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거리가 선물 제공자와 받는 사람의 선물 선호에미치는 영향: 미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진유선,박세범,정난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4 경영컨설팅연구 Vol.24 No.1

        선물은 명절, 생일, 크리스마스, 입학과 졸업과 같이 특별한 날을 기념하기에 적절한 도구로써, 선물을 주고받는 행동은 선물 제공자와 받는 사람 간의 사회적 유대관계를 돈독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이때, 과거 직접 만나 선물을 주고받는 것에서부터 최근 온라인으로 선물을 주고받는 등 선물의 유형 및 방법 등 선물 교환 행동들이 변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선물 교환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에 따라 선물 제공자와 선물 받는 사람의 제품 유형에 대한 선호가 달라짐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 (사회적 거리: 먼 vs. 가까운) × 2 (제품 유형: 물리적 vs. 디지털) × 2 (선물 교환관계: 제공자 vs. 받는 사람) 집단 간 설계 디자인을 활용하였다. 실험 결과, 친한 친구에게 선물을 제공하는 경우(vs. 먼 친구), 선물 제공자는 물리적 제품에 대한 선호를 높게 평가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친하지 않은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선물을 주는 경우, 선물 제공자는 디지털 제품에 대한 선호를 높게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선물을 받는 사람들은 사회적 거리에 따른 물리적 제품과 디지털 제품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거리, 제품 유형, 그리고 선물 교환 관계의 삼원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선물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검토함으로써 학문적인 중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선물하기 시장에서의 선물 대상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선물을 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공한다. Gifts serve as appropriate tools for commemorating special occasions such as holidays, birthdays, Christmas, graduation, and entrance ceremonies. The act of exchanging gifts holds significance in strengthening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gift-giver and the recipient. Over time, the formats and methods of gift exchanges have evolved, transitioning from traditional in-person exchanges to contemporary online gift-giving exchanges. Therefore, we aim to identify how preferences for product formats vary between gift-givers and recipients based on social distance in gift exchange situations. To achieve this, the current study employs a 2 (social distance: distant vs. close) × 2 (product format: physical vs. digital) × 2 (gift exchange: giver vs. recipient) between-subjects design.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when giving a gift to a close friend (vs. a distant friend), gift-givers express a higher preference for physical products. Conversely, when dealing with relationships that are relatively less close (distant), gift-givers show a higher preference for digital products. On the other hand, gift recipient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s for physical and digital products based on social dist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a three-way interaction analysis of social distance, product format, and gift exchange relationship, not only provide academic importance but also offer practical insights for more effective strategies in the gift-giving market.

      • KCI등재

        Will More Expensive Gifts be More Appreciated?

        Eunseong CHO,변숙은 한국유통과학회 2020 유통과학연구 Vol.18 No.1

        Purpose: Will more expensive gifts be more pleasurable and appreciated? This is a general expectation of gift-giver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on Americans (Flynn and Adams 2009), recipients tend to appreciate gifts regardless of their price. It indicates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sition (giving / receiving) and gift price. This study expands the previous study and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Are such an interaction effect observed in Korean, too?" and "What types of people prefer expensive gif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Study 1 of the current research repeated the Study 3 of Flynn and Adams (2009), with an iPod (high-priced gift condition) and a music CD (low-priced gift condition). That is, a 2 (gift price: high / low) x 2 (position: giver / receiver) between-group design was used. Study 2 used gift certificates of 100,000 won (high-priced gift condition) and 5,000-won gift (low-priced gift condition). Unlike the previous study that measured only one dependent variable (gratitude), this study added five more dependent variables in an attempt to exclude alternative explanations, such as endowment effects or emotional conflicts. This study also measured individualism / collectivism, face sensitivity, and materialism to explore the types of people who prefer expensive gifts. Result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ift price and position on the level of appreciation was not significant. Meanwhile the main effect of gift price and of position were significant. The gift-recipient was more appreciative than the gift-givers‟ expectation regardless of the price of gifts. To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s, individualism/collectivism, face sensitivity, and materialism were examined, but none of thes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ference for expensive gifts. Respondents who received gift certificates in Study 2 were less grateful than those who received iPods or music CDs in Study 1.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Koreans tend to be more grateful if they receive expensive gifts, in contrast to the Flynn and Adams (2009)‟s study with Americans. In addition, gift-recipients appreciated more than givers‟ expectation and were more grateful when they received tangible products rather than gift certificates.

      • KCI등재

        태고사회의 증여와 현대사회의 증여

        박정호 한국이론사회학회 2018 사회와 이론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lve into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archaic gift-giving and the modern gift-giving,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Marcel Mauss'Gift in comprehending our modern practice of gift-giving. To this purpose, we present some topics that illustrate the discontinuities between the ritual gift in archaic societies and the ordinary gift exchange in modern societies. First of all, we discuss why the forms and functions of the archaic gift as ‘total social fact’ are rarely found in modern societies. Secondly, it is pointed out that while the archaic gift is based on the belief in the magical mixture of person and things, the modern gift is based on the juridical and rational separation of person and thing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such differences, we disclose the logic of gift-giving indigenous in modern societies through two points of argument: ‘the category of things and the development of monetary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personality and the ethic of self-limitation’. Finally, we argue that unlike the archaic gift-giving that reproduces the struggle for honor between groups, the modern gift is rooted in the ethic of modesty that protects and cares about the sacred self. In this sense, the ideal ‘model’ and ‘norm’ of gift-giving in modern societies can be inferred from the Goffman's concept of ‘spoken interaction’. 이 글의 목적은 태고사회의 증여와 현대사회의 증여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오늘날의 선물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마르셀 모스(Marcel Mauss)의『증여론』이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태고사회의 증여 의례와 현대사회의 일상적 선물교환 사이의 불연속성을 드러내는 몇 가지 연구 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총체적인 사회적 사실’로서 태고의 증여가 지녔던 형태와 기능을 왜 현대사회에서는 발견하기 힘든가를 논한다. 둘째, 태고사회의 증여는 인격과 사물의 혼합에 대한 주술적 믿음에 기초한 반면, 현대사회의 증여는 인격과 사물의 법적 · 합리적 분리를 배경으로 삼아 펼쳐진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해, 우리는 현대사회 고유의 증여 논리를 ‘사물 고유의 범주와 화폐 경제의 발달’, 그리고 ‘주관주의적 인격과 자기 제한의 윤리’라는 두 가지 논점에서 접근한다. 셋째, 집단 간 명예를 위한 상징적 다툼을 연출하는 태고사회의 증여 의례와 오늘날 개인들이 서로의 성스러운 자아를 보호하고 배려하면서 참여하는 선물 주고받기가 어떤 점에서 대조되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어빙 고프먼(Erving Goffman)이 주목했던 ‘구두 상호작용’이라는 일상의 관행으로부터 오늘날 증여 행위의 이상적인 ‘모델’과 ‘규범’을 유추할 수 있음을 논한다.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자기증여의 취급에 관한 고찰

        정기상 한국세법학회 2023 조세법연구 Vol.29 No.2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notion that gift taxes are imposed on what donors give to themselves in common sens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transfer of wealth’. Excluding ‘self-gift’ from the gift tax is also considered to be in line with the nature of gift tax. Howeve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does not have a prestigious provision on non-taxation of self-gift. Even if there are no prestigious provisions, self-gift should be considered to be excluded from the taxation of gift tax in interpretation. The gift example clauses presuppose that the concept of gift is satisfied. Article 38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which stipulates the gift of profits from mergers, belongs to the gift example clauses. Self-gift does not meet the conceptual element of gift called ‘transfer of wealth to others’ and in some cases, it may meet the requirement of ‘increase in the recipient's property or economic benefits’. Therefore, even if merged new shares are allocated to treasury stocks held by the merged corporation or stocks held by the merged corporation, this is practically nothing more than the merged corporation issuing merged new shares to itself, which means nothing in terms of economic substance. The deemed gift literally means that any act or fact is deemed as gift, but does not meet the concept of gift. Therefore, the logic that the deemed gift clauses cannot be applied because self-gift does not satisfy the concept of gift is not vali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f the donor and the recipien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act or fact to impose the gift tax is denied due to their identity, the gift tax cannot be imposed according to the deemed gift clauses.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f the beneficiary corporation is also a shareholder of the related corporation, the sales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hare ratio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shall be excluded from the gift tax under Article 45-3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증여자가 자신에게 증여하는 것에 대해서도 증여세를 부과한다는 관념은 상식적으로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당장 ‘부의 이전’이 없는데 왜 과세하는가 하는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자기증여’를 증여세 과세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증여세의 본질에도 부합한다고본다. 그런데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는 자기증여 비과세에 관한 명문의 규정이 없다. 명문의 규정이 없더라도 해석상 자기증여는 증여세의 과세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보아야 한다. 증여예시규정은 증여의 개념을 충족할 것을 전제로 한다. 합병에 따른 이익의 증여를규정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8조는 증여예시규정에 속한다. 자기증여는 ‘타인에 대한부의 이전’이라는 증여의 개념표지를 충족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증자의 재산또는 경제적 이익의 증가’라는 요건을 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합병법인이 보유하던자기주식이나 합병법인이 보유하던 피합병법인의 주식에 대하여 합병신주를 배정하더라도 이는 실질적으로 합병법인이 자신에게 합병신주를 교부하는 것에 다름 아니어서경제적 실질의 측면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 피합병법인의 자기주식이나 포합주식과관련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될 수 없다고 새겨야 한다. 증여의제규정에서 자기증여 비과세의 논리는 증여예시규정의 경우와는 다르다. 증여의제는 말 그대로 어떠한 행위나 사실을 증여로 보게 될 뿐 태생적으로 증여의 개념 위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자기증여가 증여의 개념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증여의제규정을 적용할 수 없다는 논리는 타당하지 않다. 증여자와 수증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동일성으로 인하여 증여세를 과세할 만한 행위나 사실이 부정되어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이 해당 증여의제규정의 목적이나 취지에 부합하지도 않는다면 그 규정에따라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고 해석해야 한다. 이른바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규정인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3을 적용할 경우에도 수혜법인의 지배주주 등이 특수관계법인의 주주이기도 하다면 수혜법인의 특수관계법인에 대한 매출액 중 그 지배주주 등이 보유한 특수관계법인 주식비율에 대응하는 매출액만큼은 증여세 과세대상에서 제외하여야 한다.

      • KCI우수등재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최진수,정혜원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gifted education in Korea over the four years from 2018 to 2021, when the 4th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was implemented. To do this, the study data consisted of 190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CI-listed academic journal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Topic modeling (LDA)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icles on gifted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even topic areas: creative thinking, student selection and evaluation, career development,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schools, gifted education programs, underprivileged gifted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Among these, the topic that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opics studied was gifted education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in the topics over a period of four years, career development was a prevalent research topic, but the others were found to be neutral. Third, the topics of papers on gifted education research were linked to the keywords : teacher, perception, core competency, program, student, giftedness, and influence. In addition, recognition was an important keyword connected to most topics. Based on these results, we deriv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policy direction emphasized in the 4th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establishment.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시행되고 있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의 4년간 국내 영재교육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연구주제의 양상을 토대로 연구 및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KCI 등재학술지인「영재교육연구」와「영재와 영재교육」에서 발행된 연구논문 총 190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연구는 창의적 사고, 학생선발 및 평가, 진로 발달, 과학고 및 영재학교, 영재교육 프로그램, 소외 영재, 영재성의 7개 토픽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구 주제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교육 관련 연구주제의 4년간의 비중 변화를 시계열로 관찰한 결과, 진로 발달의 연구는 연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상향(hot)한 토픽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6개의 주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중립 토픽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교육 연구의 토픽은 주요 키워드인 교사, 인식, 핵심역량, 프로그램, 학생, 영재성, 영향의 키워드로 연계되어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인식 키워드는 가장 많은 토픽을 연결하는 중요한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재교육 분야에서 연구의 주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서 강조하고 있는 정책적 방향에 따른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영재교육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증여세 완전포괄주의와 흑자 영리법인을 이용한 간접 증여

        이창희(Lee Changhee),김석환(Kim Seokhwan),양한희(Yang Hanhui) 한국세법학회 2015 조세법연구 Vol.21 No.3

        이 글은 부(父)가 자(子)등 특수관계인에게 재산을 이전할 때, 직접적인 증여 대신 자(子)가 지배하는 법인에 대해 증여를 하는 경우의 증여세 과세문제를 검토한다. 몇 해 전부터 이러한 변칙증여에 대해 과세관청이 증여세를 부과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대한 하급심 판결들이 나오면서 흑자 영리법인을 통한 간접증여의 증여세 과세에 대한 논란이 점차 일게 되었으며, 2014년에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의 관련 규정이 개정되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다음 두 가지를 목표로 한다. 먼저 흑자 영리법인을 이용한 간접증여가 2003년 이래로 증여세 완전포괄주의의 입장에 있는 우리 증여세제하에서 타당한가라는 법해석론이다. 다음으로, 이런 간접 증여에 대해 2014년 개정된 증여세법 규정에 대한 입법적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글이 다루고 있는 하급심 판결에 나오는 사건 당시의 법령에서 흑자 영리법인을 이용한 간접 증여를 특정하여 예시규정에 포함시키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증여세 완전포괄주의를 입법하고 있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의 글귀 및 전체 체계를 보면 흑자 영리법인을 통한 간접증여는 증여세 과세 대상이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 제3항이 그 자체로 과세근거 규정이 될 수 있음은 대법원 판결의 입장이기도 하다. 다만 사실문제로 증여가액을 계산할 수 없다면 과세가 불가능하다고 하겠지만 영리법인을 통한 간접 증여에서는 증여가액을 분명히 계산할 수 있으므로 과세대상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2014년의 개정법은 흑자 영리법인에 대한 증여를 과세한다는 점을 명시하여서 해석론상의 시비를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법 개정 전 사건을 다룬 판결에서 증여세 과세를 부인하는 논거 중의 하나였던 이중과세 내지 세부담의 중복 문제는 개정법에서도 여전히 남아 있다. 2014년 개정법은 이 점을 고려하기는 했지만 직접 증여와 비교해 보았을 법인을 통한 증여가 한결 세부담이 높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간접 증여에 대한 세부담을 직접 증여의 세부담과 맞추기 위한 입법기술로는, 부과하는 증여세액의 상한을 정하는 조문을 두고, 이 상한액을 계산할 때 이미 부담한 법인세를 차감하는 세액공제방식의 제도를 두는 것이 현행 법령 체계상 가장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법원은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흑자 영리법인을 이용한 간접 증여에 대한 첫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은 영리법인 간접 증여는 개별 가액산정규정(제41조)에서 규율하고 있는 거래·행위이지만 흑자 영리법인에 대해서는 입법자가 의도적으로 과세에서 제외시킨 것이어서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다고 보았다. 예시규정에 나와 있는 유형의 거래이면서 예시규정에서 과세대상이 아니라면 일반조항으로 돌아가 과세할 수 없다는 점은 옳지만, 개정 전의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는 결손금이 있거나 휴업 또는 폐업 중인 법인을 이용한 간접증여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을 뿐이다. ‘특정법인’이 아닌 법인을 통한 간접증여는 제41조의 적용범위에 들어가지 않고 제2조 제3항에 포섭되는 증여이며 증여가액의 계산이 가능하므로 과세가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In order to transfer economic value to the offsprings or another generation, a transferor or donor may make an indirect gift by transferring the asset to a corporation held by the (intended) transferee, instead of making a direct gift to the transferee or donee. Gift taxation on the donee in such indirect gifts is a controversial pending issue in Korea. Over the recent years, the National Tax Service initiated taxation on this indirect gift in a number of cases, but the courts at the first instance and appellate level tend to deny taxability so far. As a result, the Estate and Gift Tax Act was amended last year to specifically prescribe taxation on indirect gift via a corporation. This paper examines whether gift taxation on indirect gifts via corporation is justified under then effective law, taking into account that since 2003, Korean gift tax system has been changed fundamentally to adopt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gift taxation.” The paper argues that indirect gift in issue is taxable under plain language of the Act and the concept of the comprehensive gift taxation, despite the absence of a specific article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gift. It also accords with the Korean Supreme court’s interpretation that article 2(3) of the Act is sufficient ground for imposing gift tax. If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gift, tax imposition would be improper, but the calculation does not raise any further difficulty simply because the gift is via a corporation. The article then analyzes tax burden of the indirect gift under the current rule and proposes some further legislative amendments to the 2014 revisions. Current rule does not fully eliminate double tax burden imposed by corporate income tax and as a result indirect gift via a corporation bears higher tax burden than direct gift to the shareholder. As a solution, the corporate tax on the gifts must be imputed to the shareholders and be credited from the gift tax on the shareholders. While this article was being reviewed for publication by journal editors, the Korean Supreme court published its first decision on indirect transfer of wealth via for-profit corporation, rescinding gift taxation on such a case. Its reasoning was that the legislative intent of art. 41 before the 2014 amendment should mean to as specifically exclude indirect transfer via profitable companies from gift taxation. However, the Supreme court’s interpretation that art. 41 covers all corporations is hard to accept. Art. 41 only covers corporations with loss or in dormancy. Indirect transfer via profitable companies is outside the scope of art. 41, and thus is a taxable gift covered by art. 2.3.

      • KCI등재

        16세기 양반사회의 “膳物經濟”

        李成妊(Lee Seong-Im) 한국사연구회 2005 한국사연구 Vol.130 No.-

        Relating to this academic conference, author tried to revealthe corruption situations in Chosun dynasty through Yangban(Aristocratic Class in Chosun Dynasty) official's way operating economy. From current view, there are many illegal, unreasonable aspects in Yangban officials' economic lives in 16C. Request for a official position through presenting gifts were common in their lives at that time. And taking advantage of their own position as governmental official, they cultivated some garrison farmor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paying tribute to king(it was called as Bangnap in Korean). Although the latter has strong negative image, gift economy is understood as economy-operating way of premodern society. Characteristics of economic system in premodern society lie in unstable and unclear ones. Modern national economy, finance has been developed toward clear distinction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and in collection taxes, the only public collect secures legitimacy. Private collection or private spending taxes is the problem directly linking to bribe or embezzlement. National economy of premodern society, however is characteriz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affairs is vague. Therefore, we are hard to absolutely think all considered not being public as corruptions. So, we need to examine the operation process of financial source from local finance operating system in Chosun society. Chosun, of course, as rare case, had suggested the ideas to clarify the distinction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from its establishment. The nation founders terminated the hereditary estate law andeliminated the grant of individual's privilege receiving tax from cultivating farmers. They had ideological frame which nation collects all financial resources and appropriately distribute them to people, and we can find the course realizing the goal. But, the idea eventually failed to make format with its original meaning.The gift economy examined until now is commonly considered as private section. But it is the sign that public affairs and private ones were not divided in Chosun's national finance. Unique operation principle of gift economy needs to be understood in Chosun times. At that time, local finance was mainly based on non-regular finance section, and gift is directly related to this problem. It can be said that Yangban(aristocratic) officials' behaviors presenting and receiving gifts in 16C was very universal economic system. The gift type by medium of official position has characteristics that local official unilaterally presents to Yangban officials and draws necessary financial resource out of the local office he governs. As nation takes some parts in gift presentation, gift can be said to be a part of national redistribution system. These Yangban(aristocratic) officials used gifts in exclusively enjoying them with their governmental authorities and in solidifying their unity. However, these behaviors of gift presentation eventually run out their lives along with the loss of an individual's influence. But the gift type presenting among relatives or friends still remain with us, Then how this gift-presenting behavior was appeared in the latter term of Chosun dynasty? Author is continually interested in that part, but have not found any related data. Author think it is dangerous to hastily conclude some periodic changes through only a few cases. But I hope the appearance of important data equalable to 'Mookjae's Diary or 'Miam's Diary' in 16C.

      • KCI등재

        선물선택에 대한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차이: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소진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8 마케팅관리연구 Vol.23 No.4

        When choosing a gift, we often consider the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of a gift. Desirability refers to the quality of the item’s end-state and is related to the central aspects of the gift, such as the quality of the food at a restaurant. Feasibility refers to the ease, convenience, or other nonessential aspects of the gift, such as the distance to get to the restaurant. Many gift choices involve a trade-off between the desirability and the feasibility of the gift. For example, we have to choose a highly desirable option (a highly rated restaurant that is an hour away) or a highly feasible option (a less well rated restaurant that is five minutes away).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s of participant role (gift giver vs. gift receiver) and regulatory focus (promotion vs. prevention) on the consumers’ relative preference of a high-desirability option.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relatively prefer a high desirable gift when they are giver than receiver. Additionally,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relatively prefer a high desirable gift than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The interaction effects of participant role and regulatory focus a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promotion-focused consumers exhibit a higher preference for a high-desirability option than prevention-focused consumers when they are gift receivers. However, when participants are gift giver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omotion-focused consumers and prevention-focused consumers. The results are shown to be because prevention-focused consumers choose a high desirable gift when they are gift receiver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better to emphasize desirability attributes over feasibility attributes when promoting a gift set prior to a holiday or anniversary. 우리는 종종 선물을 선택할 때 바람직성과 이용가능성 사이에서 고민한다. 바람직성이란 선물의 최종 품질이며 선물의 중심속성을 일컬으며 예컨대 레스토랑의 음식의 품질과 같은 것이다. 이용가능성이란 사용의 용이성, 편리성, 또는 선물의 부수적 속성을 일컬으며 예컨대 레스토랑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대개 선물 선택 문제는 바람직성과 이용가능성 간의 상충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는 음식 맛은 좋으나 거리가 먼 식당과 음식 맛은 보통이나 거리가 가까운 식당 중에서 어느 곳을 선택할지 고민한다. 본 연구는 바람직성과 이용가능성이 상충되는 선물을 선택하는 상황에서, 바람직한 대안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자의 역할(선물 주는 입장 vs. 선물 받는 입장)과 조절초점(향상 vs. 방어)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선물을 받는 입장보다 주는 입장일 때, 상대적으로 바람직성인 높은 대안을 선호하였다. 또한 방어초점집단보다 향상초점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바람직성이 높은 대안을 선호하였고, 의사결정자 역할과 조절초점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선물을 받는 입장일 때는 향상초점 소비자가 방어초점 소비자보다 바람직성이 높은 대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선물을 주는 입장일 때는 향상초점과 방어초점 소비자 간에 바람직성이 높은 대안에 대한 선호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물을 주는 입장일 때는 선물선택에 대한 조절초점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방어초점 소비자도 바람직성 높은 선물을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명절이나 기념일을 앞두고 선물용 세트를 출시할 때는 제품의 이용가능성보다 바람직성을 강조하여 광고하는 것이 매출 증가에 도움이 될 것임을 제안한다.

      • KCI등재

        Gift Sharing on Social Media: What Drives It?

        이미라,yoon hee kang 한국마케팅학회 2023 ASIA MARKETING JOURNAL Vol.25 No.3

        This study examines factors influencing gift sharing on social media. An online survey gathered data from American adults. It investigates how motivations for social media content posting, gift attributes, giver characteristics, and recipient reactions affect gift-sharing behavior. Findings show self-expression motives in content posting drive sharing, while social interaction motives do not. Gifts perceived as experiential and expensive are more likely to be shared. Recipient-centric gifts positively influence gift sharing, while giver-centric gifts hinder sharing. Attitude towards the gift predicts sharing, while appreciation does not. The study enhances understanding of gift sharing on social media and offers marketing insights for leveraging this behavior.

      • 영재교육 교재 적합도 및 교육내용 분석

        양태연,이정훈,박인호,김일,한기순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3 과학영재교육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교육청 산하 영재교육기관(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등)에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영재교육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재로서 적합한지, 그리고 우수교재와 비우수교재로선정된 교재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영재교육 교재는 총 10개 기관 779개의 주제였으며, 과목은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5개 과목이었다. 영재교육교재로서의 적합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가 틀을 제작하여 전체 779개의 주제에 대한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각 기관별 영재교재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문호(2008)가 개발한 영재프로그램 지면 평가틀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재교재의 분석 및 적합도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우수교재와 비우수교재의 선정기준 및 적합도분석에 대하여 총 3번의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대학교수, 영재교육(석, 박사)을 전공하고있는 현직 중등교사(수학/과학담당), 그리고 영재교육기관의 영재교육 전공 연구원 등 총 12명이 분석에 참여하였다. 교재 분석 및 적합도 평가에서의 채점자간 신뢰도는 .88 .92 로 보고되었다. 기관별 교재가 영재교재로서적합한지를 분석한 결과 전체 779개의 주제 중 53.9%는 적절하다고 평가되었고, 28.1%는 부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779개의 주제 중 매우 적절하다고 평가된 주제는 18%이었다. 영재교재의 적합도는 지역간, 영재교육기관별, 과목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영재교재로서 적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교재와 비우수교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의 사회적 책임 및 과학자의 임무와 리더십’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use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s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districts offic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eatures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teaching materials for gifted students. The gifted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included 779 themes at 10 institutes in two metropolitan areas. The 영재교육 교재 적합도 및 교육내용 분석 13 subjects include 5 academic domains such as mathematic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Jung(2008)’s frame was revis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welve experts in the gifted education area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and inter-rater reliability was .88- .92. Among the 779 themes analyzed in study, 53.9% was evaluated as the proper ones and 28.1% was considered unsuitable as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nly 18% out of the 779 themes was evaluated to be very desirable as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The appropriateness of gifted teaching materials significantly differed by region, gifted education institute, and subject areas. Overall,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aching material for the gifted was indicated to be low. Finally,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proper and non-proper teaching material for the gifted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evaluation areas except one which was the ‘social responsibility in science and scientists’ task and leadership.’ Implications of the study was discussed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