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사환일기(仕宦日記) 연구(硏究) -박래겸(朴來謙)의 『서수일기(西繡日記)』를 중심(中心)으로-

        박영호 ( Young Ho Park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5

        This paper consider carefully the diary of a career official in the Joseon dynasty around Park Naegyeom(朴來謙)`s 『Seo-su Diary(西繡日記)』. Through the deeds of his predecessors and writing, I examine his work, analyze 『Seo-su Diary(西繡日記)』 and study its character and its peculiarity. The diary is the only book which transcribed by hand, and it is written in the printed style. Park Naegyeom`s life is classified as the three season. From 30 to 58, it is called a career official time. Before that time, it is called the study season, and after that time, it is called the old age. 『Man-o You-go(晩悟遺稿)』 is his posthumous work, 『Seo-su Diary(西繡日記)』 is an undercover emissary of the king`s record, 『Buk-mak Diary(北幕日記)』 is a Buk-pyeong-sa(北評事)`s record, 『Sim-sa-rok(瀋차錄)』 is a Seo-jang-gwan(書狀官)`s record, etc. In the 『Seo-su Diary(西繡日記)』, it has been recorded a broad variety of experience as a career official. This diary surveys a career official`s reality awarenes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his thought of literary, the phases of the times, and a cultural style in those days. 『Seo-su Diary(西繡日記)』 has diverse forms and an abundant content, and the importance of those days record. It is used as research material about social and culture in the former part of 19th century. Its depiction is detailed and honest. Getting out of a simple idea, It reflects his consciousness. In the conclusion, 『Seo-su Diary(西繡日記)』 has divers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 career official diary`s character, reality, veracity, and etc.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tudy on the writer and the time.

      • KCI등재

        기해사행(己亥使行) 통신부사(通信副使) 황선(黃璿)의 관직생활

        임선빈 ( Yim Seon-b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이 논문은 1719년에 기해통신사의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황선의 사례를 통해 조선후기 통신사행 참여가 관직생활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황선은 1710년 과거 급제를 통해 벼슬길에 나아갔으며, 초기에는 주로 중앙부서의 실무직에 근무하였다. 그런데 ‘專對’ 능력을 인정받아 38세의 젊은 나이로 1719년의 기해사행 통신부사 직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그의 관직은 고속 승진을 하였다. 통신사행에 참여하기 전 황선의 관직은 통신부사에 부합하지 않는 낮은 직위였으나, 사행을 떠나기 전 2개월에 걸쳐 여러 차례의 관직 제수를 통해 통신부사 임무를 수행하기에 걸맞는 종3품 관직인 세자시강원 보덕에까지 올랐다. 10개월에 걸친 통신사행을 다녀온 후에는 다시 그 노고에 대한 치하의 의미로 당하관 최고위 품계로 資窮이라고 일컫는 통훈대부를 거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국왕의 특지에 해당하는 備忘記를 통해 당상관인 통정대부에 오르고, 국왕을 측근에서 모시는 승정원 승지에 제수되었다. 황선은 보통 2, 30년이 걸려도 오르기가 쉽지 않은 당상관직을 통신사행 참여로 인해 관직생활을 시작한 지 10년 만에 제수 받았다. 이후 황선은 경종이 즉위하자 세자시강원에 근무했던 인연으로 다시 승지가 되었으나, 3년여 유배생활을 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반면에 영조 초에 이르면 가선대부로 승진하고 재상급 관료가 되었으며, 경상도관찰사에 제배되었다. 그러나 1728년(영조 4)에 발발한 무신란에서 경상도 지역의 난을 토벌한 직후 47세의 나이로 군중에서 갑자기 죽었다. 황선의 卒逝에 대해서는 당대는 물론 후대에도 의혹이 분분했으며, 그의 사후 녹훈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마침내 황선은 좌찬성에 증직되고, 忠烈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후손들도 녹용될 수 있었다. 한편, 경상도 지역민들에 의해 황선의 훈적을 기리는 사우 愍忠祠가 세워졌는데, 이 사우는 중앙 조정의 정국동향과 서원정책에 따라 훼철과 복원이 진행되기도 했다. 황선의 관직생활을 사례로 선택하여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일본통신사의 통신부사경력이 그의 승진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국왕을 측근에서 모신 직무가 관직생활의 진퇴에 미친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후기 관원의 관직생활을 재구성할 때, 『승정원일기』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embassy affects the operation of bureaucrac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official career of Hwang Seon, who visited Japan in 1719 as a deputy envoy in Kihae communication embassy. In 1710, Hwang Seon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was mainly given practical positions in the central office in his early days. Then, he was on the fast track promotion not until 1719, when he started to perform the deputy envoy in age 38 during Kihae communication embassy visit, getting credit for his ‘expertise (專對)’ ability. Before he participated the trip, his position was too low to meet the stands of the deputy envoy position. However, over 2 months prior to the trip, he was constantly assigned a position until he became first tutor in Academy for the Crown Prince (世子侍 講院), which was appropriate to serve a deputy envoy position. Even though he didn’t passed Tonghundaebu, which was the first rank position in Danghagwan, and its nickname was ‘nowhere up to go (資窮)’, after 10 months visit, with a direct exceptional order “Bimangki” from the king, he was promoted to Tongjeongdaebu, which was the ministerial rank position (Dangsanggwan) higher than Danghagwan, in recognition of hard work he had done. Also, he was assigned to serve a royal secretary position who closely assists the king in “Seungjungwon”.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communication embassy, Hwang Seon was able to win the ministerial rank position in just 10 years, which is the position usually takes more than 20-30 years and still hard to get promoted. Hwang Seon served a royal secretary position after the reign of Gyeongjong, since he had already worked in Academy for the Crown Prince. However, his work performance as the royal secretary also led to his three years banishment. On the contrary, after the reign of King Yeongjo. Hwang Seon was promoted to grand minister Gaseondaebu, and also was assigned to the junior second rank Gyeongsang province governor. However, in the following year (1728), he suddenly died at the war zone at the age of 47, immediately after he defeated the military official uprising in Gyeongsang province. His decease was contentious among his period and even in later generations, and his posthumous award was also controversial. However, Hwang Seon was eventually canonized as a fourth state councilor Jwachansung and the title “Unswerving Loyalty” was granted. Furthermore, his descendants were also hired in royal officials. Meanwhile, “Minchoongsa”―a shrine dedicated to Hwang Seon―was constructed by Gyeongsang province residents, and this shrine was both disposed and restored, depending on the central government situation and its Seowon policy. After examining the case of Hwang Sun's official career in detail as an example, it is confirmed that the communication embassy career of the Japanese ambassador was a great help for his promotion. Also we could find how the work as a royal secretary position had affected his official career. Furthermor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Seungjungwon Diary”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when reconstructing the governmental official’s career l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우수등재

        공공기관 임직원의 공직윤리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직업공무원제도 논의의 극복을 중심으로 ―

        우미형 한국공법학회 2022 공법연구 Vol.50 No.4

        The government considers that employees of public enterprises actually perform public affairs, and recognizes workers at public institutions as public officials under Article 7 of the Constitution. It is natural that employees of public institutions performing public affairs are included in the conceptual category of “public officials as volunteers of the entire people” in Article 7 (1) of the Constitution,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ny opinion denying it. Nevertheless, it sounds empty to think of the lack in the public ethics system for employees of public institutions as servant of the entire people.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the cause of this problem from the fact that the interest in the civil service system has so far been focused on state officials, especially public officials in career service with guaranteed status and political neutrality. It has been focused on discussions on career public officials, regarding public officials in career service as career public official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vocational public officials are understood as representing the entire group of public officials in a broad sense, and that there is no discussion on securing public ethics in the learned circles of administrative law. The main reason why the ethics of public officials, who are in charge of public affairs, cannot lead to discussions on reforming or improving the civil service system when it is a social problem is that the civil service system is replaced by the vocational civil service system. The vocational public official system shall not interfere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legislation to secure public ethics for public officials in a broad sense under Article 7 (1) of the Constitution. In Japan, where the laws of public officials are very similar to ours, legislators do not forcibly associate public officials with the legal nature of their institutions, so there are cases where all employees of some independent administrative corporations are public officials. The public office ethics regulations are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prepared as well. On the other hand, in Korea, where the public service ethics system is also regulated around public officials in career system, despite the LH crisis, it has not been able to proceed to discuss improving the public service ethics system. In the end, the solution to strengthen public office ethics for employees of public institutions should also stem from a new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ublic officials,” and the start is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Article 7 of the Constitution and legislation based on it. 정부는 공공기관 직원이 실질적으로 공무를 수행한다고 보면서 공공기관 근무자는 헌법 제7조의 공무원에 해당한다고 한다. 헌법 제7조 제1항의 “국민 전체의 봉사자로서의 공무원”의 개념범주에 공무를 수행하는 공공기관 임직원이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고 이를 부정하는 견해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렇지만 공공기관 임직원에 대한 공직윤리 제도의 공백을 떠올리면 공공기관 임직원이 국민 전체의 봉사자라는 말이 공허하게 들려온다. 이글에서는 그 원인을 지금까지 공무원 제도에 대한 관심이 국가공무원, 그중에서도 신분이 보장되고 정치적 중립의무가 있는 경력직 공무원에 집중되어 온 사실에서 찾는다. 학계 통설은 경력직 공무원을 직업공무원으로 보고 공무원에 대한 논의를 대체로 직업공무원에 한정해 왔다. 그 결과 직업공무원이 광의의 전체 공무원 집단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해되었고, 광의의 공무원에 대한 공직관과 공직윤리 확보방안에 대해서는 관련 연구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무 담당자인 광의의 공무원의 윤리의식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때 공무원 제도 개혁 또는 개선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는 주된 이유도 공무원제를 곧바로 직업공무원제로 치환해서 접근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헌법 제7조 제1항의 광의의 공무원에 대한 공직윤리 확보를 위한 법제가 정비되는데 있어 직업공무원제가 장벽이 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와 공무원법제가 매우 유사한 일본에서는 입법자가 공무원을 그 소속기관의 법적 성질과 억지로 결부시키지 않으므로 국가와 독립된 법인격을 가지는 일부 독립행정법인의 임직원이 전부 공무원인 경우도 있고, 이와 연장선 상에서 헌법상 광의의 공무원에 해당하는 대상들에 대한 공직윤리 제도를 개별적이고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반면 공직윤리 제도가 경력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규율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었던 LH 사태에도 불구하고 공직윤리 전반의 제도 개선 논의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공공기관 임직원의 공직윤리 강화를 위한 해법도 ‘공무원’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서 비롯되어야 하고 그 시작은 헌법 제7조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그에 기초한 입법이다.

      • KCI등재

        史學 : 論南宋降將劉整在蒙元的仕宦悲劇及其成因

        왕효룡 ( Xiao Long Wang ) 한국중국학회 2004 國際中國學硏究 Vol.7 No.-

        when Jin Dynasty was destroyed, the general Liu-Zheng surrendered to South Song Dynasty, he takes the Meng-Gong`s army. In the war between the south song dynasty and Meng-Yuan Dynasty, Liu-Zheng o changed when situation is different, because the different nation and surrender`s special status, the Meng-Yuan ruler change the policy to them, at one hand, they exploit them, on the other hand, the ruler use nobles supervise them, use se-mu people curb them. At the same time, other south Song Dynasty`s surrender`s came are influenced Liu`s situation, Liu-Zheng`s character was also harmful to his official career. These reason cause the Liu-Zheng`s tragic official career in Meng-Yuan Dynasty. In capability, Liu-Zheng is slightly lower with famous general such as Yue-Fei and Han Shi-Zhong, but he is also a resourceful general, and give a great help to Meng-Yuan`s unified actions. our history should have a position for him.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민간경력경쟁채용 공무원의 성과에 대한 인식 차이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희천 (사) 한국도시재생학회 2022 도시재생 Vol.8 No.1

        Taking an advantage of professionality of civil professional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significant, however, in current there are limits to use private experts in Korea’s current public officials recruitment system. Although it has been 10 years since career competitive recruitment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openness of civil servant organizations,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career recruiting and the evaluation mechanism are insufficient. Especially, more systematic research is needed for local governments considering more various recruiting passes and cases exist in regional government. In this dissertation, empirical study shows that effect of performance distortion of career recruited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is related on job satisfaction and it increases the intention of leave for this group. A different appraisal approach and incentive designs for career recruited public officials is required and this increases government performance level by enhancing job morale of career recruited public officials.

      • KCI등재후보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특성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덕환(Kim Duck Hwa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19 사회융합연구 Vol.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특성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회적 특성으로서의 조직후원인식과 직장-가정갈등으로 하위요인을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둘째,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가설검증을 위하여 사회적 특성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사회적 특성인 조직후원인식과 직장-가정 갈등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유의수준 0.00에서 조직후원인식과 직장-가정 갈등은 경력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필요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즉, 첫째, 경찰조직에서 조직후원인식의 강화는 경력만족과 경력유지의사에 대한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조직의 정서적 후원보다는 수단적 후원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직장가정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승진에 대한 적체 해소, 적정 인원의 배치, 직무몰입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등 현실적인 갈등의 해소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선정에서 부터, 보다 심도 있고 안정적인 접근이 가능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olice officers social characteristics on care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support as a social characteristic, and work - family conflict. First,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haracteristics on career satisfaction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sponsor perception and work - family conflic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0.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suggested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 police officers on career satisfaction considering soci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First, strengthening awareness of organizational sponsorship in police organization can improve satisfaction of career and intention to maintain career.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rumental support rather than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organization. Second, in order to resolve conflicts at home and workplace, it is necessary to resolve practical conflicts such as relieving mistakes, arranging appropriate personnel, and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job involvement.

      • KCI등재

        임용결격공무원의 퇴직연금수급권 제한에 관한 검토 - 헌법재판소 2012. 8. 23. 선고 2010헌바425 결정을 중심으로

        조연민(Yeonmin Cho)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5 사회보장법학 Vol.4 No.2

        종래 판례는 임용결격공무원에 대한 임용행위를 당연무효로 보아 그 하자의 치유나 신뢰보호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나아가 해당 공무원의 퇴직연금수급자격 또한 사실상 배제하는 방향의 해석론을 전개하여 왔다. 대상결정 또한 같은 전제 위에서, 임용결격공무원에게 퇴직연금수급자격을 인정하지 아니하는 심판대상조항이 해당 공무원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재산권을 각 침해하지 아니한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임용결격공무원의 법적 지위, 그리고 공무원연금법상 퇴직연금수급권의 법적 성격에 대한 시각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바, 이 글에서는 위 두 쟁점을 양 축으로 하여 대상결정에 대한 비판을 시도한다. 첫 번째 쟁점에 관해서는 임용결격공무원에 대한 임용행위를 당연무효로 일관하는 판례의 해석론이 선의의 상대방 보호를 위한 사실상 공무원 이론과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공무원의 노무제공에 대한 정당한 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두 번째 쟁점에 관해서는 퇴직연금수급권 전체의 재산권성을 인정한 헌법재판소 결정이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헌법상 직업공무원제도의 보장 취지 및 공무원의 근로자성을 고려할 때 퇴직연금수급권에 대한 보다 두터운 보호가 필요함을 지적한다. 이로부터 대상결정 및 종래 판례의 논지에 재직 중 사유로 인한 퇴직급여 감액 조항과의 불균형, 사실상 공무원 이론의 행정편의적 해석, 부당이득반환을 통한 권리구제의 한계, 그리고 공무원에 대한 책임전가 등의 문제들이 존재함을 지적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결론적으로 공무원의 퇴직연금수급권에 대한 광범위한 입법재량 행사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그에 대한 타당성 · 실효성 있는 보장의 도모를 주창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appointing unqualified person as an official is invalid, and that the flaw cannot be remedied. Such interpretation led to overall denial of unqualified officials’ retirement pension right provided by Public Officials Pension Act. The Constitutional Court, in line with the view of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Public Officials Pension Act Clause disapproving unqualified officials’ pension right did not infringe upon basic rights of those officials. In this regard, legal status of unqualified officials and legal nature of officials’ retirement pension right are main issues to be examined. This review seeks to criticiz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10Hun-Ba425 by looking through those two topics. First, considering that the above-mentioned Supreme Court’s view is inconsistent with de facto Beamten theory, it can be emphasized that the worth of labor provided by officials is not being fully evaluated. Second, the necessity to ensure officials’ retirement pension right is getting larger and larger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al Law guarantees career civil service system a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employees in private sector is blurring. Out of this arose a series of questions regarding 2010Hun- Ba425; there exist the harshness and imbalance of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s interpretation; arbitrary application of de facto Beamten theory by the judiciary and executive branch; the limitation of remedy through compensation for unfair profits; and all-pervading buck-passing to unqualified officials. To conclude, this review points out the problem of too much discretion in the way the judiciary interprets officials’ retirement pension right, and henceforth aims to seek for the ways to promote it properly.

      • KCI등재

        기획주제: 여행의 역사 -여행과 한문학1 : 조선시대 관료의 공적 여행과 그 기록 -만오(晩悟) 朴來謙의 경우-

        박영호 ( Young Ho Park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59

        박래겸은 일찍이 과거에 급제하여 내외직에서 근무하던 중 평안도 암행어사, 함경도 북평사, 심양 문안사 서장관, 연경 동지사 부사 등으로 차출되어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였는데 이 때 체험하고 견문한 내용을 일기와 한시로 기록하였다. 일기는 개인이 일상적 생활을 영위하는 가운데 겪은 내용을 날짜별로 기록한 자료이며 그 형식은 산문이고 수필문학의 범주에 해당된다. 박래겸의 『西繡日記』, 『北幕日記』, 『瀋차日記』는 관인으로서 특정한 공무를 수행하는 가운데 사적으로 기록을 남긴 경우에 해당하므로 仕宦日記로 규정할 수 있다. 朴來謙의 일기는 언어·신앙·풍속·사회 실상에 대한 官僚史, 生活史, 地方史, 地域史 등의 연구에 있어서 일반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정보를 많이 제공해주고 있으므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그리고 그의 문집과 일기는 아직 간행되지 않은 채 필사본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원본으로서의 가치를 보존하고 있다. 朴來謙이 관료로서 공무를 수행하며 남긴 日記와 漢詩는 19세기 전반기의 정치, 사회, 외교, 역사, 문화, 문학 등 다방면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견문하고 경험한 當時를 사실대로 기술한 것이므로 當代 자료로서의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거기에는 체험의 구체성과 정서의 진솔한 표출, 문학·역사·외교·문화의 유기적 결합, 사실적 기록과 구체적 描寫의 혼합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단순한 사실의 기록을 넘어서서 작가의 의식을 진솔하게 기술함으로써 眞實性이 두드러진다. Park Raegyeom(朴來謙) had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early and he carried out particular assignment as Pyeongando secret royal inspector, Hamgyeongdo Bukpyeongsa, Simyang Munansa Seojanggwan and Yeongyeong Dongjisa Busa etc. At that time, he recorded diary and Chinese poetry that he had experienced and observed. Diary is an important document that person records an everyday life according to date. The form is prose and it falls into the essay literature category. He had left behind record personally in performing government affairs as a official, so Park Raegyeom(朴來謙)``s 『Seo-su Diary(西繡日記)』, 『Buk-mak Diary(北幕日記)』 and 『Simsa diary(瀋차日記)』 were defined as the diary of a career official. The diary and Chinese poetry which he left while he performed particular assignment as a career official were valuable materials in various fields - history, society, politics and literature. This recorded document is able to evaluate the material value highly of the day, because it is arranged and described by the author``s awareness and social change frankly in fact what he saw, heard, and felt himself. Park Raegyeom(朴來謙)``s diary and Chinese poetry included different fields such as politics, society, diplomacy, history and culture of the early of 19th century, so it is useful to study of career official history, life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It has worth as a diary with different and plentiful contents, also has the note of literary value through honest expression of experience and emotion, organic combination of literature, history, diplomacy and culture, realistic record and detailed description.

      • KCI등재

        한국공무원법의 역사

        박균성(PARK Kyun Sung) 한국국가법학회 2021 국가법연구 Vol.17 No.2

        지금까지 공무원법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공무원관계법령 중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헌법, 국가공무원법, 노동조합관계법의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공무원법의 역사를 고찰하기로 한다. 한국의 공무원법은 정치·사회의 변화에 따라 발전하였다. 법치주의의 발전에 따라 특별권력관계이론이 부정되고, 공무원관계의 법정화가 강화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공무원관계의 일반 근로관계와의 구별이 완화되고, 공무원조직의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지위, 효율성 등 공무원조직의 새로운 가치가 법제화되고 있다. 법이론상 특별권력관계이론은 사망선고를 받았지만, 아직도 실제에 있어서는 공무원관계에서 특별권력관계의 그림자가 완전히 걷혔다고 보기는 어렵다. 앞으로 기존의 공무원법 중 특별권력관계의 그림자를 지우고 공무원의 근무관계법을 법치주의에 합당하게 정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초의 국가공무원법 이래 공무원의 ‘국민 전체의 봉사자’로서의 지위가 규정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공무원의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지위는 추상적인 모호한 개념이다. 공무원의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지위의 현대적・법적 의미를 재정립하여야 한다. 2005. 1. 27.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등에 관한 법률(약칭: 공무원노조법)이 제정되어 제한된 범위에서 공무원의 노동운동이 허용되었다. 노동운동을 공무외의 집단적 행위의 하나로 규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노동운동과 공무외의 집단적 행위의 규율을 나누어야 한다. 1960. 6. 15. 헌법 개정에서 직업공무원제도가 규정되었다. 그 후 직업공무원제도는 공무원법의 핵심적인 내용이 되었다. 공무원조직의 폐쇄성,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 등 직업공무원제의 폐해를 시정하기 위한 제도의 개선도 있었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 공직기강의 확립이나 공무원에 대한 민주적 통제의 이름하에정치권력이 공무원조직을 장악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고위공무원단제도는 고위공무원 인사운영에서의 융통성을 높일 수 있지만, 직업공무원제도를 약화시킬 수도 있다. 신공공관리론은 행정과 기업경영간의 구별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행정의 효율성의 가치를 높이는 결과도 가져왔지만, 행정의 공공성, 공무원의 윤리성을 경시하는 풍조도 형성하였다. 직업공무원제도는 공무원의 신분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공무원의 전문성과 윤리성이 갖추어져야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국공무원법은 변화의 한가운데 있다. 바람직한 공무원제도의 재정립을 위한 연구가 많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To this day,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n the korean history of civil service law.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history of the korean civil service laws,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and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etc.,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The civil service laws in Korea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changes in politics and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rule of law, the theory of special authority relationship(besonderes Gewaltverheltnis) was denied and the legalization of civil servant relationship was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the distinction between civil servant relationship and general labor relationship has been relaxed, and new values of civil servant organizations such as the status and efficiency of civil servant organizations as ‘servants for the whole nation’ are being legislated. In legal theory, the theory of special authority relationship was declared dead, but in practice. But, it is difficult to think that the shadow of special authority relationship has been completely lifted from public officials. It takes an effort in the future, to erase the shadow of special authority relationship in the existing civil service laws and to reorganize the civil servants work relations laws to comply with the rule of law. Since the first enactment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the status of public officials has been defined as ‘servants of the whole nation’. However, the concept of ‘status of public officials as volunteers for the entire nation’ is abstract and vagu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modern and legal meaning of the status of public officials as volunteers to the entire nation. On January 27, 2005,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etc.,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the abbreviation: Public Officials Union Act) has been published, and has allowed public officials labor movement to a limited extent. It is not justified to define the labor movement as one of the collective actions outside of official duties, but the labor movement must be divided into the discipline of the labor movement and the discipline of collective actions outside of official duties. I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June 15, 1960),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was stipulated. After that, the vocational civil service system became the core content of the civil service law. There were also improvements in the system to correct the negative effects of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such as the disposition towards closur of the civil service organization and resistance to administrative reform.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attempts by political power to take over the public service organization in the name of tightening discipline among government officials or controling democratically over civil servants. The senior executive services system can increase flexibility in the personnel management of senior civil servants, but it can also weaken the professional civil service system.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played a role in easing the distinction between administration and corporate management, and resulted in increasing the value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but also formed a trend of downplaying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ethics of public officials.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guarantees the status of public officials, and it can only function properly when the public officials have professionalism and ethics. The korean civil service laws are in the midst of a change. A lot of research needs to be done for the re-establishment of a desirable civil service system.

      • KCI등재

        직업공무원제의 제도적 변화와 균열:국가공무원법 개정을 위한 의안 분석을 중심으로

        김다은,윤견수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2 정부학연구 Vol.28 No.3

        In Korea, Career Civil Service System (CCSS) is a basic principle for managing public officials. However, after 60 years have passed since its establishment, studies examining path of institutional change of the CCSS are limited. To explain institutional changes, this research assumes the CCSS as a fuzzy-set of institution containing its sub-institutions: political neutrality, protection of tenure, merit system, and independence of central personnel agency. These sub-institution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ir joint involvement in discourses about political powers and administrative authorities. By analyzing a total of 273 bills related to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proposed until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is research provides three explanations for institutional changes. Firstly, there have been cleavages between sub-institutions. Tensions among the system have grown deeper and wider. Secondly, being an independent central personnel agency threatened by political power, the central personnel agency itself has evolved in the direction of micromanaging the behavior of public officials. In this process, sub-institutions such as merit system and protection of tenure have become more sophisticated. Finally, institutional tensions of the CCSS can be alleviated by an emergence of new sub-institutions-Senior Civil Service System in the fuzzy-set. 이 논문은 직업공무원제를 정치적 중립, 신분보장, 실적제, 인사기구의 독립성 등 하위제도들로 구성된 일종의 퍼지집합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직업공무원제의 변화는 하위제도들이 공유하는 기본 활동의 변화하는 과정이며, 기본 활동의 주된 내용은 행정과 정치권력 간의 긴장 관계를 둘러싼 담론이라고 가정한다. 담론의 변화를 보여주는 경험 자료로서 국가공무원법 개정 의안의 분석이 보여주는 결과는 3가지다. 첫째, 정치적 중립과 인사관장기구의 독립성 사이, 그리고 실적제와 신분보장 사이에 제도적 긴장이 존재하였다. 하위제도 간의 긴장은 직업공무원제의 균열적 요소로 작용했다. 둘째, 정치권력에 의해 인사관장기구의 독립성이 위협받는 과정에서, 인사기구 스스로는 공무원의 행태를 미시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오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실적제와 신분보장 제도가 정교해졌다. 셋째, 하위제도 간의 긴장이 균열의 임계점을 넘어서기 전에 직업공무원제의 퍼지집합 안에 등장한 고위공무원단 제도는 제도적 긴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