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김향수,송순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D광역시, J시에 거주하 는 40~59세 중년 남성 149명의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삶의 질과 직업 스트레스(r=-.544, p<.001)과는 보통의 역 상관관계, 우울(r=-.748, p<.001)과는 높은 역 상관관계, 직업 안정성(r=.566, p<.001), 주관적 건강상태(r=.537, p<.001)과는 보통의 순 상관관계, 가족유대감 (r=.712, p<.001), 사회적 지지(r=.739, p<.001)과는 높은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사회적 지지,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현 직종의 근무년수, 규칙적인 운동여부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75.1%로 나타났다. 따라서, 질적인 중년기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우울은 낮추고 사회적 지지 체계의 확충 및 가족유대 감과 주관적 건강상태 증진, 현 직종에서의 근무년수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This is the study of descriptive research to look into influence factors about how married middle-aged male' job stress, job security, depression, family bon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life. We collected data by giving questionnaires to 149 middle-aged males between the ages of 40 to 49, living B & D metropolitan city and J city, and used the SPSS/WIN18.0 version to analyze. The correlated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cluded job stress(r=-.544, p<.001), depression(r=-748, p<.001), job security(r=.566,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r=.537, p<.001), family bond(r=.712, p<.001) and social support(r=.739, p<.001).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re depression, social support, family bond, subjective health status, current employment period and regular exercise. Therefore, a good quality middle-aged life, it will be needed to lower the depression, expand the social support system, improve family bond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crease employment period.

      • KCI등재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김향수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1

        This is the study of descriptive research to look into factors which influenc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and old-old in women living alon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primary data from 2017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fe based on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and cognitive health condition in women living alone- and the secondary analysis which additionally collected from total 85 case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using SPSS/W IN 18. program,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followed by pain, regular exercise, and social support for young-old women living alone and regular exercis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ain for old-old women living alone. The explanatory power was 70.6 percent and 69.7 percent respectively.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eeking ways to alleviate pain, enhance the system of social support, activate daily exercise, and maintain the ability of routine activities. 본 논문은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2017년 <여성 독거노인의 통증, 영양위험, 외로움,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인 일차연구 자료와 추가 수집한 자료 총 85부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은 통증, 규칙적인 운동, 사회적지지 순으로 설명력 70.6%이며 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은 규칙적인 운동, 일상생활수행능력, 통증 순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력은 69.7%로 나타났 다. 따라서 통증 감소를 위한 방안과 사회적지지 체계의 강화, 생활체육 활성화 및 그에 따른 일상생활 수행 유지를 위한 노력 등의 모색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4.16구술증언 채록 과정 속의 윤리적 난제들

        김향수 한국구술사학회 2019 구술사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면담자로 4.16구술증언 채록하며 구술자와 만남 속에서 느낀 고민과 긴장들을 포착하여 연구자가 당면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성찰을 기술하고자 한다. 4.16구술증언은 4.16참사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증언이면서 동시에 이해되지 않는죽음의 원인을 밝히려 “그 싸움”에 참여한 한 인간의 경험, 기억, 사유를 담는다. 4.16구술증언의 구술자들의 고통을 개인적인 것으로 병리화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고통의 실재성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 이는 채록의 윤리적 난제들을 내포한다. 기획에 있어, ‘안전한’ 구술은 구술자에게 구술참여 여부와 구술 내용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으며, 말하고 접근하기 안전한 공간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섭외와 동의에있어, 구술자의 판단과 마음을 존중하는 동시에 충분한 정보 제공과 강권 사이 경계를끊임없이 물어야 한다. 면담에 있어, 묻는 내용과 방식을 끊임없이 검토하며 적극적으로 듣고 세심하게 질문하여야 한다. 구술자의 기억지도를 그려 나가는 조력자이자 촉진자로서 면담자 역할과 구술자 보호라는 면담자 책무 사이 경계는 항상 도전받는다. 구술자와 면담자 관계와 라포는 면담자가 주도하고 설계하는 것이라기보다 쌍방향이며 다면적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연구 윤리는 하나의 도식으로 적용될 수 없기에, 나는 4.16구술증언의 면담자로구술자들을 만나며 윤리적 인식론적 탐구에 초대되었다. 피해자(고통을 겪는 사람)와권리를 가진 주체 사이 경계, 말해진 것과 침묵되어진 것 사이 경계, 말하고자 하는구술자의 욕망과 구술자 보호라는 연구자 윤리 사이 경계. 어쩌면 이 논문은 구술자의 말, 표정에 내재한 기억들을 드러내는 연구 도구(research tool)로서 연구자이자 면담자의 직능적 정체성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일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problems that had occurred throughout the course of 4.16 oral testimonies and to reflect on the ethical issu es w hich the i nterviewer c an b e faced with. This s tudy delves into multiple steps of oral research: securing the space for recording, encountering candidates, obtaining candidates’ consent, and interviewing through series of meticulous questions and attentive, active listening with regards to the responses. It also focuses on empathizing with their experiences and emotions. Finally, it analyzes and refl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viewees and interviewer.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향수,혜경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건강하고 원만한 학교생활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18년 5월 7일부터 5월 28일까지로 총 204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지성적 성격강점과 감성적 성격강점, 의사소통유형 및 이성친구 유무를 예측변수로 대인관계만 족도를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26.57,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대인관 계만족도 총 변화량의 45%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강점에 관한 자기인식을 높이는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racter strengths and communication typ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esents basic data for helping healthy University Life. A survey was held to th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eong cities from May 7 to 28, 2018. 204 copies were in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As a result,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followed by intellectual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character strengths, communication types and the presence of a heterosexual friend. The multiple regression explanatory power was 45percent of the total changes in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interpersonal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t will also be useful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that enhance self-awareness of character strengths.

      • KCI우수등재

        성별화된 만성통증의 서사: 사회적 낙인과 서사전략을 중심으로

        김향수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2

        This paper focuses the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pain and analyzes how the stories of social stigma are told. The empirical data of this article consists of qualitative interview of 19 women and 6 men. The interviewees were recruited through a Korean clinic and a biomedical (western) hospital in Seoul. Social suffering caused by gender prejudice toward their own disease is often talked about for people with chronic pain. The women’s stories of chronic pain are narrated as a series of distrust, their pain was perceived as “feigned illness” and “fussy” due to the psychological causes. The men’s stories of chronic pain are rarely narrat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social stigma, even to their close friends which is seen as “natural” and “no wonder”. The reason for men’s concealment of their chronic pain is due to their pain being experience perceived as “crybaby” and “lack of stickability”. Even men and women’s health expectations have become gendered, so gendered stigma caused by chronic pain is being experienced. Women’s illness narratives involve the process of reshaping women’s social roles and expectations in family and friends. It is named chronic pain management, not selfish behavior, by reconsidering and coordinating gender role expectations in the family. Men’s illness narratives involve the problems of stereotypical norms of masculinity, but aren’t told about the negotiations between marginalized masculinity and masculine self. Men’s stories of chronic pain display the rift between hegemonic masculinity such as rational and self-control, and marginalized masculinity such as physical weakness, their chronic pain. This paper analyzes the illness experiences and negotiations of self in the illness narrative of those with chronic pain and reveals how dominant norms of disease, age, class, race, and gender are intersected.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gender dynamics surrounding their illness experiences and speaking practices have been identified. 본 연구는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서사를 분석하여, 아픈 몸을 향한 사회적 낙인이 젠더화되었음을 기술하고 서사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만성통증을 지닌 여성과 남성은 자신의 질병을 향한 젠더화된 편견으로 인한 사회적 낙인을 이야기한다. 여성의 질병서사에서는 “꾀병”이라는 만성통증에 대한 불신과 “까탈”이라는 심리적 원인으로 여겨지는 부당함이 강조된다. 남성의 질병서사에서 사회적 낙인은 좀처럼 이야기되지 않는데, 남성들은 만성통증이라는 질병은 친구여도 말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라 한다. 남성의 만성통증 숨기기는 “끈기 없는” 그리고 “엄살” 부리는 남성이라는 사회적 낙인 때문이다. 사회적 낙인은 젠더 규범과 연령 규범 그리고 건강 규범이 교차하며작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젠더화된 낙인에 대응하여, 남성과 여성은 각기 다른 서사전략을 구사한다. 여성들은 첫째, 수행으로는 여성의 만성통증을 향한 불신과 심리적 설명들에 대해 저항하며, 둘째, 플롯으로는 순종적 여성상에서 벗어나 딸, 아내, 엄마로서 가족내 역할 조정하는 과정으로 구성한다. 남성들은 첫째, 신체적 강인함에 바탕을 둔 헤게모니 남성성이 문제라 여기지만 자신이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선하며, 둘째, 플롯으로는 만성통증에 합리적으로 대처하는 자기통제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서사를 구성한다. 말하기의 수행성을 주목하면, 이들이 말하기 실천과 이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영향들을 즉신체적 정상성과 여성성/남성성이라는 사회적 기대를 어떻게 인식하며 협상하는지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

        여성 독거노인의 통증, 영양위험, 외로움,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향수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7

        본 논문은 여성 독거노인의 통증, 영양위험, 외로움,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D구, Y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성 독거노인 110명의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통증(r=-.565, P<.001), 영양위험(r=-.485, P<.001), 외로움(r=-.546, P<.001)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보통의 역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각된 건강상태(r=.706, P<.001)와의 관계는 높은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건강상태, 외로움, 통증, 주거형태, 질병 수 순으로, 전 체 설명력은 69.4%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교육과 건강행동의 실천을 유도하며 사회적 관계망을 맺어 정서적 지지를 높이고 보호체계를 다각적으로 투입해야 한다. This is the Study of descriptive research to look into influence factors about how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have an effe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were 110 elderly women living alone over the age of 65 living in D gu, Y gu, D metropolitan city and collected data by giving questionnaire, and used the SPSS/WIN 18.0 version to analyze. The correlated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cluded pain(r=-.565, P<.001), nutritional risk(r=-.485, P<.001), loneliness(r=-.546, P<.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r=.706, P<.001).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re perceived health status, loneliness, pain, type of residence, number of disea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practice of education and health behavior for improvement of health status, to establish social network to increase emotional support and to apply various protection systems.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감성지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향수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2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9 No.2

        The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determin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problem-solving ability and look at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e collected 134 data nursing students who are attending J university in C do and analyzed 126 data of them using the SPSS/WIN 22.0 version. The study period lasted two weeks, going from Nov 29 to Dec 13, 2021. The factor influe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is emotional warmth attitude(B=.349, p=.001),(B=.255, p=.018) with 25.1%, 22.3% of the total explanatory power. It will need to be informed that emotional warmth attitude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when educating for parents is a important factor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children who are future nurses and be used it as a basic data of parenting education for a desirable parental rol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감성지능, 문제해결능력의 변수 간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감성지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도 J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9일~12월 13일까지 총 2주 동안 총 134부를 회수하여 그 중 126부의 자료를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 태도 중 애정적 양육태도가 감성지능(β=.349, p=.001), 문제해결능력 (β=.255, p=.018)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25.1%, 22.3%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할 때 부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양육태도가 미래 간호사인 자녀의 감성지능과 문제해 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리고 바람직한 부모 역할 수행을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