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한중 문인 교류 연구의 흐름-교류 기반과 양상을 중심으로-

        김창수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5

        Korea-China Exchange In the entire history,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Qing is very special. The literary exchange of the two countries, which star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became more active in the 19th century. This was closer than that of Joseon-Ming relationship. Literary exchange was mediated through Chinese culture ability, and became a channel for the formation of a human exchange network, a space for academic discussion, and a gateway to knowledge media.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China has been intending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and neighboring countries as being dependent on it in pursuing the ‘Qing History Project.’ On this movement, knowledge exchanges in the late Joseon will play a role in revealing the mutually communicative history that is not unilateral or dependent.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studies related to the bases of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Qing. Only the envoys allowed by the state were allowed to move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diplomatic structure surrounding the dispatch of envoys functioned as a long – term basis of literary exchange. At the same time, the political situation of both countries and the changes in the diplomatic system have become factors that regulate the degree of exchange in the short term time. In the concrete aspect of exchanges, we first considered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exchanges. The bureaucrats, attendants, and interpreters were important subjects of literary exchange. The place of exchange wa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analysis. There were various interchange spaces inside and outside of Beijing. In the exchange method, I have summarized the studies related to meeting and correspondence. 조선·청 문인 교류는 한중 교류 전체 역사 속에서 매우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18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양국 지식의 교류는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더욱 확장되는 모습을 띠는데, 이는 명대의 그것보다 同文의 세계에 더욱 가까운 형태였다. 한문 능력을 매개로 이루어진 문인 교류는 인적 교류망의 형성, 학술토론의 공간, 지식 매체 왕래의 통로가 되었다. 한편 최근 중국에서는 ‘청사공정’을 추진하면서, 청과 주변국의 관계를 종속적인 것으로 규정하려는 의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조선후기 문인 교류는 일방적·종속적이지 않은 상호 소통적 역사상을 드러내는 역할을 할 것이라 판단한다. 본고에서는 주로 2000년 이후에 생산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조선·청 문인 교류 기반과 교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과 청의 국가 간 이동은 오직 양국에서 허락한 사신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따라서 사신 파견을 둘러싼 외교 구조의 형성과 작동방식은 문인 교류의 장기적 기반으로 기능하였다. 동시에 양국의 정치적 상황과 외교 제도의 변화는 단기적인 시간 속에서 교류의 정도를 규정하는 요소가 되었다. 교류의 구체적 양상에서는 우선 교류 주체의 계층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사신으로 대표되는 고관, 관직이 없는 수행관, 그리고 역관이 문인 교류의 중요한 주체였다. 교류의 장소도 또한 분석 범위에 넣었다. 크게는 북경과 북경 이외, 북경 내 다양한 교류 공간이 존재하였다. 교류방식의 부분에서는 직접 만나는 방식과 함께 서신 교류와 관련된 연구들도 정리의 대상으로 삼았다.

      • KCI등재

        교환의 사회학 -김동인의 「감자」를 중심으로-

        오양진 ( O Yang-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6 No.-

        김동인의 「감자」에서 서사적 재현과 당대의 사회적 현실의 관련성을 해명하는 일종의 문학사회학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마디로 「감자」의 사회학은 교환의 사회학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의 주인공 복녀는 우선 근대적 이동성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분별력 있는 기회주의자로서 왕서방과의 만남에서 교환가치를 창출하고, 이것을 벼락출세의 계기로 만든다. 그러나 그 이동성이 동반하는 불만의 내면성에 휘말리게 되면서 복녀의 마음에 드리워지기 시작한 열정의 그림자는 기회주의를 거부하고 교환을 중지하게 함으로써 그녀가 교환의 세계로부터 배척당하게 되는 결정적인 순간이 되고 만다. 다시 말해 냉정한 상인의 세계에서 준수되어야 하는 교환의 규칙은 분별력을 잃고 상혼을 상실한 복녀의 불만스럽고 불안한 내면성 속에서 망각되고, 결국 복녀는 세 남자의 교섭 과정을 통해 곧바로 교환의 세계로부터 추방되는 것이다. 이것이 소위 `교환의 사회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의 결과인데, 여기서 `개인의 형성과 사회화의 분열`은 자명해진다. 이때 문학사적으로 부각되는 것은, 교환의 사회학을 통해 이광수의 총체성은 하나의 환상임이 폭로된다는 점이다. 요컨대 이광수는 자신의 소설에서 자기존중의 낭만적 열정과 사회화의 요구라는 현실적 이해관계 사이에서 조화로운 해결책을 찾았다고 확신했지만, 마침내 김동인은 「감자」에서 개인을 지지하면서도 사회를 지탱할 수 있다는 근대적 사회화에 대한 계몽주의적 확신이 붕괴되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결국 김동인의 「감자」는 근대적 생활의 어떤 특별한 순간들이 `상인`이 지배하는 비속한 교환의 세계 속으로 빨려 들어가버리는 사회역사적 과정을 아주 상징적인 방식으로 재현하는 셈이다. The goal of this writing is a kind of literary sociology which makes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representation and social actuality of present generation in Kim, Dong-in`s < KamJa >. In a word, the sociology in < KamJa > is sociology of exchange. First of all, Heroine of the novel, Bok-nyeo is the sensitive opportunist who make the best use of the mobility which applies the modern network. Namely, she creates exchange value from meeting with Wang-seobang, which she makes with opportunity of sudden success. But as she is drifted into the internality of dissatisfaction where accompanies the mobility, her heart becomes involved with the shadow of passion. And when she refused an opportunism and discontinued the exchange, she was removed from the world of exchange. In other word, it is the rule of exchange which must be observed from the world of calm merchant that is forgotten in the insecure and dissatisfactory internality of Bok-nyeo who loses a sensitive power and a salesmanship. After all, Bok-nyeo is expelled at once from the world of exchange by a exchange process of three men. This is result of what is called as would-be `a sociology of exchange`. From here, the disruption between formation of individuals and socialization becomes self-evident. At this point, it is embossed with literary history that Lee, Gwang-su`s totality is exposed as a fantasy by a sociology of exchange.

      • KCI등재

        조선후기 유·불이 공유한 문예 문화 -승려와 유교 엘리트의 문화생활을 중심으로-

        토마스성은김 ( Sung-eun Thomas Kim ) 연민학회 2018 연민학지 Vol.30 No.-

        유교와 불교라는 두 전통을 구별하여 파악하는 것은 조선시대 사람들의 실제 삶을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당시 유학자들의 정치적인 수사(修辭)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 결과이다. 유교 엘리트와 고위 승려들이 공유한 문예문화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고승의 비문을 쓰던 문화 및 불교도와 유학자가 시를 교환하던 문화에 있어서 승려와 유교 엘리트 사이에 존재했던 상호적인 관계를 검토한다. 고위 승려들이 높은 수준의 학식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사찰이 당대 문화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는 점이 불교와 유교라는 두 전통의 상호교류를 촉진했음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사찰이라는 장소는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환경으로서 불교적 이상이 투영된 곳이었다. 이에 따라 산사(山寺)에서 불승들과의 시문을 교유하는 것은 유학자들의 문학활동에서 필수적인 부분을 구성하게 되었다. 또한 유교 문인 및 사대부들이 고승 비문 작성에 협조한 사례 역시 다양하게 발견된다. 이는 사대부 문화의 오랜 전통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학자들에 의한 불교의 정당화라는 의미가 있었다. 이처럼 유불 간의 활발한 교류 및 사대부 문화 속의 불교적 요소에 대한 확인은 조선시대 승려와 유교 엘리트들의 문화생활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The lines separating the two tradition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may have more to do with rhetoric than the lived lives of the Joseonites. This was particularly true in the sphere of literary culture of the Confucian elites and high ranking monks. The literary interaction between monks and Confucian literati and scholar-officials gives and impression that the label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become less meaningful,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This paper examines the mutual relationship btween monks and the Confucian elites in the culture of writing of stele texts for eminent monks and in the culture of Buddhist-Confucian poetry exchanges. It is discovered that factors such as the high level of education of high-ranking monks and temples as cultural centers have encouraged the close inter-traditional interaction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particular, the temple setting, the aesthetically pleasing surroundings, Buddhist ideals came to make up an integral part of Confucian literary culture that took place at temples in the mountains. Moreover, it was the literary support of the Confucian literati and scholar-officials in stele text writing that have provided the social support and legitimation in the re-establishment of Joseon Buddhist identity and its tradition.

      • KCI등재

        북중 문화교류 사상의 특징과 한반도 평화체제를 향한 시사점 일고 - 중국 예술단의 경우 -

        신정호(Shin, Jeongho)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0 No.-

        ‘평화 시대’를 전망하는 시방 냉전 시기 아시아 지역 내 문화교류의 한 형식으로서 사회주의 국가인 북중 간 문예교류 자료에 대한 정밀한 재검토가 요청된다. 언필칭 ‘평화 체제’의 구축 과정에 그것은 ‘평화 시대’의 도래를 타개하고 촉진하는 마중물로 일정한 기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때로 그것은 보다 선명한 형식을 취하며 ‘평화 시대’의 도래와 양립하는 작용력도 발휘할 가능성이 큰 부분이다. 본 논문은 북중 간의 문예교류에 대해 검토하였다. 다음 몇 가지는 그 가운데서 집중적으로 검토한 부분이다. 첫째, 핵실험을 전후하여 소원한 관계 속에서 정치적 교류 및 상호방문이 실종 되었지만 문예교류는 중단 없이 진행되었는가. 둘째, 핵실험을 전후 문화예술 교류는 어린이, 청소년 문예교류 등 분야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가. 셋째, 출판, 언론 분야의 문화교류가 중단 없이 진행되고 있는가. 넷째, 사회주의, 혁명적 낭만주의 문예사상이 교류의 핵심 고리인데 이 부분에 수정이 가해지고 있는가. 다섯째, 반봉건 및 반제국주의 사상을 내포하고 있는 일부 고전 작품으로 수정주의를 비판하면서 전통적 우의 및 교류를 특화해왔는데 이 부분에 수정이 가해졌는가. 연구 범위와 관련하여, 김정은 체제 출범 후 빈번해지고 있는 고위층 간 교류 및 그 일환으로 전개되는 문예교류 성격 변화를 감안하며 핵실험 과정 및 그 이후의 최근 동향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제1차 핵실험(2006.10.09.) 이후부터, 특히 제6차 핵실험(2017.09.03) 이후 북한에 대한 연합국(UN)의 결의 및 제제가 엄격해져 비록 연구에 제한이 많지만, 본 논문은 보도 자료 및 공연 자료를 엄밀하게 검토하여 입체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 단순한 문헌검토 및 출판 서지 기초 연구를 지양하고 인적 교류, 예술단체의 동향, 전시 등까지 폭을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예술단체의 방문 공연, 전시, 연례행사 방문등을 집중 검토하고, 그 외에 인적 교류를 포함하여 출판 및 언론 분야의 교류도 망라하여 살펴봄으로써 입체적 연구가 되도록 주의하였다. 한반도 평화 및 동북아 평화 나아가 인류 평화를 기획하고 공유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국가 간 문예교류의 특질을 직시하고 긴 역사적 안목에서 이를 조명하고 평화의 도정에 참조 및 공유하는 지혜가 요청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th the prospect of a “peace era,” it is called for a thorough review of cultural exchange data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cialist countries of the two countries as a form of cultural exchange in Asia during the Cold War.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sometimes it is more likely to take a clearer form and perform counter-functional functions that overshadow the advent of the “peace era,” even though it serves as a means of breaking and promoting the advent of the “peace era.” This paper reviewed the literary and artistic exchange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ince the 1st nuclear test (2006.10.09). In particular, since the 6<SUP>th</SUP> nuclear test (2017.09.03),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trictions due to the strict resolution and sanctions of the United Nations against North Korea, this paper has tried to conduct a three-dimensional analysis by thoroughly reviewing press releases and performance data. It focused on visiting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visits to annual events by art groups, and also looked at exchanges in the publishing and media fields, including human exchanges. In order to plan and shar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we were able to see these characteristics and confirm the wisdom of sharing them from a long historical perspective.

      • KCI등재

        18세기 지식인의 일본과 중국 사행 인식 비교 : 李鳳煥을 중심으로

        김경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5 한국문화연구 Vol.28 No.-

        본고는 1748년 통신사행과 1760년 연행에 참여한 이봉환의 시문을 통해 조선후기 지식인의 일본과 중국 사행에 대한 인식을 고찰했다. 두 사행에 모두 참여하거나 기록을 남긴 문인은 드물기 때문에 그의 인식을 살피는 일은 의의가 있다. 사행을 떠나는 이유는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능력에 따른 환대, 경험자의 증언과 추천에 의해 ‘가슴에 쌓인 돌을 녹일 수’ 있다는 열망으로 통신사행에 참여했다. 그러나 귀국한 뒤 처지는 달라지지 않았고 삶은 더 기구하게 느껴졌다. 이에 연행은 능력에 대한 인정을 기대하지 않았으나 우물을 벗어나 책으로만 알던 곳에 실제로 가는 ‘궁벽한 삶 속 잠깐의 기쁨’이었다. 통신사행에 대한 인식으로는 ‘사행 임무 완성과 문화 과시를 통한 교화’가 나타난다. 그는 각 원역(員役)을 형상화했는데 이는 여타 사행기록에는 없는 특징이다. 원역에 따라 다른 임무를 강조하여 임란의 울분을 갚고 일본이 재침을 못하게 하고자했다. 다음으로는 ‘신교(神交)적 창화와 명승지의 풍광 칭찬’이 나타난다. 창화시를 통해 일본 문사를 추켜세우고 정신적 사귐을 강조했다. 명승지의 풍광을 칭찬한 창화시를 문집에 선택하고 편집했는데, 우리 산수보다 아래로 보았다. 연행의 경우, 조선을 벗어나 심양에 이르기까지는 ‘장관(壯觀)의 사실적 묘사와 천문지리적 발견’이 나타난다. 험준하고 경이로운 자연과 북풍한설을 뚫고 가는 고달픔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요동벌에서는 지평선으로 이어진 둥근 하늘과 일출을 통해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경험했다. 심양 이후는 ‘오랑캐 청(淸) 비판과 역사 회고’를했다. 명·청 전쟁터에서의 비분강개,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회고, 소중화 의식, 명나라 회상 등을 토로했다. 이는 1760년 연행의 분위기로 보인다. 두 사행에서 조선의 문화적 우월 의식을 표출하며 일본의 교화와 청의 멸망을 강조했다. 그러나 그가 더욱 열망했던 점은 원유였다. 이국의 선진 문화와 문물 그리고 과학적 지식의 경험을 드러냈고, 이를 ‘호(豪)’라 했다. Until now Chosun Tongsinsa(朝鮮通信使) and Yeonhaeng(燕行) have been studied separately. Therefore we need to study two sides together to see the recognition of the trip abroad of intellectuals of Late Chosun Dynasty in general. Bong-whan Lee was not only a Envoy member of 1748year Tongsinsa but also 1760year Yeonhaeng. And he made literary works about two Envoy travels. Chapter Ⅱ is about ‘The reason for the Envoy.’ Lee leaved to Japan with burning desire or expectation to melt the stone in his heart. But after his return to Chosun, nothing had been changed. 12years later when he had the another chance to participate to Yeonhaeng, he eagerly looked forward to go to China, for the joy in his out of way life for a little while. He said the experience of Envoy was ‘broad experience(豪)’. Chapter Ⅲ is about the recognition of Envoy. The Tongsinsa has two aspect. One is about Envoy mission. He emphasized the completion of the Envoy mission and Reclamation of Japanese by Chosun cultural display. The other is about cultural exchange. He made the response of poetry and prose with Japanese literary men with soul and praised Japanese famous place like mountains, lakes and temples. The Yeonhaeng also has two aspect. One is about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magnificent mountains and fields, and the astronomical geographical discovery. The other is about the criticism of Ching China as barbarian, and historic retrospection. Especially, after visiting Shenyang(瀋陽), he showed historical consciousness. He looked back on Sohyunseja’(昭顯世子)s hardship and shed tears of indignation. Also he missed Ming(明) and wished the fall of Qing(淸) in vain. It seems to be the overall atmosphere of 1760year Yeonhaeng. Chapter Ⅳ, I have compared Lee and his friends’ recognition of Tongsinsa with their recognition of Yeonhaeng of Lee and his friends. It seems similar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 KCI등재

        일본문학 번역의 양상과 연구 향방

        이한정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100 No.-

        본고는 개화기부터 현재까지의 국내 일본문학 번역의 흐름을 일본문학 전집과 선집의 번역, 일본 대하소설, 무라카미 하루키, 추리소설, 고전문학, 작가 전집 번역을 대상으로 살폈다. 그리고 일본문학 번역의 평가와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제시했다. 개화기를 거쳐 일제 강점기에 일본문학의 번역은 매우 미비했고, 대개 번역이 아닌 번안으로 이루어졌다. 해방 직후부터 1960년까지는 이승만 정권의 배일정책 등으로 일본문학 번역은 공백기를 맞이했으나, 4.19를 거치면서 1980년대까지 전집, 선집, 대하소설 등 여러 형태로 번역이 대량 생산되었고 이들 번역본은 대개 ‘일본알기(知日)’의 일환으로 소개되었다. 1990년에 들어서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이 번역되면서 한국문학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또한 같은 시기에 노벨문학상 수상자 오에 겐자부로 전집 번역이 기획되면서 한일 간의 ‘문화 교류’와 ‘일본이해’가 번역의 역할로 요구되었다. 하지만 무라카미 하루키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전개된 방대한 추리소설 등의 번역은 문화 교류와는 별개의 소비였다. 2005년 이후에 다자이 오사무, 나쓰메 소세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개인 전집이 번역되었고 주요 고전문학 작품도 거의 번역되면서 일본문학의 번역은 현재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렇게 일본문학 번역은 다양한 작품이 다채롭게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으나 그에 관한 평가나 연구는 아직 초입단계에 있다. 번역의 ‘오류와 오역’의 지적에 머물고『일본문학 번역 60년 현황과 분석』에서 수행한 연구 성과를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문학번역 평가는 번역비평으로 나가려는 방향에서 문학번역 연구도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일본문학번역 연구도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면서 번역을 둘러싼 제반 현상을 시야에 두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임해서 일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쪽으로 나아가 할 것이다. The translation of Japanese literature in Korea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during both the transitional era to the modern world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this time most works of literature were simply adapted, but not translated. The anti-Japanese policy of the Rhee Syngman Government caused the translation of Japanese literature to be neglected in the period between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1960s. In subsequent years, a substantial number of complete works, selections, and novel sequences were translated in different forms between the time of the 4.19 Revolution and the 1980s. Most of these translations were introduced in support of the policy of ‘knowing Japan’. The translations of the work of Murakami Haruki greatly influenced Korean literature in the 1990s. Moreover, during the planning stages of the transl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Kenzaburō Ōe, an author who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translations were required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Japan". However, the translation of works by Murakami Haruki, including his lengthy detective novels, was more likely driven by consumption, rather than by a desire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The complete works of individual authors such as Dazai Osamu, Soseki Natsume and Ryunosuke Akutagawa have been translated since 2005. Moreover, most of the main classical works of literature have also been translated. It can therefore be said that the translation of Japanese literature has been enjoying its golden age. These efforts have led to the consumption of many different translated works of Japanese literature in Korea. However, the critical literary evaluation of translated works is still in its infancy and has mainly focused on drawing attention to errors i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In fact, the level of evaluation has not exceeded the result of a study, ‘The Status and Analysis of 60 Years of Japanese Literature Translation’. Of late, the evaluation of literary translation in Korea has be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translational criticism; hence, the study of literary translation has reached a new turning point. With these developments in mind, a study of the translation of Japanese literature was conduct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evaluated against translational theories with the aim of extending the scope of Japanese studies.

      • KCI등재

        전후 북한 지식인의 독일 방문과 국제교류 경험: 조령출의 「독일기행」

        유임하 동악어문학회 2022 동악어문학 Vol.88 No.-

        이 글은 1955년 5월 동독에서 개최된 ‘프리드리히 쉴러 서거 150주년 기념문학제’에 조선작가 대표로 참석한 조영출이 남긴 「독일기행」을 텍스트 삼아, 전후 북한 지식인의 ‘형제국가’ 동독(독일민주주의공화국)과의 문화교류 경험을 통해 그의 독일방문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그의 기행문은 사회주의 연대와 국제주의적 친선에 기반을 둔 기행문학적 사례의 하나다. 둘째, 기행문은 시인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쉴러의 문학예술에서 예술의 힘을 발견하고 그의 ‘미적 국가’에 주목했다. 셋째, 조영출은 동독 사회를 인민민주주의 이념에 기초하여 과거 히틀러의 파시즘에서 벗어나기 위한 변혁을 수행해 나가는 과도기적 변혁기에 놓인 것으로 보았다. 넷째, 조영출은 동독의 문화행사에서 동서독 예술인의 교류상을 목격하고 남북문화교류의 가치를 절감하는 한편, 자신이 경험한 극장 제도 및 배우양성 체계를 참조 수용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 중국 명대 여성작가의 문학체험과 글쓰기: 여성작가의 서발문(序跋文)과 서간문(書簡文)을 중심으로

        정민경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2 탈경계인문학 Vol.5 No.2

        Women in China have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to have suffered in silence under an ethic that was suffocating to them. However, a lot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women were published in collections as printing technology developed in the Ming Dynasty and women writers as a group, not just as individuals, appeared. This phenomenon can give rise to a new trend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ry studies, which has previously centered upon male writers, but the study of female Chinese writers is still few.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women’s literary activities and their literary philosophy through what the women writers directly wrote. First of all, I attempt to arrange prefaces and letters written by women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omen’s Works in Recent History (歷代婦女著作考) and Collection of Letters Written by Women in History (歷代名媛文苑簡編), written by Ho Moon-gye, and The McGill-Harvard-Yenching Library’s Ming-Qing Women’s Writings (明 淸婦女著作)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literary style in them, dividing these into three large parts. The first is female education and female writing. Comparatively many books were publish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inting industry in the Ming Dynasty, and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was expanded to women connected to education. Women read various books and wrote their works based on the knowledge gleaned. Second, I treatliterary exchange and literary recognition through private groups. Women in the Ming Dynasty exchanged literature with each other and raised their literary knowledge through their favorite groups, wrote about their daily lives in their works, and continued to form bonds of empathy while reading theirworks together. Third, I note the individual and insignificant writing. Women in the Ming Dynasty were very enthusiastic for literary writing that expressed their own experiences and emotions. Women could encounter their own inner life through individual works describing their busy daily life and exchange their emotions with other women. In this way, female literary activities acted as a means of spreading the thoughts and desires of the heart and women’s views on literature, which are revealed directly and candidly in their prefaces and letters.

      • KCI등재후보

        중국 명대 여성작가의 문학체험과 글쓰기 : 여성작가의 서발문(序跋文)과 서간문(書簡文)을 중심으로

        정민경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2 탈경계 인문학 Vol.5 No.2

        Women in China have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to have suffered in silence under an ethic that was suffocating to them. However, a lot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women were published in collections as printing technology developed in the Ming Dynasty and women writers as a group, not just as individuals, appeared. This phenomenon can give rise to a new trend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ry studies, which has previously centered upon male writers, but the study of female Chinese writers is still few.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women’s literary activities and their literary philosophy through what the women writers directly wrote. First of all, I attempt to arrange prefaces and letters written by women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omen’s Works in Recent History (歷代婦女著作考) and Collection of Letters Written by Women in History (歷代名媛文苑簡編), written by Ho Moon-gye, and The McGill-Harvard-Yenching Library’s Ming-Qing Women’s Writings (明淸婦女著作)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literary style in them, dividing these into three large parts. The first is female education and female writing. Comparatively many books were publish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inting industry in the Ming Dynasty, and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was expanded to women connected to education. Women read various books and wrote their works based on the knowledge gleaned. Second, I treatliterary exchange and literary recognition through private groups. Women in the Ming Dynasty exchanged literature with each other and raised their literary knowledge through their favorite groups, wrote about their daily lives in their works, and continued to form bonds of empathy while reading theirworks together. Third, I note the individual and insignificant writing. Women in the Ming Dynasty were very enthusiastic for literary writing that expressed their own experiences and emotions. Women could encounter their own inner life through individual works describing their busy daily life and exchange their emotions with other women. In this way, female literary activities acted as a means of spreading the thoughts and desires of the heart and women’s views on literature, which are revealed directly and candidly in their prefaces and letters.

      • KCI등재

        식민지시기 문학시장의 변동 양상의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2) ― 동아일보사 편

        유석환 ( Yu Seok-hw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이 글은 `경제`라는 시각을 중심으로 문학의 근대화를 파악하려는 연구의 기초작업 중 두 번째의 것이다. 문학의 근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의 경제적 영역, 말하자면 `문학시장`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에 대한 거시적인 연구는 여전히 부재하다. 그런데 문학시장의 거시적 변화상의 지표 중 하나가 문학텍스트의 교환 내역이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이 기초연구에서는 문학시장의 교환장치라는 관점에서 출판기구의 문학텍스트 교환 내역에 주목했다. 존속기간, 대중적 영향력, 문학텍스트의 거래량 등을 기준으로 대표적인 교환장치를 선별한 후 해당 교환장치에 의한 문학텍스트의 유통 양상을 조사하면, 문학시장의 전반적인 변동 양상을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매일신보사를 다룬 첫 번째 글에 이어 이 두 번째 글에서는 동아일보사의 출판활동 전반을 검토했다. This paper is second basic study for a analysis of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literature with economic view.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literature we need to study the economic field of literature, literary marketplace. But there is still no macroscopic study of literary marketplace. By the way a indicator of the macroscopic changing literary marketplace is the exchange breakdown of literary text. In order to understand this I paid attention to the breakdown of literary text exchanged by publishing organization with a view of exchange apparatus of literary marketplace in this basic study. Because we will examine the aspect of genre literary text in circulation by the exchange apparatus after we select representative exchange apparatus regarding term of existence, public influence, amount of literary text in circulation, and so on, we are able to figure out the macroscopic changing literary marketplace. In the second paper following the first paper on the publishing activity of the Mai-ilshinbosa, I reviewed the publishing activity of the Dong-ailbo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