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연구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관계’와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 주목하기

        염지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6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로 연구를 수행할 때, ‘관계’와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 주목하면서 탐구를 수행하는 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자들의 연구 수행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내러티브 탐구와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의 개념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이 글의 사례로 사용된 유아교육분야에서 수행된 두 편의 논문 개요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여 수행된 두 편의 연구사례를 통해 내러티브 탐구에서 연구자와 참여자의 ‘관계’와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 주목하면서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자는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내러티브적으로 생각하고, 내러티브를 살아내고, 실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끊임없는 자기 성찰이 요구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and doing research in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 to explain this through two particular sets of research done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inally to help narrative inquirer implement narrative inquiry. Firstly, to achieve this goal, I explored the concept of narrative inquiry and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 Secondly, I briefly introduced two sets of research as exemplars of this paper. Finally, I represented the ways in which narrative inquirer implements the research, attending to the relationships and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염지숙,김아람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번역 과정에서 관계적 존재론에 기반을 둔 협력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로 살펴봄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의 핵심인 관계와 협력을 가시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퍼즐은 다음과 같다. 1.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과정에서 관계적 윤리에 기반을 둔 협력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2.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은 내러티브 탐구자로서의 우리 삶을 어떻게 형성해왔는가? 이 연구의 연구자이자 참여자인 우리가 번역 작업 중 경험한 협력은 서로에 대한, 그리고 더 큰 학문공동체에 대한 책임과 헌신, 새로운 함께 되기를 위한 토대로서의 상상력, 저자들과 그 주변인물, 책 속의 이론가들과의 연결과 재연결을 통한 관계적 지식의 습득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협력적 내러티브 탐구자-되기로서의 살아 가고자하는 이야기(stories to live by)를 구축해갔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내러티브 탐구에서 관계와 협력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자들이 관계적 내러티브 탐구를 실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used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how collaboration based on a relational ontology occurred during the translation of 《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in order to make visible the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at the hear of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puzzles are as follows. 1. How did collaboration based on a relational ethics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2. How has the experience of translating 《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shaped our lives as narrative inquirers? As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collaboration we experienced during the translation work was characterized by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to each other and to the larger academic community; imagination as a foundation for new ways of a becoming; the acquisition of relational knowledge through connections and reconnections with the authors, and the theorists in the book. In this process, we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our stories to live by as becoming collaborative narrative inquir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in narrative inquiry, and finally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relational narrative inquiry by narrative inquirers.

      • KCI등재

        “자료가 스스로 말하게 하라”: 질적 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 연구 방법

        최민수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narrative inquiry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Narrative inquiry has gradually evolved from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inquiry has touched almost every discipline, including literature, anthropology, psychology, sociology, and education. In addition, narrative inquiry is being used increasingly in research on counseling because of the view that humans are natural storytellers. In an effort to find the meaning of our lives, individuals create stories wherein they can see themselves in the context of a narrative. Therefore, narrative theorists assert that the stories we tell not only reflect our reality but, through our stories, we create our reality. An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 format is used as the primary data gathering technique. Especially, narrative inquiry employs an important strategy: ‘let the data reveal itself.’Letting the data reveal itself means that this inquiry is conducted with the assumptions of the ‘naturalistic paradigm.’The naturalistic paradigm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research in the natural setting and humans as the primary datagathering instruments. Thus, the narrative inquiry is always concerned with the search for meaning in people’s live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I did not provide practical examples in relation to narrative inquiry. This means that I strive to introduce and obtain rich descriptions of the narrative inquiry. I believe that this narrative inquiry may help the researcher and readers to more fully understand people’s individual lives and experiences.

      •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홍영숙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5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대해 전체적으로 소개하고 이해하고자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질적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이해에 있으며,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 이해를 위 하여 개별 인간들의 살아진 경험 이야기를 탐구하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이다. 내러 티브 탐구의 이해를 위해 다음 사항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첫째, 내러티브 탐구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경험을 이야기화 된 현상이라고 보고, 살 아진 경험을 존중하면서 인간 삶을 탐구한다. 둘째, 인간 경험 탐구에 있어서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내러티브의 가치를 살펴보고 내러티브 탐구 방법의 효율성 을 제시하였다. 셋째, 내러티브 탐구의 철학적 바탕을 Dewey의 경험이론에 근거하여 이 해하려고 하였다. 넷째, 내러티브 탐구를 위해 알아두어야 할 주요한 개념, 즉 개인적· 실제적 지식, 전문적 지식환경, 살아내는 이야기, 살기-말하기-다시 말하기-다시 살기라는 4가기 핵심용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섯째, 내러티브 탐구시 연구자의 역할에 대해 살펴 보았다. 여섯째, 내러티브 탐구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세가지 제안점을 알아보았다. This paper aims for introducing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in theory and practice. The ultimate goal of qualitative research is understanding human experience. Narrative Inquiry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human beings as unique individuals through stories of their lived experiences. The six sections are explored in this paper for general understanding about Narrative Inquiry. The titles of them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narrative inquiry?’; second, ‘Why narrative?’; third, ‘Philosophical ground for narrative inquiry’; fourth, ‘Key terms in narrative inquiry’; fifth, ‘What narrative inquirers do’; sixth, ‘Ensuring justifications for narrative inquiry.’

      • 내러티브 탐구 과정과 절차에 대한 고찰

        김필성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5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탐구 과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탐구 과정 이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의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서 질적 연구 수행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이 된다. 여기서는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탐구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내 러티브 탐구 방법론에 대해 이해해보려고 한다. 우선,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서는 인간의 경험을 존재론적이고 관계적이며 지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경 험은 이야기로서 탐구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러티브 탐구에서는 살아내기 (living), 이야기하기(telling),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 다시 살아내기(reliving)라는 네 단계의 탐구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탐구 과정은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모든 연구 절차에서의 사고방식이며 탐구의 원리가 된다. 내러티브 탐구자는 이러한 탐구 과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나감으로써 인간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going to study on the inquiry process at the narrative inquiry. The inquiry process means the process of the material collection and analysis and it is an important part to consider in the quality research performance. By studying the inquiry process at the narrative inquiry here, it is to understand the inquiry methodology on the narrative inquiry. At first, the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understands the human experience as the process of ontology, relational, and continuous. This kind of human experience can be studied as a story, thus, the narrative inquiry suggests four levels of inquiry processes such as living, telling, retelling, and reliving. This kind of inquiry process is the way of thinking in all research processes and principle of inquiry. The narrative inquirer can understand the human experienc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materials according to this kind of inquiry process.

      • KCI등재후보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김대현,박경미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체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에 의하여 연구한 교육과정 탐구 사례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수업과 학교교육과정 개발에서의 교사의 체험의 의미를 밝히고, 둘째, 교육과정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과정과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험에 관한 강한 관심에서 시작된 내러티브 탐구 방법, 그 중에서도 자서전적인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수업이나 학교교육과정 개발의 과정에 참여하는 가운데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정체성에 대한 도전을 받고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는 등 정체성의 변화를 계속해서 경험해간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과정은 1. 현장텍스트의 대상 선정(체험나누기 자서전적 방법에 대한 고찰-객관주의와 관점지상주의의 함정 피하기) 2.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3. 현장 텍스트 분석의 과정을 통한 연구 텍스트 구성의 과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탐구과정 및 절차는 앞으로 경험의 의미를 밝히는 교육과정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과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he case study on teachers' experience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he school by narrative inquiry. In this study, narrative inquiry is a way of understanding the teachers' experience of implementing and developing the curriculum by telling and retelling the experience of the lives as a teacher.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teachers' experience in implem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ing school based curriculum? 2. What 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narrative inquiry on studying the curriculum? To solve these problems, we made use of the narrative inquiry, especially autobiographic writings which are a powerful method of understanding experience. Our excitement and interest on narrative inquiry has its origins in our interest in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teachers' experie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has influenced on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Sometimes, teachers conceal their identity in being placed out of classroom landscape. Teachers' identies that are forming are consequent on their experience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e results give a suggestion in studying teachers' experie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by narrative inquiry. The necessity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experience is acknowledged in curriculum study. When the teachers are the curriculum implementer and the curriculum developer, they feel the school curriculum is more significant for their lives as a teacher in the school.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cess of this narrative inquiry can be a useful method applied to the curriculum study for exploring the teachers' experience. In this study, narrative inquiry proces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electing the object of field texts (in this study, by the autobiography method). 2) composing the field texts bewaring reductionism and formalism. 3) composing the research texts by the analysis of field texts.

      • KCI등재

        자아 반성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이용한 교사 양성 기관 조소 수업 방안 연구

        이재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3 No.-

        본 논문은 초등 예비 교사 양성 기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조소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실기 중심의 조소 수업의 적절한 개선 방안을 이론적 그리고 실제적인 차원에서 모색한다. 우선 이론적 논의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의 한 가지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과 미술 실기를 미술 연구의 한 부분으로 다루고 있는 A/r/tography나 Arts-based research에서 아이디어를 착안한 자아 반성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개념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개념들의 실제적인 예를 연구자가 학생으로서 조소 수업을 수강하며 수행한 실천적인 실행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실천적인 실행 연구는 예술가로서, 질적 연구가로서, 그리고 미술 교사로서 통합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우리 자신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미술 교육자로서 자신의 교수법에 대한 반성적인 고찰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결국 이런 통합적인 프레임을 통해 본 연구자는 초등 예비 교사 양성 기관에서 행해지는 조소 수업은 자아 반성적 내러티브 탐구 활동과 함께 이루어지는 실기 수업으로 초등 예비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과 자신이 실천할 교수법을 모색하는 미술 교육 연구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The rationale of self-reflective narrative inquiry can expand a sculpture class for pre-service art teachers that is mainly perceived as only art practices. To examine that rationale,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y of self-reflective narrative inquiry. It also includes a practical example of that approach to show that it is both narrative inquiry as a viabl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art education and arts-based research, such as a/r/tography, that forms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and educational self-reflective narrative inquiry. The author’s personal reflective narrative inquiry is offered as a practical example, the result of personal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undertaken in a sculpture class as a student. It reveals that personal self-narrative inquiry offers the chance for educational research in the sculpture class to inquire into my integrated role as a sculptor, qualitative researcher, and art teacher to have pre-service art teachers who need a teaching model for a future sculpture class. Such personal inquiry can improve our pedagogy as an art educator either whose aim is pre-service art teacher education or whose aim is teaching sculpture classes for children. Ultimately, what this paper emphasizes is that art practices in a sculpture class for pre-service art teachers should be an art research process that facilitates the clear inquiry into ourselves and our pedagogy.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의 비서실무 교재개발 적용방안 연구

        송현정(Song, Hyeon-Jeong) 한국비서학회 201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Bruner의 문화심리학적 접근에서 본 내러티브적 사고의 중요성을 토대로 비서교육 교재개발에 내러티브 탐구방안의 적용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첫째,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과 교육학적 가치는 무엇인가? 둘째, 비서실무 교재개발에 적용가능 한 내러티브 탐구의 효과적인 틀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하여 내러티브의 개념을 파악하고, 교육학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내러티브 탐구는 법학, 의학과 같은 전문분야에서조차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서 내러티브 중심 교재개발을 위한 구성 틀을 제안하였다. 이 틀을 토대로 비서실무실습 교재 다섯 권을 분석한 바각 교재별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내러티브는 제시되고 있으나 각 내러티브별 연계성이 부족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탐구 및 해석논의가 부족하여 학습자들이 근원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야기식 사례분석은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비서교재개발에 보다 적극적이고 의미있는 내러티브 탐구 활용이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adaptability of narrative inquiries by J. Bruner in developing a guidebook on practices for office professionals.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What is the narrative inquiry and how is it utilized for education area? 2)What is an effective frame to develop a guidebook for office professional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To arrive at a conclusion, the study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The literature review discusses the concept of narrative inquiry and its educational value. The narrative inquiry has been widespread in law education as well as in medic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studied by Clandinin and Connelly formed the foundation in developing a guidebook content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lens, a researcher tried to analysis the five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from the mid-1990s to last year to see how well the narrative items were. As a result, those of books did not have a lot of continuity of narrative perspectives in each chapter, and reflective review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was not followed in each book either.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argument of finding an effective way to develop guidebooks by borrowing narrative inquiry.

      • KCI등재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

        박병기(Byunggee Bak),김지영(Jiyoung Kim),박현아(Hyeona Park),김영미(Youngme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심리연구자들이 향후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면서, 교육 분야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한 연구들을 내용분석한 후, 하나의 내러티브 탐구를 실제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두 개의 하위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1>에서는최근 5년(2010~2014)간 수행된 99편의 내러티브 연구들을 7가지의 준거, 즉 연구주제 및 연구대상, 윤리적인 고려, 자료 수집과 관련된 이슈(수집 방법, 수집 기간, 연구일지), 정당화 방법,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의 구현, 경험의 의미 도출 과정, 연구자의 내러티브 등에 의해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이러한 준거들을 반영하여, 세 명의 사교육 ‘공부방’ 교사들의 경험에 관한한 편의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내러티브 탐구에서 연구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내러티브 구성, 특히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의 구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연구자들이 수행한 하나의 실제 연구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두 가지의 도식화, 즉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의 구현 과정과 내러티브 구성 절차의 도식화는 향후 연구자들이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erform a content analysis of the narrative inquiries and to perform an actual narrative inquiry research. These purposes were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this study could help many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ers to apply narrative inquiry into their research. In line with the purposes, this study consisted of two sub-studies. The first sub-study performed a content analysis of 99 narrative inquiries implemented during the last 5 years (2010-2014). Content analysis was done by seven criteria of research topic, ethical considerations, issues related to the data collection(collection methods, collection period, research journal), justification method, manifestation of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meaning derivation processes from experiences, and researcher’s narrative. The second sub-study, reflecting seven criteria, performed an actual narrative inquiry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three teachers running the small study-room of private education.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narrative 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manifestation of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was the hardest for the researchers to realize.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was not the exception. Two kinds of figural illustr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i.e. that of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and that of narrative constitution procedure could be a contribution for the future researchers conducting narrative inquiry.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 과정의 의미에 대한 고찰

        김필성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2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narrative inquiry. Narrative inquiry is known to explore human life in a way of telling and retelling based on human experience. Narrative inquiry i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has a commonality wit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cultural paper, life history research, practical research, and grounded theory. I am in the process of inquiry, and I want to consider what it means. In this study, since narrative inquiry is based o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the process of narrative inquiry i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growth and change of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ewey's experience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inquiry process and to briefly present the points that the narrative investigator considers in the process of inquiry.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의 과정의 의미에 대해 시론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경험에 기초하여 이야기하기-다시이야기하기라는 방법으로 인간의 삶을 탐구한다고 알려져 있다. 내러티브 탐구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문화기술지, 생애사 연구, 실행연구, 근거이론 등 질적 연구와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차이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의 고유성은 ‘이야기하기-다시이야기하기’라는 탐구의 과정에 있다고 보고, 이것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가 Dewey의 경험 이론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내러티브 탐구의 과정이 경험의 성장 및 변화의 원리와 관계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과정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Dewey 경험의 개념을 이해해보고, 이를 토대로 내러티브 탐구자가 탐구의 과정에서 고려할 점을 간략히 제시해보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