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현황과 과제

        부남철(Pu Nam Chul)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 No.1

        한국정치사상은 있는가? 그간 정치학계에서는 정치학의 현황과 과제를 논의할 때마다 한국정치사상 연구와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1970년대 이후 학자들의 개인적인 노력에 의해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개척되었고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이후에는 한국정치사상을 전공하는 학자들이 급증했다. 이들에 의해 다수의 연구 논문이 각종 학술지에 게재되었고 전문 연구서도 활발하게 출판되었다. 현재 전문 학회가 설립되었을 정도로 한국정치사상 분야는 양적으로 성장했다. 그렇지만 그 연구대상이 주로 전통사상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아직도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학문적으로 철학이나 역사학과 어떻게 다른지 그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심지어는 이런 연구가 정치학이냐는 질문을 받기도 한다. 문제는 결국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것인데,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는 한국정치사상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었지만 그런 성과를 학문적으로 의미 있게 통합하는 공동의 노력은 부족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정치사상사 전공학자들 사이에서 공유하는 연구 대상, 범위, 방법 등에 대한 인식 형성이 미약했다. 한국정치사상의 연구 본령과 방법이 고정된 것은 아니지만, 현단계에서 한국정치사상의 연구현황과 방법에 관해 논의했던 글에서 제기되었던 쟁점을 살펴보면서 한국정치사상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해본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정치사상 연구를 위한 틀

        김한식(KIM HAN-SHI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3 No.1

        거의 불모지라고 할 수 있는 한국정치사상 연구가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연구의 틀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그동안 일부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이러한 성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서양 근대적 학문방법론에만 매달리지 말고 우리의 상황에 맞는 접근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우선 관련되는 인문분야의 업적을 계속 쌓고, 자료의 정리보완에 깊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연구의 대상은, 인간관, 신관, 자연관에 함축된 정치적 상관관계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고학, 역사, 언어, 민속 그리고 종교 등 여러 분야에 깊은 관심이 필요하면, 토템이나 신화 등에 관한 연구는 고대의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정치학 연구방법론을 설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시간의 문제, 주체의 문제 그리고 상황과 사상의 관련성 문제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연구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사상가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방법과 시대사 중심의 연구방법 그리고 주된 사상 중심의 연구방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들 연구방법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연구대상의 성격에 따라 적절히 혼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현대 서구중심의 사상의 흐름과 대비시켜 한국인의 자기 확인, 창의성의 제고, 자기발전의 동력제공이라는 정치사상의 바탕을 마련하는 지혜를 찾아야 할 것이다. 다양한 사고를 통해 자료의 부족에 따른 공백을 메우며 폭넓은 안목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 정치사상」 통권을 시도하는 하나의 길잡이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양정치사상에서의 진보

        김정호(Kim Jung Ho) 한국정치사상학회 2009 정치사상연구 Vol.15 No.2

        이 글은 한국의 전통적 진보사상의 특성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필자는 논문에서 한국정치사상에서의 진보란 ‘정치사회적 차별에 대한 저항’과 ‘평등적 정치사회공동체의 지향’을 내용으로 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정치체제가 차별과 위계를 기반으로 하는 봉건적 특성을 지닌 것이었기에 정치 목표상 그것을 고수하려는 모든 사상적 시도를 ‘보수’라고 본다면 그와 반대되는 ‘반봉건적’ 태도를 진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반봉건적’이라고 할 때 그것은 기존의 정치체제적 유형, 즉 군주제의 완전한 타파를 통한 새로운 정치체제의 창출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최소한 19세기 후반 이전까지 한국정치사상에서 새로운 정치체제는 구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단지 존재하는 정치구조 내에서 동아시아 전통의 평등적 공동체 구현의 가치를 창출하고 그것을 실현하려는 정치사상적 노력의 형태로서 존재했을 뿐이다. ‘평등적 공동체 관념의 정치적 현실화가 가능하지 못했지만 그것을 지속적으로 지향해 왔던 것’이 한국의 진보적 정치사상의 중요한 보편적 특성이었다. 실학사상(實學思想)-동학사상(東學思想)-개화사상(開化思想)으로 이어지는 한국적 진보사상의 흐름은 이러한 점을 잘 보여주는 것이었다. 한국의 진보적 정치이념은 비록 당시의 정치사회질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했지만 이후 서구 정치이념과의 만남을 통해 ‘봉건성’의 실질적 탈피를 가능케 하는 내적 요소로 작용했다. 거기에는 묵자와 노장사상과 같은 동아시아 전통의 진보사상, 서구 과학지식을 통한 인식의 확대, 근대 시민권 사상의 수용, 그리고 사상가들의 독창성이 토대가 되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progressive political thought in Korea. The term of 'progressive' in Korean political thought meant 'resistance to the existed socio-political discrimination' and ‘intention to construct an equal socio-political community.' If we think 'conservative' as 'feudal' in the modern period, it is right to say that an antifeudal attitude is progressive. However, the antifeudal attitude in Korean progressive political thought didn't direct to create a new political system through abolishing and replacing the existed monarchy. It was due to the fact that there had been no idea of a new political system till late 19th century in Korean political thought. There existed only thinkers' endeavor to create a equal and communal value and realize it against the exited huge and powerful discriminated system. It was an universal characteristic of the traditional progressive political thought in Korea. The characteristic was well shown from Silhak thought to Gaehwa thought via Donghak thought as Korean progressive thoughts. The Korean progressive thoughts acted as a main inner factor to break down the feudal monarchy after late 19th century although they couldn't have a power to fundamentally change the dominant conservative socio-political system at that time. And that was based on existence of the traditional East Asian progressive political thoughts such as Mohism and Taoism, enlargement of recognition through the Western knowledge, acceptance of the modern civil thoughts, and originality of the Korean progressive political thinkers.

      • KCI등재

        한국 사회과학의 정체성과 한국정치사상사 연구

        이택휘(LEE TAIKWHI)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3 No.1

        오늘날 한국 학계의 상황은 “기초학문의 위기”에 처해있다. 대학이 “실용성”위주의 상업주의적 실용주의 노선에 편향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국을 대상으로 한 기초여구는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회과학적 인식의 존재구소성은 역사인식이라는 한계를 전제로 하지 않을 수 없다. 1950년대까지 한국 정치학의 중심은 주로 정치제도, 정치사상사, 정치사였으나, 1960년대 이후에는 “정치학의 과학화”를 표방하고 실증적ㆍ분석적 방법을 통한 과학적 이론체계의 구성에 노력해 왔다. 그러나 그 긍정적인 목적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가치관계적 연구대상들을 제외시킴으로써 정치학의 연구영역을 심각하게 축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런데 정치사상사 연구는 정치학에 기본적인 개념과 사색적 능력을 제고시켜 주는 것이다. 특히 한국정치사상사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필요불가결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와 교양 교육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3 No.1

        이글은 한국정치사상사 연구가 조락하고 있는 이유에 관한 담론을 담고 있다. 낮은 시장성, 정치사상이 당시의 지배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한계성, 한글 전용의 여진(餘震), 사상사에 내포된 종교적 성격과 이로 인한 배타주의, 서구 학풍의 풍미와 이로 인한 국학의 부진 등으로 인하여 정치사상사 연구가 쇠락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치사상은 만상의 근원으로서의 학문이며, 수기치인의 출발점이자 한국인의 정체성의 발견이라는 점에서 매우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사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이 글은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에 난해함으로부터 해방하여 철학적 사변을 극복하고, 우리말로써 자아준거적 사상사를 확립한 통사를 개발한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계시, 관습, 이성

        유종선(Ryu Jong-Sun) 한국정치사상학회 2009 정치사상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7세기 영국혁명의 주요 사건중 하나인 퍼트니 논쟁의 정치언어와 이의 정치사상사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퍼트니 논쟁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시각은 이것이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사상적 도전에서 근대정치사상의 태동에 이르는 담론의 구조와 역사를 상징한다고 하는 것이다. 퍼트니 논쟁에서 ‘수평주의자’들의 주장은 직접적 계시의 프로테스탄티즘 교리에 바탕을 둔 급진적 정치사상의 전형이며, 비판자들은 이의 무정부적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관습과 절제된 이성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적어도 영미정치사상의 전통에서 볼 때 이는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으로부터 근대정치사상의 등장에 이르는 역사적 과정의 상징이고 축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퍼트니 논쟁의 구체적 언어들 속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치사상적 도전의 성격과 한계, 이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담론의 모습들을 살펴 보고, 서구 근대정치사상 태동의 맥락에서 퍼트니 논쟁의 정치사상사적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비서구의 입장에서 서구 근대정치사상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우리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languages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of the Putney Debates, 1647,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of the English Revolution. I will argue that the Putney Debates in many respects represents the whole history leading to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in the West. The Levellers here advance a radical democracy typical of the Protestant political thought, based upon the concept of sola scriptura and revelation, while the criticism of the Grandees represents a modern challenge to the allegedly anarchistic tendencies of such Protestant radicalism. The Putney Debates clearly shows the nature and limitations of the Protestant poltical challenge, on the one hand, and a modern response to the challenge, on the other, thus anticipating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of Thomas Hobbes and John Locke.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histocal study will help us understand the nature and relevance of the modern political thought of the West in the non-Western world.

      • KCI등재

        鄭汝昌 政治思想의 再評價

        이지경(Lee Jee-Kyo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3 No.2

        본 논문은 조선전기 성리학적 이상주의 정치사상에서 일두 정여창 정치사상을 재평가 한 정치학 최초의 연구 논문이다. 조선전기 정몽주, 길재, 김숙자, 김종직의 사립학풍을 계승한 조선조 실천유학의 선구자로서 한국정치사상사의 역사적 위치는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역사학, 철학 연구에 비해 자료적 한계를 핑계 삼아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정여창 선행연구 30편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정여창은 조선사립정치사ㆍ조선지성사에서 김굉필, 조광조, 이언적, 이황과 더불어 동방오현 또는 사림오현의 한사람이다. 이러한 사림들의 도학존숭론(道學尊崇論)은 유학 정치사상 연구는 결코 간과 할 수 없는 중요한 영역이다. 정여창의 유학 정치사상에서 안음현감시 국정쇄신정책인 경세론과 소학진흥운동을 재평가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자들의 정여창 평가를 검토후 정여창 정치사상연구의 연구과제에서 나타난 한계와 전제군주제의 지양 및 도학정치 구현의 왕도정치론을 재평가 하였다. 지독하게 고집스런 사림의 한사상가 였던 정여창은 유배지 함경도 종성까지 유학을 전파하고 국가발전을 위한 후학 양성의 교육자적 자세는 한국정치사상사에서 보기 드문 경우이다. 이런 사림의 유교사상과 유교정신문화 유산을 한국사상의 세계화 차원에서 세계학계에 반드시 알려져야 한다. 아울러 동시대인과 선후대 사상가의 자료발굴과 비교연구의 중요성도 함께 지적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