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소용준,박준성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선택에서 대학생활의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학생활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로 구분하였다. 둘째, 대학생들이 겪는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 적응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전공만족도에 따라서 상(上), 중(中), 하(下)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완전 매개하였다. 학교만족도에 따라서 분류했을 때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전공만족도 상(上) 집단과 학교만족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즉,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한 학생들에게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서 취업 및 진로 지도를 해야 하며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사회적 편견, 특정 전공계열로의 편중 등의 사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justment for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on the career maturity. To this end, this study revealed (1)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2)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And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o attain 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d self-report survey about study variables. Total 180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95 male and 85 femal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ver. 23.0.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the career maturity based on gend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ccording to the study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job- 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of the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hird,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insecurity in career maturity was part parameters.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Fourth, in high major satisfaction group, we foun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Finally, the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anxiety due to school satisfaction was partial mediated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atisfaction group. Bu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discussed important of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the needs of expanding the relations of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adjustment.

      • KCI등재

        대졸 취업 예정자들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진로의식성숙과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천만봉,이종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6

        In the recent situation that the worldwide recession continues and it is hard to get a job, young generations who face poverty is increasing. And this circumstance makes them reluctant to marry and have a baby, creating a vicious cycle. Moreover, since they entered a university,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have been increasingly spending their time in a pre-employment activity such as, language study aborad, TOEIC, TOEFL, and school record, to get a better job, feeling stressful about employment. Thus, this study includes stressful factors Korean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feel and how stressfully these factors affect them. In addition, it examines ways to reduce their stress, and suggests how to respond.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how career barriers, pre-employment activity, and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 each university conducts impacts job seeking stress of graduand in korean, and looked into parameters like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which can reduce the influence factor. As a result, to begin with, it turned out that career barriers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feel are the factor which increases job seeking stress, and it showed the same result as Park and Lee (2008). Second, it is found that pre-employment activity, such as language skill, school record, internship, which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prepare to get a job they want, increases job seeking stress. This means pre-employment activity to get a good job makes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stressful itself. And it also showed the same result as Park et al. (2005) study that deficient pre-employment activity, pressure, and uncertainty generate job seeking stress. Third, it is discovered that each university’s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 for improving employment rate can’t reduce job seeking stress. It doesn’t match the result of Park (2005) and Chang (2001), because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don’t participate actively in th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 Meanwhile, as a result of analyzing career attitude maturity control of self-efficacy as a factor to reduce the job seeking stress, career attitude maturity works as a moderating variable to reduce job seeking stress about employment, but doesn’t reduce job seeking stress regarding career barriers and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 This doesn’t match the result of Lee and Lim (2001) study before. Next, as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self-efficacy increase, it works as a moderating variable to reduce job seeking stress concerning career barriers and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 but it is invalid in pre-employment activity. This is same result as Kim and Cho (2011), Baek (2011), and Chang (2001). Among factors to influence job seeking stress, pre-employment activity is more effective than career barriers, because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focus on various pre-employment activities when looking for jobs. However, although too much job seeking stress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feel in pre-employment activity makes problem, proper level of job seeking stress can play a good role in pre-employment activity by reducing a tension. Some results of this study don’t match the pre-studies’. In order to complement them, countermeasures employment-institutions in a university prepare is as below. First, for pre-employment activity to reduce job seeking stress which isn’t valid in this study, it is required that pre-employment activity needs reinforcing or needs to consist of mainly important contents, and needs to be promoted increasingly to prospective employers of college graduates. Second, in order to lower the career barriers, it is essential to provide overall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The information needs to be divided into the one head office of a university is responsible for and the other each college is in charge of. Thi... 본 연구는 대졸 취업 예정자들의 스트레스의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이 취업 예정자들에게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를 주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취업 예정자들이 느끼는 진로장벽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대졸 취업 예정자들이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기 위해 준비하는 취업준비활동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졸 취업 예정자들이 원하는 곳에 취업하기 위한 준비활동의 그 자체만으로도 그들 스스로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대졸 취업 예정자들의 취업률 향상을 위해 각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은 스트레스를 줄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졸 취업 예정자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요인으로 진로의식성숙과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진로의식성숙은 취업준비활동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진로장벽과 취업지원프로그램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기 효능감은 진로장벽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이를 줄여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취업준비활동에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한편,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각 변수들에 대한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부분에 있어 일부의 내용들만으로 설명을 시도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함과 동시에 이를 줄일 수 있는 요인변수로 진로의식성숙과 자기 효능감을 통해 대응기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감사일지 작성이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김호영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gratitude disposition of job seekers 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In study 1, the mediating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were examined. We surveyed 366 job-seekers in Jeollabuk-do, using following measurements: the Korean-Gratitude disposition Questionnaire-6, the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14, the Job-seeking stress questionnaire, and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Gratitude disposition correlated highly negative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correlated highly positive with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stress and also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depression. It indicates that higher gratitude disposition not only directly lower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but also indirectly lower them by reduci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study 2, based on results of study 1, the effects of keeping a gratitude journal on gratitude disposi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were examined. Forty-six job seekers who reported above-average job-seeking stres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keeping a gratitude journal in study 1,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group. Data from 21 and 22 participants, respectively, were finally analyze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kept a gratitude journal,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rough the online board. The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and compared with the baseline test. After four weeks of the keeping a gratitude journal, the gratitude disposi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eeping a gratitude journal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job seekers' gratitude disposition and tolerance of uncertainty, which in turn leads to a reduction i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감사성향이 취업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전라북도 지역 취업준비생 366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감사성향은 취업준비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스트레스, 우울과 부적상관을 보였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여, 높은 감사성향이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을 직접적으로 낮출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낮춤으로써 간접적으로도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 2에서는 감사일지 작성 활동이 감사성향을 증진시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스트레스, 우울을 완화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인지 확인하였다. 연구 1의 참여자 중 평균 이상의 취업스트레스를 보고하고 감사일지 작성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46명을 실험군과 통제군에 무선 배정하였으며, 각각 21명과 2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실험군만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주3회, 4주 동안 감사일지를 작성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직후 실시한 사후설문을 사전설문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감사성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성향이 취업준비생의 정신건강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며, 온라인상의 간단한 감사일지 작성만으로도 취업준비생의 심리적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용준(Kim, Yong-jun),윤천성(Youn, Chun-Sung)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6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별 행동중심전략, 자연보상적전략, 건설적사고전략은 취업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행동중심전략, 자연보상적전략, 건설적사고전략이 취업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별로는 행동중심전략, 자연보상적전략, 건설적사고전략이 사회적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로서 사회적지지는 취업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셀프리더십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셀프리더십과의 하위요인별 행동중심전략, 자연보상적전략, 건설적사고전략은 1단계에서 매개변수인 사회적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주는 매개효과를 함으로써 취업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취업 프로그램의 하위프로그램의 요소로 학생들의 사회적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도 학생들이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생활을 돕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 of 2-year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job-seeking str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uch as behavior ba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and the job-seeking stress.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a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Second,from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upon job-seeking stress, behavior ba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job-seeking stress. Third, from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upon social support, behavior ba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ocial support. Fourth, from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upon job-seeking stress, the social support as a in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job-seeking stress. Fifth, from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seeking stress,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uch as behavior ba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socia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at the first stage, which met mediation conditions. Also,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mediation conditionsat the second stage for those variables satisfying mediation conditions at the first stage, behavior ba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seeking stress, which met mediation conditions.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mediation conditions at the thirdstage for those variables satisfying mediation conditions at the second stage, as regression coefficients of behavior ba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ocia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ocial support was found to meet the partial mediation condition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behavior ba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and the job-seeking stres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it is said that as the social support was for students’self-leadership and had a mediation effect on decreasing their job-seeking stres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reinforcing students’ social support as factors of sub-programs in developing a job-seeking program may play a big role to help students to live self-subjective and self-directed lives.

      • KCI등재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

        권주훈 ( Juhoon Kwon ),김호영 ( Hoyoung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변수들 간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취업을 준비 중인 전국의 대학교 4학년생 및 졸업생 246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절망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해당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쥐업준비생 남녀 모두 취업스트레스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절망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절망감 간의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 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가 남성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아 성별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남성 취업준비생들에서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으로 이어지기 더 쉽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차는 취업준비생들의 절망감의 심리적 기전이 성별에 따라 다를 가능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hopelessness and to evaluat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hopelessness. We also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se effects. Via online and offline surveys, the Job-seeking stress questionnaire,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14 (K-IUS-14), and Korea-Beck Hopelessness Scale (K-BHS) were administered to 246 undergraduates or graduates who were preparing to get a job. Based on these data,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hopeless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seeking stres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hopelessness in both male and female job seekers. Furthermore,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hopelessness was stronger in females than in mal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hopelessness was significant only in males, while it was not in female job see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seeking stress is more likely to lead to hopelessness in male job seekers with a high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addition, the gender difference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hopelessness among job seekers vary by gender.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용준 ( Kim Yong Jun ),윤천성 ( Youn Chun S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의 하위요인들이 취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의 하위요인들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들이 자기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과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회귀계수가 유의미하게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해 보면, 전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은 취업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자기효능감은 행동중심 전략과 취업스트레스, 자연 보상적 전략과 취업스트레스, 건설적 사고전략과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매개조건을 충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junior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job-seeking stres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Following ar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from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upon job-seeking stress, sub-facto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 effect upon job-seeking stress. Second, from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upon self-efficacy,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were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upon self-efficacy as sub-facto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upon self-efficacy. Third, from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 of self-efficacy upon job-seeking stress,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job-seeking stress. Fourth, from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upon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seeking stress, self-efficacy was found to meet the mediation requirements as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and job-seeking stress.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above, junior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job-seeking stress and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meet the mediation requirements in the relations between behavior centered strategies and job-seeking stress, natural compensation strategies and job-seeking stress,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and job-seeking stress, respectively.

      • KCI등재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향수,채규만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가정하여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취업준비중인 남, 여 대학생 3,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로는 취업스트레스 척도, 단축형 도식 질문지, 자살생각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와 초기부적응도식, 자살사고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부적응도식의 하위영역 중 ‘단절 및 거절’, ‘손상된 자율성 및 수행’의 두 영역은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 중심성’, ‘과잉경계 및 억제’, ‘손상된 한계’ 세 영역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경쟁모형과 적합도 지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인 경쟁모형의 모형 적합성이 검증 되었다. 이는 취업스트레스가 높으면, 초기부적응도식과 관련된 사고가 증가하게 되어 높은 자살사고 수준을 보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subjects were 246 university students recruited from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Job-seeking Stress Scale,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YSQ-SF), and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seeking stress,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uicidal ide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variables. And, the job-seeking stress was found to be a valid predictor for suicidal ideation. Second, all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showe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ird, some variable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such as 'Social isolation/alienation', ‘Impaired autonomy & performance’ showed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some factor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such as 'Defectiveness/shame', 'Dependency', 'Enmeshment', 'Failure', 'Subjugation of needs' showe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Finally,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y was also suggested.

      • KCI등재

        미용취업준비자들의 취업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연구

        최세영 ( Se-young Choi ),박효진 ( Hyo-jin Park ),장숙희 ( Suk-hee Jang ),이인희 ( In-hee Le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2 미용예술경영연구 Vol.6 No.3

        This study of the Unemployed beauty study jobs and jobs seeking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the surve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Survey period from 25 June 2012 until 22 July 2012 a total of 28 days from the Gyeonggi-do area Beauty Academy in beauty-related qualifications to study a total of 165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Physical stress on employment could feel that heaviness in the chest and head pain, emotional stress, overall employment of the low average stress seems to be not much. Highest average employment even before the stressful nature of the job concerned about the difficulties to be faced after a job that I could understand the future plans for employment of the stress on the job, future plans for the lowest stress is shown. Coping strategies for job stress, eating, talking, sleeping, music, shopping, friends and acquaintances to relieve stress, is shown. This study beauty preparation for employment in the area who match their job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have been talking about. Target area is limited beauty prepration for employment in other areas of party work will also learn about jobs seeking stress and Coping is thought necessary. Also related to the qualifications for employment and other types of cosmetic qualifications with those who are ready to work side-by-side comparison of the Stress and Coping cosmetic preparation for employment and employability of characters coping with stress need to look exactly the way you think about the job and Beauty Now ready for stress related to their research work will be continued.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진로소명의 조절효과

        노종선,박승민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상담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절차로, 서울과 경기지역의 3학년 이상의 대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대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 성적, 부모의 경제수준, 가정의 형태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진로소명은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에서 학업스트레스, 성격스트레스와 부적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자살생각은 진로소명의 하위요인 중에서 ‘목적과 의미’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진로소명은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진로소명의 정도가 낮은 집단은 취업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자살생각의 정도가 높아졌으나, 진로소명이 높은 집단은 진로소명의 정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 자살생각의 상승 정도가 완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스트레스로 인해 어려움을 겪거나 극단적인 생각을 하는 대학생들의 심리를 이해하고, 이들을 상담하는 데 있어 진로소명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600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 a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t job-seeking stresses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 major, grades, economic level of parents, and type of family of college student. Second,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areer call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ademic stress and personality stres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urpose and meaning’, which is the sub-factor of career calling. Third, career calling decreased the suicidal ideation in relation to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Groups with lower degree of career calling were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as the job-seeking stress increased, whereas those with higher degree of career calling were less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than those with lower degree of career cal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college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or having extreme thoughts due to job stress, and for providing the implications how to use career calling in counseli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