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이(程頤) 역학(易學)에 대한 왕부지(王夫之)의 비판적 수용

        조우진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4 No.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정이의 역학이론을 왕부지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킨 논리와 그 근거를 살피는데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도(道) 개념의 차이다. 정이의 도(道)는 형이상학적 원리이며 사물의 존재근거이기 때문에 불변의 법칙이지만, 왕부지의 도(道)는 형이하학적인 현실세계 속에 내재해있는 것으로 시대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둘째, 변화(變化)의 이론이다. 음양(陰陽)의 동정(動靜)을 논의할 때, 정이는 고요함을 일시적인 정지로 보지만 왕부지는 고요함을 움직임이 미미한 기미(幾微)와 같다고 본다. 셋째, 체용(體用)의 논리이다. 왕부지는 도(道)와 변화(變化)를 설명하는 논리인 체용론(體用論)에 대해 정이의 체용일원(體用一源)을 수용하면서, 본체를 기(器)로 보고 작용을 도(道)로 보는 기체도용(器體道用)을 주장한다. 넷째, 물극필반(物極必反)의 원칙이다. 이것은 정이가 「서괘전(序卦傳)」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필연성을 강조한 것이지만, 왕부지는 변화를 설명하는 하나의 방식일 뿐 필연적인 법칙성을 가질 수 없다고 본다. 다섯째, 수시취의(隨時取義)의 이론이다. 이것은 정이가 『역』의 괘효사를 해석하는 측면에서 말한 것이지만, 왕부지는 불가위전요(不可爲典要)를 주장하여 천지의 변화나 인사의 측면에까지 확장시켜 일정한 법칙이 될 수 없고 어느 한쪽에 치우칠 수 없다고 본다. 여섯째, 점역(占易)과 학역(學易)의 문제이다. 정이는 『역』을 의리적으로 해석하여 학역(學易)의 측면에서 『역』을 깊이 음미하고 연구하여 그 참뜻을 파악해야 한다고 보지만, 왕부지는 ‘점역(占易)과 학역(學易)이 하나의 이치’라는 논리를 주장하면서 학역(學易)의 입장을 더욱 강조한다. 이상에서 볼 때, 왕부지는 정이의 역학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의 역학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관철시켰다. 즉 그는 정이의 의리역학의 논리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역철학적 기반인 도(道) 개념의 차이를 통해서 자신의 역학체계를 완성하였다.

      • KCI등재

        잊힌 화순 유학자의 재발견 — 心圃 文炯의 삶과 성리학적 사유 —

        조우진 동양고전학회 2023 東洋古典硏究 Vol.- No.9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utline his life and Neo-Confucianism thought as the first study of a Confucianist Shimpo(心圃) MoonHyung(文炯) of Jeollanam-do Hwasun. He was born in 1882, lived through 28 years the opening period of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26 years of Japanese colonization. Also He was a disciple of IlShinJae(日新齋) JungEuirim(鄭義林) who was the literary people of Nosa(蘆沙) KiJeongjin(奇正鎭). He felt a sense of grief and responsibility as an intellectual of a ruinous country and went on his own academic path. In other words, he wanted to establish an Neo-Confucianism's order by spreading Nosahak(蘆沙學) regarding ChéngZhūxué(程朱學) as the standard of academy in Huashun, that is like a 'Seokgwa(碩果)' preserving the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While studying alone about various schools and the collection of works of scholars with a focus on Nosahak(蘆沙學), he debated not only Nosa School(蘆沙學派) of Honam and Yeongnam but also the best scholars of his time- Hwaseo School(華西學派), Hanju School(寒洲學派), and writers etc. and He strived to synthesize the controversial points of Neo-Confucianism, left many writings in the process. In particular, He read the Nosajip(蘆沙集) and wrote the Nosajipjeolyo(蘆沙集節要) edited important parts in.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he tried to inherit and develop the scholarly lineage of Nosa(蘆沙) and his teacher JungEuirim(鄭義林) as a member of the Nosa School(蘆沙學派). Unfortunately, Nosajipjeolyo(蘆沙集節要) has not been handed down so far, so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contents directly. In his later years, he organized Mungagye (聞可契) in Hwasun to promote the training of younger students and the succes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has been continued by younger students until the early 21st century. In other words, he was the best philosopher in Honam who practiced Hohak(好學) centering on the Tao of Confucianism while looking at the reality that Neo-Confucianism was disappearing. In this paper, I looked at an overview of his life and his scholarly interests and achievements on Neo-Confucianism. Through subsequent research on him, I would like to study deeper into the issue of Shim(心) been an important concept in respect of Neo-Confucianism, his attitude toward the Nosa School(蘆沙學派)'s sentence theory in respect of literature, and his interaction with the schools in respect of thought. When these discussions are synthesized, his place in the history of Honam Confucianism and the topographical map of modern Confucianism in Huashun will be redefined.

      • KCI등재
      • KCI등재

        펄스 전류 활성 소결에 의한 4YSZ-BN 복합재료 제조와 기계적 성질

        조우진,김성은,오세훈,손인진 대한금속·재료학회 2019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7 No.12

        4YSZ is generally used in fuel cells, oxygen sensors, hip and knee joint replacements and thermal barriers because of it excellent properties, including low density, high biocompatibility, good resistance against corrosion, hard phase and high melting point, and high ionic conductivity. However, 4YSZ with large grain has low resistance to abrasion and wear because of its low fracture toughness and low hardness at room temperature. The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of 4YSZ can b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a second hard phase to form a nanostructured composite. Nanostructured material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they possess a high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Recently, nano-crystalline YSZ powder was fabricated by several methods. However, nanosized sintered YSZ has not been obtained due to fast grain growth during the conventional sintering method. In this study, nanostructured 4YSZ-BN composites with nearly full density were achieved using pulsed current activated sintering for 80 sec at a pressure of 80 Mpa. The addition of hexagonal BN to 4YSZ caused the nano scale structure to be retained in the ceramic by deterring grain growth. The crystalline size of the 4YSZ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BN. The addition of BN to 4YSZ greatly improved its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 KCI등재

        부끄러움[린(吝)]에 대하여 -『역경』을 중심으로-

        조우진 한국공자학회 2016 공자학 Vol.31 No.-

        본 논문의 목적은 『역경』에 나타나는 린(吝)자의 쓰임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살펴봄으로써, 부끄러움이 인간의 삶의 구조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피는 데 있다. 『역경』에는 린(吝)자가 20회 표현되어 있다. 린자는 `부끄러움`으로 해석 가능하며, 괘상에서의 효의 자리, 효와 효의 상호관계, 효의 자체적인 특성 혹은 상황에 따라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역경』에서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은 인간사에서 부정적인 상황에 처했을 때 드러난다. 그러나 이것은 학역(學易)의 측면에서 이해할 때 부끄러운 도덕 감정을 통해서 해결될 수 있다. 즉 부끄러움은 자신에게 처한 조건이 좋거나 나쁜 것과 상관없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감정이지만, 부끄러운 기미(幾微)를 살펴 바르게 선택을 하고 그 선택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역경』에서 부끄러움은 주로 길(吉)과 무구(无咎)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감정이다. 모든 상황이나 사태는 부끄러움의 대상이며, 결코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다. 부끄러운[吝] 감정은 어떤 사태에 대한 잘못[凶]을 반성하는 뉘우침[悔]으로 발전하여 허물이 없는 상태[无咎]로 나아가 자신의 상황을 좋은 방향[吉]으로 전개된다. 이것은 바로 흉(凶) ⇒ 린(吝) ⇒ 회(悔) ⇒ 무구(无咎) ⇒ 길(吉)로 나아가는 구조이다. 좋은 결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부끄러운 감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끄러운 감정은 한 개인의 부끄러운 감정을 넘어 현대 사회의 부끄러움으로 확장될 때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의 장을 이끌어 낼 것이다. 本論文的主要目的在于系統地分類和硏究“吝”字在≪易經≫中的含義, 幷以此揭示“羞恥心”在人的生活結構中所表現出來的意義. “吝”字在≪易經≫中共出現20次, 通常可解釋爲`羞恥心`. 但是根据卦象中爻位, 爻與爻的相互關系, 爻的自身特殊性或特殊情況有5種不同含義. 在≪易經≫中, “吝”的情感總是在人處于消極狀態時出現. 但是如果從學易的層面理解, 消極的狀態也可以通過“吝”這一道德情感得以化解. 卽“吝”是所有的人不管身處順境還是逆境都具有的情感. 但是重在人是否體會羞恥之机微, 做出正確選擇幷將其付諸于實踐. ?外, “吝”在≪易經≫中主要是“吉”與“无咎”的關系中産生的情感. 所有的狀態或者事態都是“吝”的對象, 幷非消極的情感. “吝”的情感可發展爲對某種“凶”態的反省[悔],再將消極的狀態轉變爲无咎的狀態, 幷最終化爲吉態. 可將此過程簡單描述爲“凶”→ “吝”→ “悔”→ “无咎”→“吉”. 爲取得好的結果, “吝”的情感能起到至關重要的作用. 如果“吝”的情感能勾超越個人而擴張爲社會的情感, 人與人相互疏通的空間就會被打開.

      • KCI등재

        일신재 정의림의 역할과 위상 : 한말 기호학파의 논쟁을 중심으로

        조우진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호남학 Vol.0 No.6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le and status of Il-Shin-Jae(日新齋) Jung Eui-rim(鄭義林) in the internal debate of Kiho School(畿湖學派) at the late Joseon Korea. Jeong Eui-rim encountered the Neo-Confucianism of Lee Yi, Kim Jang-saeng, and Song Si-ye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rom Kim Jeong-muk to Song Chi-gyu, from Song Chi-gyu to Park Yeong-ju before meeting Ki Jung-jin. In particular His academic and ideological base lies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Lee Yi, the master of the Kiho School. Jung Eui-rim plays a role as a pivotal bridge in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the controversy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sets the stage for Honam to become the center of the Neo-Confucian debate. His status is that he established a Li(理) centered system of neo-confucianism blending Lee Yi and Ki Jung-Jin rather than constructing a new academic theory and regards the system as a rationale for the real world. 본 논문은 한말 기호학파 내부 논쟁에서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 1845∼1910)의 역할과 위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정의림은 기정진을 만나기 전에 김정묵(金正默) → 송치규(宋穉圭) → 박영주(朴永柱)로 이어지는 사승관계 속에서 이이・김장생・송시열의 성리학 이론을 접했다. 특히 그의 학문과 사상적 기반은 기호학파의 종주인 이이의 이론체계에 있다. 정의림은 20세기 초 논쟁의 발단과 전개 과정에서 중추적인 가교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호남이 성리학 논쟁의 중심지가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의 위상은 새로운 학문이론을 구성하기보다는 이이와 기정진을 융합하는 리(理) 중심의 성리학 체계를 확립하여 현실 세계에 대응하는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는 점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