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염지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6

        교육과정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들은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사에 의해 실행되는 교육과정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에 더하여, 교사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능력과 그에 필요한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가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가 되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며, 교육과정 전문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교육과정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방안으로서, 개인적 실천적 지식의 함양,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교육과정 전문성 함양, 이론가와 실천가의 협력적 실천 등을 제시하였다. 유치원 교사가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양성기관, 유치원 교육현장, 유아교육 연구자들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recent research in the area of curriculum studies has emphasized the role of teacher as an initiator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he teacher's expertise in doing it. Therefore, this study insist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lay a role as curriculum makers and possess the knowledge of curriculum to be an initiator of kindergarten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be curriculum makers, they should develop and construct their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cultivate their curriculum expertise through conducting narrative inquiry, and carry out collaborative practice with university professors.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ors,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need to work collaboratively in various ways for helping kindergarten teachers to be initiator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수실천 개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염지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3

        This study is a self-study and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teaching practic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 The field texts included transcripts of videotaped of my lesson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lass, conversations with Professor Lee who was a collaborative researcher in the initial project,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research journals. The main teaching practices in my classroom were ‘creating space for relational knowing through sharing the narratives’, ‘attending to bo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personal knowledge’, and ‘supporting the students to develop as teacher agenc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teacher education through narrative approach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연구자이자 유아교사교육자인 내가 어떻게 나의 교수실천을 개선해 가는가를 살펴본 셀프 연구(self-study)이자 내러티브 탐구이다. ‘유아교사론’ 교과목을 대상으로, 수업녹 화, 동료교수와의 대화, 학생면담 전사본, 그리고 연구자 저널이 현장 텍스트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나의 수업에서 드러난 주요 교수실천은 ‘내러티브 공유를 통한 관계적 앎의 공간 만들어가기’, ‘전문적 지식과 개인적 지식 둘 다에 주목하기’, ‘교사 행위주체로 성장하도록 지 원하기’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교육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통한 관계적 교사교육 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영아반 교사의 놀이 중심 교육과정 만들어가기

        염지숙,오채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teachers’ play centered curriculum making for infants and the ways of change of their perspectives in that process. Action research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teachers for a class of 1-year-olds and a class of 2-year-ol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rom teachers, classroom observations, and researcher’s journal from June 2015 to September 2015. The processes of the curriculum making were the preparation stage; the first stage: having discerning eyes about infants’ and toddlers’ play and providing a non-standardization toys; the second stage: changing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infants and suggesting expansion of infants’ play; the third stage: implementing play oriented curriculum for infant and making play topics; and the infant teacher’s dilemmas and the process of solving them. The teacher’s change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making for infants were interpreted as breaking the frames: seeing the infant play action; catching the focus: knowing the infant’s play needs; and enjoying: experiencing play toge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교육과정 실행 개선을 위한 교사협의회를 통해, 영아반 교사가 영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은 어떠하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변화는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만1세와 만2세 영아반 교사 4명이다. 실행연구로 수행된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5년 6월부터 2016년 2월까지 교사협의회에서의 대화, 개별면담, 연구자 저널, 문서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영아반 교사들이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은 첫째, 정형화되지 않은 놀잇감 제공하기, 둘째, 영아교사의 놀이 상호작용 바꾸기, 셋째, 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하기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영아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와 딜레마 해결과정을 기술하였다. 영아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아놀이에 대해 가지고 있던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서, 영아의 놀이 요구를 알게 되고, 영아와 함께 놀이하는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한부모 가정 유아를 양육하는 조손가족 조모와 손자녀의 삶을 통해 본 가족의 의미

        염지숙,지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 가정 유아를 양육하는 조모와 손자녀의 삶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살 펴보고, 그들의 삶의 경험이 구성하는 가족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김 할머니와 윤찬이, 최 할머니와 혜민이가 이 연구의 참여자였으며, 각 가족을 대상으로 10회의 대화와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김 할머니와 윤찬이에게 가족은 서로 공생하면서 공존하는 공간이며 할머니 자신에서 윤찬이 엄마로, 윤찬이 엄마에서 윤찬이에게로 사회적 불평등이 전수되면서 사회계층의 격차를 만들어내는 아비투스였다. 최 할머니와 혜민이에게 가족은 구성/재구성의 역동성을 지닌 유기체였으며, 관계적 돌봄의 책임을 공유하는 공동체로서의 의미를 지녔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가족을 사회성과 역사성을 지닌 구성물로 볼 필요가 있으며, 결합과 분화가 반복되는 역동성과 유동성을 지닌, 그래서 가족 안에 다양한 사회정서적, 심리적 특성이 존재하는 복합체로 보아야 함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가 가족의 다양성을 수용할 것, ‘정상 가족’ 범주에 속하지 않는 가족배경을 지닌 유아들의 강점을 존중해 줄 것, 조부모와 한부모의 양육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family through the lives of grandmothers and their grandchildren using narrative inquir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grandmothers and their grandchildren. Both of the grandchildren have a single par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en visits to each family during which time the family was interviewed and observed. For the first family, 'family' meant the place of symbiosis and co-existence and habitus. For the second family, 'family' meant an organism with dynamics of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s well as a community where the responsibility of relational caring was shared.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family should be considered a composition with sociality and history, as well as a composite body with soci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유아들의 경험을 통해 본 유치원에서 1학년의로의 전이

        염지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7

        본 논문은 유아들의 학습 경험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 전이하는 동안에 그들의 경험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는 15개월에 걸쳐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세명의 유아 즉, 조쉬아(Joshua), 벨(Belle), 줄리엔(Julien)과 그들의 교사, 부모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의 경험을 이야기 식으로 적음으로써 이 시기 동안 그들이 구성해 온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도록 내러티브적 탐구를 연구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참여 관찰로부터의 현장 노트, 비 형식적인 대화, 대화식 일기(Journal entires), 자유해답식 면담(open-ended interview), 다양한 종류의 형식적·비형식적 문서, 사진, 유아들의 작품을 기초로 “현장 텍스트”(field texts)를 구성하였다. 유아들의 전이 경험을 연속적으로 만든 것은 초등학교 1학년 교실의 방문, 친구 사귀기, 가족의 지지, 교사의 도움 등이었고 길어진 학교 시간, 물리적 환경의 변화, 형식적 교수의 시작, 교사의 기대 등은 유아들의 순조로운 전이에 방해가 되었다. 세 유아들의 이야기는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 이동하는 동안 그들의 경험과 이러한 경험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를 말해준다. 구성주의 입장에서 조수아, 벨, 줄리엔의 전이는 그들이 자기들의 경험을 주위 사람들, 환경과 함께하고 협상하는 동안 점차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과정으로서 보여진다. 이 연구는 교육자들이 유아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그들에게 이야기를 말할 수 있는 편안한 장소를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교사, 행정가, 부모들이 이러한 공간을 마련해주려고 협력해서 일할 때 유아들은 그들의 전이 경험을 통하여 성장 할 수 있다.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교수 경험에 대한 성찰

        염지숙,Mitton-Kukner,Jennifer,Yi Li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세 가지 문화적 상황에서 가르쳤던 연구자들의 교수경험을 성찰함으로써, 그 경험이 새롭고 낯선 교수 상황에서 가르치고 있거나, 가르치게 될 교사와 교사교육자들에게 의미하는 바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낯선 상황에서 가르치며 혼란스럽고 불확실했던 우리의 교수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러한 혼란스러움과 불확실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가 교사로서 또는 교사교육자로서 추구했던 교수실천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였다. 교수 경험의 공유와 성찰적 대화를 통한 본 연구에서, 가르치며 배우는 일은 우리의 경험, 즉 우리의 교수를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된 사고, 느낌, 행위가 포함된 경험을 통해 서서히 나타난다(Dewey, 1988)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상황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일과 우리의 경험에서 희망을 찾는 일은 성찰적으로 일어난다(Nunn, 2005)는 사실과 내러티브적으로 구현된 지식은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맥락 내에서의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Huber, Steeves, Clandinin, & Huber, 2005)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하늘반 난민 유아들의 한국 유치원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염지숙,김도란,박수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frican refugee children enrolled in Korean kindergarte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children aged 3 and 4 years(seven refugee children and nine Korean children) and a teacher in a multicultural classroom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the teacher for eight month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refugee children had different appearances from those of the Korean children, as they participated in the various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hey gradually became accustomed to each other. Second, refugee children had difficulties connecting with their families due to economic circumstances and lack of linguistic communication. Third, refugee children were often excluded from activities in and outside the classroom because of the restrictions of their status. Finally, the refugee children showed initiative in playtime and got along with the rest of the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ways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while positively experiencing and learning through children from other cultures, the necessity for various forms of support for refuge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nd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아프리카 난민 유아들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경기도 한 다문화 교실의 사례를 바탕으로 난민 유아들이유치원 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는만 3, 4세 유아 16명(난민 유아 7명, 한국 유아 9명)과 담임교사이다. 자료수집은 8개월간 진행된 현장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난민 유아들은 기관 활동에참여하는 과정에서 한국 유아들과 외모가 다르지만, 서로에게 점점 익숙해져 가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취약 계층에 있는 난민 유아들은 경제적 사정과 언어적 소통의 부재로 인해가정과의 연계가 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하늘반 난민 유아들은 신분의 제약으로 인해 교실 안ㆍ밖에서의 활동에서 소외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난민 유아들은 주도성을 발휘하며 다른 유아들과 어울려 노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 속 다문화 구성원의 존재에 대해 긍정적으로 경험하며 서로의 다름을 배울 수 있는 교육기회의 제공, 난민 가정 및 유아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의 개선 등 향후 유아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와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