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과교사교육과 평가에 대한 생각

        장기범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7 음악교육공학 Vol.- No.6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usic teacher education practice of Korea and the process of teacher evaluation process of the subject. Since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government, educational reform was one of the main political issues. Among the issue of the educational reform, evaluation of teacher was one of the most sensible issues. In order to evaluate, one must know what to evaluate and how to evaluate what to evaluate. Thus,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has tried to identify the practice of music teacher education practice in Korea and some exemplary programs of the U.S. Based on the identified mus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er examined evaluation process of the U.S. in which evaluation is an essential process for promo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writer drew conclusions: one for contents of the evaluation and the other for the ways of evaluation.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recommendations on the evaluation of music teacher in general: 1) It is prerequisit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music education and prepare music teachers education programs and evaluation procedur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music education; 2) The evaluation of music teachers must be carry out for the specific purpose of the evaluation; and finally 3) Among the criteria of music teacher evaluation, the teaching of music as subject matter area must be emphasized.

      • KCI등재후보

        중등 음악 임용고사 제도의 실태 및 개선 방향

        변미혜(Byun, Mi 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3 국악교육 Vol.36 No.36

        중등 임용고사 선발 제도의 변화는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함이며, 교과에 대한 전문적이고도 수준 있는 교사 선발은 국가의 미래와도 연결된다. 또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잘 수행할 수 있는 교사 선발은 음악 교육의 미래와도 직결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수한 음악교사 선발을 통해 음악교육의 질적 제고를 꾀할 수 있도록 중등 음악 임용고사 제도의 실태를 살펴보고, 새롭게 도입될 2014학년도 임용고사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2009년도 이후 올해까지 적용된 임용고사 음악교과의 평가는 주로 기본 이수 과목 및 분야를 중심으로 범위가 제한되었으며, 평가 영역의 내용 및 요소에 따라 출제되어 왔다.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는 크게 교과 교육학과 교과 내용학의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현재 국.사립 사범대 음악교육과에서 교과 교육학의 과목은 국가에서 고시된 과목과 그 수에 있어 상당히 다양하고 많으나 주로 양악 분야의 내용을 교수.학습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자국의 음악을 자신 있게,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고 선발하기 위해서는 사대 음악교육과의 국악 분야에 관련된 교과 내용과 교과 교육 내용의 내실 있는 변화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실기 평가의 경우 각 시ㆍ도교육청의 평가 내용에 차이가 있어,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국악교육 지도 능력을 갖춘 음악교사는 각 시.도교육청의 실기평가로는 선발하기 힘들며, 더 나아가 학교교육을 통해 민요 하나 부를 수 없는 한국인을 육성하는 결과를 계속 초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4학년도 중등 임용고사는 전년도의 3단계 전형에서 2단계 전형으로 축소되어 이루어질 예정이다. 1차 시험에서는 필기시험의 전공 문항 및 시험 시간이 기존의 문항수와 시간에 비해 대폭 축소되어 전공 교과에 대한 이해도 및 종합적 사고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음악교사의 종합적인 자격기준을 갖춘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전공 교과의 필기시험 문항 및 시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문항 출제 기준의 명료성, 타당성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채점의 공정성과 객관성, 신뢰성 및 전문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여건도 조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2차 시험에 해당하는 수업실연 및 실기 능력 평가의 경우 음악과 교육과정, 기본 이수 과목 및 분야를 고려하여 마련된 실기 능력 평가 방안을 모든 시ㆍ도교육청에서 시행하여 각 지역별로 선발된 음악교사의 실기 능력이 지역적 편차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201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평가제도 개선이 우수한 음악교사를 선발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라며, 국가시험의 공정성, 타당성, 신뢰성을 확보하여 중등 음악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Since the selection of school teachers with special and intelligent knowledge of each subject can be related with Korean future, the qualifying test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need to change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Also, the selection of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and fulfilling the Korean Musical Curriculum can be effective to the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Thus, since the selection of excellent music teacher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current qualifying test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explore the improvement and direction for the new qualifying test of 2014. The current qualifying test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since 2009 usually have been focused on the basic completed courses and fields of music, and based on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evaluation territory. The territory and content of evaluation are divided by the educational study and the content education of subject. Then, although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s of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secure various the educational studies of music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ours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s of Western music. Thus, since the music teachers instructing Korean music cultivate and select, the curricula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s need to be changed to more add the educational study and the content education of Korean music.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skill evaluation in Cities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he contents of tests were different by region and far from selecting secondary music teachers qualified to instruct Korean music presented by Korean National Music Curriculum. Moreover, these practical tests could demonstrate to result in cultivating Koreans singing no Korean folk songs. The qualifying test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of 2014 will be reduced from three-step procedures to two-step procedures. Since the numbers and test time of the test questions in the first-step of this new test of 2014 will be more reduced than those of the existing test, it can be difficult to evaluate the ranges and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ies of major subjects. Therefore, for the selection of music teachers with comprehensive qualification standards, the efficient numbers and test time of major subjects need to be secured. Additionally, the clarify and validity of the test, and the justice, objectivity, reliability, and speciality of grading should be guaranteed. The second step of the new test of 2014 is the actual performance of teaching and practical evaluation. Through applying the existing evaluation considered Korean National Music Curriculum, basically completed courses and fields to all Cities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he evaluation of this step should be performed without regional differences. Consequently, this author expects this paper to contribute to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2014 qualifying test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elevate the reputation of this test through more securing cla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 KCI등재

        중등 음악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실태 및 인식 조사

        신희연,신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3 교과교육학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nducted in the secondary music education in the field and teachers' perceptions on i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3 teachers who have performed process-centered evaluations out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country. Frequency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depending on the research proble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re than 50% of teachers did not conduct process-centered evaluations in secondary music education sites, and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conduct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s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various method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s in music curriculums. Second, music teachers had difficulty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on the musical growth process of the students. This shows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latforms where music teachers can provide feedback more easily and quickly. Third, music teachers said they experienced difficulty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evaluation criteria in the affective domain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for thi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 examination tool has been suggested to enable conceptualizing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easuring them in an objective manner. 본 연구는 중등 음악교육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과정 중심 평가의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등학교 음악교사 중 과정 중심 평가를 시행해 본 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중등 음악교육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음악과 과정 중심 평가를 매 학기 실시하지 않는 교사들의 비율이50% 이상으로 나타났고, 과정 중심 평가를 매 학기 시행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음악과 과정 중심 평가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교사들은 학생의 음악적 성장 과정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음악교사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 개발의필요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음악교사들은 과정 중심 평가 중 정의적 영역의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위해 정의적 특성을 개념화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의 개발의 필요성을제안하였다.

      • KCI등재

        음악교사 선발에서의 수업실연 평가에 대한 내용 및 기준 제안:

        오지향(Oh, Ji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음악교사를 선발하는 임용고시 평가항목 중 하나인 ‘수업실연 평가’에 대한 내용 및 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예비교사 평가체제인 edTPA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평가영역과 평가요소를 도출한 후, 중등임용과 관련된 33명의 음악교육자를 대상으로 현행 중등 임용고시의 수업실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평가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수업실연 평가’를 위한 내용으로 9문항의 평가영역과 20문항의 평가요소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실연 평가’를 통해 평가해야 하는 예비교사의 수업능력은 ‘구체적이고 명료한 학습목표 진술’, ‘학습목표 성취 위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활동’, ‘음악요소 및 개념을 적절한 예시와 함께 학생 수준에 맞춰 설명할 수 있는 능 력’. ‘음악시범능력’ 과 ‘학습목표와 연결된 적절한 평가’ 요소가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특정 전공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수행중심 평가방안의 필요성, 실음 중심의 실연이 바탕이 된 평가,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이 포함된 평가 및 장기적으로 미국의 edTPA의 평가처럼 현장에서 직면한 문제를 다룰 수 있으며 학생과의 실제적인 수업상황에 대한 고려가 반영된 평가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음악교육 전문가간의 논의를 통해 ‘수업실연평가’를 위한 전국적으로 통일된 양식과 타당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의 음악수업과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하고 있는 수업실연과 연계하여 ‘수업실연 평가’의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evaluation of the content and criteria for a teaching demonstration, one of the Nationa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music teachers by focusing edTPA(Teaching Performance Assessment). The 33 music educators perception of teaching demonstrations in the current secondar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were examined and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criteria per area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follows. First, 9 evaluation areas and 20 evaluation criteria were show to be important as the content for a teaching demonstration evaluation. Second, ‘detailed and concise lesson objectives’, ‘rational and systematic activities ti meet the lesson objectives’, ‘the ability to demonstrate music’ and ‘appropriate evaluation related to lesson objectives’ were shown to be the most important in evaluating the teaching demonstration of the student teachers. Third, there is a need for a performance-centered evaluation that is not affected by certain university majors and an evaluation method that can address on-site issues in the long-term, such as the edTPA in the US. Fourth, through a discussion among professionals in music educations, a uniform format and rational, appropriate criteria for evaluating teaching demonstrations should be put in place throughout the country. To this end, multifaceted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effective methods of evaluating teaching demonstrations in conjunction with content for teaching demonstrations that are taught at teachers college.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교수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분석 준거의 적용 유효성 탐색

        정진원,윤문정,최미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ory understanding of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music lessons by using instruction analysis criteria, and to cultivate their music teaching competenc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o reexamine the concepts and elements of music teaching competenc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Drawing upon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lesson analysis and music lesson evaluation, criteria for analyzing music lesson applicable to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tracted. The analysis criteria, comprising three domains (planning, instruction, reflection) with 14 components and 42 indicators, were applied to relevant courses. Additionally, surveys and small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to analyze their reactions to the criteria's utilization and assess its effectivenes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nalysis criteria's effectiveness for music instruction was high.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use of the analysis criteria was helpful in carrying out microteaching in music subject. Most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mall group interviews answered that the criteria were helpful in planning their music lesson plans, preparing their microteaching, and reflecting on their own and other groups’ teaching. In addition, the teachers viewed that the analysis criteria were necessary because they could serve as a guid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music teaching. They expressed a desire to continue using the criteria because they found it highly helpfu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esson plans, particularly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instruction and selecting its content. Conclusions The usefulness,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riteria for analyzing music instruction were confirmed. Above all, the enthusiastic response and continued interest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the analysis criteria suggest the need for more active support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sic lessons i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s. 목적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교수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음악과 수업 분석 준거를 추출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예비초등교사의 음악수업의 계획과 실행에 대한 참여적 이해를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서 음악교수역량의 개념 및 요소를 재탐색하고, 수업 분석 및 음악과 수업 평가와 관련된 기존연구를 기반으로 예비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음악과 수업 분석 준거를 추출하였다. 수업의 설계-실행-성찰의 3개 영역과 14개 구성요소, 그리고 42개 지표로 구성된 분석 준거를 관련 강좌에 적용하고,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소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준거 활용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응과 준거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음악수업 분석 준거의 적용 유효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수업 분석 준거를 사용한 대부분의 예비초등교사들은 모의음악수업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분석 준거의 사용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면담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 대부분은 음악수업분석 준거가 수업 지도안 계획 및 작성, 모의수업 실행 준비, 자기 모둠 및 다른 모둠의 수업 분석과 반성 측면에서 도움이 되었다고답변하였다. 또한 음악수업 분석 준거는 모의수업을 계획하고 점검하는 데 가이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수업의 방향 설정이나 내용 선정에 도움이 많이 되기 때문에 분석 준거를 계속해서 사용하고 싶다고하였다. 결론 음악수업 분석 준거의 유용성, 활용 가능성,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수업 분석준거 활용에 대한 적극적 반응과 지속적 관심은 예비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 음악수업 설계와 실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국악교육의 선택권 강화와 내실화 방안

        정은정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In September 2018,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reform measures to the national college admission system and directions for high school education innovation for the 2022 academic year」. The details of the reform indicate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at the center of the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reform. This study aimed to re-examine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us researching on action plans concerning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learn Korean music.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not a policy that changes the standards of academic achievement or graduation accreditation from a grade level system or a unit system to a credit system, but a policy that is related to the right to learn that enables students to choose subjects considering their aptitudes and career pathways and to receive a high-quality education that meet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subject. Thus,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a student’s right to select subjects by offering various music curricular courses in order to realiz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music department. In addition,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take place in consideration of an individual student’s growth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high-quality subject learning should be realized through process-oriented evaluation. Secondly, the action plans of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clude a measure of expanding a right to select the subject of Korean music and cases for realizing process-oriented evaluation for each teacher. It is expected that Korean music courses will be more offered in many high schools by offering Korean music in various ways and showing examples of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mplete the courses.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for such changes. It is hoped that more specific research will be continued to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Korean music and to support the real learning field.

      • KCI등재
      • KCI등재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지표 개발

        원영실,김은경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2

        영재교육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담당교사는 영재성 판별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선행구비 조건이다. 따라서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가 지녀야 할 지표에 대한 실질적인 답변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 연구는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가 지녀야 할 자격 조건을 탐색하고, 그 특성을 바탕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함으로써 예술영재의 선별 및 판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좋은 교사 및 영재담당교사,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의 자격 조건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고, 각 문헌에 제시된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나아가 개발된 평가지표의 학문적 타당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25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의 평가지표는 3개의 대영역과 8개의 중영역, 18개의 소영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teachers in the field. Teachers i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gifted education are significant variable in identifying students' giftedness and successful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sirable components of teachers i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gifted education and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desirable components. Previous research on the components of good teachers,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and teachers i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gifted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evaluation criteria of teachers i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gifted education was developed. To collect opinions and derive consensus of the evaluation criteria, this research used Delphi method with a panels of 25 experts. The evaluation criteria classified with 3 dimensions, 8 categories, and 18 variables as the result.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음악수업 컨설팅 적용 연구

        임미경,황성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음악교사가 교육대학에서 받은 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음악지도에 필요한 교과내용과 수업 방법 및 기술을 습득하기가 어렵다는 현실을 감안하여 교육실습 교사가 교육실습생에게 음악수업 컨설팅을 실시함으로서 초등 예비교사의 음악지도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명이 4주간의 교육실습 중에 각각 6차례의 음악수업 컨설팅을 받았고 음악수업 역량 평가를 사전,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으며 음악수업 컨설팅 만족도 평가 및 소감문도 작성하였다. 그 결과 음악수업 컨설팅은 음악교과의 수업개선에 실질적인 변화를 주었고 컨설티에게 수업에 대한 자신감도 갖게 하였다. 이 효과가 지속, 발전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과 교실 수업 현장과의 연계 시스템 구축, 음악컨설턴트의 양성, 음악교육 동호회 등의 자발적인 교과연구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