스려지는 차선의 국가를 모색하게 된다. 그렇다면 플라톤은 이상국가의 꿈을 완전히 저버렸는가, 아니면 완전한 실현은 아닐지라도 법을 통해 이에 근접하고자 했는가? 또한 통치자와 법은 상호대립의 관계에 있는가, 아니면 상호 보완의 관계에 있는가? 이러한 문제들을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플라톤의 이상국가와 철인왕을 성경의 저자들이 증거 하는 하나님나라 및 예수와 비교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폐허의 영감(靈感)” ―월러스 스티븐스의 「로마의 노철학자에게」

        윤준 한국현대영미시학회 2014 현대영미시연구 Vol.20 No.2

        Wallace Stevens’ “To an Old Philosopher in Rome,” a meditative eulogy on the last phase of the life of George Santayana, has often been regarded and extolled as one of his best last poems. Based on Edmund Wilson’s article on his visit to the old philosopher in Rome in 1945, it places the focus on the philosopher’s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 significance of his life. Indeed, Stevens’ meditation on the old philosopher’s achievement even at the end of his secluded life served well to the poet in his seventies as an invaluable opportunity to look back on his own life both as a man and as a poet. However, Stevens’ sympathetic reflections on Santayana’s life and work are rendered with his peculiar complex rhetoric and presented in his apparently obscure atmosphere produced by the repetitions and variations of abstract words and phras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cover the depth and the wealth of Stevens’ moving reflections in the poem by paying attention to some essential intertexts and examining its thematic and structur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