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꽃동네 생명문화담론분석

        강성례(Kang, Sung-y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2 생명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국내 최대의 복지시설인 꽃동네를 중심으로 형성된 생명문화의 담론분석을 시도한 연구로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꽃동네를 통해 형성되는 생명문화에 관련된 담론의 의미, 사회적 상호작용의 패턴, 사회적 파급효과 등을 분석함으로써 생명의료윤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들은 꽃동네 생명문화 및 생명의료윤리와 관련된 문헌들로서 주로 꽃동네 연보, 꽃동네 회보, 꽃동네 활동기록 및 신문기사, 영성 자료, 꽃동네에 소속된 이들의 체험을 기술한 자료 등이다. 자료분석을 통해 꽃동네 생명문화담론의 형성 및 확산과정, 그리고 꽃동네 생명문화담론의 주요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꽃동네 생명문화담론은 ‘인간존중운동’, ‘호스피스운동’, ‘죽음문화근절운동’, ‘생명문화확산운동’, ‘영성운동’ 등의 5가지 주요활동을 통해 형성되고 확산되었으며, 그 주요 주제는 ‘생명공동체’, ‘영성공동체’, ‘사랑공동체’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기관 및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봉사자, 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식, 이론 및 정신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하는 교육 콘텐츠 및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iffusion of bio-culture discourse in Kkottongnae. And also to identify the main themes of bio-culture discourse in Kkottongnae. Methods: This study took discourse analysis as a design of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s and documents on bio-culture and bio-ethics in Kkottongna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As results bio-culture discourse of Kkottongnae was formated and diffused by 5 movements as ‘human respect movement', ‘hospice movement', ‘wipe- outing dead-culture movement', ‘diffusing bio-culture movement', and ‘spiritual movement'. The main themes of bio-culture discourse in Kkottongnae were ‘life community', ‘spiritual community', and ‘lov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me up with very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knowledges, theories, and attitudes on biomedical ethics for students who will be engaged in nursing and social welfare.

      • KCI등재후보

        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박종대(Pak, Chong-tai)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대학생의 생명을 위한 교육을 자아실현의 관점과 연결하여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그 실천적인 방법을 제안하 려는 데에 목적을 둔다. 나는 우선 삶의 목적, 자아실현, 행복개념 등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다음으로 전통적 및 현대적 덕목들이 자아실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긍정 심리학’과 ‘행복 심리학’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한다. ‘생명개념‘에 관한 정의나 이해방식은 참으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해야한다. ’생명현상‘은 생물학을 비롯한 자연과학과 의학 등의 탐구대상이고 ’생명의 본질‘은 철학적 이론과 기타 인문과학의 연구대상이다. 물론 여러 고등 종교에서도 각기 경전과 교리에 토대를 두고 생명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오늘날 생명의 의의와 존엄성을 드높이려는 교육과 운동에서 내걸고 있는 ’생명의 문화’는 ‘죽음의 문화’의 반대개념이다. 죽음의 문화는 모든 생명을 경시하는 의식과 풍조에서 싹트고 이기주의, 쾌락주의, 물질주의가 그 온상이다. 현대사회에서 만연된 죽음의 문화는 생명의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자의 도덕적 자각과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생명문화의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삶의 방식은 에리히 프롬이 말한 대로 ‘소유의 삶’이 아니라 ‘존재의 삶’이어야 할 것이다. 생명을 위한 교육은 교양교육의 범위에서 모든 대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theoretically discuss pro‐lif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and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First examined will be the relationship among objectives of life, self‐realization and the concept of happiness. Based on the examination, possibilities of applying “positive psychology” and “psychology of happiness” will be demonstrated as concrete measures to utilize conventional and modern virtues in achieving self‐realization. Considering that different studies have reached different definitions of the “concept of lif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hrough consilient research. The “phenomenon of life” is the subject on which natural science, including biology, and medicine fields have studied, and the “nature of life” has been that of philosophy and other humanities. Most advanced religions have also provided solutions to the question of the nature of life, based on their own scripture and theories. The “culture of life” that today's education and movements proclaim to promote the importance and dignity of life stand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pectrum from the “culture of death,” which is born by the attitude of devaluing life, and raised by egoism, hedonism and materialism. It is time that the “life culture” should replace the “death culture” that is prevalent in the modern society.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pur to nourish the culture of life by morally enlightening ourselves and improving social institutions. As Erich Fromm said, the way of our life shall be a “life to be”, not a “life to possess.” It is desirable to provide pro‐life education to all college students as a gene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생명문화지수, 누구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

        이승원(Lee, Seoung-wo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8 No.-

        반(反)생명'으로 정의될 수 있는 이 죽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은 공동체 내에 속한 개개인 의 고통이 구성원들 상호 간에 서로 소통될 수 있는 나름의 지표(indicator)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 글은 '생명문화지수' 라는 지적 작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이 글은 '생명문화지수'가 공동체 유지의 기본적 원칙이 되는 다양한 가치, 그리고 그 가치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다양한 제도와 의식들을 반성하고, 그것들이 가지는 '반생명'적 경향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친생명'적 공동체의 생활양식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다. 생명문화지수는 첫째, 공동체의 합의틀과 질서가 언제나 구성원들의 생명보호라는 기본적인 목적에 부합하도록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생명문화지수는 공동체가 형성될 당시 사용되었던 지적 능력이 생명에 대해 상대적으로 협소하 거나 차별적인 인식을 만들었을 경우, 그것을 재검토하고 보다 친생명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글은 '고통관리(반생명성/친생명성)'와 '생명보호(자원접근성/연대성)'이라는 생명문화의 두 원칙을 제시하면서 사회 및 제도 차원에서의 생명문화의 수준을 파악할 것을 제시한다. To overcome the crisis of life defined as 'anti-life', the basic start point can be to set up an indicator helping understand other members' pain and make a better communication among all members in certain community.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n intellectual work on 'the life culture index'. In particula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ife culture index' can guide us 1) to reflect key values of maintenance of a community and variou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based on those key values, 2) to overcome a tendency of 'anti-life' remained in those value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3) to reconstruct a new mode of a 'pro-life community'. In this sense, the life culture index has two crucial aims. The one is to check how agreement systems and orders of a certain community are well-balanced and satisfying the basic purpose of the protection of life for all members. The other is to re-examine the intellectual level and tendency of human consciousness toward life.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principle of management of pain(anti-life/pro-life) and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life(capability of recourse approach/solidarity) as two principles of the life culture.

      • KCI등재

        Preserving the Culture of Life in Shaping the Physician of the Future

        마리아 유페미아 얍(Maria Eufemia Yap)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2 생명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필리핀의 의료 실습과 보건전달에 두루 미치고 있는 아이러니한 현상들을 다룬다. 감히 말하건대 이러한 현상들은 범세계적이라 할수 있을 것이다.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는 의사 양성의 대안(alternative) 모델을 다루기 원한다. 그것은 보건 산업에 맞서는 생명문화 보존에 있어서 점점 커져가는 어려운 도전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응수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우선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의 의과대학과 보건대학 설립 사업이 기초하고 있는 정황, 상호연관성과 원리를 명확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명확한 비전과 사명을 가지고 이끌어 나아가는 대학의 독특한 힘과 진로를 설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반생명 문화를 조성하는 요소들은 지속해서 확장되고 있는데, 아테네오 의과 대학의 사례는 이에 대하여 응수하는 실례이다. 본 발제는 다섯 가지 주요 부분으로 나뉜다. 1부는 보건이 발전에 끼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개인과 공동체의 수준에서 보건의 다양한 차원과 패러다임을 설명하고 묘사함으로써 논조를 세운다. 보건의 패러다임과 영향력은 현존하며 개인과 사회와 발전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데, 여기서는 또한 이로부터 비롯된 보건 분야에 대한 특정한 사실들을 분명히 드러낼 것이다. 2부는 최근의 의료 교육의 모델을 설명한다. 이 모델은 오늘날 필리핀의 주요 의료 학교와 의과 대학에 널리 보급되어있다. 근래에 필리핀의 의료 교육이 직면한 주요 도전들에 관한 주제가 이것에 뒤따라 나온다. 결국 의료 교육은 보건 체계에 깊이 자리를 잡았다. 그래서 필리핀 보건 체계만이 아니라 아마도 범세계적으로 두루 미치는 심각한 결함들은 오늘날 의료인들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방법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사실에 이르게 한다. 즉각적이고 단호하게 의료 행위를 개선해야 한다. 3부는 새로 설립된 아테네오 의과대학과 보건학교의 사례를 살펴 의사 지도자들을 양성하는 대안 모델을 다룬다. 이 부분에서는 아테네오 대학의 학습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당 대학이 기초하고 있는 기본 원리들을 다룬다. 4부는 필리핀과 세계의 보건 영역에 있어서 이러한 시도가 지니는 의의와 관련성에 초점을 둔다. 그것은 이 시도가 지니는 중요한 공헌을 두드러지게 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미래의 의사 교육과 양성의 개선을 향한 운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적요를 제안한다. This presentation examines and presents what appears to be an ironical phenomenon that pervades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health care delivery in the Philippines and I dare say, the world over. More importantly, I wish to also present an alternative model of forming and shaping physicians as a sustainable response to the increasingly difficult challenge of preserving the culture of life that confronts the health professions. This paper seeks first of all, to articulate and describe the context, interconnections and rationale on which the venture of setting up the Ateneo de Manila University's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is founded. It also aims to describe the School's unique edge and way of proceeding guided by its articulated vision and mission as a concrete example of responding to the ever-increasing factors that contribute to shaping an anti-life culture in the world today. The presentation is divided into five major parts. Part one sets the tone by presenting and describing the various dimensions and paradigms of health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s well as health's impact on development. It will also articulate certain realities about the health sector that have arisen from this existing paradigm of health and the consequences that it has brought about to individuals, communities and to the development process. Part two provides a description of the current model of medical education that is prevalent in majority of the medical schools and universities in the Philippines today. This is followed by a presentation of key challenges that medical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currently faces. After all, medical education is deeply entrenched in the health care system, thus the pervasive and severe shortcomings of the Philippine health care system and perhaps health systems around the world for that matter also drive the reality that the manner by which physicians are educated and formed today has severe shortcomings that require immediate and vigorous corrective action. Part three presents an alternative model of forming and shaping physician-leaders through the newly established Ateneo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This section presents the foundational principles on which the School is anchored as well as its program of learning. Part four focuses on the significance and relevance of this venture for the Philippines and for the health sector around the world. It highlights the important contribution that this initiative offers. The final part provides brief summary remarks that can serve as forward movement towards reforms in educating and shaping physicians for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죽음의 철학적 함의와 죽음교육의 필요성

        김용해(Kim, Yong-ha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8 No.-

        본 논문은 인간의 이성에 현전하고 실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죽음’을 철학적으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 피고, 인간으로서는 해결 불가능한 ‘스칸달론(skandalon)’인 죽음을 의미 있는 인간조건, 더 나아가 생명문화를 고양하는 계기로 바꿀 수 있는 가능성으로 죽음교육을 강조하려한다. 우선 철학사에서 출현한 죽음에 관한 직관들을 세 개의 이상적 유형(Ideale Typen)으로 나누어, (1) 다른 생명으로 되어감의 과정, (2) 생명으로부터 분리, (3) 생명 조직화의 내적 원리에 관해 연구한다. 나는 칼 라너(Karl, Rahner)와 버너드 로너건(Bernard Lonergan)의 초월철학에 의지하여 이 삼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삶과 죽음이 동시에 해명될 수 있는 지평을 마련한다. 초월철학은 죽음과 탄생이 어떻게 개체적 생명과 종적 생명 사이에서 생명의 원리로 작용하는지, 또 하나의 대자적 죽음이 어떻게 최종적인 즉자적 죽음 과 연결이 되는지를 잘 설명해 줄 것이다. 인간이 살아 있는 동안이나 죽어가는 순간이나 죽음은 생명의 원리, 영원한 지평을 열어주는 원리가 된다. 그 다음으로 인간에게 해소되지 않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두려움이 만드는 반생명적 현상, 죽음을 수긍해가는 심리적 단계를 살피면서 죽음교육의 가능성을 성찰한다. 마지막으로 초월철학의 효용성, 현대사회에서의 죽음교육의 중요성, 죽음의 생명현상으로의 적응을 성찰하면서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In this article I reflect on 'Death' which exists in and before human mind, and influences strongly upon the existence of man. And I try to emphasize the education of death as the possibility in which the unsolvable 'skandalon' death will be changed to the meaningful human condition, and further more to the chance to enhance the culture of life First of all I study many kinds of intuitions on death in the philosophical history while I divide these into three ideal types, namely (1) becoming process to the other life (2) separation from life (3) inner principle in life-structuring. I will be supported by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of Karl Rahner and Bernard Lonergan so that I integrate the viewpoints of three types into one horizon where life and death are simultaneously explained.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explain reasonably how death and birth as the principle of life a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specific life, and how a death for itself is connected with the last death in itself. The death will be principle of life and of opening to the absolute horizon not just during life but in dying. Further more I reflect on the possibility of death' education in studying man's unsolved fears of death, anti-life culture made by this fears and psychic process accepting death. At last I stress the need of education on death while I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the importance of death education in modern society and adaptation to death as phenomena of life.

      • KCI등재후보

        How to Define the Concept of Life as a Universal Value

        로빈 코닝(Robin Koni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2 생명연구 Vol.26 No.-

        버나드 로너간은 완전한 위계를 이루는 가치척도를 제안하는데, 그것은 생명유지에 필수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 인격적 가치, 그리고 종교적 가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버트 도란은 로너간이 이 영역에서 이룬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그 척도의 문화적 레벨이 수행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 역할이란 한편으로는 인격적 레벨과 종교적 레벨을 잇는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생명유지의 레벨과 사회적 레벨을 잇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가치척도와 그 척도 안에서 문화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로너간과 도란 이론의 개요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고 나면 어떻게 생명의 가치가 가치척도의 각 레벨에서 이해되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그들의 이론을 적용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이 논문은 생명과 관련한 문화적 문제들에 초점을 맞출 것을 이론적으로 지지할 것이며, 또한 그 문제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Bernard Lonergan proposes an integral hierarchical scale of values - vital, social, cultural, personal and religious values. Robert Doran, in developing Lonergan’s work in this area, has highlighted the pivotal role of the cultural level of the scale, mediating as it does between the personal and religious levels, on the one hand, and the vital and social levels on the other. This paper will outline Lonergan and Doran’s work on the scale of values and the role of culture within it. It will then apply this work by examining how the value of life may be understood at each level of the scale of values. In this way it will seek both to offer theoretical support for the conference’s focus on cultural issues in relation to life, and to make a direct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f those issues.

      • KCI등재후보

        論陽明對於動物生命的關懷

        김혜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8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attitudes on animal life in the Confucian tradition. Especially, the thought of Wang yang‐ming(1472~1529), the philosopher of Ming dynasty is the point in this paper. The main theories that emphasize animal right or animal welfare in the West insist that anthropocentrism and speciesism encourage us to have wrong attitudes towards animals. According to their opinion, we must have moral duties to animals. In the Confucian traditions, we can find another models that require equal consideration for animals. The thought of Yang‐ming is suitable for this case. Basically, the Confucian tradition has the idea that the nature of human beings is originally good. Especially, Yang‐ming offers the concept of the oneness of everything and demands the expansion of moral feelings to another beings. So, We must not only be kind to others, but also cherish all things. In this point, we can find the relations between the Confucian humanism and the treatment of animals. 本文就是解釋東方儒家王陽明對待動物生命的理解與其態度,而提示為了解決人類看待動物生命時所發生的動物問題的儒家基礎理論。在所強調動物的權利與福利的西方說明著,動物虐待與剝削的問題是在種族歧視的人類中心主義的潮流的情況下所發生出來的,接著強調,人類接受以個體存在之動物生命,而必須具有為了它們自由自在的生活保障的對動物生命的道德義務。反之,在東方儒家從人心的自然自發的道德情感看待與關懷動物生命。特別,陽明所強調的良知就是蘊含對動物的道德情感的關懷與行為之義。因此,本文先從陽明的良知解釋出基礎於動物生命之關懷的「萬物一體觀」與「仁民愛物」之思維,而堅持儒家對動物生命的人道主義的立場,然後,通過這樣看法再提出解決動物虐待與剝削的問題的基礎看法。本文就是解釋東方儒家王陽明對待動物生命的理解與其態度,而提示為了解決人類看待動物生命時所發生的動物問題的儒家基礎理論。在所強調動物的權利與福利的西方說明著,動物虐待與剝削的問題是在種族歧視的人類中心主義的潮流的情況下所發生出來的,接著強調,人類接受以個體存在之動物生命,而必須具有為了它們自由自在的生活保障的對動物生命的道德義務。反之,在東方儒家從人心的自然自發的道德情感看待與關懷動物生命。特別,陽明所強調的良知就是蘊含對動物的道德情感的關懷與行為之義。因此,本文先從陽明的良知解釋出基礎於動物生命之關懷的「萬物一體觀」與「仁民愛物」之思維,而堅持儒家對動物生命的人道主義的立場,然後,通過這樣看法再提出解決動物虐待與剝削的問題的基礎看法。

      • KCI등재

        论新生命观和水与河流的自然生命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5 No.-

        目前的生命观把生命化约为生物生命,这是一种具有本质主义缺陷的科学主义思维方式, 它忽略了生命和非生命之间的非断裂的过渡,抹煞了自然界 中许多事物的生命特征,成为当今蔓延全球的生态危机的思想根源之一。鉴 于此,本文打破自然科学和人文学科的界限,提出“家族类似生命观”,主张 生命具有广泛性、层级性和家族类似性等形式特征;并基于中国文化的材料 ,强调水与河流也具有一定的生命,如生成和死亡、自我保持性的内在目的 性,循环的存在形式、作为生态共同体的生命等,为人类进一步理解生命现 象,把共同体的范围扩展到自然界,做到与自然和谐相处提供一个新的思考 视角。 오늘날의 생명관은 생명을 생물현상으로 환원시키는데 이것은 일종의 본질주의적 폐해를 지닌 과학주의적 사유방식이다. 이러한 관점은 생명과 비생명 사이의 연속적인 이행을 소홀히 하고, 자연계의 수많은 사물의 생명적 특징을 말살하여, 오늘날 전세계에 만연하는 생태위기를 초래한 사상적 근원의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본문에서는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의 경계를 없애고, “가족유사 생명관”을 제기하여, 생명에는 광범위성, 층차성과 가족유사성 등의 형식적 특징이 있음을 주장한다; 중국의 문화적 재료에 기초하여 물과 하천도 일정한 생명, 가령 생성과 사망, 자아를 유지하고자하는 내적 목적성, 순환적 존재형식, 생태공동체로서의 생명등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고, 인류가 생명현상을 더 잘 이해하도록 공동체의 범위를 자연계에까지 확대하여 자연과의 화해를 이루는 데 있어 새로운 사상적 시각을 제공한다.

      • KCI등재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의 관점에서 본 인류의 진화

        조현우,양경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2 생명연구 Vol.64 No.-

        This study provides a rational reconstruction of Boyd and Richardson’s gene-culture co-evolutionary theory based on the methodology of Lakatos’ Research Program. In providing a more pluralistic and integrated theory of human evolution, Gene-culture co-evolutionary Theory adopts the “dual inheritance hypothesis”, which encompasses both biological and cultural evolution as a hardcore. Boyd and Richardson’s research program adheres to the negative heuristics that maintain hard cores and the positive heuristics that reinforce the theory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s protective belt.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theories’ explanations for human uniqu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novel predictions of Lakatos’ research program. To this end, the novel predictions of the research program are structured into the human cognitive structure, communication,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moral norms. The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which constitute human nature, presents a concrete scenario of the evolution of human beings.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은 생물학적 진화와 문화적 진화를 포괄하는 ‘이중 유전 가설’을 채택하여, 인류의 진화과정을 설명한다. 본 연구프로그램은 특히 행동, 인지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이 빠르게 진화하는 인간의 독특성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세대에 거쳐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이만으로 인류의 빠른 진화 속도를 설명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은 생물학적 진화 뿐 아니라, 모방과 사회적 학습을 포괄하는 문화적 진화까지 핵심 가설로 포함시킨다. 인류 진화에 대한 연구프로그램의 핵심 가설은 유전자에서 문화로, 다시 문화에서 유전자–문화 공진화로 확장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보이드와 리처슨의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의 구조를 라카토슈 연구프로그램의 방법론에 기반하여 합리적으로 재구성한다. 이론의 구조는 핵심 원리로 구성된 견고한 핵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호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부정적, 긍정적 발견법은 이론이 반증에 직면했을 때의 연구지침을 제시한다. 둘째, 이들 이론적 구성요소를 통해 인간의 특성과 인류의 진화에 대한 신선한 예측을 제공한다. 즉 견고한 핵, 보호대, 긍정적, 부정적 발견법을 통해 인간의 행동, 인지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진화적 설명을 제공한다. 인간의 독특성을 구성하는 이들에 대한 설명은 각각 그리고 이들을 합쳐서, 인류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신문 사설에 나타난 생명윤리 관점

        전방욱(Jun, Bang-Oo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09 생명연구 Vol.13 No.-

        한국언론재단의 데이터베이스와 각 신문사의 홈페이지에서 생명윤리와 관련된 총 169개의 사설을 검색하여 생명윤리 관점을 분석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와 관련 사설이 급증하였으며 배아복제의 경우가 37건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국민일보, 한국일보, 세계일보 순으로 생명윤리 사안을 가장 폭 넓게 다루었다. 국민일보와 세계일보는 낙태를, 문화일보와 한국일보는 생명공학을, 중앙일보는 안락사를 비중있게 다루었다. 대부분의 사설은 게놈해독 배아줄기세포, 성체줄 기세포, 장기이식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낙태, 난자매매, 선택출산, 맞춤아기, 이종배아, 인간복제 등은 부정적 으로 평가하였다.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평가는 배아복제 및 배아연구보다는 긍정적이었다. 배아복제에 대해서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던 신문들도 대략 2000년을 기준으로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뀌었다. 생명윤리 사설을 프레이밍한 결과, 경향 신문, 동아일보, 세계일보 및 한국일보는 법제도정비 프레임을, 문화일보, 조선일보 및 중앙일보는 산업발전 프레임을, 국민일보는 윤리지향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신문은 법제도 정비 못지않게 사회적 합의를 강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화일보는 가장 관용적인 관점을 가지는 신문으로, 국민일보는 가장 보수적인 관점을 가지는 신문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169 Korean newspaper editorials on bioethics between January 1990 and August 2009 to find out bioethical standpoint of major newspapers on the bioethics related issues. Numbers of bioethical editorials increased abruptly in the 2000's and the embryo cloning bioethics issues were the most frequently argued as of 37. Kookmin, Hankook, and Segye dealt with bioethical issues broadly. While Kookmin and Segye mainly focused on abortion, Munhwa and Hankook stressed embryonic stem cells, and Joongang paid attention to euthanasia. Genome mapping, embryonic stem cells, somatic stem cells, and organ transplantation were positively evaluated. By contrast, abortion, egg trade, sex selection, designer baby, hybrid embryos, and human cloning were negatively analyzed. The negative standpoint of newspapers on embryo cloning was slightly changed after the year of 2000. The framing results showed that the legislation frame was frequently used by Kyunghyang, Donga, Segye and Hankook. Industrial development frame was preferred by Munhwa, Chosun, and Joongang, and ethics frame was delivered by Kookmin. In addition to legislation, social consensus frame was stressed by Hankyereh. In general, Munhwa showed the most generous attitude, while Kookmin represented the most conservative attitude toward bio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