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베를린 문화예술센터의 고찰을 통한 국내 복합문화공간의 예술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인의 문화예술교육과 예술 향유에 대한 욕구의 증가로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복합문화공간의 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활용과 양상을 검토해보고 그 방향성 을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럽의 대표적 복합문화공간인 베를린 문화예술센터와 국내의 국립아 시아문화전당, 예술의전당을 중심으로 그 역할과 가치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베를린의 복합문 화예술 센터에서 제공하는 예술교육은 시와 지역민의 참여도가 높고 유대관계 또한 매우 컸으며, 상주단체인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도 전문성을 기반으로 예술교육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었다. 둘째 아시아문화전당의 운영에서는 동시대 예술을 추구하는 설립목적의 정체성과 어린이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돋보였으며, 전문인력 아카데미의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적인 인력을 자체적으로 양성하고 있었다. 셋째, 예술의전당에서는 장르별 실습 교육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미술에 가장 높은 참여를 보였으며 전문인력 아카데미 프로그램은 공연기획과 전시기획 그리고 예술경영 등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복합문화공간의 지역적 인프라와 인적자원의 활용이 공공성 있는 예술교육의 운영에 중요한 요소이며, 예술의 구현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 관점에 서 설계하고 예술교육의 지식정보와 교류에도 가치를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rt education programs of multi-purpose art spaces are being used and discuss their future directio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ere people pay greater attention to multi-purpose art spaces, following their increasing demands for culture/art education and art appreci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d the role and value of multi-purpose art spaces by focusing on Berlin Culture and Art Center,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ulti-purpose art spaces in Europe, and Asia Culture Center and Seoul Arts Center in South Korea.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education provided by the Berlin Culture and Art Center showed high participation from the city and local residents and deep bonding among the participants.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which is a permanent organization of the center, was also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art education based on the professionalism. Second, in the operation of the Asia Culture Center of South Korea, identity of the goal of foundation, which is a pursuit of contemporary art, and diversity of programs for children stood out. The organization was autonomously cultivating technical professionals through programs by the professional manpower academy. Third, in the Seoul Arts Center, practice education by each genre was being constantly implemented and the learners showed highest participation in painting, followed by music. The academy programs for expert workforce were divided into performance planning, exhibition planning, and art management. The results imply that the use of regional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of multi-purpose art spaces is an important element of implementing art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arts, art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values should be put o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well as exchange of art education.

      • KCI등재

        유럽 문화도시의 축제 프로그램을 통한 예술교육 방향성 고찰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 문화도시의 축제 프로그램에 나타난 다양한 예술표현 형태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와 예술교육의 역할 그리고 시민 문화예술 향유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럽 문화도시로 지정된 글래스고, 아비뇽, 베를린 축제의 특징을 살펴보고, 시민들이 참여하는 예술교육의 분석을 통하여 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또한 문화도시에서 축제 프로그램의 동향과 예술구 현 방법에서 나타난 시민예술 향유 및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도시의 대표적인 축제에서는 지역사회와 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축제 프로 그램에서 예술표현은 예술가의 작품과 공연에서 공간적 자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축제 프로그 램을 통한 예술교육은 지역적 인프라와 인적자원의 활용이 축제의 성공과 관련이 있으며, 공공성 있는 예술교육을 위해서는 소통과 예술단체의 내실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축제 프로그램에서 는 일시적인 예술 공연보다는 양질의 예술교육에 가치를 두고 공공예술의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공동 체와 함께 개발해야하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role of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art and culture based on various forms of artistic expressions found in cultural festivals that take place in European cities. To this end, we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estivals in designated European cultural cities of Glasgow, Avignon, and Berli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hat engages local residents. We also examine the value of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art and art education as manifested in the trend of art festival programs and the methods of artistic expressions. Our investigation shows that art festivals taking place in the European cultural cities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driven by the local community and festival committees. And the art festival programs show that artistic expression contains spatial autonomy in terms of artists’ artwork and performance. Successful art education through art festival depends on utilization of local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and, to implement art education in a way that brings public benefit, it is important to ensure good communication and sound management of art organizations. As for art festival programs, it is important to 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continuously to develop programs with an emphasis on quality art education to bring public benefit, instead of focusing on one-off performances.

      • KCI등재

        유럽문화수도 ‘Marseille-Provence 2013’ 프로젝트의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 고찰

        류재한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2

        본 연구는 유럽문화수도 ‘Marseille-Provence 2013’ 프로젝트의 가장 큰 성공 요인으로 간주되는‘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의 연구를 목표로 삼았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마르세유(Marseille) 가 유럽문화수도(European Capital of Culture)를 추진하게 된 배경과 선정의 사유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Marseille-Provence 2013’ 프로젝트의 달성목표와 콘셉트,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분석을 바탕으로 유럽문화수도 ‘Marseille-Provence 2013’ 프로젝트를 한 마디로 요약할 수 있는“유로메디테라네의 아틀리에”(les ateliers de l’Euroméditerranée)와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 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Ⅱ장의 <마르세유의 유럽문화수도 추진배경과 선정사유>에서는 마르세유가 2013년 유럽문화수도프로젝트를 통해 사회 통합과 교류와 다양성 진전, 다문화와 문화 간 대화와 소통을 이루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르세유의 당면 과제인 복잡한 사회문제를 문화와 예술을 통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통해 해결하려는 마르세유의 의지의 결과가 바로 2013년 유럽문화수도 선정의 근간이 되었다. 이어서 Ⅲ장의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에서는 유럽문화수도 ‘Marseille-Provence 2013’ 프로젝트의 성공요인이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임을 살펴보았다.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는 이제까지의 유럽(서유럽) 중심의 가치와 문화를 극복하고 지리적으로 유럽에 속하지는 않지만 유럽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지중해 연안의 국가들 간 연대와 평등을 모색할 수 있는 사유의방법론이다.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의 구현 방식은 지리적 경계로서의 남유럽을 ‘평등과 연대의 방식으로서의 남유럽’으로 감싸 안아 남유럽의 보편적 가치를 추출해 내는 “문화적인 되감기” 의 방식이다. “지리적 권역이나 하나의 개념적 실체”로서 인식하지 않는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는 그동안 비유럽의 위치에 머물며 유럽의 ‘타자’였던 남유럽만의 진정한 가치를 복원하게 해줌과 동시에아프리카를 포함한 지중해 연안 국가들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불균형의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이될 수 있었다. 더불어 마르세유-프로방스 역시 지리적 공간임과 동시에 사유의 단위인 ‘방법’ 다시 말해서 프로방스 도시들 간 연대의 ‘방법’이 되고 있다. ‘방법으로서의 프로방스’는 프로방스의 이야기와 역사를 담보하는 ‘방법’이자 ‘고립’의 지리적 실체로서의 프로방스 도시들을 소통하고 협력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마르세유는 2013년 유럽문화수도의 신청과 선정 그리고 프로젝트의 진행을 통해 도시의이미지 개선과 브랜드 제고, 관광 활성화를 이루어냈다. 그리고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가 남유럽과 마르세유-프로방스의 융합과 문화적 통합성의 근간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e past, Marseille was notorious for social maladjustment from immigrants and illegal daily activities caused by the drug-traffic and smuggling of arms, which does not lead ethnic and culture diversity to the urban creativity. However, Marseille has achieved urban regeneration and its vitality through the ECC (European Capital of Culture; hereinafter referred as ECC) Project. One of the key success factors of ‘Marseille-Provence 2013’ Project as a part of the ECC is ‘Euroméditerranée as a method’ of project, achieving the urban regeneration of Marseille and Provence and its vitality. ‘Euroméditerranée as a method’ of project is also a thinking methodology to resolve conflicts among the shore of the Mediterranean countries- non European continent and to find out a strong solidarity and equality by surpassing the core value of Western-Europe and its cul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Euroméditerranée as a method’ of project and ‘Marseille-Provence 2013’ Project as a part of the ECC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uroméditerranée as a method of ‘Marseille-Provence 2013’ Project is a way of considering unified culture bloc by integrating Euroméditerranée in Southern Europe, which was one of local zone in terms of unified Europe into the shore of the Mediterranean countries to restore Southern-Europe value and to provide the solution of imbalance in Afro-Mediterranean countries. Euroméditerranée as a method of ‘Marseille-Provence 2013’ Project is also a way of solution to construct a sustainabl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platform among heterogeneous culture in Southern-Europe countries. Second, Euroméditerranée as a method is a way of equal development and solidarity between Marseille and Provence cities by overcoming the geographical boundary, which is also a way of building up testing laboratory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culture, that is the radiant city (La cité radieuse) to preserve city story and its history between Marseille and Provence. In conclusion, ‘Marseille-Provence 2013’ Project has utilized Euroméditerranée as a method to make universal value of Euroméditerranée, including Marseille-Provence by combining Euroméditerranée (Southern-Europe), outsider of Europe into Marseille-Provence, outsider of France in the manner of equality and solidarity.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문화예술축제 대안 연구 :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 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선영현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국내 문화예술축제와 유럽 문화예술축제의 진행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진행된 유럽의 린츠, 리옹, 카를스루에의 문화예술축제와 광주의 미디어아트페스티벌 사례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팬데믹 시대를 위한 문화예술축제의 운영 과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럽의 경우 언택트 시대에 관람객들의 수요와 요구를 즉각 반영하여 다양한 온라인 시스템을 개발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수준 높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였다. 광주의 경우에도 코로나19의 확산 방지와 안전한 축제 진행을 위해 작품을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하는 등 행사 방역관리 지침과 운영 준수사항을 마련하고 이를 충실하게 이행하였다. 이상의 사례들을 통해 팬데믹 시대에 문화예술을 어떻게 기획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으며, 문화예술 축제의 새로운 변화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gress of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European Culture and Arts Festival during the Corona Pandemic.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cases of the Lintz, Lyon, Karlsruhe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Gwangju Media Art Festival. In Europe, a variety of online systems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needs of visitors immediately in the Untact era. High-quality online services were provided using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further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nd conduct safe festivals, Gwangju also prepared and implemented guidelines for event preven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such as distributing works in various places. These examples show how to plan and prepare culture and art in the post-corona era and identify changes and possibilities of the Culture and Arts Festival.

      • KCI등재

        문화도시를 위한 시민예술교육의 융복합 프로그램 고찰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도시를 위한 시민예술교육의 내용과 활동의 사례를 통하여 시민예술교육의방향성을 찾고 우리 공동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융복합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화도시의형성을 위해서는 시민의 삶 속에서 향유하는 예술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시민성 함양이 무엇보다중요하다. 문화도시로 대표되는 유럽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토대로 고찰할 때, 개방성과 소통으로전 세대를 포괄하는 시민예술교육에서는 융복합적인 사고와 내용에 공통적인 시사점이 있다. 시민예술교육에서 ‘버스킹’과 ‘스토리텔링 콘서트’와 같은 연주방법은 이러한 특성을 잘 구현할 수 있는방법이다. 하지만 ‘버스킹’과 ‘스토리텔링 콘서트’가 도시의 문화로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공공예술의 개방성을 고려하여 무분별한 거리연주를 지양하고 지역의 정체성에 기초한 전문가 및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the citizen arts-education aimed at creating culture city and propose convergence art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realized in our community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existing citizen arts-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culture city, enjoying of art in life and desirable citizenship is important. This paper searches for the direction for the citizen arts-education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art education programs in European culture cities. Because citizens from various backgrounds of the society are the leading subjects of the citizen arts-education, expression of convergence art becomes a common factor, along with openness and rapport. The implication lies in the contents that express artistic ideas and imaginations that cover diverse generations. In citizen arts-education, performance methods of busking and storytelling concert are some of the skills that can implement these attributes well.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busking and storytelling concert as the culture of a city, continued interests and development through a collaboration with experts and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regional identity is required by considering the openness of public art, while rejecting from rash street performances.

      • KCI등재

        복합문화공간 전시 관람 활성화 연구 - 유럽 복합문화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정란,정금희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산업화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다원화된 사회 현상은 문화예술계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 다. 문화예술 향유 욕구의 확산과 더불어 발전해 온 복합문화공간은 공연, 전시, 교육, 회의 등이 한 곳에서 진행되어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보다 선진 문화예 술을 자랑하는 유럽의 대형 복합문화공간의 전시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통해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복합문화공간 전시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장르의 통합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문 화의 발전방향을 위해서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유럽의 복합문화공간 중 파리의 퐁피두센터와 런던의 바비칸센터의 전시 사례를 중심으 로 하여 전시 관람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유럽 최대 규모의 소장품을 자랑하는 퐁피두센터의 대규모 기획 초대 전시와 바비칸센터의 적극적인 작가 지원 등은 예술의 전당이나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같은 국제적 규모의 국내 복합문화공간의 전시 운영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industrialization, the diversified social phenomenon has brought many changes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In addition to the spread of the desire to enjoy culture and arts, attempts were made to enjoy various contents in one place. The cultural complex is played in one place, with performances, exhibitions, education, and conferences serving various needs of people. Although research on the contents of cultural complex should be conducted more diverse than a single professional institution that only shows one conten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so far. It would be meaningful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culture, which characterizes the integration of genres,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large cultural spaces in Europe, which boast advanced cultural arts. With the aim of promoting revisit of cultural complex, this paper focuses on exhibitions of the Pompidou Center in Paris and the Barbican Center in London among European cultural complexes, The large scale exhibition of the Pompidou Center, which boasts Europe's largest collection, and the active support for artists of the Barbican Center, which transcends countries and genres, have man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international cultural complex.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ir exhibition cases to most cultural complexes in Korea, which are operated on a small budget. As a result, if the benefits of cultural complex are utilized to the fullest by operating exhibition-linked programs using various facilities, exhibition will be the best content for revitalizing cultural complex.

      • KCI등재후보

        관광산업 도시를 위한 유럽 도시 브랜딩

        나애리 유럽문화예술학회 2018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9 No.1

        Place branding practices start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round 1850 in the United States to attract population in rural areas, and later on for tourism purpose, especially in Europe, with famous posters of places). Only from 2010 there is a general trend to consider place branding as an emerging scientific field of study. One of the tenets of place branding posits that the struggle for attention and preference is not limited to commercial goods and services; it applies equally to geo-political entities. Countries and cities compete for tourist income, business, and often tax bases. Proponents of place branding argue that this heightened competitive environment makes it important for places, no matter their size or composition, to clearly differentiate themselves and to convey why they are relevant and valued options. Successful destination-brand management can be seen as an exercise of coordination where relevant variables; such as tourism infrastructures, quality of local services, and other destination-brand users need to be managed in order to achieve a coherent and desired destination-brand identity. Therefore, The destination branding is, in reality, a d coordination of all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estination image. City branding refers to all the activities that are undergone with the purpose of turning a City from a location into a destination. "Successful branding" can turn a city into a place where people want to live, work and visit. City branding is invariably related to the notion that places compete with other places for people, resources, and business. It is the process of image communication to a target market. City branding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 employed by public administrations to intend to create city brands. It can even be considered as a governance strategy for projecting images and managing perceptions about places. City branding thus suggests that cities could be considered as brands, as long as perceived so. In this regard, many public administrations are implementing city branding strategies. 세계적으로 도시 브랜딩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도시 브랜딩 사업의 결과로 새로운 이미지의 도시들이 재탄생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오래전 부타, 국가 브랜드 및 지역 브랜드에 대한연구가 진행되었고, 유럽 국가들은 브랜드 사업에 대규모로 정책적 노력을 전개하여 왔다. 이러한유럽 도시 브랜딩 추세는 지금도 계속되고 더욱더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수백년 또는 수천 년 전부터 가지고 있는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관광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해왔으며,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행사 들을 개최함으로써 문화예술 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관광산업과 맞물려, 문화예술도시로서 거듭나려는 노력, 도시의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노력 등, 유럽 국가들은도시 브랜딩 사업에 많은 노력을 전개하여 왔으며, 성공적인 결과를 이룩한 도시들도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도시브랜딩이란 무엇이며, 도시브랜드사업이 사업이 왜 필요한가? - 유럽 도시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도시 브랜드화를 이룩했는가? - 유럽도시브랜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한 곳은 어디인가? - 관광 도시 및 문화예술도시로 브랜딩하기 위해 어떤 노력들 전개해왔는지? 브랜드란 일반적으로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자들로부터 차별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독특한 이름이나 상징물(로고, 등록 상표, 포장 디자인 등)을 의미한다. 도시 브랜딩이란, 도시의 특성을 살려 그 도시를 상징화시킴으로써 도시의 독특한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도시 브랜딩의 방법으로는, 도시를 상징하는 그림이나 도안을 만들어 깃발에 달거나 도시 곳곳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었다. 마치 제품들이 고유 마크를 제품에 붙이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제품 생산자를 알려줌으로써 유사 제품을 공급하려는 경쟁자들로부터 소비자와 생산자를 보호한다. 도시브랜드 사업이 왜 필요한 지? 그 이유를 요약해보면, Globalization 글로벌리제이션에 따른 도시 간 자원 유치가 치열하였기 때문이다. 관광산업 수입이 국가 총수입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유럽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 브랜딩이 이러한 관광산업을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필수적인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이 제품 브랜딩을 하듯이, 도시도 브랜딩을 통해 효율적인 지역 마케팅과 지역 개발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글로벌리제이션 현상이 곳곳에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는, 관광유치, 제품 판매,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도시 브랜드화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그러면 도시를 어떠한 방식으로 브랜딩 할 수 있는가? 기업과 달리 국가나 도시의 경우에는 정체성이나 가치를 확립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국가나 도시의 경우, 브랜드 정체성이나 가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법이나 정치 제도의 구조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단위의 대대적인 노력이 필요하기도 하다. 동시에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들과의 협의와 동의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해의 조정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가능하다. 도시 브랜드 정체성 확립이 어려운 또 다른 이유는 기업과 달리 국가에는 여러 가지 연상이나 가치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 ...

      • KCI등재후보

        에릭 카니엘의 <굿 캅 배드 캅>에서의 캐나다 프랑스어권의정체성 발현

        이상훈 유럽문화예술학회 2018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9 No.2

        Canada was formed through competition and compromise between the French and the English who came from the continental Europe. Two most important language and cultural flows in Canada can still be divided into the Quebec region in which French is spoken with the widespread of the French culture, and the rest of regions in which English is a public language. Despite sharing same roots in Europe, two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al communities show distinct differenc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Compared to clear initiatives of the English speaking zone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fields, the French speaking region has great strengths in the field of culture. Beginning with theater and dance, Quebec's cultural predominance is more prominent in cinema. In Canada, the film has become one of tools for a manifestation of the identity of Quebecers who speak French. Although the manifestation of Quebec’s identity in French-language films have been limited to Auteurism films, documentaries and animations, it is also found in popular and genre films. This paper looks at the manifestation of the linguistic and cultural identity of Canadian French in genre films through Eric Canier's Good Cop, Bad Cup that was open in Quebec, Canada's top box office, in 2006. Even though the film is based on the genre film that is american characteristic, it reflects the uniqueness of a Quebec genre film through the reproduction of French language and culture. In addition, the film features a theme of ice hockey, a national sport in Canada, which is an external manifestation of the cultural identity of English Canadians as well as French Canadians. In the end, it reaches the goal of convergence and unity of Canada as a whole. In this film, all Canadians find a work that combine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elements of Quebec in the structure of genre films. They respond to this work, which was the result of the fusion of two cultures, and became the number one hit in Canadians films. 캐나다는 유럽 대륙에서 건너온 프랑스인과 영국인 상호간의 경쟁과 타협을 통해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광활한 영토를 지닌 캐나다는 중요한 두 개의 언어·문화적 지역으로 구분되는데, 구체적으로프랑스어를 사용하고 프랑스 문화를 향유하는 퀘벡 지역 그리고 영어를 사용하고 영·미 문화를 누리는 그 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서의 영어권의 주도적 역할과 비교할 때프랑스어권 지역은 문화와 예술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연극, 무용 등의 문화예술은 물론 특히 프랑스에서 탄생해 미국에서 꽃을 피우고 있는 영화예술에서 이 모습은 더욱 두드러진다. 작품속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퀘벡 영화는 전통적으로 다큐멘터리와 애니메이션에서 강점을 보여 왔다. 이밖에도 극영화 부문에서는 예술영화 및 작가영화를 통해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으며, 다른 분야에 비해 주목을 받고 있지 않지만 장르 영화 역시 꾸준히 제작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06년에 개봉되어 퀘벡은 물론 캐나다 전역에서 큰 흥행을 기록한 장르 영화인 에릭카니엘의 <굿 캅 배드 캅>을 통해 캐나다 프랑스어권의 정체성 발현을 살펴본 것이다. 이 작품은장르 영화의 기본적 문법에 충실하면서도 영어를 쓰는 지역에 둘러싸인 퀘벡이라는 독립적 장소의프랑스어권의 특징과 특성을 구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대중의 기호을 대상으로 하는 장르 영화라는 미국적 특성에 기반하고 있지만, 퀘벡에서 사용되는 주알(Joual)이라는 독특한 프랑스어 그리고캐나다의 가시적 문화 형태인 국기(國技) 아이스하키를 통해 고유한 퀘벡의 정체성이 작품에서 발현된다. 장르적 측면에서도 스릴러 미스테리의 기본 형태에 퀘벡 장르 영화의 강점인 코미디를 융합하면서 퀘벡 및 캐나다 관객과의 소통에 중점을 둔 작품이다. 프랑스어와 아이스하키라는 언어와 문화를 통한 영화 작품 속에서의 퀘벡의 정체성 발현은 이후프랑스어권을 넘어 캐나다의 영어권과의 융합을 통해 인접한 국가인 미국에 대한 국가적 저항의 모습으로 발전되어 나타난다. 이 작품을 통해 관객인 캐나다인들은 익숙한 장르 영화의 구조에 고유한프랑스어권의 언어적, 문화적 요소가 흥미롭게 결합되고 있으며 나아가 두 개의 언어권으로 나뉜캐나다의 융합과 화합을 목도하게 된다.

      • KCI등재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과 개인방송

        최행준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헤겔의 낭만적 예술형식에서 형식적 주관성에 관한 개념을 통해 개인방송의 문화적 의미를 포착하는 것이다. 개인방송이 공중파는 물론 케이블 방송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기술력과 자본력 그리고 콘텐츠 구성 능력에서 월등한 공중파와 케이블 방송을 개인방송이 잠식하는 것은기현상이다. 급기야는 공중파와 케이블 방송이 개인방송의 콘텐츠를 모방하는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다. 개인방송의 약진은 기술력과 자본력 그리고 콘텐츠 구성 능력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헤겔은 낭만적 예술형식에서 형식적 주관성을 서술한다. 그는 예술표현에서 형식적 주관성을 한편으로는 더 이상 아름답지 않은 예술, 지리멸렬해진 예술로 비하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종적인것의 연쇄가 경이로운 예술, 생명성과 시간성이 응축된 예술, 정신이 감각성과 화해한 예술로 평가한다. 모든 예술에 대한 헤겔의 평가는 양가적이고 모순적이니 이행하는 예술 형식 속에서 드러나는예술 진리가 일면적임을 염두에 두며 전체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 필자는 개인방송의 콘텐츠가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과 상응한다고 생각한다. 개인방송은 당위, 중심, 노정이 아니라 현실, 주변, 연쇄를강조하는 시대정신의 산물이다.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이 갖는 위상을 헤겔의 예술철학과 낭만적 예술형식의 관계 속에 고찰한다(2장). 이 과정에서 절대적 내면성과 정신적 주관성이 낭만적 예술형식, 특히 형식적 주관성에 드러나는 방식이 밝혀진다. 둘째, 주관적 우연성과 있는 그대로의 대상성이 개인방송의 어떤 부분과 상응하는지 논의한다(3장). 이 과정에서 개인방송은 전문가를 지향하는 것과 평균 이하의 일반인을 지향하는 콘텐츠로 나뉘고, 일반인을 지향하는 콘텐트가 우연성 및대상성과 갖는 관계가 밝혀진다. 셋째, 예술가의 기술과 감각성의 심화 관점에서 개인방송을 검토한다(4장). 이 과정에서 헤겔이 진단한바, 기술과 감각성의 심화가 개인방송 콘텐츠 창작과 소비의 주요한 정신과 세계 상태임이 밝혀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pture the cultural meaning of personal broadcast through the concept of formal subjectivity in Hegel 's romantic art form. Personal broadcast is encroaching the cable broadcasting market as well as the ground waves. It is a great honor for personal broadcasters to overcome ground waves and cable broadcasts that are superior in terms of technology, capital, and content composition. Suddenly, ground waves and cable broadcasting are taking place to mimic the contents of personal broadcasting. Personal broadcasting is not explained by technological power, capital, or content composition ability. Hegel describes formal subjectivity in the form of romantic art. On the one hand, he underestimates formal subjectivity in artistic expression as art that is no longer beautiful or that which has been eroded. But on the other hand, he valued the formal subjectivity as a marvelous art of a chain of heterogeneous, a condensed art of vitality and time, and a reconciliation art of mentality and sentience. Hegel's assessment of all arts is both ambivalent and contradictory, so keep in mind that the art truth revealed in the art form is limited. I think that the content of personal broadcasting corresponds to the formal subjectivity of Hegel. Personal broadcasting is not duty, center, or road, but is a product of the spirit of the era that emphasizes actuality, periphery, and chai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aper, first, I consider Hegel's formal subjectivity in the relation of Hegel's philosophy of art and romantic art form (Chapter 2). In this process, how absolute inwardness and spiritual subjectivity are exposed in the romantic art form, especially in formal subjectivity, are revealed. Second, I argue that subjective contingency and objectivity as it corresponds to personal broadcasting (Chapter 3). In this process, personal broadcasting is divided into contents aiming at professionals and below average, and contents aiming at below-average are foun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contingency and objectivity. Third, I review personal broadcasting in terms of an artist 's skill and sensibility of deepening(Chapter 4). In this process, as Hegel diagnoses, it is revealed that the technology and the deepening of sensibility is the spirit and the world state of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creation and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