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난파의 미발표 단편소설 번역집 『다복한 사형수』의 번역 계보 및 번역사적 의의 고찰

        윤경애 한국번역학회 2020 번역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is a bibliography study on Hong Nan-pa’s unpublished anthology of short story translation, A Happy Condemned Criminal and aims to reveal the genealogy of translation from Japanese translation to Korean translation and its original scrip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translation within the history of translation of the short novel anthology. Hong Nan-pa, a pioneer of Western music in modern Korea, is famous as a violinist and musician who made numerous masterpieces, but he is also a translator who translated many of the world’s greatest novels. His work, A Happy Condemned Criminal. was scheduled to be published in book form in the early 1920s and was even censored by Japan, but was not published for unknown reasons. Hong Nan-pa’s A Happy Condemned Criminal contains 11 short stories such as four short stories from Russia, including Tolstoy, Chekhov, Turgenev and Garshin, three short stories from France, including Maupassant, Zola and Merimee, as well as short stories from Wedekind, Schnitzler, Strindberg, and Oscar Wilde. These short stories were selected and translated from the four short stories anthology that Kitagawa Sozan, Kikuchi Masayasu, Hirano Imao, Gusuyama Masao, and Yamamoto Yūzō have translated. They were all original but second-hand translation with Japanese original scripts not English translations. However, it is a collection of translations of representative works by the most diverse authors in the translation history of the short stories collection published only five books throughout the Japanese occupation. In comparison of Hong Nan-pa’s translation and Japanese translation, it was confirmed that Hong Nan-pa’s translation was very faithful to the original script as showing the skill of a verbal translation, which does not differ much in the sentences and paragraphs, and delivery and expression of contents. Hong Nan-pa’s book of short stories, A Happy Condemned Criminal was supposed to be published at a time when translation literature was exploding as a purpose to expand the base of Korean literature and introduce world literature by presenting a prototype to Korean short stories in the early 1920s, and it is an important data which can estimate the level and content of the translation at that time.

      • KCI등재

        ‘계몽의 역설’과 ‘서사적 근대’의 다층성 - 『제국신문』(1898.8.10.~1909.2.28) ‘논설ㆍ소설ㆍ잡보ㆍ광고’ 란과 ‘(고)소설’을 경유하여

        최기숙 한국고소설학회 2016 古小說 硏究 Vol.42 No.-

        This research sheds new lights on the meaning of modernity through analyzing tatal sections of Jekuk Sinmun as like column, article, novel, advertisements etc. between 1898.8.10.~1909.2.28. and reestimates the modernity of narratives and columns which were dealt with exclusively without considering inter-relationship with other sections of that newspaper. This paper proved the ‘paradox of enlightenment’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contradictions and confusing surrounding the concept of modern enlightenment that was repeatedly insisted by the modern elites group who contributed their insistence on the newspapers, and also the pre-researchers who had been accepted the modern elites’ insistence uncritically. The first,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historical Koreans’ life stories were published with cut texts which were originally written in hanmun, not with the full text by translated in hangeul, the Korean vernacular. These stories only cited as grounds for the topic of the columns which were dealt with modern enlightenment. The second, the forms of the novels that were published in Jekuk Sinmun was four types; short narratives, translated Korean classical short story, new novel (sinsoseol), modern short stories. Heo-saeng-jeon was translated in hangeul on Jekuk Sinmun with considering modern generic convention and representation style. Th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text was performed with considering the concept of cultural translation. The third, there were two types of ‘kidam’ (a series of strange stories) were published in Jekuk Sinmun: Ieo-kidam (E23) and kaso-kidam (E37). A narrative form of the two is close to that of yadam, which was written in hanmun as a short story. Kaso-kidam shows some contradiction by reflecting unbalanced narrative styles, as it were it was overlapped the modern facade and traditional elements, and also it reflects modern culture and supports the columnist insistence as like ‘improvement of Korean old customs.’ The fourth, in a section of advertisement, the advertisement draft denied the value of old novel for selling the new novel (sinsoseol), but it inevitably shows contradictive perspective by appropriating old novels’s value to valuing new novel toward the readers. This paper proved the contradictory insistence and double standard of modernity with the concept of the ‘paradox of enlightenment’ and ‘multi-faced’ modernity of the narrative. 이 논문에서는 현전하는 『제국신문』(1898.8.10~1909.2.28)에 실린 논설, 잡보, 소설, 광고 등 전 지면을 대상으로 고전 서사의 근대적 소환 방식과 수용 양상을 해명함으로써, 근대 인쇄매체에서 ‘소설/서사’나 ‘논설’만을 배타적으로 논의한 결과로 파생된 ‘서사의 근대성’을 재성찰했다. 이를 통해 매체가 옹호하고 지지하는 내용만을 ‘근대성’으로 논의하는 (근대 지식인과 근대연구에서의) ‘근대 계몽’을 둘러싼 모순과 착종이 갖는 ‘계몽의 역설’을 ‘서사’의 차원에서 해명했다. 첫째, 논설란에 실린 한국사 인물담과 고전서사는 원작 고전의 완역이 아니라 근대적 이념에 맞게 분절되어, 맥락성과 전체성을 상실한 근대의 논거로서 소환되었다. 둘째, ‘小說/소셜’란에 실린 소설은 야담 형식의 단편서사, 고전번역물, 신소설, 근대적 단편 등 네 유형이다. 국문으로 연재된 許生傳은 국문고소설사의 장르감각과 문체를 수용하되, 원작과의 수용 시차를 고려하여 구성, 문체, 언어적 차원에서 서사적 근대를 반영한, 일종의 ‘문화번역’의 결과로 게재되었다. 셋째, 잡보란 배치된 ‘기담’류는 ‘俚語奇談’(23회)과 ‘가소긔담’(37회) 연작이다. ‘가소긔담’은 야담 형식의 단편 서사로, 해학과 풍자가 우세하다. 이 중에는 ‘풍속개량론’을 서사의 차원에서 뒷받침하고, 근대 문화를 반영한 것이 있으나, 논리적 정합성에 균열을 보인 착종성을 드러냈다. 넷째, 광고란에서는 신소설을 긍정하고 고소설을 부정했지만, 신소설을 긍정하는 방식으로 고소설의 속성을 전유한 ‘모순’을 보였다. 고소설을 구습과 동일시하고, 신문과 대비시키며, 신소설을 풍속개량론과 연계하는 수사 전략은 이러한 이중 잣대를 표백하는 ‘계몽의 역설’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 KCI등재

        김주영 단편소설의 반(反)근대성 연구

        박수현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6 No.-

        The short stories of Kim Joo-young show oppositions to the modern reason. Kim Joo-young respects the traditional sense of fate'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sense of fate is irrationality. So the respect for the fate means the opposition to the modern reason. The traditional jobs conflict with the modern values and reveal the negativity of modernity. The writer reveals the anti-modernity beautifying the traditional jobs. The love for the past denies the progress. This is one way of opposition to the modernity. Kim Joo-young frequently uses the endings emphasizing the value of children and the love between married couples. These conflict with the modern values and expose the modern negativity. Those are imagined as an alternative utopia opposing to the negativity modernity, Nostalgia for the motherhood is especially important. The writer wants to find the anti-modernity in the pre-modern. 김주영 소설은 이성의 계측가능성을 부정하면서 근대적 이성에 반발한다. '출세를 꿈꾸는 촌놈들의 실패담'에서 '꾀'는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도구적 이성에 대한 제유로서 이성의 역능에 의한 미래의 지배에 대한 확신에 기반하는 바, 근대적 이성의 부정성을 드러낸다. 김주영 소설에 두드러지는 운명의식은 계측불가능성과 비합리성을 각인하면서 근대적 이성에 대한 반발을 함의한다. 김주영은 전통적 업에 고착하는 인물들을 미학화하면서 반근대성을 표출하고 현재의 난국을 해결할 단서를 저장한 곳으로서 과거를 소환한다. 이는 발전하는 현재와 미래를 외면함으로써 근대성의 본질인 진보적 시간관을 부정하는 것으로서, 근대성을 내파하는 한 방식이다. 김주영 소설에서 자식은 모든 갈등을 해결하는 위대한 숭고로 현현하며, 부부애는 최후의 구원처로 부상한다. 자식과 부부애는 근대적 부정성에 대항하는 대안적 이상향으로 상상된다. 특히 모성에 대한 향수는 전근대에서 근대성에 반대하는 거점을 찾으려는 의식을 내장한다.

      • KCI등재

        김유정 ‘도시소설’의 근대성

        이익성(Lee Ick-seong)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본 논문의 목적은 김유정의 도시 소설에 나타난 근대적 성격을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김유정의 근대 인식과 도시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김유정은 근대적 과학 문명이 인간의 소외를 불러왔기 때문에, 이러한 인간의 소외가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곳이 도시라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도시로 대표되는 근대적 생활은 궁핍으로 인한 고독과 소외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김유정은 당대의 실험적 예술을 비판하면서 반기교적인 것에 대한 호감과 의식의 흐름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김유정 도시소설이 지니는 특징이라고 생각되는 체험의 고백 정도이거나 도시 빈민의 단순한 관찰로 그치고 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김유정의 자전적 체험과 결부된 것으로 보이는 일련의 도시 소설들은 빈곤이라는 주제 의식을 바닥에 깔고 도회 속에서 느끼는 개인의 고독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작가적 전망이나 문학적 의장에 대한 배려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으로서 소설사적 의미망을 획득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형의 소설은 앞에서 논의한 김유정의 근대인식과 결부되어 있다. 즉 이러한 유형의 소설은 학생 시절의 일탈된 행동이라는 체험이나 소설 창작을 하면서 누이 집에서 실업 상태에 대한 작가 자신의 견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 보이면서 소설적 의장에 대한 배려를 최소화하여 드러내고 있다. 관찰적 도시 소설은 도시 하층민으로서 거지 어린아이나 빈곤층에 속하는 서민(이농한 달동네의 서민이나 술집 여급)들의 소외의식을 제기하고 있다. 그리고 관찰적 도시 소설에서 작가는 근대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시에 대해서는 때로는 활기찬 모습으로, 때로는 비정한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rvey the modernity of the urban short-stories of Kim Yu-jeong. At first I argued the modern consciousness of the author Kim's writing such as his letters and miscellanies. In his writings he insisted that the modern scientific culture resulted in the human alienation, and that the human alienation revealed in the modernized city. So he described the modernized city as the place of the povery and of the solitude. In his author-biographical short-stories author Kim described the personal unemployment and poverty. But this type of the short-stories he did not reveal the literary devices. So they was not achieved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his observatory short-stories he described the persons of the children beggar and the urban poor, that is the city persons in the surbub who were leaving rural community and the serving women in the pub. At these works he focused the solitude of these characters.

      • KCI등재

        현대단편소설을 활용한 고급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인지의미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임유미,이희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3 언어와 문화 Vol.9 No.3

        The paper tries to analyze the words and sentences in modern short story with the basis of cognitive semantics and has the purpose to sugge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advanced learners. The Korean learners who approached to the advanced level have learned new vocabulary so they can understand the deep meaning of the words as they approach to the various aspects in the established words. Since the common vocabulary expressed in the modern short story tends to have the connotation as a literary language, those words can be used as a specific and economic learning material. Moreover, when the connotation is connected with the tendency and specific aspects of the modern society, it can be applied effectively for plann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Viewed from these perspectives, expressions in the modern short story are analyzed with the methods of cognitive semantics-Conceptual Metaphor theory and Frame semantics. It has the aim to approach to the topics showing contemporary social culture. This is not to have the distributive concept but to create the specific meaning through the social-cultural tool and metaphorical mechanism to help learner’s text interpretation ability. As each analyzed expressions are linked to the social-cultural backgrounds, the paper tries to show the possibility of the connection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with the materials of language in novel.

      • KCI등재

        마녀, 광녀 그리고 병원체로서의 여성―이서수, 안보윤, 구병모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양윤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2 No.-

        이 논문은 ‘마녀사냥’이 근대 초기 자본주의의 형성에 기여했다는 실비아 페데리치의 통찰과 면역성 및 면역체계에 관한 도나 해러웨이, 로베르토 에스포지토가 제안한 새로운 접근을 바탕으로 최근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표상을 ‘마녀, 광녀, 병원체’로서 범주화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여성이 마녀화, 광녀화, 질병화됨으로써 타자화된 양상을 현대성의 맥락에서 살피고, 팬데믹을 경험한 이후 출간된 한국 소설에서 나타나는 타자(화)의 문제와 동시에 기존 공동체의 개념이 교란되는 지점을 살피고자 했다. 최근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에 대한 논의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재)생산의 문제, 경제적인 계급화의 문제와 분리될 수 없다. 이때 공동체로부터 배제되는 동시에 포함되는 여성-타자는 공동체의 내부이자 외부인 이중적인 성격을 띤다. 이들은 면역성 즉 임무니타스(immunitas)로서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임무니타스란 공동체에서 배제된 이들을 그 배제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이서수의 「엉킨 소매」는 장소에서 비장소로 이행하는 몸을 주된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안보윤의 「어떤 진심」은 수동에서 능동으로 이행하는 마음과 그 내적 균열을 묘파한다. 구병모의 「있을 법한 모든 것」은 손에서 얼굴로 이행하는 노동을 가시화함으로써 도구화된 노동력에서 성적 대상화를 강요당하는 여성의 모습을 그려보인다. 이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은 스스로를 긍정하거나(연민) 비판(풍자)하기보다는 공동체의 경계, 그 사이에서 내파되고 분열하는 지점을 집요하게 가시화한다. 이 작품들이 보여주는 바, 여성의 개별적인 몸은 자기생성적이고 자기조율이라 믿어온 근대 공동체의 개념을 교란시킨다. ‘마녀, 광녀, 병원체’는 기존의 공동체가 여성을 타자화하는 세 가지 양상―악마화, 비정상화, 질병화―이다. 세 편의 소설 분석을 통해 확인한 바, 우리는 이러한 규범화를 넘어서는 지점에서 타자와 만나는 사유의 전환을 요청받고 있다. 그것은 단순히 인식론적 전환이 아니라 새로운 공동체적 감각을 상상하고 재발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This paper is based on Sylvia Federici's insights into how 'witch-hunting'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early modern capitalism, as well as a new approach proposed by Donna Haraway and Roberto Esposito regarding immunity and the immune system. The paper categorizes recent representations of women in short stories as 'witches, enchantresses, and diseased bodies' and examines the phenomenon of women being otherized through processes of witch-hunting, enchantment, and disease within the context of modernity. It explores the issues of otherization in Korean short stories published after experiencing a pandemic, simultaneously investigating points of disruption in the traditional concept of community. The discussion on 'femininity' in recent short stories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issues of (re)production in the neoliberal capitalist market, the problem of economic class stratification. Women who are excluded from the community while simultaneously included as 'other' have a dual nature as both insiders and outsiders of the community. They also possess a character of immunity, known as immunitas. Immunitas refers to incorporating those excluded from the community as the form of their exclusion. Lee Seo-Su's Twisted Sleeves focuses on the body transitioning from place to non-place, while An Bo-Yoon's A Certain Sincerity delicately explores the transition from passivity to activity in the mind and its internal rifts. Gu Byeong-Mo's Everything That Could Exist portrays women who are compelled into sexual objectification from instrumentalized labor by visualizing labor transitioning from hand to face. The female characters in these short stories meticulously visualize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 the points where they intersect and divide, rather than affirming (empathizing) or criticizing (satirizing) themselves. What these works reveal is that individual female bodies disrupt the modern community's belief in self-generative and self-regulating concepts. "Witch, Madwoman, Hospital Body" presents three ways in which existing communities objectify women—demonization, abnormalization, and patholog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short stories, we are requested to undergo a transformation in reasoning to encounter the other beyond such norms. Our era is requesting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It is not only a cognitive transformation , but also an imagination and reinvention of a new communal sense.

      • KCI등재

        특집논문 : 근대 개념어(槪念語)의 출현과 의미 변화의 계보 -식민지 시기 "장편소설"의 경우-

        김영민 ( Young Mi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본 연구의 출발점은 한국 근대문학사의 전개 과정에서 실제 장편소설 의 계보와 용어 사용의 계보 사이에 적지 않은 거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계몽기 이후 식민지 시기에 전개된 장편소설이라는 근대 개념어의 등장 과정과 사용의 계보를 근대 잡지와 근대 신문의 경우로 나누어 정리했다. 정리의 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식민 지 시기에 발간된 잡지 가운데 서사문학 작품을 1편 이상 수록한 잡지 64 종과 식민지 시기의 대표적 일간 신문들인 『동아일보·조선일보』 ·『매일신보』 등이다. 연구와 정리의 방식은 64종의 잡지에 수록된 서사문 학 작품 모두를 직접 확인 점검하는 전수조사(全數調査)의 방식을 선택했 다. 1910년대 잡지 『신문계』를 통해 한국 근대문학사에 처음 등장한 ``장편 소설`` 은 명확한 의미를 지닌 개념어가 아니었다. 이 시기 ``장편``은 상대적 으로 길이가 긴 작품을 일컫는 일종의 수사(修辭)였다. 『신문계』가 사용 한 장편소설이라는 용어는 단편소설과 대응하는 용어도 아니었다. 한국 근대 잡지에서 장편소설이 특정한 의미를 지닌 개념어로 정착되는 것은 1920년대 후반 이후이다. 이 시기부터 1930년대 초에 걸쳐 그 사용이 점차 보편화된 장편소설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일정한 길이 이상의 작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변화한다. 1930년대 이후 한국 근대 잡지에서 장편소설 이라는 용어가 절대적 양식 용어로 점차 굳어져 갔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 잡지에서는 장편소설이라는 용어가 중편 소설과 명확한 거리를 확보하지 못했다. 몇몇 작품들의 경우는 중편소설 을 표방하고 연재를 시작해 장편소설로 마무리되거나, 그 반대로 장편소 설을 표방하고 출발해 중편소설로 마무리되는 경우 또한 없지 않았다. 한국 근대 신문에서도 장편소설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1920년대 말부 터 본격화되어 1930년대 초반에 완전하게 정착 된다. 이는 근대 잡지의 경우와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근대 신문에 사용된 장편소설이라는 용 어의 의미는, 잡지의 경우와는 달리 처음부터 비교적 명확했다. 근대 신문 의 경우는 거의 예외 없이 이 용어가 일정한 기준 이상의 길이를 가진 특 정한 문학 양식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그리고 『매일신보』를 대상으로 분석 정리해 보면, 한국 근대 신문의 경우 장편소설은 적어도 100회 이상 연재된 장형의 작품을 의미하는 용어였음 을 알 수 있다. 완결된 장편소설들만을 대상으로 동아일보·조선일보·매일신 보등세 신문에 연재된 작품들의 실제 평균치를 살펴보면 연재 횟수는 173회였고 원고의 분량은 2100매 정도였다. 이러한 평균치는 각 신문들 이 제시했던 최소치에 비하면 매우 높은 편이었다. 근대 신문의 장편소설 은 길이에서 중편소설과도 명확히 구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근대 문학사의 전개 과정에서 장편소설이라는 용어의 도입과 정착 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는가를 살필 수 있었다. The first chapter explores the birth and process of the change of a meaning of modern literary word ``jangpyonsoseol`` in modern literary magazines. The vocabulary ``jangpyonsoseol`` wa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on ``Sinmoongye`` in 1916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The ``jangpyon`` was a kind of rhetoric which means comparatively long works in 1910s. The meaning of ``jangpyonsoseol`` was changed as a opposite concept of ``short story``in Korean literary magazines after 1920s. But, it was not easy to find difference between ``jangpyonsoseol`` and ``jungpyonsoseol`` in modern Korean literary magazines. The second chapter explores the birth and process of the change of a meaning of modern literary word ``jangpyonsoseol`` in modern newspapers. The vocabulary ``jangpyonsoseol`` was appeared again and again in newspapers after late 1920s. The meaning of ``jangpyonsoseol`` in modern newspapers was comparatively clear than that of case of magazines. The meaning of ``jangpyonsoseol`` was similar with western ``novel`` in newspapers in 1930s. It was a new notional word which means a literary work that was serialized at least over one hundred times in modern Korean newspapers. There was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meaning of ``jangpyonsoseol`` and that of ``jungpyonsoseol`` in newspapers.

      • KCI등재

        조선의 불균등 발전과 식민지 모더니즘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3

        Yi Tae-jun’s short stories depicted mainly the peasants who left their farm villages due to Japanese policies toward colonial Koreans, and the poor in Gyeongseong and its suburbs. Previous studies on Yi’s short stories, regarding ‘Japan as modern while Korea as pre-modern,’ asserted that Yi expressed nostalgia for intrinsic Korean things which disappeared with modernization. On the contrary, this study, regarding the miserable life of Korean lower-class depicted in Yi Tae-juns short stories as the phenomena of daily life created by colonial modernization, argues that Yi illustrated a new type of life and people that resulted from the uneven development of Korea based on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imperial Japan and colonial Korea. Japanese imperialism viewed lower colonial Koreans as redundant labours, which were imperishable under the no protection. In contrast, Yi made them invaluable in his literature by describing their life using beautiful and delicate Korean language, and created a type of colonial modernism in this manner.

      • KCI등재

        이태준 문학의 멜랑콜리와 문화적 모더니티

        정연희(Jeong, Yeon Hee)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이 논문은 이태준 문학의 멜랑콜리에 주목하고 멜랑콜리가 문화적 모더니티의 정서 형식이 되고 있음을 살펴본 글이다. 이때 멜랑콜리는 일시적인 감정이 아니라 오랫동안 지속되는 기분일 뿐만 아니라 근대를 배경으로 하는 집단 감정으로서 근대를 사유하는 근본적인 감정 형식으로 간주되는 실존적 우울이다. 연구목표를 위해 이 글에서는 잉여인간, 폐허의 알레고리, 성찰적 노스탤지어를 핵심개념으로 활용한다. 이태준 소설의 우울한 주체들은 그의 다른 명칭인 잉여인간의 성격을 보여준다. 도덕적이고 사회적인 문제에 민감한 그들은, 어떤 적극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대신에 성찰의 성격을 강하게 지닌다. 그런 그들의 시선 아래 속물화되는 근대세계는 폐허의 이미지로 드러난다. 또한 우울한 감정의 일환인 노스탤지어는 위기의 참담한 현실을 직시하는 성찰적 노스탤지어가 되고 있다. 이태준 문학의 이러한 멜랑콜리는 근대를 사유하는 감정의 형식으로 이해된다. 그의 문학에 분노와 혐오와 그리움의 흔적을 남기는 멜랑콜리는 속물적인 근대를 비판하고 그럼으로써 세계에 개입하는 능동적인 미학 장치가 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lancholy of Lee Tae-jun’s literature as the emotional form of cultural modernity. At this time, melancholy is not a temporary emotional and resolved emotion but an existential melancholy as a fundamental emotional form that is a long-lasting mood and collective emotion, with the modern background and thinking about modernity. For research purposes, this article uses superfluous man, allegories of destruction, and reflective nostalgia as key words. The depressed subjects of Lee Tae-jun’s novel show the character of his other name, superfluous man type. Sensitive to moral and social issues, they do not act positively, but rather have a reflexive character. Under such a gaze, the modern snobocracy is shaped by the image of being ruin. Nostalgia, which is also a feeling of depression, appears as a reflective nostalgia that faces the terrible reality of crisis. Lee Tae-jun’s literary melancholy becomes an active aesthetic device to intervene in the world by leaving traces of anger, hatred and longing.

      • KCI등재

        안수길의 단편소설과 여성-「부억녀」, 「원각촌」, 「제삼인간형」을 중심으로-

        양윤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This paper examines the portrayal of women in An Sugil’s short stories 「The Kitchen Lady」, 「Wongakchon」, and 「The Third Type of Man」. An Sugil is not a writer who deals with women in earnest. However, it is also clear that the writer can’t avoid the problems of “Women” in order to deal with human and life problems. He established the world of fiction within the limits of An Sugil’s era, but “Women,” which appeared in this three works, is undergoing subtle changes. First,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female protagonist in The Kitchen Lady, who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female suffering. Seco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female protagonist Geumnyeo in Wongakchon, who is regarded as a possession. She was bought by her husband, who commits domestic abuse. Ultimately he packs up to leave, worried that others are coveting his wife, his property. According to Badiou, Marx saw the proletariat as “existing nothing”, in other words “the nothing that is.” The proletariat is not countable, but merely exists and serves as a revolutionary entity. In An Sugil’s fiction, women assume this status. Unlike his other possessions, she is “the nothing that is” that leads him to take action. Last,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female protagonist Mi Yi in The Third Type of Man, who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an independent woman. Nevertheless, he has yet to shed his fixed image in the eyes of men. This short stories may be interpreted as offering the perspective of the exploited proletariat or the colonized, and the diasporic experiences of the people of Manchuria. When read in an analytical framework which encompasses class, history and society, the story becomes a mirror of these realities. From this perspective, when women disappears, only the type of social actor that she embodies remains. In other words, the female character is absorbed into the proletariat, who are doubly and triply exploited by a male, a family, and a community. Given the attitudes toward women in An Sugil’s era, he was unable to portray them as characters with a life of their own. In this novel, while women are uncountable, they maintain their status as trigger actions that challenge the class system. An Sugil is lacking in understanding when it comes to the lives and capacities of women, but ironically, the fact that he was able to narratively acknowledge this limitation in his works and elsewhere constitutes his underlying significance. Nonetheless women in three novels show themselves gradually changing even within the limits of their perception. Despite such limitations, when women emerge subjectively (as a decision maker of self-acts) and epistemically (as a manifestation of self-consciousness) on the horizon of life and cognition, the embodiment of man and life will see its completion. 안수길은 여성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작가는 아니다. 그러나 작가가 표명한바, ‘인간’과 ‘삶’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여성의 문제를 피해갈 수 없다는 점도 분명하다. 안수길은 그가 속한 시대의 한계 내에서 소설세계를 구축해나갔으나 세 편의 작품에서 드러난 ‘여성’은 미묘한 변화를 겪고 있다. 「부억녀」에서의 ‘부억녀’는 여성 수난사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인간이 ‘빈 서판’처럼 순수하고 무지하다는 생각이 부억녀에게서 형상화되어 있다. 작가는 내면진술의 차단과 서사의 중단을 통해 여성에 대한 보편적 인식의 한계지점을 드러냈으며 이로써 한 여성의 비극적인 삶이 역설적으로 자명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원각촌」에서의 ‘금녀’는 재산의 일종으로 취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녀는 억쇠의 행동을 촉발시킨다는 점에서 사물들이 ‘비-존재인 무’인 것과는 다르게 ‘존재하는 무’라고 할 수 있다. 주체성이 부정되어 있으되 남성의 주체적 행동을 촉발하는 인물이 금녀이다. 「제3인간형」의 ‘미이’에서 비로소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이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의 눈에 비친 고정된 이미지를 벗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그녀의 주체적인 행동은 잘 모르는 것(무지), 설명할 수 없는 것(신비)으로 남아 있다. 무지한 빈 서판과 같은 여성, 교환가치로서만 취급되는 여성, 그 행동의 진정한 동기를 발견할 수 없어서 무지 혹은 신비의 대상일 수밖에 없는 여성―이 세 편의 소설에 드러난 여성은 이처럼 그 인식의 한계 내에서도 조금씩 변화하며 모습을 드러낸다. 여성이 삶과 인식의 지평에 주체적으로(자기 행동의 결정자로서), 인식론적으로(자의식의 표명으로서) 떠오를 때, 인간과 삶에 대한 형상화는 비로소 그 완성형을 보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