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메이션의 미장센 요소로서 캐릭터에 대한 연구 - 디즈니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

        박채원,김성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6

        이미 오래전부터 하나의 독립된 예술장르로서 인정받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의 학술적 연구저변은 그와 비슷한 시기에 탄생한 영화에 비해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예술적 가치와 더불어 애니메이션이 지닌 막대한 산업적 파급력을 주지한다면, 애니메이션 역시 영화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이론적 고찰과 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함이 마땅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미장센 요소에 중점을 두어 캐릭터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의 대상으로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선정하였다. <겨울왕국>은 국내에서 개봉한 애니메이션 중 천만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최초의 작품이며, 전세계적으로 12억 7650만 달러의 극장상영 수익을 벌어들였을 만큼 디즈니 작품 중에서도 역대 최고의 성공작으로 꼽힌다. 연구의 주요 방법으로는 미장센의 기본개념과 특징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에서 적용되는 카메라 앵글, 톤과 조명, 그리고 움직임 및 표정연기에 따른 미장센의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겨울왕국>의 주인공1(안나), 주인공2(엘사), 주인공3(크리스토프), 주인공4(올라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카메라 앵글, 톤과 조명, 그리고 움직임 및 표정연기에 입각한 미장센의 연출은 캐릭터를 중심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스토리 전개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객들은 이를 통하여 작품 안에 구현된 시각적 질서나 감각적 표현을 발견함과 동시에 보다 진보된 차원의 미학적 감흥까지도 경험하게 된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었다. 또한 애니메이션의 미장센 요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캐릭터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함과 동시에, 동일한 작품이라 할지라도 분석의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연구의 방향성이 상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수많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 하나의 작품에서 다루어진 미장센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뚜렷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설문과 더불어 보다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제고되며, 미흡하나마 향후 애니메이션의 작품 창작력을 높일 수 있는 미장센 관련 연구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Although animation has become an object of art and learning, it is incomplete compared to research on films, which are artists that started around the same time. Animation, like movies, should be presented with a variety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r absences.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was conducted by focusing on mise-en-scene, wher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animation were prominent.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s as elements of mise-en-scene in Disney's Frozen animation. The reason why Frozen was selected among many Disney animations was because it ranked first in the box office rankings and set a record of 1.276.5 billion dollars. First, we also identify mise-en-scene for camera angles, mise-en-scene for tone and lighting, and mise-en-scene for movement and facial expression acting, which can be identified in anim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analyzes the main characters: 1(Anna), 2(Elsa), 3(Christophe), and 4(Olaf) of Disney anim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more effective to continue the story of the animation due to mise-en-scene for the element camera angle that subdivides mise-en-scene, mise-en-scene for tone and lighting, and mise-en-scene for movement and facial expression acting. It can be seen that the aesthetic impressions that the audience can feel through visual order or sensory expressions can be found and applied to the expression in detail and depth.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s research can be done in depth while analyzing the animation with the elements of mise-en-scene, and the depth of understanding the work will be different. Of course, there is a limit to the study of the mise-en-scene of one of the Disney animations. It is then enhanced that other papers should be researched along with the survey. In the future, we will continue to study related factors that can enhance the creativity of animation.

      • KCI등재

        미장센 요소들의 창의적 기능에 대한 연구

        최병근(Choe Byoung Geun) 한국영화학회 2006 영화연구 Vol.0 No.29

        The purposes of mise-en-scene are generally in two directions; in one direction, it sets up a cinematic environment in an emotional mood most appropriate to each scene in the scenario; in the other direction, advancing further from the former direction, one uses mise-en-scene to describe the theme of a movie, th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ir emotional states by converting the inherent meanings of mise-en-scene elements in a cinematic way from the perspective that takes the expression of the theme of the movie, the mood of each scene, and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s not only to be carried out by the control of narrative information through the characters' words, but to be fulfilled better by creative combination of mise-en-scene elements.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frame? They include lighting, costume, decor, properties, and the actors themselves.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of the frame encompasses the relationship of the camera, and thus the audience's view. So in talking about mise-en-scene one is also talking about framing, camera movement, the particular lens employed and other photographic decisions. Mise-en-scene therefore encompasses both what the audience can see, and the way in which we are invited to see it, It refers to many of the major elements of communication in the cinema, and the combinations through which they operate expressivel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mise-en-scene, the production designer produces a movie with a special style by figuring on the screen conceptual visions that exist in the scenario and the director's imagination to make them visible. He/she makes concrete the movie's outer features, messages, and feelings through adding forms, sizes, colors, and textures of mise-en-scene elements to abstract concepts. Thu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what mise-en-scene elements there are that are usable by production designers, and what functions they have. Also, it aims to work on those effects made by the interaction of mise-en-scene elements like theme enhancement, mood formation, information generation, harmony, contrasts, rhythms and tempos, and narrative functions.

      • KCI등재

        <장군의 수염> (이성구, 1968)

        박선영(Park, Sun-young)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3

        This study compares Yi Sŏnggu’s film (1968), The General’s Mustache with Yi ŏryŏng’s novel of the same title and discusses how the significance of the compositional factors are inserted and transformed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medium. Previous studies have defined this film as a representative Korean modern film, pointing to its theme of “solitude of the modern man” and the “mise-en-abyme” as a structure of aesthetic resistance against the oppression of the times in the late 1960s. Remaining in the course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analyzes specific scenes in depth and attempts to reveal that this film creates layers of meanings by employing two strategies — “excessive mise-en-scene” and “excessive narrative.” Three parts that are most different from the original novel in terms of composition are examined. First, the opening scene best reveals the “excessive mise-en-scene” of this film. While visually displaying the death of Ch’ŏlhun, this scene provides countless evidences regarding Ch’ŏlhun’s cause of death, the ultimate question this film tries to answer. Full of a number of objective correlatives that represent Ch’ŏlhun’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Ch’ŏlhun’s room is problematic in itself. But the camera’s dynamic movement and framing method that shows Ch’ŏlhun’s room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up excessive mise-en-scene. Another scene that reveals excessive mise-en-scene is the scene that visualizes the second half of Ch’ŏlhun’s short story, “The General’s Mustache.” In this scene, Ch’ŏlhun’s voice is heard as a voice over, and an abstract painting that features eyes in primary colors is shown in an extreme close-up and track-in shots. The film also employs focusing-out, oblique angles, and paintings that swirl like a maelstrom to create an exaggerated scene, assigning surreal characteristics to the reality directed by a story within the film/story. In other words, the opening scene, which focuses on the camera’s energetic and tenacious movements, and the scene where Ch’ŏlhun’s short story “The General’s Mustache” is visualized in a nonpresentational manner are allegories and components of mise-en-abyme. Through excessive mise-en-scene, these scenes add layers of meaning to the semantic structure between the world the film paints through excessive mise-en-scene and the reality it directs. Lastly, the ending sequence, where excessive narrative is revealed, is composed of four parts. The first of those scenes also appears in the novel, but the other three have been created and inserted only in the film. As each person offers his own opinion on Ch’ŏlhun’s death and his death becomes signified in different ways, the ending sequence seems to be a remnant of the narrative that has been inappropriately placed at the end of the film. It does not offer a conclusive and credible answer, and it even includes scenes that seem out of place in the flow of the narrative. However, the scenes that visualize and betray excessive narrative and the ending sequence made up of a combination of such scenes imbue layers of meanings to this film, reaching beyond the characteristic of a film in the mystery genre. From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the excessive narrative and images actively used in the film The General’s Mustache intensify and expand the main theme of this film, and that they also function as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its polyphonic nature.

      • KCI등재

        애니메이션 미장센 특성 연구

        김미르나래(Kim, MiRNaRae),민준일(Min, JunIl)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4

        애니메이션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하나의 예술 장르로서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음에도, 예술 장르로서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은 같은 뿌리를 둔 또 하나의 영상 예술인 영화에 비하면 아직까지도 개선을 요구하는 부분이 많다. 영화 이론이 대중에게 영화를 예술의 한 장르로서 각인하는데 밑거름이 된 것을 생각하면, 애니메이션 이론도 폭넓게 연구되어야 하며 애니메이션 미학에서 스크린의 비중이 높은 만큼 시각적 특징에 집중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 관한 관심은 당연하다. 미장센은 시각적 요소들이 작품의 주제를 내보이는데 의의를 두며 용어가 쓰이는 예술 분야마다 약간의 의미 차이를 갖는다. 영화 비평에서 시작된 미장센은 미학 표현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화, 연극, 뮤지컬, 애니메이션 등 영상 및 무대 예술을 넘어 회화나 게임, 패션 등의 예술과 문화 분야에서도 거론되면서 분야별 미장센의 의미에 관한 의견이 분분하며 그 개념이 달리 쓰이거나 확장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예술로서 애니메이션이 자리 잡기 위한 방안으로 미학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미장센"에 중점을 두어 애니메이션의 표면적 예술성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 방법으로 미장센을 하나의 미학 이론으로 확립한 영화와 용어가 처음 쓰인 연극의 매체 특성을 비교해 두 매체의 미장센 특징을 찾고, 이를 애니메이션에 대입하여 애니메이션 미장센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서 프레임의 시각적 요소가 작가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표출한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제한된 환경에서 만들어진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을 살핀다. 위와 함께, 상업 애니메이션이 특정 집단의 기호에 맞춰 제작된 것을 감안하여 소비에트의 지원 아래 제작된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실험적인 제작 방식과 그에 따른 독창적인 미장센을 분석한다. 작품의 소재를 자국의 민담에서 찾은 러시아 애니메이션이 이를 오페라와 발레의 공연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공간 표현, 무거운 동화(Inbetweens), 라이브 액션 활용 등의 미장센으로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독특한 미학적 세계를 구축한 점을 염두에 두고, 작품의 주제나 작가 의견이 어떠한 외적 장치를 통해 미장센으로 드러나는지 확인한다. In this thesis, the movie with mise-en-scene established was compared with the peculiarity of the play that is the etymological source of the term to identify the peculiarity of mise-en-scene which was substituted into animation to find the peculiarity of mise-en-scene in animation. To emphasize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frame"s visual peculiarity and the director"s opinions, the mise-en-scene of director centered animation created under a restricted environment was reviewed. Mise-en-scene which started from movie critics theory does not simply mean the arrangement of images in a frame. Mise-en-scene emphasizes the exposure of the work"s motive by the visual components. The animation"s assuming the middle point of environmental share possessed by play and movie when schematizing the genre peculiarity of animation, play and movie was a noteworthy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cause is that the animation"s peculiarity yiel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making methods; we verified that this is a key factor in the analysis of animation"s mise-en-scene. I emphasized that the peculiarity of animation mise-en-scene is in its making method and material and suggested identifying the work"s making methods and analyzing the work"s aesthetic results derived in this way. The russian animation which was perceived as peripheral arts was relatively free from the burden of censorship while receiving support from the Soviet as a media for propaganda. The russian animation"s mise-en-scene which found the material for its works in the country"s folklore was metaphorical, focused on new expression forms and achieved experimental elements. Russian animation pursues a unique aesthetic world through space expression based on the forms of opera or ballet and heavy motions formed static inbetweens.

      • KCI등재후보

        스테레오스코피 3D공간에 대한 고찰

        고호빈 ( Ho Bin Ko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2 현대영화연구 Vol.8 No.1

        Generally, 3D is used in certain expressions such as 3D cinema and 3D TV. However, the exact term for these is ``stereoscopy.`` As the prefix ``stereo-`` implies, stereoscopy indicates a phenomenon that a left screen with horizontal parallax and a right screen with frame work simultaneously to our eyes, subsequently forming sense of depth and perspective. Mise-en-scene and montage have been known as two major codes to generate meanings and emotional effects in monocular movies, not in the stereoscopy. These codes are equally applied to binocular movies based on stereoscopy as well. Mse-en-scene refers to choice and placement of visual elements composing a scene, that is to say, meanings and esthetic effect caused by space organization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moving or still objects and cameras. On the contrary, montage refers to an effect appearing when cutting the space time of reality into shot unit and arranging those in order. In other words, montage is re-organized selectively or subjectively after the space time of reality are broken down while mise-en-scene preserves continuity of space time. Screen organization with a deep focus and maintenance of long-shot duration is not only effect, but also result of mise-en-scene. In terms of making movies, mise-en-scene and montage are codes which work eclectically. Subsequently, a reproducing mode or style appears contradictorily depending on choice or preference. The fact that mise-en-scene should be more considered than montage when making movies based on stereoscopy is a prerequisite and also result of this study. It becomes definite when contemplate the ultimate value of stereoscopy. The real life is 3-dimensional and continuative with respect to space time. Against this backdrop, it is contradictory to count on montage, not on mise-en-scene, when choosing stereoscopy for 3D movie. For montage which destroys 3-dimension and continuity of reality by breaking down and reorganizing space time offsets original values of stereoscopy which reproduce space time realistically.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touchstone for theories about stereoscopic 3D movie making, which are not specified or systematized yet, and to predict possibility and limits of stereoscopy in reproducing 3D reality by considering stereoscopic 3D movie making and mise-en-scene as a corresponding reproduction code.

      • KCI등재후보

        한국창작춤 방법론을 위한 미쟝센 개념 적용

        윤수미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6 No.-

        본 연구는 한국창작춤이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른 동시대적인 무대표현을 지향하면서 새로운 미적범주가 필요하다는 자각과 함께 새로운 내용과 형식에 따른 춤 스타일화에 있어서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위해 미쟝센이라는 서양적 용어와 개념을 빌어 하나의 틀을 제시해 방법론적 탐색을 모색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쟝센이란 타 예술장르에서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와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 이를 도입하여 한국창작춤 무대에서 표현되는 미학적, 기술적 측면과 신체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접근한다. 미쟝센은 보편적으로 한 장면 내의 요소들, 즉 극적인 동작을 둘러싼 물리적 환경을 일컫는 용어와 개념으로 이를 통해 창작자는 자신만의 고유한 스타일을 양식화 한다. 이런 양식화의 과정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통해 차별성을 강조함으로써 창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있어 진정한 소통의 방법을 강구 하고자 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소통의 단절로 인해 정체성의 위기에 봉착한 한국창작춤에 있어서 관객과의 진정한 소통은 물론 세계와의 소통 진작을 도모하기 위해 미쟝센의 용어와 개념을 빌어 적용시켜 보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창작춤은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괄목할 만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질적인 면에서 답보적인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원인의 복합적인 이유에서 연유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연구자는 한국창작춤이 다양성의 수용이라는 명목 하에 표현하는 무대언어의 혼란으로 인한 소통의 단절이 주된 원인이라 판단하고, 한국창작춤에 있어 보편적 소통 관계 방식을 위한 미적사고의 재정립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논의의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쟝센의 용어와 개념정리를 통해 동서양의 미적사고의 차이와 유사성을 비교 한다. 비교분석을 통해 사고체계가 문화표현에 있어서 태도, 신념, 가치, 선호와 상징 등과 같은 것들이 민속심리적인 특성에 어떤 모습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기회를 갖는다. 이와 같은 논의는 필연적으로 한국적인 미란 무엇이며, 한국적인 미에 대한 상징체계와 기호, 이미지는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분위기에도 흔들림 없이 어떻게 그 위상을 지니는가에 대해 간략한 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안무자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다양성의 수용과 포용이라는 관점으로 양식화하는 과정 속에서 최근에 행해지고 있는 한국창작춤이 어떤 특성과 경향을 나타내면서 관객과 소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해 본다. 이를 통해 정체현상을 겪고 있는 현실에 대한 대안 마련을 방법론적으로 제시 한다. 한국창작춤의 방법론적인 모색으로 도입된 미쟝센의 개념은 단지 시각적인 면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공간에 대한 상징과 기호체계를 포함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접근은 보다 더 심도 있게 접근되어져야 한다는 판단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첫 시도이며, 본 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한국창작춤과 미쟝센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이며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a methodological search that presents a frame using a western terminology and concept 'mise-en-scene' for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ancing stylization according to the new content and style, with the awareness of necessity of a new aesthetic category, supporting the Hanguk chanjak Chum's contemporary stag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Mise-en-scene, which is a commonly used terminology and concept in other art genres, is introduced into this study to approach the aesthetical and technological parts and physical modeling and symbolism that are exhibited in the Hanguk chanjak Chum stages. Generally mise-en-scene is a terminology and concept that explains the factors within a scene, or the physical circumstance surrounded by dramatic motions; through this, the creator stylizes his or her own style. Such process of stylization came from the deliberation of true communication through differentiation. Any art besides dancing art ultimately aims at interaction with others; not only the tru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but also the interactive promotion with the world, is being applied using the terminology and concept of mise-en-scene. Despite the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of the Hanguk chanjak Chum within a comparably short period of time, it is remaining standstill in terms of its quality. This comes from complex causes from different reasons. However,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tresses the reformation of aesthetic thinking for universal interactive relation style of the Hanguk chanjak Chum under the judgement that the Hanguk chanjak Chum is the main cause of interactive disconnection due to the confusion of stage language expressed under the purpose of accepting diversity. The process of developing such argument is shown as follows. First, compare the different and similarity of the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 thinking through arranging the terminology and concept of mise-en-scene. Such comparison and analys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at how thinking paradigm, in such cultural expressions as attitude, belief, value, preference, etc., functions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rgument, by necessity, moves on to concise discussion about what Korean styled beauty is, and how it sustains its contemporary position without turbulence in the middle of such atmosphere in which symbolic paradigm, preference, image of the Korean styled beauty rapidly change. And based on this, search for, in the process of stylization, how the contemporarily performing Hanguk chanjak Chum interacts with the audience with what characteristics and trend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ing and embracing diversity, and present alternatives methodologically for its reality of congestion phenomenon. Since mise-en-scene, which was introduced as the methodological search, is not limited just to visual aspects but it also includes symbols and signal paradigm about psychological space, its approach should be made more in-depth.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making the first attempt for this.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 미장센 분석

        이태구(Lee Tae-Gu),이화세(Lee Hwa-Se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3

        이 논문에서는 영화의 미장센 이론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미장센을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은 영화에서와 달리 그 활용범위가 굉장히 넓다. 이는 실사영화와 합성되어 영화의 장르를 발전시킨 계기가 되었으며 디지털기술의 빠른 성장은 영화의 미장센이론을 다시 정의 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초창기 사실주의 감독들의 미장센 이론이 애니메이션 기법의 도입으로 더욱더 확장되어 디지털 영화에서의 미장센이론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몽타주이론의 편집에 의한 영상 미학이 아닌 한 프레임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모든 요소들을 담고 있는 미장센은 애니메이션만의 차별화된 미학으로 발전되어야 하며, 국내 애니메이션의 문제점인 연출력 부재의 현상황을 미장센에 의한 연출력으로 극복되어 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how that we analyze the mise en scene of ani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mise en scene in film. The mise en scene of animation has a large range of utilization in contrast to film. This affects the development of film synthesized with an actuality film. The theory of mise en scene of early realistic film director is extended by the animation techniques. And the theory of mise en scene in digital film is raised newly. The mise en scene in animation has the property that all elements is represented in one frame. And then this has a success in different aesthetics. The problems of in-country animation - the absence of production in the present condition - is to be achieved by the production using mise en scene.

      • KCI등재

        스테레오스코피 3D영화 제작에 있어서 미장센의 문제

        고호빈(주저자) ( Ho Bin K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7 No.-

        영화 발명 이후, 1세기 이상의 기간 동안 정련되어 온 몽타주와 미장센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 지게 된 것은 스테레오스코피(stereoscopy)방식의 3D영화의 대두에 기인한다. 영화에 적용 가능한 또 다른 분절체계나 의미작용체계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몽타주와 미장센은 스테레오스코피 제작에도 역시 적용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몽타주와 미장센은 2D영상 제작과정에서 수립되고 적합화 된 의미작용체계이므로, 스테레오스코피 제작에서도 문제없이 작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세부적인 방법들에 있어서는 어떠한 사항들이 달라져야 하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의 연구의 목적이다.가설적으로는 스테레오스코피 3D영화와 기존의 2D영화의 차별성은 공간성에 있으므로, 쇼트 자체 즉 매체 공간을 구성하는 미장센의 방법론이 스테레오스코피 영화와 2D영화의 경우에서 차별화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연구와 테스트베드적인 스테레오스코피 제작을 수행했다. 그런데 연구의 진행 결과, 미장센보다 몽타주가 원근법에 근거한 인지작용과 관련해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스테레오스코피는 관객에게 깊이 차원까지도 직관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관객이 이미지의 시각적 크기를 자신의 시점으로부터의 거리 관계에 따라 판단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스테레오스코피에서 몽타주 된 일련의 쇼트들은 관객에게 동일 거리의 동일 피사체의 시각적 크기가 순간마다 달라져 보이게 한다. 시각적 대상과의 거리가 실감되는 스테레오스코피에서 몽타주는 관객의 원근법적 인지작용의 승인을 받을 수 없는 의미작용 코드가 되는 것이다.미장센과 몽타주는 보완적 의미작용체계이기도 하지만, 대체적 관계를 갖기도 한다. 쇼트로의 분절을 지양하고, 쇼트의 지속시간을 늘이는 롱테이크(long take)를 위주로 구성한다고 하면, 몽타주보다 미장센에 의한 의미작용을 중시하겠다는 것이고, 현실의 시공간적 연속성을 그대로 담아내는 사실적인 재현이 된다. 스테레오스코피는 관객에게 깊이 차원을 직관하게 함으로써, 현실 공간에서 시각작용을 하는 것과 같은 임장감(presence)을 준다. 그래서 몽타주에 의한 비사실적이고 작위적인 의미작용은 승인될 수 없고, 미장센만이 스테레오스코피 제작에 적용 가능한 의미작용 방식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이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다. Stereoscopic 3D cinema has finally emerged. Because there is no other division code or signification code that can be applied to these movies, montage and mise-en-scene are inevitably applied to stereoscopy also. However, because montage and mise-en-scene are significance codes that were established and adapted to 2D movie production settings, this study aims to review if the two codes can work in stereoscopy production and what specific methods should be changed. Hypothet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stereoscopic 3D movie and 2D movie comes from spatiality, so the shots, that is, the methods of mise-en-scene that compose the media space is thought to be differentiated, and the study and the production of test-bed stereoscopy are conducted based on this idea. Howeve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erious problem may occur from montage in stereoscopy not from the physiological optical function but the perceptions that occur after that. Stereoscopy can have the audience perceive the concept of depth as well. This means that audience can differentiate the visual size of the images according to distance from oneself. Therefore the series of shots that are montage lets the visual size of the same subject in the same distance look differently. It means that montage will be a signification code that cannot be accepted by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s of stereoscopy who are fee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Mise-en-scene and montage are signification codes that may b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ut they are also in alternative relationships. If division into shots is avoided and the film is composed in long takes which lengthens the time of shots, it means that the signification code by mise-en-scene is more emphasized than that of montage, and will become realistic representation which reflects the continuity of space time of reality. Stereoscopy lets the audience perceive the dimension of depth and provides the sense of presence as if the audience is viewing in a real space. This finding of the fact that the unrealistic and unnatural signification by montage cannot be acceptable and mise-en-scene is the only significa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stereoscopy production is the biggest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정체성이미지에 관한 미장센 디자인 연구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중심으로 -

        편정민 ( Pyun Jung M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5 한국디자인포럼 Vol.12 No.-

        본 논문은 미야자키하아오의 2001년도 작품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전개상 편의를 위하여 이하 [센과 치히로]라 칭하겠다. 을 중심으로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주제 표현을 위하여 화면구성에 있어 미장센디자인의 중요성을 연구한 것이다. 영화에서 감독의 메시지는 서술되기보다는 서사되어지기 때문에 담론 안에서 이미지기호들로 상징화되어진다. 이러한 감독의 생각을 읽고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미야자키 하야오 영화에 나타난 표상이미지가 주제 전달에 있어 미장센이 어떻게 디자인 되어 졌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미야자키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나타난 정체성이미지에 대한 미장센디자인 고찰을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구문화와 일본문화를 구성하는 문화기호에 대한 열린정체성이며, 둘째 인물유형이 지니는 자아에 대한 실존정체성, 셋째 기성세대와 신세대에 대한 소통정체성, 넷째 노동의 가치에 대한 공동분배를 원칙으로 하는 반자본주의에 대한 이데올로기정체성, 다섯째 서구문화를 대변하는 자본주의의 물질만능에 대한 순수정체성을 중심으로 미장센디자인을 살펴보았다. 화면틀frame 본 연구에서는 `화면틀`의 개념을 정지된 이미지보다는 움직이는 이미지로 말하려고 한다. 질 들뢰즈, 유진상 역, [시네마Ⅰ: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2), p.29 안에 감독이 담으려는 세계는 그만의 순수한 창작 공간이며, 작품에서 말하려는 메시지는 미장센mise-en-scene이라는 디자인 구성으로 작가의 서술행위를 증명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본고에서 밝히는데 의의를 두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importance of Mise-en-scene design on frame work to present what a director wants to talk, focusing in the movie: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2001, Miyazaki Hayao). The message of the director is not described but narrated in movies. Thus it is symbolized as image symbol. As one method of understanding the director`s idea, we will see how the image is designed as mise-en-scene to present the theme with Miyazaki Hayao`s movie. Mise-en-scene analysis about identity image in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has five major categories ; the first, open identity of cultural symbol in forming western and japanese culture, the second, characters` existential identity of ego, the third, communication identity between elder and new generation, the fourth, ideologic identity - anti-capitalism - with joint distribution, and the fifth, pure identity against mammonism representing western cultures.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at the world the director wants to show in frames is his own pure and creative space and the mise-en-scene as a design structure is the important element to translate the message in works to viewers.

      •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으로서 영화의 교육적 가능성 탐구: 미장센의 이해와 활용

        이지연,장윤경,김지은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과 교육 Vol.20 No.4

        This paper is a basic research that explores what kind of film education is possible in the area of art educat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frame of film media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discuss how film aesthetics are visualized and delivered through visual aesthetics and film language. Next, the research trend of film media education was reviewed. Further,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film image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mise-en-scene that was not emphasized in art education yet.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Mise-en-scen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aesthetic creation and creator's style in film media education. I would like to understand Mise-en-scene image and it’s power based on the case of Wes Anderson's film, which expresses the unique and creative image of Mise-en-scene in film making. In order to reconstruct the framework of film media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we must pay more attention to the specific creative process of creating ideas into images by understanding and utilizing film aesthetics, film language, and mise en scenes. 영화는 우리 삶에 큰 영향을 주는 시각미디어이자 종합예술이다. 본 논문은 영화를 미술교육의 시선으로 바라본다면 어떤 교육이 가능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기초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시각에서 영화교육의 틀을 재구성하기 위한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교육의 연구 동향을 짚어보고, 그간 강조되지 않은 미장센에 초점을 맞춰 이미지의 창작 및 재구성을 논의하였다. 영화교육에 있어 “의미”의 표현을 위한 시각적 요소와 미장센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창작자의 의도를 한정된 프레임 속에서 시각적 요소로 어떻게 감각적이고 창의적으로 전달하는지를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교육에서 미학적 창작과 창작자의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소인 미장센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에 영화 창작에 있어 개성적인 미장센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웨스 앤더슨(Wes Anderson) 감독의 영화를 사례를 기반으로 미장센 이미지와 힘을 이해하고자 한다. 미술교육의 시각에서 영화교육의 틀(framework)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상미학, 촬영기법, 미장센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이미지로 탄생시키는 구체적인 창작의 과정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