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백민호,박진찬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8 No.1

        Purpose: After COVID-19, changes in the educational ecosystem took place, and fire service academy education system have shifted from face-to-face into non fact-to-face . So, the educational effect of fire officials is decreased and the satisfaction level is also decreased. In this study, we wan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and supplement the problems to improve the educational method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etc. Method: This study is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affects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consisting of education system environment, self-efficacy of computers, contents (education contents, structure, design, etc.), and proper interaction. A dependent variable was selected with satisfaction for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selected and analyzed as an active property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as control variables. Result: The better the content and the more active th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learning,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and the more active th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learning, the more positive the computer self-efficacy and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due to COVID-19, education designers or professors need to provide non-face-to-face education contents that can increase the aggressiveness of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an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for learners by increasing computer self-efficacy through pre-educ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systems.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후 교육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났고 소방학교 역시 대면교육을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 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생(소방공무원)의 교육효과는 떨어지고 만족도 역시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이에 맞는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등을 개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시스템 환경운영, 컴퓨터의 자기효능감, 콘텐츠(교육내용, 구조, 설계 등), 적절한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만족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사이에 조절변수로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추가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가 좋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적 일수록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학습만족도가 높아졌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이 높아지면 컴퓨터 자기효능감도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연구결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으로 인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육설계자 혹은 교수자는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비대면 교육콘텐츠를 제공해야하고 비대면 교육시스템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여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박진찬,백민호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4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펜데믹으로 인해 모든 교육기관은 전면 비대면 실시간 교육 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에 소방공무원에게도 비대면교육을 적용하여 소방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펜데믹 상황에서 중앙소방학교가 소방공무원에게 실시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대한 실 태조사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방향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 하려한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 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질적 향상 및 전문화를 위한 의식조사’ 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심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교수자 혹은 교육운영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특성에 맞는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전용노 트북을 제공하여 모든 학습자들이 교육 참여에 어려움 없는 교육환경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방공무 원 교육훈련 특성상 장비 활용이 필요한 교육훈련의 경우에는 각 소방서에 교육 장비를 배치하여 비대면 실습교육 장소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실습교육은 이론교육으로 대처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비대면 실 시간 실습교육이 가능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한다. 그러한 비대면 실습교육이 가능해지기 전까지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대면교육을 적절하게 병행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다섯째, 비대면 교육은컴퓨터 화면의 불빛과 전자파로 인하여 눈의 피로도가 높고 시간이 흐 를수록 집중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의견으로 보아 적절한 수업시간과 휴식시간을 통해 학습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시 간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일방적인 지식전달을 하는 교육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중 심의 교육을 운영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대면 원격교육 기술적인 문제는 사전시스템 점검을 통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Due to the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 pendemics,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equired to provide full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and fire officials were required to provide fire-fighting education by applying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is difficult situation, the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tries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through a survey of the status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conducted by the NFSA to fire official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fire officials under the theme of “Consciousness Survey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Specializa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and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Result & Conclusion: First, professors or educational operators shall actively utilize remote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various programs. Second, a dedicated notebook for non-face-to-fac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all learners can participate in the training without difficulty. Third, in the cas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at requires the use of equipment due to the nature of fire officials'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as a non-face-to-face training place by arranging educational equipment at each fire station. Fourth, it is hard to expect a satisfactory educational effect to cope with practical education with theoretical education. Therefore, facilities and programs that enable non-face-to-face real-time hands-on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It is worth considering the proper combination of face-to-face education while maintaining the social distance as much as possible until such non-face-to-face training is possible. Fifth, non-face-to-face education is considered to have high eye fatigue due to the light and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computer screen, and as time goes by, the concentration level decre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n education time to reduce the eye fatigue of learners and increase concentration through proper class and rest time. Finally, professors should operate a learner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that allows professors and learners to interact rather tha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education. In addition, technical problems of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should be thoroughly prepared through preliminary system checks to ensure that education is not disrupted.

      • KCI등재후보

        Internet-of-things nail-printing technology using non-face-to-face contact

        Namsoo Peter Kim 대한미용의학회 2020 대한미용의학회지 Vol.4 No.1

        Background: With the spread of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face-to-face contact in business and educational hubs has decrease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e beauty industry, where long-term contact with operators and customers is required. Therefore, the emergence of new alternative business models is essential.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nonfacing and real-time three-dimensional (3D) nail-printing systems to cosmetic industri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systems. Three-dimensional non-face-to-face printing equipment have enabled nail art to be precisely and remotely controlled, which facilitates the replacement of nail technology that is based on body contact. Methods: From January to April 2020, the use of the internet-of-things (IoT)-controlled non-face-to-face and real-time 3D nailprinting systems was tested. Nail artists and customers were isolated, and more than 200 patterns were tested with non-face-toface contact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 built-in IoT operating system was tested in an online platform, and the advantages and problems of non-face-to-face contact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Results: The rapid development of IoT-controlled non-face-to-face and real-time 3D nail-printing systems was achieved to reduce entry barriers for nail art utilizing 3D-printing technology. The most crucial parts were determined to be reliably creating 3D shapes, reproducibility, economical operation, and timely maintenance. Conclusion: The nail art business model, in which the education and business sectors depend entirely on face-to-face contact, has been disrupted and deemed unpredictable due to the social distancing norms that have been adopted for countering the COVID-19 epidemic. Nevertheless, secure and remote accessibility to non-face-to-face and real-time 3D nail-printing systems for nail artists were successfully applied and tested to respond to this situation.

      • KCI우수등재

        코로나19로 촉발된 원격수업에 대한 소고

        남미자(Nam, Mi-Ja)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8

        올해 초 코로나19로 인해 초중고는 물론 대학의 개학이 연기되었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원격수업으로 수업을 시작했다. 이후 초중고 학교급에서도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등교 개학을 미루고 온라인으로 먼저 개학을 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미래교육으로의 대전환으로 원격수업을 꼽았고, 원격교육 활성화를 교육 영역에서의 뉴딜 과제로 삼았다. 그러나 원격교육은 교육 방법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본고에서는 교육의 속성, 본질적으로 시대를 앞설 수 없는 교육이 어쩌다 미래와 만나게 되었는지, 원격교육이라는 방법에 치중하면서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그래서 교육은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제로 비대면 원격교육은 코로나19 감염 상황에 의해 우연히 시작되었으며, 전면화 역시 코로나19의 감염 확대와 무관하지 않다. 아무런 준비 없이 시작되었으므로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비대면 원격교육을 미래교육의 핵심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미래교육으로서 비대면 원격교육이 강조되는 맥락은 개별 학생의 자율과 선택을 통한 개별화 교육의 가능성이다. 그러나 교육계에서 학생중심의 맥락에서 쓰이는 자율과 선택이라는 용어는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 기원은 1995년 5·31교육개혁에서부터다. 그때부터 교육정책은 자율과 선택이라는 신자유주의적 기조를 유지해 왔다.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를 토대로 한 한국의 공교육은 능력주의와 조우하면서 개별 학생의 자율과 선택에 의한 결과를 개인의 능력으로 환원했다. 심지어 진보교육 진영에서도 교육을 통한 능력의 향상이 가능하다고 믿고 능력주의를 정의로운 것으로, 교육을 계층 이동의 수단으로 여겼다. 그런 과정 속에서 결과적으로 공교육은 공적 기능을 상실했고 지배 권력을 강화하는 도구로 전락했다. 더 늦기 전에 공교육의 본래적 의미를 묻고 교육 자체에 목적을 두려는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공교육의 본래적 의미란 결국 존재를 위한 교육이고, 그것은 곧 각각의 존재들이 공생이라는 감각과 윤리를 바탕으로 ‘함께 좋은 삶’의 방향으로 자신의 삶을 전환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Earlier this year, the Corona 19 delayed the opening of universities as well a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Most universities started classes by remote classes. Since then, the Corona 19 has been prolong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delaying the start of school and starting school online first. Deputy Prime Minister and Education Minister Yoo Eun-hye cited remote classes as a major shift to future education in line with the era of th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ade the revitalization of remote education a new deal task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remote education is just one of the methods of education. In this high school, we focus on the nature of education, how education that is inherently timeless, meets the future, and what we miss while focusing on the method of remote education. I looked at where it was, and so where education should be headed. In fact,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was started by accident by corona 19 infection situation, and full-scaleization is also independent of the spread of corona 19 infection. It started without any preparation, so there was no choice but to be confused at the front-line training site. Nevertheless,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pursue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as the core of future education. The context in which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future education is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zation education through individual students’ autonomy and choice. But the term autonomy and choice, which is used in a student-centered context in education, is rooted in neo-liberalistic ideology. We have it, and its origin began in 1995 with the May 31 Education Reform. Since then, education policy has maintained its neo-liberalistic stance of autonomy and choice. Korea’s public education, based on neo-liberalistic ideology, has returned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ents’ autonomy and choice to their individual abilities while encountering them. Even the progressive education camp believed that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ir ability through education, and regarded education as a means of class mobility. In such a process, as a result, public education lost its public function and degenerated into a tool to strengthen its ruling power. Before it’s too late, we should begin an effort to ask the original meaning of public education and to aim at it itself. The original meaning of public education is education for existence after all, which means the process of each being turning their own lives into a “good life together” based on the sense and ethics of symbiosis.

      • KCI등재

        비대면 원격방식의 장애인 부모지원 국외연구 동향

        박인선 ( Park¸ Insun ),정소영 ( Jung¸ Soyoung ),박지연 ( Park¸ Ji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비대면 원격방식의 장애인 부모지원 관련 연구는 지리적으로 집합교육이 쉽지 않은 국외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 감염병 세계적 유행(pandemic)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비대면 원격방식으로 부모지원을 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비대면 원격방식으로 장애인의 부모지원을 실시한 국외연구를 분석하여 국내에서도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비대면 원격방식의 장애인 부모지원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발표된 국외 학술지 논문 중 비대면 원격방식의 장애인 부모지원 실행을 보고한 24편을 선정하여 참여자, 연구 설계, 전달방식, 부모지원 내용, 코칭 사용 등의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 자녀의 장애 유형 면에서는 자폐성장애인이, 연령 면에서는 영유아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 면에서는 집단설계가 단일대상연구보다 많았다. 부모지원의 내용 면에서는 자녀의 행동에 관한 주제가 가장 많았고, 일상생활과 부모의 정서 관련 주제도 다루어졌다. 원격지원의 동시성 면에서는 비동시적, 동시적, 혼합형식의 다양한 시도를 찾을 수 있었으며, 분석대상 논문의 반 정도가 코칭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지원의 성과는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정서적 변화, 부모의 지식과 기술 향상으로 범주화되었고 비용 절감 효과를 측정한 연구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증가하게 될 비대면 원격방식의 장애인 부모지원에 대한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Studies of non-face-to-face remote support for parent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ve mainly been conducted abroad, where group education is not feasible because of geographical conditions, but the need to support parents in a non-face-to-face remote manner has increased in Korea due to the recent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conducted in countries outside Korea regarding non-face-to-face remote support for parent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identify future directions for non-face-to-face remote parent support in Korea. Twenty-four studies published from 2012 to the present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delivery methods, contents of the support, and details of coaching. It was shown that parents of children with ASD and parents of children under 12 years old were the main participants of the studies. Regarding research design, group studies outnumbered single-case studies. The main contents of support were challenging behavior, children’s daily living skills, and parents’ emotion. Delivery methods included concurrent, non-concurrent, and their combination, and half of the studies included coaching. The outcomes of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under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 and social-emotional change, parents’ knowledge and skills, and cost reduction effects. Finally,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non-face-to-face remote support for parent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후보

        예비 교원의 비대면 수업 역량 강화에 대한 소고

        신원정(Won Jeong Shin),김종연(Jong Yeon Kim)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1 한국교육논총 Vol.42 No.3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학생들의 학교 등교가 정지되거나 제한되면서 학교의 교실수업은 비상 비대면 수업으로 급격히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교원들의 비대면 수업 역량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특히 예비교원과 교원들에게 원격교육의 기능과 기법을 교육할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수업 역량 강화와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살펴보고, 비대면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수업의 준비와 진행 과정을 비대면 교육 내용의 선정, 비대면 교육 자료의 제작, 비대면 수업용 미디어 형성, 비대면 전달의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과 장비 등을 소개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적 측면, 수업 내용과 기술의 결합 측면, 기타 고려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해당 모형을 적용하여 예비 교원들의 비대면 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수업 콘텐츠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수업 콘텐츠에서의 저작권 문제, 수업 질 격차 해소,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예비 교원 양성 시스템 구축 등과 같이 예비 교원 양성의 관점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dramatic changes in school education. Classes were suspended or students were restricted from attending school, and classroom instruction shifted toward distance learning. Accordingly, teachers’ teaching abilities related to non-face-to-face education have becom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ducation on various non-contact methods for prospective and present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non-face-to-face classes. It has five stage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making of educational materials, media production for non-face-to-face classes, and non-face-to-face delivery. This study introduces the necessary technologi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each stage. In addition, we provide a case class that can strengthen the capacity of non-face-to-face teaching of pre-teachers. In addition, we discuss topics such as bridging gaps in class quality, copyright issues, and preparing teacher training systems for non-face-to-face education.

      • KCI등재

        비대면 음악 온라인 원격 수업 실태 연구

        임은정,권수미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of online remote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non-face-to-face music cours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online music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music teacher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of 37 secondary music teachers who conducted non-face-to-face online distance classe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for 'COVIC 19'. The survey questions consisted of selective and descrip- tive question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response ratio of each item to the total response result of each question, analyzing the extraction of major elements of the narrative content, and statistics on the narrative content centered on the major factors. As a result of the study,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had a lot of difficulty in learn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teaching using new media while conducting online classes in non-face-to-face music sub- jects, but at the same time, they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new changes in music subject classes and sought directions for development. To improve online music class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developed an online music subject class operation manual and sys- tem, prepared a plan for reducing and reorganizing the music subject curriculum and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online classes, and for online music practice activities. Build a music class platform. Music teachers should study online music class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subjects and the musical level of students, and develop online music class contents to make efforts to conduct online classes suitable for students. Above all,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competence of music teachers is required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online music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비대면 음악교과 온라인 원격 수업의 운영 실태와 음악 교사 인식을 조사하 여 온라인 음악 수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으로 2020년 1학기 동안 비대면 온라인 원격 수업을 실시한 중학교⦁교등학교 음악 교사 37명의 온라인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은 선택형과 서술형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 결과는 각 문항 총 응답 결 과 대비 각 항목의 응답 비율의 분석, 서술 내용의 주요 요소 추출 분석, 주요 요소 중심의 서술 내용 통계 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중등 음악교사들은 비대면 음악교과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수업 구성과 수업 방식을 익히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동시에 음악 교과 수업의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다. 온라인 음악 수업의 개선을 위해 교육부와 지역 교육 청은 온라인 음악교과 수업 운영 매뉴얼과 시스템을 개발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음악 교과 교육과정과 수 행평가의 축소와 재편성 방안을 마련하며, 온라인 음악 실기 활동을 위한 음악 수업 플랫폼을 구축하도록 해야 한다. 음악 교사들은 음악 교과의 특성과 학생들의 음악적 수준을 반영한 온라인 음악 수업을 연구하고, 온라 인 음악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적합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노력을 실천해나가도록 해 야 한다. 무엇보다 온라인 음악 수업의 계획과 운영을 위하여 지속적인 음악 교사의 역량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원격지 교육장비를 이용한 비대면 실습 교육 플랫폼 개발

        윤정수,태원귀,박정석,이현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5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mote practice environment and system that can remotely access and learn the practice equipment provided in the non-face-to-face practical platform. Using a micro-service architecture that develops software by building a remote training room and configuring an independent service that communicates through a well-defined API, learners access the remote training room and select the desired practice equipment. In the environment of Jupyter Notebook, an interactive shell based on an interactive terminal, it provides the operation status, workbook, and educational materials of hands-on equipment accessed by learners. When the training is completed, the learner's practice content is stored in a database and learning can be continued continuously even if it is accessed by other practice equipment in the future. When training using the proposed system, it can be confirmed that high satisfaction, high immersion, and high sense of reality are brought regardless of the existing non-face-to-face practice experience. 본 논문에서는 비대면 실습실에 구비된 실습 장비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학습할 수 있는 원격 실습 환경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원격 교육 실습실을 구축하고 잘 정의된 API를 통해 통신하는 독립적인 서비스로 구성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원격 실습실에 접속하여 원하는 실습 장비를 선택하여 직접 접속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대화형 터미널 기반 인터랙티브 쉘인 주피터 노트북의 환경에서 학습자가 접속한 실습 장비의 동작 현황과 워크북, 교육자료를 제공한다. 교육이 종료되면 학습자의 실습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향후 다른 실습장비에 접속하여도 연속적으로 학습을 이어 나아갈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을 하였을 때 기존 비대면 실습 경험과 관계없이 높은 만족도, 몰입도, 현장감을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비대면 글쓰기 교육의 가능성

        이부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1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meaningful writing classes in a change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was premised on the necessity of reflection on the problems faced in the transition to online non-face-to-face lectures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ccordingly, we present the positive effect of using the chat window installed in the real-time remote lecture system as an example of content organization practice and feedback. The chat window contributes to alleviating the limitations in remote non-faceto-face lectures where the limitations of the dynamic interactivity of the teachinglearning subjects are clea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sharing practice material,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ractice material with the chat window. The example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used as a meaningful reference to explore another possibility using a chat window, and to discover an effective writing class case utilizing various technical resources provided by the real-time remote lecture system. 이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강의로의 전환에 직면한 대학 글쓰기교육의 문제적 상황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을 전제로,변화된 교수-학습 환경에서 의미 있는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을 발견해 보려는 시도로 이루어졌다.그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실시간 원격강의 시스템에 탑재된 채팅창 활용의 긍정적 효과를 내용조직 실습과 피드백 사례로 제시했다. 채팅창은 교수-학습 주체들의 역동적 상호작용성 면에서 한계가 분명한 원격 비대면 강의에서 그 한계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다.이 논문에서는 채팅창의 활용 가능한 방식들 가운데 실습물의 공유 가능성에 주목하여 실습물 공유가 수반하는 여러 효과들을 분석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사례는 채팅창을 활용한 또 다른 가능성을 탐색하고,나아가실시간 원격강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적 자원들을 활용한 효과적 수업사례를 발굴하는 데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쓰일 수 있다.

      • KCI등재

        비대면 원격수업 프로그램 개발 – 대학 소프트웨어 실습 중심으로

        김상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6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COVID-19)의 범유행 장기화는 전 산업에 걸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수업(비대면)은 학습 준비 부족과 학습자의 수업 불만 등 온라인 수업에 부정적인 인식이 일부 존재했다. 2020년 실태 조사에 따르면 비대면 수업에 비중은 약 56%이고, 수업 형태가 스트리밍 실시간 수업과 영상 콘텐츠 기반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본 연구는 2020~021년 설문 조사(소프트웨어 활용 실습수업 대학생) 를 통해 온라인 수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실증 분석하고, 세부 프로그램과 개발 방안(구현 결과)에 대하여 설명 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 종식 이후 각 교육기관의 온라인 학습 개발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Globally, the prolonged pandemic of COVID-19 (COVID-19) has had a great impact on all industrie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education, online classes (non-face-to-face) had some negative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such as lack of preparation for learning and student dissatisfaction with the class.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survey in 2020, non-face-to-face classes accounted for about 56% of the class, and streaming real-time classes and video content-based classes accounted for most of the clas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online classes through the 2020-2021 survey (software application practical class university students), and explains the detailed program and development plan (implementation result).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development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after the end of the corona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