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이성순(Sung-Soon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tus and problems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in Korea. So this study analyz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integr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y by comparing with social integration analysis frame of A. Ager and A. Strang. This analysis frame consists of four main areas(foundation, facilitators, social connection, markers and means) with ten sub areas(right and citizenship, language and cultural knowledge, safety and stability, social bridges, social bonds, social links, employment, housing, education, health). Therefore, Korean government should try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to improve social unity through adequate and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assess expenses of social welfare, rights, citizenship for immigrants in Korea and consultation with immigrants about granting Korean citizenship and expand the social security for immigrants. Secondly, social integration program pursued by the Korean ministry of justice, emphasizes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language, Korean society reviews and cultural experiences. However language is not mere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lso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empowerment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paper has discussed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Korea for immigrants and suggested prerequisite conditions in order to provide this program. And it should be included of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in education system or civic system. Thirdly, the Korean government effort in supporting immigrants could be local bridges, local bonds, social links in local society. Moreover, it has to be included in mentoring between Korean people and immigrants in local society and develop volunteers program for immigrants-mentoring resources.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better job-training programs for immigrants employment, improving projec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gram of promotion of health for immigrants in Korea. To make this social integration policy successful, a long-term strategy of the local government is necessary. The citizen shall get in contact with foreigners to facilitate integration. Immigrants should adapt to the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could find that there is an integration program, is no existence of an absolute integration policy of multicultural society. Moreover, we could know that convergence phenomenon is occurr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integration policies. Therefore, further integration discussion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should take complex policies into account appropriate Koreas multicultural situation and background.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사회통합정책 비교연구

        김현주 ( Kim Hyeon-zoo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6 프랑스문화연구 Vol.33 No.-

        Ce travail met l`accent sur le statut et le probleme de la politique d`integration sociale des immigrants en Coree et en France. Nous rapportons ici des commentaires sur le programme d`integration sociale de la gestion de l`organisation de l`education pour les immigrants. Dans le cadre d`une analyse sur les problemes graves qui concernent un nombre croissant d`etrangers, la charge financiere en particulier, mais aussi l`augmentation du taux de criminalite et de chomage ainsi que les depenses pour la protection sociale dans le gouvernement local ont ete evalues. Suite a cette analyse, le gouvernement coreen tente de formuler et de mettre en oeuvre des programme visant a ameliorer l`unite sociale par une politique culturelle et educative adequate pour les immigrants. Ainsi, ce document fait reference au systeme educatif du programme d`integration sociale en Coree et en France pour les immigrants et suggere des conditions prealables afin de fournir un programme actualise. Pour le succes du programme d`integration sociale, une strategie a long terme du gouvernement local est necessaire. Notamment le citoyen doit entrer en contact avec des etrangers pour faciliter leur integration. Les immigrants pourront ainsi mieux s`adapter grace au programme d`integration sociale.

      • KCI등재

        영국의 이민자 사회권 변화에 관한 연구: 복지제도와 이민제도의 교집합 맥락에서

        김경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immigrants’ social rights have changed in the UK. In particular, as societal concerns over immigrants’ access to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have grown rec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Korea. It analysed the social rights of three immigrant groups in the UK – i.e., non-EEA immigrants, EEA immigrants and refugees – within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y changes in the UK. In general, the social rights of three immigrant groups all have contracted over time, although to varying extents. Specifically, since the 1990s the UK welfare system has strengthened welfare conditionality to emphasise welfare recipients’ obligations (e.g., labour market participation), and its immigration system introduced the civic integration approach in relation to citizens’ obligations for integration into the society. With such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y changes, whereas immigrants’ rights (especially, social rights) accompanied by their status of residence have contracted, their obligations (and eligibility requirements) have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by showing the conceptual complexity of immigrants’ social right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y changes (particularly, to emphasize the conditionality or obligations of citizens) over their changes.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민자의 사회보장 또는 사회서비스에의 접근에 관한 우려가 상당한 사회적 논쟁으로 이어지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영국의 이민자 사회권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영국 복지제도와 이민제도의 변화 속에서 비EEA 이민자, EEA 이민자, 난민 등 세 가지 이민자 집단의 사회권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영국 사회에서 이민자 사회권은 이민자의 체류자격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EEA 이민자, EEA 이민자, 난민 등 세 이민자 집단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모습을 보인다. 1990년대 이후 영국의 복지제도에서 복지수급자의 의무(특히, 노동시장에의 참여)를 강조하는 복지 조건부 경향이 강화됨과 동시에, 이민제도에서 이민자의 의무(특히, 시민적 자격요건)를 요구하는 시민적 통합 접근이 강조됨에 따라, 이민자의 체류자격에 수반된 권리(특히, 복지수급권)는 축소되는 한편, 복지수급과 관련한 이민자의 의무 또는 자격요건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이민자 사회권 개념이 가지는 복잡성뿐 아니라, 이민자 사회권의 변화 이면에 복지수급자의 조건부 또는 의무를 강조하는 정책적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한국의 이민자 통합에 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한국 이주자 사회통합정책의 방향과 과제

        박채복 한국동북아학회 2008 한국동북아논총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adopted in Germany and determine the implications that it may have in Korean society, and to review a possible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in allowing Korea to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The reason this paper centers on the analysis of the immigrant policy in Germany is because of the need for a social integration policy in resolving the problems that arise with the surge of immigrants and in the transition from a single culture society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immigration law enacted in 2005 in Germany clarifies the guidelines for social integration and makes it mandatory to conduct education to facilitate social integration. Germany's case has great implications for Korea. On this foundation, this paper will review Germany's immigration policy and social integration programs for promoting immigrants to integrate in society. The paper will analyze how the basis for the policies and legislation were developed on a national level in Germany in promoting the social integration of foreigners, and of how these efforts are being supported. This paper will also review how such programs are actually being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ill hope to provide the direction that should be taken in developing guidelines for allowing immigrants in Korea to be integrated into society, and to point out the tasks that lay ahead. 본 논문은 한국의 다문화사회 기반구축을 위한 이주자 통합정책을 살펴보기 위하여 독일의 사회통합정책의 사례를 분석해 보고, 한국사회에 대한 함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독일과 한국의 이주정책의 기본적인 성격과 정책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이주자정책은 급증하는 이주의 증가와 단일문화사회에서 다문화사회로의 변화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회통합정책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한국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독일은 2005년 이민법 제정을 통해 그동안 이민정책과 관련되어 제기되었던 논쟁과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민법에 이주자 사회통합정책을 의무화하여 수행하고 있는 국가이다. 이에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력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지식정보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우수한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이주자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통합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독일의 사례는 한국에 차별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독일의 이주정책과 이주자 사회통합교육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외국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법적 기반 구축현황 및 이에 대한 지원현황을 분석해보고, 실제로 외국인 사회통합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에 적합한 외국인 사회통합 방안을 위한 방향 및 과제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통합의 과제

        민무숙,김이선,주유선,이정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여성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맺기 방식의 전개가 향후 이들의 한국사회 통합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는 문제인식하에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유형과 결혼전후의 제반 양상, 나아가 한국사회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권과 충청권 8개 시군에 거주하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 54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에서 맺고 있는 가까운 사람의 총수를 변수로 하여 이들의 사회적 관계를 한국인 편향형, 모국인 편향형, 균형형, 소외형의 4가지로 유형화하하고 관련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외형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모든 면에서 낮은 사회적 통합수준을 보였고 모국인 편향형 역시 낮은 통합수준을 보였다. 한국에 이주한 결혼이주여성은 가족모두가 이주하지 않고 혼자 이주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한국인 편향형이 상대적으로 한국생활만족도나 의사소통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형 집단은 사회참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집단이 주변 정보나 자원확보에 있어 유리한 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수준, 차별경험정도, 한국인과의 관계맺기에 대한 가족의 지지 등은 이들의 사회적 통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자원 활용과 서비스 수혜정도는 기대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social relationship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seek ways for developing the relationships that may have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immigrants. Through comparison of person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ype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aims to specify policy tasks at the level of social relationships and to suggest ways for providing customized suppor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group. A questionnair survey was conducted to a sample 540 married-based immigrants from China, Vietnam, Japan, and Cambodia who reside in the area of Kyeongsang and Chungcheong provinces. Based on the size of social network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 and its relative proportion of Koreans and ethnic people, this study divided them into isolated group, Korean-biased group, ethnic people-biased group, and balanced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solated group had a consistently low social cohesion level compared to other group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ethic group-biased group was not much different from isolated group with a low social integration level.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who come to Korea all alone unlike family-based immigrants, Korean-biased group showed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in Korea and competency of communic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Balanced group had the highest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This suggests that this group is advantageous in holding rich social resources and information sources. It was also found that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Korean language skill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family members' support for their social relationships with Koreans had important impact on their social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their using support centers and various types of local resources had less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ocial integration than expected.

      • KCI등재후보

        이주민을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독일사례연구

        이향수 한국이민정책학회 2017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2 No.2

        세계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이제 사회통합의 의미는 특정 국가의 동질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통합을 떠나 훨씬 더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우리의 경우 외국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역사가 길지 않으나 이미 독일, 호주, 프랑스 등 우리보다 앞서 외국이민자 사회 통합문제를 고민해 온 나라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통합정책을 우리보다 앞서 도입하고 이를 위해 많은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비교적 모범적으로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독일의 사 례를 살펴보고 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독일은 이민역사가 우리보다는 길 뿐 아니라 이민정책이나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우리보다는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 분 석결과 독일은 연방정부차원의 통일된 사회통합정책의 추진하고 있으며, 사회통합프로그램과 입국 신청 및 체류 등과의 연계하여 이주민들로 하여금 사회통합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조직의 이주민 사회통합에 있어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With the rapid progress of globalization, the meaning of social integration has now become more complex, leaving integration among people of the same national background. In our case, there is no long history of social debate on foreign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programs, but there are already countries such as Germany, Australia, and France who are worried about the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of foreign immigrants.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ahead of us, discussed a lot of them, and tried to find out the policy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ase of Germany which operates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comparatively well. Germany is regarded as a country in which immigration history is not only longer than that of us but also operates immigration policies and social integration programs more reliably than we are. As a result, Germany is promoting a unified social integration policy at the federal level and encouraging migrants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and application for entry and st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migrants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통합의 과제

        민무숙(Min Moosuk),김이선(Kim Yison),주유선(Joo Yoosun),이정연(Lee Jungye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여성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맺기 방식의 전개가 향후 이들의 한국사회 통합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는 문제인식하에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유형과 결혼전후의 제반 양상, 나아가 한국사회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권과 충청권 8개 시군에 거주하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 54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에서 맺고 있는 가까운 사람의 총수를 변수로 하여 이들의 사회적 관계를 한국인 편향형, 모국인 편향형, 균형형, 소외형의 4가지로 유형화하하고 관련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외형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모든 면에서 낮은 사회적 통합수준을 보였고 모국인 편향형 역시 낮은 통합수준을 보였다. 한국에 이주한 결혼이주여성은 가족모두가 이주하지 않고 혼자 이주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한국인 편향형이 상대적으로 한국생활만족도나 의사소통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형 집단은 사회참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집단이 주변 정보나 자원확보에 있어 유리한 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수준, 차별경험정도, 한국인과의 관계맺기에 대한 가족의 지지 등은 이들의 사회적 통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자원 활용과 서비스 수혜정도는 기대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social relationship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seek ways for developing the relationships that may have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immigrants. Through comparison of person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ype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aims to specify policy tasks at the level of social relationships and to suggest ways for providing customized suppor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group. A questionnair survey was conducted to a sample 540 married-based immigrants from China, Vietnam, Japan, and Cambodia who reside in the area of Kyeongsang and Chungcheong provinces. Based on the size of social network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 and its relative proportion of Koreans and ethnic people, this study divided them into isolated group, Korean-biased group, ethnic people-biased group, and balanced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solated group had a consistently low social cohesion level compared to other group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ethic group-biased group was not much different from isolated group with a low social integration level.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who come to Korea all alone unlike family-based immigrants, Korean-biased group showed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in Korea and competency of communic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Balanced group had the highest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This suggests that this group is advantageous in holding rich social resources and information sources. It was also found that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Korean language skill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family members' support for their social relationships with Koreans had important impact on their social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their using support centers and various types of local resources had less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ocial integration than expect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통합의 과제

        민무숙,김이선,주유선,이정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여성연구 Vol.79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social relationship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seek ways for developing the relationships that may have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immigrants. Through comparison of person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ype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aims to specify policy tasks at the level of social relationships and to suggest ways for providing customized suppor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group. A questionnair survey was conducted to a sample 540 married-based immigrants from China, Vietnam, Japan, and Cambodia who reside in the area of Kyeongsang and Chungcheong provinces. Based on the size of social network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 and its relative proportion of Koreans and ethnic people, this study divided them into isolated group , Korean-biased group, ethnic people-biased group, and balanced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solated group had a consistently low social cohesion level compared to other group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ethic group-biased group was not much different from isolated group with a low social integration level.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who come to Korea all alone unlike family-based immigrants, Korean-biased group showed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in Korea and competency of communic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Balanced group had the highest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This suggests that this group is advantageous in holding rich social resources and information sources. It was also found that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Korean language skill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family members' support for their social relationships with Koreans had important impact on their social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their using support centers and various types of local resources had less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ocial integration than expected.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맺기 방식의 전개가 향후 이들의 한국사회 통합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는 문제인식하에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유형과 결혼전후의 제반 양상, 나아가 한국사회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권과 충청권 8개 시군에 거주하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 54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에서 맺고 있는 가까운 사람의 총수를 변수로 하여 이들의 사회적 관계를 한국인 편향형, 모국인 편향형, 균형형, 소외형의 4가지로 유형화하하고 관련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외형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모든 면에서 낮은 사회적 통합수준을 보였고 모국인 편향형 역시 낮은 통합수준을 보였다. 한국에 이주한 결혼이주여성은 가족모두가 이주하지 않고 혼자 이주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한국인 편향형이 상대적으로 한국생활만족도나 의사소통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형 집단은 사회참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집단이 주변 정보나 자원확보에 있어 유리한 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수준, 차별경험정도, 한국인과의 관계맺기에 대한 가족의 지지 등은 이들의 사회적 통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자원 활용과 서비스 수혜정도는 기대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독일사회의 이주와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박채복 ( Park Chae-bok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4 No.4

        독일은 1990년대 중반 `이주국으로서의 독일`로 이주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고 이주민에 대한 사회통합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국가로, 독일사회에서 이주민에 대한 수용성 및 사회통합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독일사회의 이주민에 대한 수용성 및 사회통합문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독일사회의 이주와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독일 이주정책의 변화와 연속성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우선 Ⅱ장에서는 독일 다문화 지형과 사회통합정책의 근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독일 이주정책의 패러다임과 이주에 대한 담론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독일에서의 이주민의 현황 및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의 특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이주와 이주민의 존재에 대한 인식, 경제적 측면, 문화적 다양성 측면, 이주배경을 중심으로 독일인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Germany shifted away from stemming flows to recognizing its identity as a country of immigration and social acceptance and integration immigrants into German society has been recognized a very important social issue. This article explore to analyze How has changed and continued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acceptance in German societ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immigration and immigrants. In so doing, first this article examines the social integration efforts of Germany by analyzing the changes of paradigm in immigration policies and discourses about social integration. This article also analyses the current state and situation of Immigr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 social integration policy. Finally, German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immigration and immigrants will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social acceptance and integration.

      • KCI등재

        스웨덴 거주 이주민의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원인

        신정완 ( Jeong Wan Shi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4 산업노동연구 Vol.20 No.2

        스웨덴 거주 이주민은 공식적 제도와 정책 차원에서는 높은 수준의 사회적 권리를 누리며 스웨덴 사회에 잘 통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측면에서 사회적 배제 또는 사회적 고립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주민은 노동시장 통합이 극히 부진하며 사회복지제도의 혜택에서도 내국인에 비해 불리한 처지에 있다. 또 이주민은 이주민 밀집지역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거주지 분리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동일 출신지역 이주민끼리 동일 작업장에서 집중적으로 근무하는 작업장 분리 현상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스웨덴 거주 이주민의 ‘법률적 통합과 실질적 배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주민 사회권 체제’라는 분석 틀을 고안하였다. 이주민 사회권 체제란 이주민의 사회적 권리와 관련된 제도와 정책들의 복합체로서, 시민권, 노동권, 복지권, 문화권과 관련된 제도와 정책들로 구성된다. 이 논문은 스웨덴의 이주민 사회권 체제를 구성하는 제도와 정책들 간의 ‘제도적 부조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주민의 사회적 배제의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이민정책의 기조와 다문화주의가 노동시장제도와 제도적 부조화를 보여 이주민의 노동시장 통합을 어렵게 했으며, 이는 고용과 복지를 긴밀히 연계시키는 사회복지제도를 통해 이주민의 사회복지제도 통합도 불완전하게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The immigrants in Sweden have long been regarded well-integrated into the Swedish society, enjoying high level social rights at least at the dimension of form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ey are, however, actually socially excluded or isolated in many aspects. They are ill-integrated into the labor market and not so much integrated into the social welfare system as the Swedish citizens. And we can see clearly the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workplace segregation by ethic groups. This article devise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social rights regime for immigrants’ to explain the causes of ‘de jure inclusion, de facto exclusion’ of the immigrants in Sweden. The social rights regime for immigrants is composed of many institutions and policies regarding citizenship, rights to work, welfare rights, and cultural rights of immigrants. This article explained the mechanism of the social exclusion of the immigrants in Sweden,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discord’ among the institutions and policies constituting the social rights regime for immigrants. Especially it emphasized that the immigration policies and multiculturalism since 1970s have been caught in the institutional discord with the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this in turn, has made it imperfect the integration of immigrants into the social welfare system, for many social welfare programs connect welfare benefits to recipients` employment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