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사회 핵심역량 개념의 네트워크 구조 탐색

        한기순,안동근 韓國英才學會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network structure of core competence concepts in the future society requi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suggest the directions for competency-based future education. For this, we analyzed 56 core competence concepts from 102 text materials using a frequency analysis and the network analyses including centrality, k-core, and clustering analys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1 concepts of core competencies were inter-connected to one another as one component, although they have been examined from a variety of fields of study. From the results of centrality analyses, the concepts of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competency, creativity, cooperation skills, problem-solving, global competency, and critical thinking had high centralities. Especially, communication skills had the highest degree,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From the results of k-core analyse, 21.43% of the concepts had 10-cores components, and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ssociations were strong among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competency, creativity, cooperation skills, global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미래사회 핵심역량 개념의 네트워크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역량기반 미래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2개의 문헌에서 도출한 56개의 핵심역량 개념을 대상으로 UCINET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과 중심성 분석, 핵심집단(k-core)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사회 핵심역량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41개의 개념들이 하나의 컴포넌트를 형성하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심성 분석에서는 의사소통, 정보역량, 창의성, 공동체역량, 문제해결, 글로벌역량, 비판적 사고 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의사소통은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핵심집단 분석결과, 전체 개념 중 21.43%의 개념들이 10-core 컴포넌트를 구성하여 네트워크내에서 핵심부를 형성하였고, 클러스터 분석결과 의사소통, 정보역량, 창의성, 공동체역량, 글로벌역량, 문제해결 등이 상호 연계가 강한 계층적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 시행 후 진로성숙도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기순,심승엽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시행중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유학기제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논문들을 찾아 메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계량화 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 통계 분석치를 포함하지 않은 연구 등을 제외하고 최종 29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65개의 개별효과 크기를 도출하였다. 모집단의 값이 86.67로 이질하여 랜덤효과 크기로 확인한 결과 진로성숙도의 총 효과 크기는 .507 이었고 평균값의 95% 신뢰구간은 .365에서 .603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의 효과 크기는 크게 태도, 능력, 행동 세 가지 영역으로 살펴보았으며, 행동영역 평균 효과 크기는 .424, 태도영역은 .439, 능력영역은 .575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운영모형에 따른 평균 효과 크기는 동아리활동 운영모형이 1.252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예술・체육활동 운영모형 .674, 선택프로그램 활동 운영모형 .538, 진로탐색 활동 운영모형은 .38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유학기제는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 및 동아리활동 운영모형에서 상대적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유학기제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측면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장의 자유학기제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해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meta-analysis. To understand this, the studies related to career maturity in free learning semester were statistically quantified using meta-analysis approach. Design: Researchers selected and analyzed 29 primary studies using meta-analysis which reported effects of career maturity. The effect size of the career maturity subcategory was divided into attitude area, ability area and behavior area. In addition, the effect size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intensive operation model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arts and sports activities, and student selection program)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s of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areas were .439, .575, .42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model, the effect sizes were in the order of club activities(1.252), arts and sports activities(.674), student selection program(.538), and career exploration(.383). Valu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eta-analysis of the vast amount of related studies.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기순,최호성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서 AP(Advanced Placement)를 경험하고 현재 대학생이 된 39명의 영재고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영재학교에서 운영 중인 AP의 운영실제 및 그 의미를 탐색 하고 2015년부터 과학고로의 전면적 확대를 앞두고 있는 AP의 향후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현재 영재학교 학생들은 기초필수와 선택과목 등으로 평균 8과목 이상의 AP 과목을 수강하고 있었다. AP 교과목의 경우, 대개는 영재학교 2학년부터 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PT(placement test)를 통해 1학년 때부터 AP과목을 수강하는 경우도 있었다. AP로 제공되는 선택과목들은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수학 교과에서는 비교적 많은 전공 선택 과목이 제공되고 있으나 생물이나 전산 교과 등을 이수하려는 학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선택의 폭이 적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 의하면 영재학교에서의 AP는 오히려 대학에서의 수업보다 내용상 더 어려웠으며 소수인원으로 진행되는 만큼 활발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함께 충실하게 운영되었다. 하지만 AP 과목의 이수 인정 학점인 C+의 타당성과 관련해서는 상이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다양 한 측면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AP가 0.5년에서 1.5년의 조기졸업을 위한 통로로도 활용되어지지만, 학생들은 AP로 단축된 시간을 복수전공, 부전공, 해외 교환학생 등과 같이 다양한 기회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남학생들의 경우 AP로 인해 단축된 시간이 있어 군복무 기간에 대해 다소 부담감을 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AP가 학생 개개인 관심사나 연구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주기도 하였으며, 무엇보다 AP를 통해 고등학교에서 보다 진지하게 진로를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유용한 시간이었다고 학생들은 지적한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에서 AP 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더욱 확대.발전하기 위해서 학교-대학 간의 보다 원활한 행정시스템 개선, AP 과목 인정 대학의 확대 등을 포함한 몇 가지 현실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the AP (Advanced Placement) at the specialized school for the highly gif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39 college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the specialized schools with the AP experiences. It is expected that the AP will be expanded to the students at the Science High Schools from the year of 2015,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o examine the realities of the AP in-depth especially through the voices of the AP participants. Students have taken 8 required and/or selective courses as AP in average. Students usually start to take AP from the second year of the specialized school for the highly gifted, but some start from the first year through the placement test. Numbers of available AP courses vary by subjects, but relatively more courses open in the areas of math and physics. Students' opinions regarding the AP were quite positive. Specifically, the high quality of the AP class and energetic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teacher compared to the college classes were preferred by the students. However, it was controversial whether C+ is enough for the pass condition of the AP. Students were using the shortened time by AP in diverse ways, such as early graduation, double majors, exchange students, individual researches, and so on. Most of all, they tried to search for their career interests through the AP experiences. In closing, the present study provides some advice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better AP management,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between schools for the gifted and the universities, and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university which approves the AP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무엇이 영재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방해하는가?: 영재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 운영 장애요인 탐색

        한기순,황현경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ng status and to find out the obstacles of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operation. For the study, 102 gifted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operating status of gifted education,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services related identification of the intellectually and creatively gifted, working with gifted students in content areas, and developing academic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gifted working above the average level. But the other 17 out of the 22 areas related to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practices were rarely or never provided. In particular, the services related to differentiation for gif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r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differentiation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and cooperation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almost never provided. Second, concerning the barriers of gifted education, barriers related to the overwork and lack of time were reported most often. However, different services were most impacted by different barriers. For example, the services most impacted by cost barrier were to facilitate school-wide even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e gifted; while services most impacted by policy barrier were to work with students not formally identified.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 과학영재교육의 인재상 및 방향성 탐색

        한기순,안동근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 과학영재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을 제시함으로써 미래사회 과학영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과 자연지능의 기능적 차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과 차별화될 수 있는 인간고유의 과학영재 핵심역량을 제안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네 가지 인재상은 감성적 가치판단가, 과학·공학적 창조자, 초연결적 매개자, 전생애적 과학자이다. 첫째, 인공지능이 대체 불가한 빅데이터 시대의 감성적 가치 판단가 양성을 위해 본 연구는 유연하고 비판적인 상황인지역량과 인문적 소양 기반의 문제인식역량을 관련 핵심역량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메이커 혁명을 주도할 과학·공학적 창조자를 기르기 위해 과학지식 산출역량과 기술공학적 실행역량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인공지능과 상생하는 초연결적 매개자를 양성하기 위해 휴먼-컴퓨터 매개역량과 이성-감성의 매개역량의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끝으로, 진로를 디자인하는 전생애적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기 주도적 진로창조역량과 첨단과학기술 습득 및 평생학습역량을 주요 하위역량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재상과 하위 핵심역량 제안과 더불어 향후 급변하는 시대와 사회변화에 대응-대비할 수 있는 과학영재교육 시스템 변화에 대한 방향성을 함께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기순,배미란,박인호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현재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266명의 과학 영재들을 대상으로 Sternberg (1988, 1990)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한 사고양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사고양식의 특성을 밝히고,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들은 일반 학생들보다 자유주의적이고 입법적인 성향, 그리고 사법적인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집행적이고 보수주의적인 성향보다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에 적합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고양식은 지능검사 및 과학적 탐구능력과는 거의 관계가 없었지만, 창의성 검사와는 부분적인 상관을 보여 주었다. 즉 자유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학생들은 TTCT검사의 독창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유창성은 보수주의적인 경향성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법적인 양식은 독창성 및 융통성과 긍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과학 영재들의 사고양식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과학 영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how how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ink in terms of Thinking Style Inventory based on Sternberg's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thinking styles,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wo hundred and sixty-six middled school students (169 boys, 97 girls) who enrolled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refer legislative, liberal, judical thinking styles, in comparison to general students, known to be related to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tyles, in comparison to general students, known to be related to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executive and conventional styl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y of thinking style sub measures and Raven' Matrices and Scientific Aptitude Test, but som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sub measures of thinking style and TTCT. Whereas liberal students gained high originality scores, conventional students gained low fluency scores. Also, judical thinking styl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riginality and flexibility TTCT sub scores. In sum, this stud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yle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탐색

        한기순,공영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사가 지각하는 다양한 영재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탐색해 보고,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 경기 등 총 10개 교육청 소속 영재교육기관 영재교사 183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개 요인(영재교사의 역할 정체성, 영재 교육과정 및 수업 운영, 영재교육에 대한 지원 및 보상, 영재교육 관련 대인 관계) 27문항으로 구성된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영재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재교사의 스트레스가 클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또한 영재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특성 및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사 정책 및 영재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ous job stress factors perceived by teachers of gifted student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the role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of gifted students on their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For this purpose, 183 teachers of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ment to measure gifted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it was composed of 27 questions in 4 factors which were 'gifted education teacher's role identity',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the gifted', 'support and reward system for teaching the gifted', 'personal relationship related to gifted educat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find out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n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Gifted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especially 'gifted education teacher's role identity' facto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Third, teacher efficacy did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 but revealed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utilizing the Baron and Kenny's three 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mplication of the study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was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관찰-추천제는 어떤 특성의 영재를 선발하는가? : 선발시험 vs. 교사관찰추천으로 본 영재들의 지능, 진로유형, 자기조절 학습능력

        한기순,양태연,박인호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단계 선발방법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과 새로운 전형인 관찰추천제도로 선발된 영재아동의 지능, 자기조절 학습능력, 진로유형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특성비교를 통하여 영재 선발 방식의 대안으로서 교사 추천 방식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지능은 기존의 3단계 전형에 의해 선발된 영재(IQ=129.82)들과 관찰 추천제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IQ=130.54)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영역별로 살펴보면, 어휘적용력이나 이해력, 도식화 능력 등은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유형의 경우는 선발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존 선발전형의 영재들은 탐구형(72%)이 월등히 많은 반면,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은 탐구형을 포함하여 기업형, 사회형, 실제형, 관습형 등의 유형분포가 기존의 선발시험제도 영재들 보다 넓게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에서는 과제인식, 학습신념의 통제가 기존 선발시험제도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한 차이로 높았으며, 시험불안, 시연, 정교화, 조직화, 동료학습에서는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paper and pencil test utilized to identify gifted students so far to the recently introduced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intelligence, career patterns, and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ose two different identification system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newly introduced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overall IQ score. However,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e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at some subscores of intelligence test, such as vocabulary application, comprehension, and schematization. In the aspects of career patterns, about 72% of gifted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revious paper and pencil test belonged to the 'investigative' category of Holland. But more diverse career patterns such as enterprising, social, realistic, conventional including investigative categories were found in those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by the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