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양식이 중의적인 시간 질문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

        김기수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23 영어영문학연구 Vol.65 No.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formats and an ambiguous question about time in English and Korean. All of the studies about the ambiguous time question on different days of the week (Monday or Friday) for Korean participants rely on paragraph text for presenting the text materials. Thus, it is necessary to compare spoken and written formats and investigate effects of the text format itself. The experiment investigates whether text format differences in spoken in person and paragraph text formats contribute to Koreans’ interpretation of the ambiguous question about time.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are asked the question that produces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the metaphor participants adopt in spoken and written forma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 that Korean participants have a baseline preference for the time-moving metaphor, with a stronger preference in spoken rather than written format in both English and Korean and the Korean condition yields more Monday responses. In a natural communicative state, Korean speakers are more likely to make use of the time-moving metaphor, understanding time as moving forward towards the ego. The results provide new evidence of the effects of the text format itself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mbiguous time question in English and Korean.

      • 특집 : 한국 가족과 인간 관계 해체의 원인과 대책

        강병문 ( Byung Moon Ka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7 성경과 상담 Vol.7 No.-

        이 논문은 한국 가족과 인간관계의 해체의 원인과 그 대책을 연구하기 위한 글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다. 하나님께서 만물을 창조하시고 그 후에 하나님의 대리자로, 만물의 통치자로 인간은 하나님의 제사장으로 만들어졌다. 하나님의 존재와 본질이 삼위일체의 하나님이시므로 서로 삼위 하나님이 무한한 사랑의 관계를 가지고 계신다. 삼위지만 하나인 것같이 그 와는 창조주와 피조물이라는 입장에서 본질적으로 다르지만 인간의 모든 관계도 너와 나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에 존재한다. 나와 너의 교제는 나와 네가 생각과 감정을 갖고 있고 표현하는 독립된 존재이지만(내재) 나는 나를 초월해서 상대와 환경을 고려하고 이해하는 마음의 공간이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다(초월). 나는 결코 홀로 존재하지 않고 상대와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현대에 와서 세계관의 변천에 따른 핵심 가치관의 변화와 그에 따른 사회의 복잡화, 다양화, 속도화로 인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집중으로 현대사회는 내재에 대한 편중으로 내재와 초월의 균형이 우리의 정신세계 속에서 깨졌다. 그런 내재에 대한 편중의 불균형은 모든 인간관계와 그 모든 인간관계의 근본인 부부관계와 가족관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그리고 이어서 변화된 부부관계와 가족관계가 사회 전체를 변화시켜나가고 있다. 내재와 초월이 깨지므로 각자의 독특성은 강조되지만 친밀성은 부재하게 되어 인간관계 및 가정관계의 친밀성이 자연스런 해체 내지 소멸의 과정을 겪고 있다. 이것을 연구하기 위하여 첫째로, 봉건, 근대, 현대의 세계관의 변화에 따른 핵심가치관의 변천에 대하여 L`abate의 인격 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고, 둘째로, 핵심적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부부와 가족관계 해체의 현상을 토론하였다. 물질적 가치가 정신적 가치를 역전하고 사회 유동속도가 빨라지므로 생기는 부부 및 가족 관계의 와해 현상을 살펴보았다. 셋째로,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자아 형성의 변화를 살펴보므로 부부 및 가족관계 와해의 실제적인 인간관계 패턴 형성의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았다. 넷째로, 자아 형성패턴에 따른 대화유형과 대책을 연구하므로 한국 부부와 가족관계 그리고 더 나아가 인간관계의 문제 요인에 대한 대화를 통한 개선을 연구하였다. Human being is made of God`s image. God Created all things and a man as an agent of God and the priest of God.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is the triune God. God the Father, God the Son, and God the Holy Spirit is in the relationships of eternal love. Though God and human beings are completely different in nature as a creator and a creature, human beings are also immanent and transcendent, as God is immanent and transcendent, God and human beings are in personal relationships. Human beings do not exist in a vacuum, but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balance of immanence(to know what I am) and transcendence(to know what others are by transcending myself) are broken. The imbalance toward the immanence makes us too much preoccupied with the time and space through the complexity, the diversity, and the rapid speed of the moden society. This phenomena make strong impacts on all human relationships, couples` relationships, and family relationships in Korea. Emphasis on immanence makes an individual unique, but their relationships and union is becoming absent. The intimacy in human relationships and family relationships are becoming weak. To understand this phenomena, firstly, the change of core valu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worldviews has been explored. Second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re values, the disorganization of couples` and family relationships are being brought about. Thirdly, The change of ego formation according to value changes has been discussed. Fourthly, as remedies, the conversation styles are mentioned according to various ego formations.

      • KCI등재

        프리다 칼로(Frida Kahlo) 작품에 나타난 통합적 자아

        유봉자 유럽문화예술학회 202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3 No.1

        Frida Kahlo is a passionate female painter who was destined to suffer in agony going through all these physical pains caused by her own disabilities and accidents that she had gotten during the turbulent period of Mexico from the 1920's to the 1940's. She mainly dealt with her own body as topics for her work, and that was what had led her to present her experiences as a woman and motherly imagination as well in realistic and authentic fash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Frida Kahlo built up her egos as looking into her life and work. How Frida Kahlo had formed her egos could be observed from the three points of view. The egos are believed to say an ego as a woman focusing on a relationship with Diego Rivera, an ego based on motherhood related to these desire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an integrative ego of the earth which had been formed as it would embrace all of the other previous ones. In terms of how this study discusses how Frida Kahlo built her egos as observing the whole work from an insightful perspective, it helps this study considered significant for it has expanded an range of any previous research on Frida Kahlo's egos all the way to the integrative ego going even beyond the perspective of feminism. 프리다 칼로는 1920대에서 1940년대 멕시코의 격동기에 장애와 사고로 얻은 육체적 아픔을 온몸으로 겪으며 고통과 함께 살다간 강인한 여성 화가이다. 그녀는 자신의 육체를 그림의 주제로 하여여성으로서의 경험과 모성으로서 상상을 사실적이고 진실하게 작품에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리다 칼로의 삶과 작품을 통하여 그녀의 자아 형성과정을 탐색해 본다. 프리다 칼로의자아 형성과정은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해 볼 수 있다. 디에고 리베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여성으로서 자아, 임신과 출산의 욕구와 관련된 모성으로서의 자아, 이를 모두 포용하여 형성된 대지로의통합적 자아가 그것이다. 프리다 칼로의 자아 형성과정을 작품 전체를 통한 통찰적 시각으로 살펴보는 것은 이전까지 연구되었던 프리다 칼로의 자아에 관한 연구 영역을 페미니즘의 시각을 넘어 통합적 자아로까지 확장해본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도덕적 자아 형성 이론에 따른 청각장애 고등학생의 도덕 교과 교육의 전략 특성 연구

        권순황 ( Soon Hwang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청각장애 고등학생의 도덕적 정체성 확립과 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덕과 교수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고등학생은 낮은 한국어 사용 능력과 인지 능력 면에서 제한된 사고활동과 추론 능력 등으로 텍스트 중심의 도덕 교과 교육 내용을 지도하는데 곤란을 겪으며 정의적 수준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도덕적 자아 형성 이론은 청각장애 고등학생의 도덕과 자아를 통합하는 교수 전략으로 학생의 경험과 교과내용을 연계시켜 주는 중요한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셋째, 도덕적 자아 형성 이론은 청각장애 고등학생의 도덕적 정체성을 그들의 인지 발달수준에 맞춰 자아와 도덕성을 통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과 그들의 경험에 기반하여 도덕적 정체성을 누적적으로 발달시키는 2가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ral education strategies based on moral formative theory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al ego formative theory is an effective theoretical model for integration of morality and ego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Second, the moral ego formative theory have two approaches for moral education for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first one is integration strategy of their morality and ego following their cognitive development level and the other one is integration strategy of their morality and experiences level.

      • KCI등재

        남·여성 ‘자아’ 형성에 미치는 지배담론의 영향 : 『엄마도 아시다시피』를 통해 본 모자·모녀 관계의 상대성

        박선경(Park sun-kyoung) 한국언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학 Vol.114 No.-

        After a long exploration and narrative work on body discourse and feminine discourse, Cheon Yeon-young shows a deep experimental spirit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existing discourses and grand discourses and the correlation that has on the formation of ‘Ego’. The artist has come to the novels 『Ginger』, novel collections 『Myeongrang』, 『As you knows』, and closely explor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lf through family relations father-and-daughter relations mother- and-son relations and mother-and-daughterd relations and the language and human existence. She is dealing with the essential problem of Her work, which reveals the true nature of self and subject by looking into the child s family relationship, which begins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body, is an achievement that must be reevaluated in that she is always heading for a more fundamental problem while pioneering a new narrative field.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the self, subject that the artist identifies with the works of the recent work collection 『As Mom Know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go formation and the language of the system. The male protagonist at the position of the father in the triangular structure of family desires seen in the collections of works 「As Mom Knows」, 「Glass Lip」, and 「Twenty-Three Eyes」 is still in the arms of maternal women. It shows that you are staying at the level of being a boy. This is what the artist perceives as the “Ego” of a man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of this land and the meaning that the work represents. In the appearance of staying in the child who stayed in the male protagonist s mother s arms or returning to it, the mother s son, who exhibits perfect maternality, does not become a rational subject that has achieved independence and individualization and is dependent on the boy appearance. The author s clarification and insight that the existing men in this land did not become independent subjects of complete separation, but rather became a dependent self in real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by staying in boys who need the care of women with motherhood. Could be confirmed I was able to face the artist s insight and representation of staying in the self . In the mother s arms, who play the role of a strong guardian and male head in the patriarchal system, the “son” manifested an inner “anima” and stayed in the mother’s arms, showing that the mother and child relationship could continue to be completely united. This was to recreate the reality that the son was able to live without having to achieve separation and personalization because there is a mother who has been wholly devoted to a son born with a phallus in the patriarchy and has been a powerful fence. The author s clarification and insight that the existing men in this land did not become independent subjects of complete separation, but rather stayed in boys who need the care of women with maternity, thereby having a dependent self in real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Could be confirmed. On the other hand, from the image of a girl who had to live alone, thrown out of her mother s arms or without any fence, from the triangle of family desire to the role of husband and father as guardians works “Remaining Education”, “Closed Eyes” and “My Severe and sad children”. I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e mother gave a female hysteria to her daughter, and the girl had to accept it and protect her, but the girl showed an animus-like ego and played the role of the father (father) protecting the house and women. The reality of this narrative is not a story of a girl in a peculiar environment, but rather a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our society where the idea of son preference was strong. Could In the works, the mother , who had to live a life of frustration under the existing patriarchal system, can pour out the resentment.

      • KCI등재

        『빨간 모자』와 성의 정치학: 페로, 그림, 그리고 안젤라 카터

        조현준 ( Hyun June Cho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8 동화와 번역 Vol.15 No.-

        This paper aims to compare “Little Red Riding Hood”(1697) by Charles Perrault with “Little Red Cap”(1812) by brothers Grimm, and to connect them to “Company of the Wolves” in Bloody Chamber(1979) by Angela Carter, a modern British woman writer who rewrote the “Little Red Riding Hood” from the sexual politics’ point of view. Bruno Bettelheim who adapted ego psychology focuses on developing children’s mature consciousness and civilizing their chaotic pressure of their unconsciousness such as Oedipus Complex boys’ desire of incest and parricide through reading fairy tales, and evaluates the Grimms’ version is better than Perrault’s one. The reason is that the former provides better means for children’s identification than the latter so that it can show a more elated self and proper gender roles in the rebirth of a little girl after death, and also the happy ending despite many problems. However, the proper gender role for girls is mainly based on sexual passivity, virginal chastity and female modesty, so called the ‘normal femininity’ of Sigmund Freud. Angela Carter who accepted Robert Darnton’s historical and contextual view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female subjectivity in rewriting the traditional fairy tales. She tries to escape from the binary gender dichotomy (female as a victim/ male as an oppressor) and underscores the real importance of sexuality in the formation of a girl’s ego in the respect of women’s subjectivity. Comparing Bettelheim’s ego formation view on “Little Red Riding Hood” and “Little Red Cap” with Carter’s sexual politics view presented “The Company of the Wolves”, will be an effort to combine the synchronic approach based on general grammar in fairy tales with the diachronic one based on historical and political reality of fairy tales,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s on sex, gender, sexuality politics. Fairy tales cannot be a closed one, and should always be open to rewrite for the future generation.

      • KCI등재

        金祐鎭의 詩 硏究 1 - 漢詩에서 自由詩로의 移行 -

        손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3

        近代 文學의 形成期인 1910년대의 文化經驗으로 自己表現方式을 찾아간 金祐鎭의 漢詩에서 自由詩로의 移行 原因과 現狀을 밝혀보았다. 그의 詩는 1910년대의 <學之光>의 詩들과 共通點을 지니면서도 詩的 對象이 具體的이고 體驗을 통해 形象化된 점이 다르다. 金祐鎭은 自身의 심정토로를 위해 새로운 型式을 追求할 수밖에 없었고, 經驗을 통해 詩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막연한 情緖의 토로나 관념적인 당시의 <學之光>의 詩들과 달리 自己告白的이다. 金祐鎭은 내용과 결합된 호흡과 리듬을 통해 自我의 갈등을 극대화시켰다. 初期 詩에서는 漢詩 作法의 要素(用事·新意)와 漢字의 특징을 이용해 隱喩를 만들었다. 그러나 동일시기에 창작한 「學窓音(1919)」과 「아버지께」는 아버지와의 갈등을 드러냈는데 漢詩에서는 隱喩的, 重義的으로, 自由詩에서는 내면 호흡을 바탕으로 자연발생적 리듬에 의해 정서를 直接的으로 표출했다. This thesis discovers the causes and phenomenon behind the transition from a traditional style poetry to a free verse poetry through Woo Jin Kim, who found his own representation style through cultural experiences in 1910s,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modern literature. How Kim was able to transform his literature experiences into different literature genres such as poem and drama is related to his continuous poem writing after he moved to Japan in 1915. Through endless conflicts between the world and the ego, Kim sought for ideal literature world apart from secular world. Although Kim share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 poets of the same period in 1910s' <Hak Ji Kwang>, Kim was different in that his poems were more specific, written from more individual aspects. Kim had to seek for a new literature style to expose his feelings and shaped his poem through own experiences which makes his poem more self confessing unlike other <Hak Ji Kwang> poets who were rather ideological, confessing indefinable emotions. Especially, Kim maximized the conflicts of ego through combining rhythm and contents. In Kim's early poems he created metaphors through traditional style poetry's writing techniques and features of traditional characters. Both the traditional style poetry <Hak Chang Eum(1919)> and the free verse poetry <To My Father> were written in the same period and contained similar contents but the traditional style poetry was more metaphorical whereas the free verse poetry was more direct and how Kim's emotions were exposed directly where his inner side is portrayed through spontaneous rhythm explains Kim's transition to a free verse poetry.

      • KCI등재

        종교인의 자아방어기제 특성 -무종교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세훈 한국종교교육학회 2012 宗敎敎育學硏究 Vol.38 No.-

        이 연구의 목적은 무종교인과 비교하여 종교인의 자아방어기제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불교, 개신교, 천주교, 원불교 신자와 무종교인 456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방어유형 질문지(Korea-Defense Style Questionnaire : K-DSQ)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종교유무와 종교 유형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를 가진 집단은 종교를 갖지 않은 집단보다 적응적방어유형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종교를 가진 집단은 종교를 갖지 않은 집단보다 승화, 반동형성의 방어기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원불교 집단이 개신교, 천주교 집단과비교하여 미성숙한 방어유형의 점수가 낮고 적응적 방어유형의 점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유의미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신석정 초기 시에 구현된 상상계 연구

        소미 ( Wei Shao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4 No.-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으로 신석정의 초기 시를 재분석하고자 한다. 라캉은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세 가지 질서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신석정의 초기 시를 라캉의 상상계의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상상계는 동일시와 오인을 기반으로 구축되는데, 주체는 거울 이미지를 자신으로 오인하고 거울 이미지와의 동일시를 상상한다. 그러나 이런 동일시는 주체의 상상에 불과하고 주체와 거울 이미지는 처음부터 이질적인 존재이므로 동일화될 수 없다. 동일시의 실패로 인하여 주체는 거울이미지로부터 소외된다. 이런 과정 속에서 주체는 자신이 타자와 분리된 독립체인 것을알게 된다. 한편 거울 이미지는 주체와 외부 세계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거울이미지를 통하여 주체는 이상적 자아, 성숙된 자아를 내다볼 수 있다. 이상적 자아는 라캉의두 번째 질서인 상징계 중의 자아 이상의 원형으로서 기능한다. 흔히 신석정의 초기 시로 분류된 두 권의 시집, 『촛불』(1939)과 『슬픈 목가』(1947)는 모두 일제강점기 아래 창작되었다. 같은 시대 배경임에도 불구하고 두 시집의 시적 경향은 많이 다르다. 『촛불』에서 이상적 자연 공간의 상징인 어머니는 거울 이미지로 나타난다. 시적 주체는 어머니와의 동일시를 상상함으로써 어두운 현실을 부인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런 상상에 의한 동일시는 외부 현실로 인한 주체의 무의식적인 불안감을 지울 수 없다. 이런 무의식적인 불안감은 주체가 ‘어머니’를 반복해서 부르는 것, 의문구와 가정법의 재차사용을 통하여 엿볼 수 있다. 『촛불』에서 주체가 추구하는 어머니와의 이자적(二者的) 자연 공간은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환상적인 세계이다. 서로 이질적인 이미지들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이상적 자연 공간은 무한성을 지닌다. 어머니로부터 소외된 주체는 계속해서 동일시할 대상을 찾게 된다. 동일시는 리비도의 투사이다. 『슬픈 목가』에서 주체의 리비도는 ‘인사로푸’와 같은 청년들로 전이된다. 청년들은 주체가 동일시하려는 두 번째 거울 이미지로 작용한다. 청년들은 주체의 이상적 자아이며 주체는 그들과의 동일시를 통하여 혁명과 조국의 해방을 꿈꾼다. 이상적 자아와의 동일시 또한 실패할 수밖에 없지만 이상적 자아의 출현은 주체에게 자신의 미래의 모습에 대한 예기를 제공해 준다. 이상적 자아는 『슬픈 목가』 뒤에 발표된 중기 시에 드러난 투쟁적주체의 원형이다. 이처럼 라캉의 이론을 통하여 신석정 작품 경향의 변화를 보다 면밀하게 고찰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arly poems of Shin Seok-Jeong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s Psychoanalysis. According to Lacan, the establishment of subject happens in three stages.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Shin Seok-Jeong``s early poems match the first of the three stages, the one called the Imaginary. The Imaginary, a crucial stage in the formation of the ego, is based on identification and misconception. By equating him or herself with the mother, an infant child can find the perfect love given by mother at the time of birth. However, the identification is an imagined one that cannot come true. It is a Mirror image that helps to connect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mirror image, the child could anticipate the ideal and mature ego, misconceiving the mirror image for himself to gain unity,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ing alienation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himself and mirror image. Shin Seok-Jeong``s early poems include two anthologies, "Candlelight" and "Sad pastoral songs", both of which were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e two anthologies are quiet different in character. In "Candlelight", a world constructed only through the subject and a mother figure is expressed. The Mother represents a transcendental guide, a companion, as well as a natural space where one could break away from reality. So the subject tries to escape from reality by equating himself with the mother. However the unconscious anxiety persists. In "Sad pastoral songs", young people act as mirror images. Through the displacement of misconceiving young people for himself, the subject dreams of revolution, and a social participatory ego is formed.

      • KCI등재

        세계와의 경계면으로서의 촉각 : 자아형성과 관련해서

        정지은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2 현대정신분석 Vol.14 No.1

        데카르트를 비롯한 근대철학자들은 고유한 신체를 주제화한 최초의 철학자들이었다. 메를로-퐁티는 이러한 근대철학자들의 신체 개념을 더욱 발전시켜 살의 존재론을 확립한다. 그런데 고유한 신체에서 살의 존재론으로 이르는 과정에는 시각, 촉각, 운동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가 지속적으로 개입한다. 이는 전오이디푸스 시기의 아이가 어머니와 갖는 최초의 분리의 경험에서 기능하는 시각, 촉각, 운동성과 관련되며, 이 시기의 아이에게서 온전한 통합체로서의 자아가 형성된다. 즉 어머니의 품 속에서 어머니의 행동을 모방하는 아이는 세계 안에 감싸여 있으면서 세계를 감싸는 자아와 비교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형성된 피부-자아는 연속적인 전체를 이루고, 자신의 내적자극, 외부 세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경계면을 만들어낸다. 그렇지만 성인의 경우에 촉각적 경험에서 유래한 살의 존재론이 자아의 형성을 설명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성인은 이미 언어의 세계 속에 있기 때문이다. 살의 존재론은 현실의 층위에서 실재로부터의 방어를 위한 것으로서, 비분리의 실재로부터의 분리라는 환상의 기능을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