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조합은 산업재해 발생과 은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김정우 ( Kim Jungwoo ) 한국산업노동학회 2021 산업노동연구 Vol.27 No.1

        본 논문은 사업체 단위 패널조사인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 2011년부터 2017년까지 4차 년도 웨이브를 활용하여 산업재해의 발생 및 산업재해 은폐의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산업재해의 발생 대비 은폐확률은 66.6%에 달해 관련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부합했다. 산업재해 발생 및 은폐와 관련된 사업체의 관측되지 않은 이질적 특성을 교정하기 위해 패널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하여 노동조합이 산재발생 및 산재은폐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노동조합조직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산업재해의 발생을 줄이고 산업재해 은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조직률 1% 증가는 산업재해 발생확률을 0.7%, 산업재해 은폐확률을 4.1%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노동조합의 힘이 강해질수록 작업현장에서 산업안전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비투자나 교육훈련 등을 강제하는 방향으로 사용주에게 압력을 가함으로써 산업재해 발생수준을 유효하게 낮추고 있음을 암시하며, 발생된 산업재해에 대해서는 해당 산업재해가 공상처리(公傷處理) 등으로 은폐되지 않도록 산업재해보고를 적극적으로 강제하는 감시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draws on data from four waves (from 2011 to 2017) of Korea Labor Institute’s panel study of workplaces, the Workplace Panel Survey, to identify the determining factors behind the incidence and concealment of industrial accidents. We find that the rate of concealment of industrial accidents is 66.6%, which is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Using a panel fixed effects model to account for any unobserved heterogeneity among workplace with regards to the incidence and concealment of industrial accidents, we estimated the effect that the presence of labor unions had on the incidence and concealment of industrial accidents. Inference results showed that labor un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oth the incidence and concealment of industrial accidents. An increase of 1 percent in the labor union’s organization rate reduced the probability of industrial accidents by 0.7 percent and the concealment of industrial accidents by 4.1 perce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stronger union influence could a) exert pressure on employers to enforce investment in equipment or training for improving industrial safety in work sites, and also b) perform a monitoring role, thereby ensuring that industrial accidents are properly reported rather than being concealed as ‘unreported injuries while on duty’ or other incidents.

      • KCI등재

        한국영화산업의 노사관계 시스템 형성에 관한 연구 :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결성과 1차 단체교섭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최인이 ( In Yi Choi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0 산업노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지난 2005년에 결성된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이하 영화산업노조)이 사용자단체인 한국제작가협회(이하 제협)와 노사관계의 기본 틀을 형성하고 단체교섭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1) 전근대적인 제작시스템과 연결된 노동시장의 시장지배적 구조가 근대적인 노사관계 시스템으로 전환되어가는 과정을 구조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 2) 노사관계 시스템 도입 후 첫 번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2007년 l차 단체교섭에서 합의된 협약의 내용과, 이후 제협과 영화산업노조의 노사관계에서의 전략적 선택들을 구체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영화산업노동자들의 근로조건과 임금체계의 표준화가 구제적인 작업과정과 노동생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그간 비약적으로 성장한 문화산업의 한 형태인 영화산업이 기존의 전근대적인 고용관행과 노동시장구조를 근대적인 형태로 전환하는 과정으로서의 노사관계시스템 형성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산업조직의 합리화 과정에 미치는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제협과 영화산업노조의 활동을 중심으로 노사 간의 권력관계 속에서 양자의 전략적 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영화산업 노사관계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purposes to explore 1) economic structural factors that cause the transition from the market-dominated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based on the pre-modem system of the film production to the modem capitalist labor relations, and 2) the strategic choices made by FKMWU(Federation of Korea Movie Worker`s Union) and KFPA(Korean Film Producers Association), by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labor relations system and of organizing the first collective bargaining between FKMWU and KFPA. Looking at the changes in labor relations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s and as outcomes of the first collective bargaining shows 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relation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distinguished from the in other capitalist industries Also, the effects of those changes in labor relations in the film industry on employers and workers are analyzed by examining the production process at the workplace level. This study alma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apitalist economic forces on the formation of the labor relation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which used to have a pre-modem style of the employment relationship, and to explain the strategic choices made by the producers and film workers in the modem capitalist economic structure under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m.

      • KCI등재

        청소노동자는 왜 불안정(precarious)한가? -하청 여성 청소노동과 한국 사회안전망의 허구성

        이승윤 ( Lee Sophia Seung-yoon ),서효진 ( Seo Hyojin ),박고은 ( Park Koeu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8 산업노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대다수가 원-하청 구조 하의 간접고용 되어 있는 청소노동자의 고용구조와 노동형태, 그리고 사회보장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하청 여성 청소노동자의 노동시장에서의 불안정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이 어떻게 사회안전망에서의 배제와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하청업체에 고용되어 있는 중고령 여성 청소노동자들은 높은 고용 불안정성과 장시간의 높은 강도의 노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중고령 여성이기 때문에 사회보장제도에 충분히 포괄되거나 보호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청소 노동자들에 대한 한국의 사회안전망은 다음과 같은 허구성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첫째, 여성 청소노동자들은 청소노동 종사 이전에는 비공식적 노동시장에서 일하는 등 국민연금에 최소한의 금액만 납부하였거나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초연금 및 국민연금을 포함한 공적 연금제도에 의한 노후소득보장 수준이 매우 열악하였다. 둘째, 한국 퇴직급여 제도가 퇴직연금체계로 전환되는 흐름 속에서, 원-하청업체 간의 계약 해지에 따라 업체변경이 빈번한 하청 청소노동자들은 안정적인 기금 형성이 어려워 퇴직연금체제가 노후소득보장제도로서 실효성을 갖는 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고용보험의 경우 현행 실업급여제도는 가입자격 관련 연령기준으로 인해 수급자격이 박탈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직업훈련과 구직활동 서비스 또한 대개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령의 청소노동자들은 반복적인 육체노동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화와 산재간 판정의 어려움, 그리고 원-하청의 고용구조로 인해 산재보험의 혜택을 받는 경우는 드물었다. 결론적으로, 하청 청소노동시장에서 중고령 여성 청소노동자의 일에 대한 불안정성은 상당히 높은데도 불구하고, 한국의 사회보장제도는 이들이 노동자로써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게 하는 데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ployment structure and the social safety net experience of the subcontracting cleaning workers in Korea, who have been main targets of the labor outsourcing despite the necessity and permanence of their labour.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se subcontracting cleaning workers are mostly female and in their old age, and analyzes how the combination of their age, gender, and employment structure leads to the (mis)match with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Case study with in-dept interview method has been conducted to the old-aged female subcontracting cleaning workers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the income insecurity that led them to (re)enter the labour market, and the cleaning work was the almost the only wage work they could do considering their age and gender. Cleaning workers are mostly employed in the subcontracting company, and thus their labour contracts depend on the business contract period between the original and subcontracting company. Consequently, their employment relationship is mostly insecure unless they are guaranteed employment succession through the collective agreement of trade union. Moreover,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employment insecurity due to the indirect employment relationship led to the poor labour conditions, low wage, and the exclusion from the social safety net.

      • KCI등재

        한국 자동차업체의 글로벌 생산과 노동조합의 대응정책: 현대자동차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호 ( Sang Ho Lee ),이정희 ( Jeong Hee Lee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2 산업노동연구 Vol.18 No.20

        한국자동차산업의 지구화와 해외현지생산은 노동조합으로 하여금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전략을 요구하고 있다. 지금까지 노동조합의 대응은 단순히 생산물량을 유지하거나, 실효성이 떨어지는 단체협약조항을 명문화하는데 머물렀다. 방어적이고 현상유지적인 노동조합의 대응으로 지구화시대 글로벌 생산전략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산업입지의 지속가능한 고용과 투자를 담보할 수 있는 노동참여적 형성전략이보다 적극적으로 제기되어야 한다.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논문은 한국자동차산업의 글로벌 생산전략에 의한해외현지생산이 노사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해서 필요한 노동조합의 대응정책과 전략적 과제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자동차산업의 글로벌 생산과 관련된 노사관계의 변화 및 노동의 대응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현대차의 초국적 현지생산에 대한 노조의 대응전략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을 도출한다. 이어 현대차그룹의 해외현지생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국내 생산입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글로벌 생산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노조의 대응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현대자동차의 해외현지생산에 대한 사례분석을 한다. 마지막으로 자동차산업의 글로벌생산에 맞서 노동조합이 능동적으로 추진해야 할 전략적 과제가 무엇인지를 제안한다. Faced with increases in global business and overseas production in the Korean car industry, trade unions need to develop new strategies. Unions` responses have so far focused on defending the status quo of production and making collective agreements whose effectiveness is being questioned. The passive and defensive responses have not enabled unions to bring the global production strategy under control. The current situation has called for developing labor-participative formation strategies which could lead to a sustainable employment and investment of industrial lo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the growing overseas production has affected industrial relations and to examine unions` responses required for dealing with major problems facing unions and industrial relations. To this end, this critically reviews existing literature on changes in industrial relations and unions` responses in relation to global production in the car industry and then propose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Secondly, it examines some issues of global production and its effects on domestic industrial location before moving on to the analysis of unions` responses to overseas production strategy by conducting a case study of Hyundai Motors. Lastly, this suggests what unions need to develop sooner not later against the backdrop of a growing global production.

      • KCI등재

        사회적 책임(SR) 국제표준이 노동계에 미치는 영향 및 한국 노동조합의 인식과 대응

        정병기 한국산업노동학회 2012 산업노동연구 Vol.18 No.1

        FKTU and KCTU did not show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ocial Responsibility (SR) since 2007. However, the KCTU has criticized consistently that the traditional activity of trade unions and even the CSR can be intimidated due to the standardization of SR, while the FKTU has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SR Standardization Forum and made a chance for expanding ‘labor movement in the people’. The differences result from the following characters of the organizations: as for FKTU, the congruence of the role expectation to the State and the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the separation of the worker/trade union from the people/citizen,membership trade unionism, regarding trade union as stakeholder in the business/society; contrary to it, as for KCTU, the separation of the expectation to the State from the confidence in government, congruence of the interest area of the worker/trade union and that of the people/citizen, the general trade unionism, regarding trade union as the social partner or main agent in business/society. The FKTU can not be well aware of and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the SR as ‘double-edged sword’, while the KCTU is well aware of its challenging aspects but can miss the opportunity to accelerate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due to underestimating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standards.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2007년 이후 SR 국제표준화에 대한 구체적 대응을 발전시키지 못했다. 그러한 가운데 민주노총은 SR로 인해 전통적 노조활동과 CSR조차 위축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 비판적 자세를 견지하는 반면, 한국노총은 표준화 포럼에 적극 참가하고 ‘국민 속의 노동운동’을 확대하는 기회로 삼았다. 이는 한국노총의 경우 국가/정부에 대한 기대와 신뢰, 국민/시민과 노동자/노조를 분리하는 조합원노조주의 정체성, 기업/사회의 이해관계자라는 자세에서 비롯되며, 민주노총의 경우는 국가에 대한 기대와 정부에 대한 신뢰의 분리, 국민/시민과 노동자/노조의 이익 영역의 일치, 일반 노조주의 정체성, 기업/사회에서의 사회동반자 혹은 핵심 주체라는 자기 인식에 따른 것이다. 때문에 한국노총은 ‘양날의 칼’로 작용할 수 있는 SR 국제표준의 도전을 충분히 인식하고 대응하기 어렵고, 민주노총은 그 도전적 측면을 충분히 인식하지만 국제 표준의 영향을 과소평가함으로써 조직 및 사회 발전을 가속화할 수 있는 계기를 놓칠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노동조합 대표권의 배제와 분절 -한국과 영국의 노동자 그룹별 노조조직률 격차 분석-

        안정화,정주연 한국산업노동학회 2012 산업노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한국의 노동자 그룹별 노조조직률의 격차를 노동조합 대표권의 배제와분절 현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노조대표권의 분절(segmentation) 현상은 노사관계 주체들에 의한 노조대표권으로부터의 배제(exclusion)의 결과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과의 국제비교를 통해서 한국의 노동조합 대표권 배제와 분절의 양상 그리고 그 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노조조직률에 미치는 요인들의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변수간 상호작용에 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보다 진전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노조조직률은 그 절대적 수준이 다른 OECD국가들에 비해 낮을 뿐만 아니라 노동자 그룹별 노조조직률의 격차 역시 매우 큰 편이다. 여성, 청년, 비정규직 등시장경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노동자 그룹일수록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주변부노동자들일수록 자신들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이해를 대변하는 조직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문제가 한국에서 더욱 심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기업들은 상품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면 여성, 청년, 비정규직의 비율을 증가시켰으며, 노동조합 가입이 어렵거나 가입성향이 낮은 이들 주변부노동 계층의 증가는 노동조합조직률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시장경쟁의 심화가 노조조직률 하락과 함께 주변부노동자들을 둘러싼 대표권의 분절을 심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유노조사업장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여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한국의 경우영국에 비해 노동조합 대표권의 배제와 이에 따른 대표권의 분절 현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은 우리에게 몇 가지 함의를 던져준다. 노동자 그룹별 대표권의 분절은 작업장 내 민주주의를 왜곡시키고 노동시장의 분절을 더욱 심화시킨다는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기업별 노조체제를 벗어나 주변부노동자들에게 보다 폭넓은 노동조합의 가입기회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사업장내 배제를 넘어선노동자 그룹간 연대의식이 필요하다.

      • KCI등재

        산업화 세대의 일 중심적 삶 : 남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 연구

        신경아 한국산업노동학회 2011 산업노동연구 Vol.17 No.2

        남성노동자의 생애서사에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 일 중심성이다. 여성노동자의 생애서사가 일과 가족, 개인의 삶이라는 세 가지 영역을 넘나들며 구성된다면, 남성의 생애이야기에서는 일 이외의 다른 영역에 대한 관심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이러한 일 중심성이 1960년대 이후의 산업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고 보고 산업화 세대 남성노동자들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2008년 한국노동연구원의 중고령근로자패널에서 선정된 25명(남녀포함) 중 일 중심적 생애구술을 제시한 10명의 남성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의 일 중심적 생애사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의무로서의 노동 개념, 강한 생계부양자의식, 장시간 노동체제의 수용과 지지, 위험 감수, 노동 몰입과 노동 중독, 가족 기억의 부재(不在), 억압된 성찰성이였다. 이러한 특징은 국가 주도의 강력한 발전 전략하에서 개인들의 사생활을 희생한 채 장시간 노동을 이어갔던 노동집약적 산업화시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에스니시티(ethnicity)의 변형을 통한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

        임선일 ( Sun Il Lim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0 산업노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주변부의 문제로 인식되었던 이주노동자의 생활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이론적으로 해석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이주노동자에 관한 의제설정이나 연구는 인권이나 노동 문제, 그리고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있는 이주여성의 동화를 전제로 한 적응과정에 관한 의제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이주노동자 혹은 이주여성이 한국사회와 대면적 접촉을 겪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필리핀, 네팔, 방글라데시 출신의 이주노동자로 한정하여 한국사회와의 관계 설정에 관한 현실과 방법에 주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은 한국내 적응과정에서 에스니시티의 변형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문화변용을 경험하고 있었다. 에스니시티의 변형 유형은 다양했지만 역동적이지는 않았다. 문화변용의 형태도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주노동자를 시혜의 대상이나 사회 문제의 원인으로만 바라보았던 한국사회의 시선을 한국사회에서 일정 부분 역할을 하고 있는 실체로서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주노동자들의 삶과 생활세계는 한국인과 동떨어진 것처럼 보였으나 사실은 끊임없는 문화변용을 통해 한국인의 생활세계와도 심층적인 상호작용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thesis began with the fact that, though being a significant social issue, the questions about migrant workers` rights have been marginalized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thesis can be thought of an attempt to arouse the Korean public to recognize migrant workers` rights seriously. Unfortunately, despite the fact that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has been increasing and the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labour forces, the concern about their life has been imperceptible. The fact that there are few academic researches on it is an inevitable result of this situation. The Korean public have intermittently expressed the concern about migrants workers and immigrants only when certain accidents and events happened. So far, the focus has been on, at most the nit basic human tights, industrial relations, and how to assimilate 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to Korean culture. In the latter case, the position of the government has been assimilationist in spite of its concept of multiculturalism In this circumstance, it can be expectable that there are few in-depth analyses on migrant workers and women`s personal experience of everyday life in Korea. There can be a lot of subtle problems that they face in their personal interaction with Korean culture. This thesis would be a sociological endeavor to explore this new area. From the outset, however, I have to say that, although the concern of the thesis includes both migrant workers and woman,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former.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migrant workers from Philippines, Nepal and Bangladesh The result of the research demonstrated that migrant workers have experienced the transformation of ethnicity through attempting to adapt to Korean society. Further, They have experienced the acculturation. and transformation type of ethnicity was diverse but form of acculturation wasn`t dynamic Contrary to our impression that the lives and life-world of migrant workers are far way from ours, they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Korean society and intermingled with people and culture in Korea,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continuous acculturation.

      • KCI등재

        한국 노동권의 현실과 역사: ‘노동존중’과 노동인권에서 노동의 시민권으로

        권영숙 ( Kweon Young-sook ) 한국산업노동학회 2020 산업노동연구 Vol.26 No.1

        2016년 촛불시위 이후 2017년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이 ‘노동존중 사회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걸면서 ‘노동존중’은 한국 사회에 던지는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대통령이 내걸었던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약속은 역설적으로 한국 사회가 그동안 노동이 존중받지 못한 사회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하지만 과연 ’노동존중’이란 무엇이고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란 어떤 사회일까? 이 글은 ‘노동존중’을 단지 기술적인 명사를 넘어서 엄밀한 사회과학적인 정합성을 가지는 개념으로 정의하려고 한다. 그리할 때 노동존중은 일종의 ‘시혜’적인 조처나 인도적 배려가 아니라, 사회과학적인 ‘분석 틀’내에 위치지울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노동존중이란 바로 노동에 대한 ‘인정’을 의미하고, 이는 3가지 인정, 즉 노동계급의 집단적 존재성에 대한 인정, 노동자들에게 부여하는 특수한 시민적 권리의 인정, 노동계급의 정치적 힘과 세력에 대한 인정을 포함한다고 정의한다. 결국 노동존중을 위한 출발점은 노동자들의 존재성에 대한 인정이고, 그 핵심은 바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계급의 특수한 존재조건에 기초하여 부여하는 ‘권리’에 대한 인정 문제이다. 필자는 이런 시각을 인권개념과 구분하여 노동의 시민권 시각을 통해서 제기하고자 한다. 먼저 인권과 시민권, 그리고 자유권과 사회권등 다양한 ‘권리’ 개념의 근대적 분화 가운데 노동 시민권 형성의 역사를 짚어본 후, 한국의 헌법과 노동법체제에서 노동시민권이 어떻게 자리잡고 있는지 법제도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이어 한국에서 노동권의 변천사와 현실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에서 노동권은 제헌헌법에서부터 현행헌법까지 줄곧 헌법적 시민권으로 명문화되어 왔으며, 전세계적으로 봐도 적극적으로 노동계급의 집단적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노동의 시민권은 한국의 발전국가 주도의 자본주의 현실에서 권리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권리였고, 법과 현실의 괴리가 크다. 발전국가는 국가-자본동맹을 유지하면서, 노동의 시민권을 보증하는 균형자이자 집행하는 주체로서 역할을 소극적으로 행사하거나 의도적으로 방기했다. 민주화이행이후 민주주의하에서 3차례 중요한 노동법 개정은 노동기본권을 점진적으로 개방했지만, 노동의 시민권은 자유권의 보장에 비해 현저히 불균등하고 지체되었다. 나아가 이런 노동권의 차별은 노동계급 내부의 차별로 전화하여, 모든 노동자들의 시민권이 차별없이 포괄적이고 평등하게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첫째 권리의 지연과 유보, 둘째 권리의 박탈과 배제, 그리고 마지막으로 권리의 해체현상이라는 3가지 중첩된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define “respect for labor” as a concept of sociological coherence beyond just politically powerful rhetoric. Respect for labor can then be placed within the sociological “analytical framework” rather than some kind of “benefit” or humanitarian consideration. Respect for labor means ‘recognition’ of labor, which is unfolded to three dimentions of recognition: the recognition of the collective existence of the working class, the recognition of the labor’s rights, as a special citizenship right granted to workers, and finally recogntion of the working class who enters and integrates into the polity with its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collectivity. After all,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spect of labor is the recognition of the collective existence of workers, by which the recognition of ‘rights’ granted to workers because it is capitalist society based on the special conditions of the working class. This article attempts to distinguish the concept of citizenship right from the concept of human right to reconceptualize labor’s rights and labor respect. To this end, we first look at the various ‘rights’ such as human rights, citizenship right, civil rights and social rights, and then the differentiation of citizenship right from human rights. Then, we will delve into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how and to what extent tthe labor’s citizenship right be located within the Korean constitution and labor law regime. First of all, in Korea, labor rights have been stipulated as constitutional citizenship from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to the current 1987 Constitution, and recognized as the “citizenship right of labor”, that is, the collective right of the working class. However, the citizenship right of labor was a right that was not “respected” as a right within the capitalist reality of Korea's developmental state, and the gap between law and reality is serious and profound. The developmental state has exercised passively or deliberately abandoned its role as a balancer and enforcer of citizenship right of the labor, while maintaining a state-capital alliance during economic development. After democratization, three major revisions of the labor law realized by post- authoritarian government, only showed a gradual institutionalization of labor rights, but were significantly uneven and belated progress compared to the guarantee of political freedom and civil rights. Furthermore, this kind of labor discrimination in terms of ights resulted into a enlarged discrimination within the working class. That is, the rights of all workers are not granted comprehensively and equally without discrimination, but resulted in, first the delay and reservation of the labor's right, second the deprivation and exclusion of the labor’s right, and the dissolution of the labor’s right eventually. These are three overlapping problems of citizenship rights of Korean working class.

      • KCI등재

        한국 플랫폼노동시장의 노동과정과 사회보장제의 부정합

        이승윤 ( Lee Seung-yoon ),백승호 ( Baek Seung-ho ),남재욱 ( Nam Jae-wook ) 한국산업노동학회 2020 산업노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한국 플랫폼노동시장의 구체적인 작동방식과 사회보장제의 부정합 문제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플랫폼노동시장의 플랫폼기업과 플랫폼노동을 유형화하고, 배달플랫폼, 가사서비스플랫폼, 프리랜서플랫폼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이들의 노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본 후, 사회보장제와의 부정합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플랫폼노동시장은 단기간 내에 확대되었으며, 플랫폼노동에도 다양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플랫폼을 활용하여 노동을 거래하는 것인데, 플랫폼노동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첫째, 배달플랫폼은 주로 4자 관계, 가사서비스와 프리랜서 플랫폼은 3자 관계로 중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플랫폼 기업의 플랫폼노동에 대한 통제 및 개입 강도는 배달플랫폼-가사서비스플랫폼-프리랜서플랫폼 순으로 강했다. 셋째, 사회보장제 경험 관련하여, 공통적으로 모두 소득보장의 욕구가 있었지만, 차이점은 주로 산재보험의 영역에서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플랫폼노동과 사회보장제의 부정합 문제는 플랫폼노동의 모호한 근로자 지위에서만 비롯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근로자 지위 인정 문제뿐만 아니라, 일의 방식에서 원자화된 일감 단위의 계약과 그에 따른 근로시간 산정 문제, 산재보험 적용 시 업무상재해 판단의 모호성 문제, 사회보험에 대한 욕구 차이 등 플랫폼노동의 유형에 따른 상이성도 부정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논의에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으로는 배달플랫폼노동자의 경우 근로자 범주로 포괄하는 방안이, 가사서비스 플랫폼노동은 특고지위의 확장 및 사회보장에서의 시간비례원칙 적용이, 그리고 프리랜서 플랫폼노동은 직업훈련 및 교육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상병수당의 도입을 통해 질병과 장애로 인한 소득 상실 문제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플랫폼 자본주의로의 전환으로 인해 노동과정에서 변화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이에 정합적인 복지체제를 구성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Korean platform labor market and the problem of social security mismatch. To this end, we categorize platform companies and platform labor in the Korean platform labor market, and examin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their labor processes through case studies on delivery platforms, domestic service platforms, and freelance platforms. As a result, Korea’s platform labor market expanded considerably in the short run and there was a diversity of platform labor.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abor process has been changed by using the platform in common, and the dependence, laborability, and labor control aspects are all different from waged workers and self-employed workers. However,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platform labor are as follows. First, the delivery platform was mainly mediated by four-way relations, and the domestic services and freelance platforms by three-way relationships. Second, the intensity of control and involvement of platform labor of platform companies was strong in the order of delivery platform, house service platform and freelance platform. Third, the differences in social security experiences and desires were mainly found in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n the light of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ismatch between platform labor and social security system does not come only from the vague worker status of platform labor. In other words, differences between platform work types also need to be considered in discussing alternatives to solve the mismatch problem. The change is rapidly observed in the labor process due to the transition to platform capitalism, and it is urgent to construct a coherent welfar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