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경험 예비교사들의 행복인식

        장승희 한국윤리학회 2023 倫理硏究 Vol.142 No.1

        팬데믹은 당시 고등학생이던 예비교사들의 정서와 행동, 그리고 행복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비교사들은 사회적 격리와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제한된 관계에서나마 각자의 행복을 추구하였다. 연구자는 예비교사들의 자기소개 단어, 정서와 행동특성이 팬데믹 이전 수강생들과 다른 점에 주목하여 “인성과 행복” 강좌에서 행복인식을 탐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팬데믹 경험 예비교사들이 가설설정 후 문헌연구, 설문조사, 인터뷰, 토론 등의 방법으로 검증한 행복가설탐구의 결과를 연구자가 분석하고 종합한 것이다. 예비교사들의 행복인식 특성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데믹 당시 불행을 느낀 사람도 있지만 자기정체성과 자기인식을 토대로 자아와 개인에 초점을 둔 행복을 추구하였다. 둘째, 한국사회의 결과중심주의 영향으로 행복에서 가시적 성취도를 중시하는데 정신적 행복도 무시하지는 않는다. 셋째, 개인적 행복의 추구와 더불어 타인과 공동체와의 관계에서의 행복을 지향한다. 이는 엔데믹 이후 더욱 강화되는 특성이다. 교사의 행복은 개인적 삶의 만족과 직업적 성취를 통해 얻어지는 행복으로, 이는 교육주체들의 상호존중과 노력이 따라야 가능하다. 팬데믹 경험 예비교사들의 행복인식을 감안할 때 다양한 경험을 상실한 예비교사들의 행복을 위한 교육적·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The COVID-19 pandemic affected pre-service teachers’ emotions, behaviors, and happiness when they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a socially isolated environment and online-based classes, they pursued happiness in a relationship-limited manner. The author no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ndemic-experienced and pre-pandemic groups regarding their self-introduction words, emotional stat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rom this, the author explored the difference in happiness perception between the above two groups in the ‘Personality and Happiness’ lecture. The author established a hypothese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pandemic and verified i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urveys, interviews, and discussions with them. In such analysis, the pandemic-experienced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ree mai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appiness perception: 1) During the pandemic, they pursued happiness which focused on the self individually through self-identity and self-awareness. 2) They emphasize the visible achievement in happiness, which comes from the result-orientedness in Korean society. 3) Along with pursuing personal happiness, they also pursue happines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ommunities, especially after the endemic. The teacher’s happiness is possible when the educational subjects show mutual respect and effort. Educa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 consider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of the pandemic-experienced pre-service teachers, is desperately needed for their happiness in the field.

      • KCI등재

        『주역』의 관점에서 본 행복론

        조우진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7 No.4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origin of happiness in Eastern philosophy and reconsider a modern meaning about happiness. Even though the immediate discussion of Happiness is hardly exist in eastern, scholars see happiness as the attainment to a ideal goal. However, in light of The Book of Change, the idal goal is happiness in itself and The Book of Changes is the text to give a humankind the happiness, not pursuing happiness by attaining the goal. I tried finding the meaning of happiness through the logical and mutual structure in The Book of Changes. All things have meaning by having inter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exist when they make harmony with others in that relationship. The harmony means harmony from between father and mother, husband and wife, and siblings to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based on the harmony with the heaven, the earth and human. We can interrelated with others through this harmony and find the ground of happiness in this process. That is to say, the interrelationship can be accomplished when people understand and trust each other by having meeting with others. The condition that this interrelationship through harmony is realized is the welfare and happy society as The Book of Changes say. This is the view of happiness in The Book of Changes. Even though this view of happiness is ideal, it can be the opportunity to reflect a modern society to chase the materialistic happiness. 본 연구는 동양철학에서 행복의 연원을 찾고, 행복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재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양에서 행복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는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학자들은 각 학파들이 이상적인 목표에 도달한 것을 행복의 의미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주역』은 이상적인 목표에 도달해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목표 자체가 행복이며 인간에게 행복을 주기 위한 텍스트이다. 필자는 『주역』의 조화의 논리와 소통의 구조 속에서 행복의 의미를 찾으려고 시도했다. 모든 만물은 상호 관계를 통해서 의미를 가지며, 그 관계 속에서 서로 조화를 이루었을 때 존재한다. 조화는 하늘과 땅과 사람의 조화를 바탕으로 부모와 부부와 형제의 조화부터 군주와 신하와 백성의 조화를 말한다. 우리는 이러한 조화를 통해서 상호 소통하고, 그 과정 속에서 행복의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즉 소통은 타인과의 만남에서 상호간의 인격과 권리를 이해하고 신뢰를 주고받을 때 완성되는 것이다. 조화를 통해서 소통이 이루어진 상태가 바로 『주역』에서 말하는 복지사회이고 행복한 사회이다. 이것이 바로 『주역』의 행복관(행복론)이다. 필자는 『주역』에서 말하는 행복이 추상적이고 이상적인 개념일지라도 물질만능주의적인 행복 개념에 치우친 현대사회의 입장을 반성해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소득은 행복의 독립변수인가? 조절변수인가? - Eudaimonia와 Hedonism 관점에 기반한 논쟁을 중심으로 -

        강상준,문진영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50 No.-

        In essence, happiness belongs to an individual but it has a multi-tiered nature, influenced by the social environment to which he or she belongs. It is in this regard that the academic disciplines dealing with happiness common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t the heart of the debates on happiness in modern era lies the relative income hypothesis (Duesenberry, 1948; Easterlin, 1974) that emphasizes happiness is best understood in relative terms. Whilst the Easterin camp maintains that income increase does not, of very little if any, raise happiness, above a satiation point, the need theorists such as Veenhoven(1991, 1996) argues that income increase, however little it may be, does make people happier. There is a concern, however, that 'commercialization of happiness' will progress more and more deeply in the capitalistic market system, regardless of the academic debates on the income-happiness nexus. Therefore, the authors share the perception that we need ‘de-commodification’ of happiness measures to prevent further commercialization (or marketization) of happiness. The authors duly conclude that a paradigm shift is needed to enhance public happiness; from the Benthamite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to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community’. 본질적으로 행복은 개인에게 속하지만, 사회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는 다층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에 정치, 경제, 사회, 심리 등 행복을 다루는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개인의 특성, 개인을 둘러싼 환경 등 내적·외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 중 논쟁의 중심이 요인은 소득으로 욕구이론에 기반하여 ‘꾸준한 소득의 향상이 행복을 증가시킨다’는 주장과 만족점(set point) 이론에 의거한 ‘행복의 역설’ 등 상반된 논쟁들이 존재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근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핵심 논지는 행복이라는 가치에 소득과의 상관성에 대한 논쟁이 활성화 될수록 경합성과 배재성의 논리가 배태(胚胎)된 ‘행복의 상품화’가 학문적 발전과는 무관하게 점점 더 깊이 진행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개인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과 개인이 행복을 추구할 기회를 증진시키는 행위 등이 다른 가치들과 충돌할 위험성을 최대한 약화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행복의 상품화(시장화)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행복의 탈상품화’를 정책적으로 꾀하여야 한다. 개인을 둘러싼 행복 달성 기제인 가족(호혜성)과 국가(권위), 시장(경쟁)의 세 가지 매커니즘이 상호 공정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별화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에서 ‘공동체의 최대 행복’이라는 행복의 공공성 강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아이들의 행복, 행복교육, 그리고 행복사회

        박병기 ( Bak Byung 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아이들의 행복에 반대할 사람은 거의 없다. 이 글은 아이들이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고민을 담은 것이다. 이 글의 첫째 목적은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드러내고, 그에기초해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이었다. 둘째 목적은 이런 그림에 비추어 행복교육의 방향을 목적과 내용의 측면에서 제안하는 것이었다. 셋째 목적은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모습을 행복사회의 관점에서 투시하는 것이었다. 첫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주관적 안녕과 객관적 안녕의 통합으로 파악하였다. 주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일상에서의 정적 정서와 만족 판단을 포함한다. 객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인간 잠재력의 충분한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 나는 ‘행복나무’라는 은유적 그림으로 통합적 관점이 반영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표상하였다. 둘째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행복교육의 목적을 ‘평생 행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아이들을 돕는 데’서 찾았다. 행복교육의 가치는 행복의 완벽한 실현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아이들이 행복역량을 갖추어 가는 과정의 지속성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나는 행복역량을 행복교육의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행복역량은 행복나무의 뿌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심리적 특성들이다. 나는 이것을 신념체제, 동기망, 의지조절, 정서균형, 관계지향, 그리고 메타능력을 담은 BeMoVER_Me라는 약어로 나타냈다. 셋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Bronfenbrenner의 사회생태체제 관점과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관점을 통합하여 행복사회의 다면적, 역동적 모습을 구상하였다. 행복사회는 각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조화로운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다. 아이들은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가? 그 답은 행복한 아이, 행복교육, 행복사회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 There should be few that stands against the happiness of children. This article contains my worries about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would be happy?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eal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nd to figure out a happy child. based on it. The second purpose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happiness education in terms of goals and contents. The third one was to see through the perspectives of Korean society from the angle of happy society. With regard to the first purpose, I grasped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s the integr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ppiness as subjective well-being pertains to the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ory judgment in the everyday life. That as psychological well-being is focused on the full actualization of human potential. I represented a happy child by drawing a metaphoric picture of ‘happiness tree.’ In relation to the second purpose, I equalized the goal of happiness education with helping children to acquire the competency to be happy. The significance of happiness education should be judged by the continuity of children’s forming happiness competency, not by the their perfect realization of happiness. I proposed the happiness competency as the content of happiness education. Happiness competency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hildren to become happy. I coined the acronym word BeMoVER_Me for thes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s belief system, motivation network, volition regulation, emotion balance, relation orientation, and meta-capability. With the third purpose, I constructed the multiple, dynamic figure of happy society integrating the perspectives of Bronfenbrenner’s socio-ecological system and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Happy society is the society which pursues the happiness of entire society as well as that of each individual.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should be happy? The answer should be found based on the balanced viewpoint about happy child, happiness education, and happy society.

      • KCI등재

        행복과 도덕-플라톤, 칸트, 니체를 중심으로-

        이유택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91 No.4

        The history of the question of happiness is as old as the history of philosophy. Many great philosophers have used happiness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in various ways. One of the philosophical inquiry methods of happiness is to discuss it in relation to morality.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and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way in which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makes clear the difference in the way we understand happiness. This article focuses on Plato, Kant, and Nietzsche as representatives of the que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in philosophical history. These three philosophers have different philosophical interests and methodologies, but at least they seem to have in common that they have ask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Plato thought that happiness and morality were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like the two sides of a coin. For him, happiness is only realized through morality(justice) and morality was the ultimate goal of happiness. Kant, on the other hand, saw that happiness and moralit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Morality is never a means to reach happiness, and happiness is not the purpose of morality. Nietzsche also talks about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But this is no longer a platonic identity. Because Nietzsche understand the meaning of happiness, morality, and the relationship of both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philosophy. 행복에 대한 물음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많은 위대한 철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행복을 철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행복에 대한 철학적 탐구 방식 중 하나는 그것을 도덕과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이다. 어떤 철학자는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주목하고, 어떤 철학자는 양자의 차이에 주목한다. 행복과 도덕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를 통해서 행복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 글은 철학사에 나타난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탐구의 대표자로서 플라톤과 칸트, 그리고 니체를 주목한다. 이 세 명의 철학자는 서로 다른 철학적 관심과 방법론을 가지고 있지만, 적어도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행복과 도덕이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의 관계 속에 있다고 생각했다. 행복은 오직 도덕(정의)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도덕은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반면에 칸트는 행복과 도덕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보았다. 도덕은 결코 행복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행복은 도덕의 목적이 아니다. 니체도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이 동일성은 플라톤적 동일성이 아니다. 왜냐하면 니체는 전통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행복과 도덕, 그리고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지방정부의 행복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 종로구와 일본 아라카와구를 중심으로

        윤평호 한국공공관리학회 2023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7 No.1

        Happiness is close to the individual’s subjective area, but the foundation of the social attribute of happiness belongs to the policy area of local governments. According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happiness policies of Tokyo-gu, Japan, and Jongno-gu, Korea according to policy processes such as agenda setting, decision, execution, evaluation, and feedback stage. Tokyo-gu introduced a happiness policy ahead of the Korean local government and is promoting it for a long time, and Jongno-gu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s of happiness policy implementation among Korean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rehensive model of Arakawa-gu and the single model of Jongno-gu were derived as happiness policy promotion models. The comprehensive model covers policy-subpolicy-office affairs with a sense of happiness as the policy goal, and conducts a happiness survey every year and reflects it in the policy. The single model promotes happiness promotion as one of the key tasks as a policy goal, and conducts the happiness survey irregularly.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 happiness policies include expanding the concept of happiness and residents, ensuring the political will and environment of happiness policies, enacting the Basic Happiness Act, linking happiness indicators and happiness surveys, and increasing community happiness. 행복은 개인의 주관적 영역과 밀접하지만 행복의 사회적 속성의 토대는 지방정부의정책영역에 속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지방정부보다 앞서 행복정책을 도입해 장기간추진하고 있는 일본 도쿄도의 아라카와구와 한국 지방정부 가운데 행복정책 시행의 1 세대에 속하는 서울시 종로구의 행복정책을 의제설정, 결정, 집행, 평가, 환류단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행복정책 추진모형으로 아라카와구의 종합모형과 종로구의 단일모형을 도출하였다. 종합모형은 행복실감을 정책목표로 정책-시책-사무를망라하며 매년 행복도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일모형은 행복증진을 정책목표로 삼아 중점과제 중 하나의 단위사업으로 추진하며 행복도조사가 비정기적이다. 지방정부 행복정책 발전을 위한 과제로는 행복의 개념과 주민 개념의 확장, 행복정책의 정치적 의지와 환경의 보장, 행복기본법 제정, 행복지표와 행복도조사의 연계, 지역사회 행복력 증대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Happiness as Emotions that Reflect the Prudential Value of One’s Life

        Hyunseop Ki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S No.-

        In this paper, I develop a new emotional state account of happiness. I argue that one’s happiness in the descriptive sense is the overall emotional condition that reflects or evaluates the prudential value of one’s life. I explicate my view and its virtues by comparing it with Sumner’s life satisfaction account of happiness and Haybron’s emotional state account. More specifically, I argue for the following claims: Happiness consists in the emotions that are reflective of, rather than the conceptual or propositional judgment about, the prudential value of one’s life. Those happiness-constituting emotive states are comprised of (un)conscious episodes and non-conscious dispositions that produce them. What Haybron thinks constitutes happiness is not happiness per se, so much as sources of happiness (i.e., what happiness-constituting emotions are about) or reasons to be happy (i.e., what makes happiness-constituting emotions appropriate or correct). Unlike Haybron’s account, my account makes room for (and good sense of) inappropriate (un)happiness. I also show how my account of happiness fits in line with the evaluative account of emotions in general.

      • KCI등재

        유아-청소년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행복: 어린 시절과 현재의 행복감, 행복 조건 및행복 괴리감을 중심으로

        정계숙 ( Kai Sook Ch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는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현재 행복감, 행복 조건 및 행복 괴리감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어린 시절의 행복감과 현재의 행복감, 행복 조건 및 행복 괴리감과의 관련성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개 대도시와 2개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223명의 유아, 473명의 아동 및 265명의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로, 어머니의 행복감 척도,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 척도 및 어린 시절의 행복감 척도에 응답하였다. MANOVA, MANCOVA, 적률상관계수 및 Scheffe 사후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녀의 연령대에 따라 현재의 행복감, 행복의 조건 및 행복 괴리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어머니의 어린 시절 행복감은 차이가 없었다. 어머니가 어린 시절 경험한 행복감은 현재의 행복감 및 행복 조건과 낮으나 정적 관계가 있으며 행복 괴리감과는 전반적으로 낮으나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연령 및 어머니의 이전 행복 경험을 고려한 어머니의 행복감과 행복 역량 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mothers’ perceptions of past and present happiness, the conditions of happiness, the discrepancies between expectations of happiness and present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st happiness with present happiness,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nd happiness discrepancies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age. The participants were 961 mothers of 223 young children, 473 school-aged children, and 265 adolescents. The mothers completed 3 scales of happines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ANOVA, MANCOVA, and Scheffe post-hoc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mothers’ perceptions of past and present happiness,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nd happiness discrepancies according to children’s age. Mothers’ perception of past happiness was related positively with present happiness and negatively with happiness discrepancies. The implication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mothers’ happiness in the long-term perspective were discussed.

      • KCI등재

        소비자행복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남승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estimating scale that measures a newly noted concept called consumer happiness. In this study, consumer happiness is defined as “experiencing happiness through consuming activity,” and a conceptually founded scale that measures consumer happiness was examined and validated through exploratory study and confirmatory study. Data was taken from 526 adults living in Seoul and 6 other major cities in Korea with the conceptually founded consumer happiness scale. Half of the data, then, was used to perform exploratory study and other half of the data for confirmatory study. Results of exploratory study show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sumer happiness scal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showed high score of ,8953 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ual study, “problem-solving happiness factor”, “person relevant happiness factor” and “shopping contingent happiness factor,”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as the three main factors. Confirmatory study, using covariance structural modeling, produced a model that confirms the three main factors of consumer happiness and verifies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Since the fitness index of the produced consumer happiness scale has exceeded the minimum requirements, the validity of consumer happiness scale(CHS) was confirmed.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이 논문의 목적은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소비자행복(consumer happiness)이란 개념을 측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행복을 “소비생활을 통한 행복체험”으로 정의하고, 개념적으로 정립된 소비자행복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탐색 연구와 확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개념적으로 정립된 소비자행복척도를 사용하여 서울특별시와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 5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다음에, 그 절반의 자료를 갖고 탐색 연구를 실시하고, 나머지 절반의 자료를 갖고 확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탐색 연구 결과는 소비자행복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내적일관성계수가 .8953으로 높게 나타났고 개념연구와 동일하게 3개의 요인이 추출되어 “문제해결적 행복요인”, “개인적합적 행복요인”, 및 “쇼핑연계적 행복요인”으로 명명하였다. 확인 연구는 공분산구조모형분석을 사용하여 탐색 연구에서 확인된 소비자행복의 구성요소들에 관한 모형을 설정하고 그 모형의 적합도를 검토하였다. 설정된 소비자행복척도에 대한 적합도의 전반적 지수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소비자행복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공격성 및 분노대처행동과 주관적안녕감의 관계

        서수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1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anger-coping behaviors and happiness. Aggression consisted of four factors(Physical/Verbal aggression, Hostility, and Anger). Anger coping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Rational coping, Aggressive expression, Avoidance, Emotional resolution, and Distraction). Happiness was assessed by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Positive/Negative affect. 387 undergraduates served as subjects.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and happiness varied according to the aggression and happiness factors. Hostility showed the most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and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we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However, when controlling for Hostility, Physical aggression and Verbal aggre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and Anger displayed no correlation. Hostility, Physical aggression, the Verbal aggression and Ang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affect, but when controling for Hostility, the correlations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and happiness were caused by hostility. It seems that Hostility among all factors of Aggression had an especially strong effect on happiness. Among anger-coping behaviors, Avoidance was correlated with all happiness factors, negatively with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Positive affect, and positively with the Negative affect. The strongest predictor of happiness was Hostility in aggression and Avoidance in anger-coping behaviors. Some anger-coping behaviors(Avoidance, Distraction, and Rational cop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appiness after controling for agg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