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민을 위한 가족센터 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미래 방향: 학술지 연구(2013-2022년)를 바탕으로

        오정미,문희진,김영순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1

        Based on 10 years of research on family centers (formerl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is study reviewed educational programs offered at the center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igrants. With changes in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 social environment, Family Centers should modify the education they provide. In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program by regional centers and cases through research on family centers between 2013 and 202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few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loc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enter, a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at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s were dominant. This confirmed the state by educational cases that call for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long with non-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The following is the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trends. First, advanced 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e current programs at family centers are largely focused o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Given that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Korea became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many migrants with advanced Korean language skills, and this necessitates modification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offered at family centers. Second,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nations and ethnic groups should be developed. There is a need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at brings together residents and migrants, and a place for such exchanges should be provided as an educational programs at family centers. Lastly, educational programs that intently collect the opinions of migrants should be built. In the past, these programs were developed with the input of educators and experts, but today’s programs should actively reflect the voices of migrants as learners. By developing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at family centers, which serve as schools to migrants, by taking into account social changes and the views of learners, it becomes possible to look forward to a bright future not only for family centers, but also for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이 논문은 10년 동안 축적되어 온 가족센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이주민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미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학습자의 수준과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가족센터는 교육 변화를 도모해야 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가족센터 연구를 통해 지역 센터별과 교육 사례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각 센터의 변별적 교육 프로그램이 거의 제공되지 않는 점, 그리고 초・중급 수준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비한국어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교육 사례별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 동향을 통해 제시한 미래의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 수준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현재 가족센터의 한국어교육은 초・중급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다문화사회가 된 지 10년이 넘은 현재에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이주민이 많은 점을 고려해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국가나 민족이 가진 문화적 다양성과 보편성을 서로 이해하는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정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하는 상호문화교육이 필요하고, 그 교류의 장을 가족센터에서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과거에는 교육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면, 이제 학습자인 이주민의 목소리가 적극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주민에게는 학교와 같은 가족센터에서 사회 변화와 학습자의 의견을 수렴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할 때, 가족센터의 미래뿐 아니라 한국의 밝은 다문화사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 원예교육 도입을 위한 미국 Texas 아동원예전문가(Junior Master Gardener)프로그램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곽혜란,장유진,서보라 인간식물환경학회 2012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5 No.2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교육을 전인적으로 실시하는 대표적인 활동교육으로서 아동원예전문가(Junior master gardener)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원예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이 필요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원예전문가(JMG) 프로그램의 개념 및 내용을 분석하고 특성을 규명하며, 국내 원예교육과정 및 한국 JMG 프로그램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원예교육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내 Cooperative extension에 소속되어 있는 아동 원예관련 프로그램과 JM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원예교육 프로그램과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JMG 프로그램 분석 준거를 마련하여 관련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JMG 프로그램의 특성 및 내용 분석 결과,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을 추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과정지향적인 교육체계, 체험활동 중심 교육, 단계적 교육구조의 특성, 학년별 구분, 인증제 및 리더교육의 단계화의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학교 원예교육 현황 및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교육내용 중 대표적으로 학교 원예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과교육 내용의 현황 중 대별되는 문제점으로는 교육내용의 감소, 기술 지향적 교육목표 및 내용, 학생 및 지도자 교육기회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아동들에게 원예교육 기회를 현실적으로 늘릴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JMG 프로그램 구조 중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의 추구, 학년별 구분, 체험활동 중심교육에 대한 내용을 연계한다면 원예교육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현재 JMG 프로그램은 국립과천과학관과 한택식물원 등의 교육장에서 어린이 및 청소년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JMG에서 추구하는 다양한 체험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은 국내 교육과정에 있어 창의적 재량활동에도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식물과 정원활동을 통한 키우기, 가꾸기, 감상하기 등의 오감자극 활동을 적극 시도하여 이론의 전달이 놀이 활동 형식으로 이루어져 대상자들에게 지식을 쉽게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향후 원예산업 전반이 기술 지향적이며 고도의 산업화를 지향해야 함은 명백한 일이지만 최소한 인간 중심의 원예분야인 학교원예 분야에서는 과정 지향적이며 활동목표를 중심으로 한 아동원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It is urgent for South Korea to carry out junior master gardener(JMG) program in order to vitalize the education of gardening, and the program is a representative activity education aiming at having elementary students educated on gardening holistically. This study aimed at putting a new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domestic gardening education by comparing the JMG programs and gardening education courses of South Korea after taking analysis of the conten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JM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took analysis of the whole composition and contents by referring to the JMG programs and gardening programs for children of the cooperative extension in the US, and also took analysis of the contents we were interested in of JMG programs and gardening education programs of South Korea with the standards we made for the analysis. Our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JMG programs showed that they us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unified curriculum, and had the systematical properties like a process-oriented educational system, a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a step-by-step educational system, a classification by grades, certification institution, and a leadership education with phases. The analysis about the status of gardening education at school of South Korea revealed that the representative problems of the contents of practice courses, which is in charge of gardening education at school in the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were the reduction in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skill-oriente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and the insufficient training opportunitie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this situation, the most practical solution to increase the opportunity of gardening education for children is to link gardening education with the components of a JMG program like pursuing unified curriculum educational contents, classifying by grades, and educating with practices. If this is realized, gardening education will be vitalized. Currently, JMG programs are being provided as the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youth in the training center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Hantaek Botanical Garden. The various experience-oriented programs which is the heart of JMG programs are very appropriate as creative activities for the education process of South Korea. In other words, it is easier for learners to have learned theories and knowledge because the learning process goes with the forms of playing with five senses like raising, gardening, and appreciating plants. It is clearly true that gardening industry should aim the advanced and technology-oriented industrialization. However, process-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garden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vitalized at least in the course of humanistic gardening education at school.

      • SCOPUSKCI등재

        초등 원예교육 도입을 위한 미국 Texas 아동원예전문가 (Junior Master Gardener)프로그램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곽혜란,장유진,서보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2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5 No.2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교육을 전인적으로 실시하는 대표적인 활동교육으로서 아동원예전문가(Junior master gardener)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원예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이 필요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원예전문가(JMG) 프로그램의 개념 및 내용을 분석하고 특성을 규명하며, 국내 원예교육과정 및 한국 JMG 프로그램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원예교육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내 Cooperative extension에 소속되어 있는 아동 원예관련 프로그램과 JM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원예교육 프로그램과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JMG 프로그램 분석 준거를 마련하여 관련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JMG 프로그램의 특성 및 내용 분석 결과,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을 추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과정지향적인 교육체계, 체험활동 중심 교육, 단계적 교육구조의 특성, 학년별 구분, 인증제 및 리더교육의 단계화의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학교 원예교육 현황 및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교육내용 중 대표적으로 학교 원예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과교육 내용의 현황 중 대별되는 문제점으로는 교육내용의 감소, 기술 지향적 교육목표 및 내용, 학생 및 지도자 교육기회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아동들에게 원예교육 기회를 현실적으로 늘릴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JMG 프로그램 구조 중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의 추구, 학년별 구분, 체험활동 중심교육에 대한 내용을 연계한다면 원예교육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현재 JMG 프로그램은 국립과천과학관과 한택식물원 등의 교육장에서 어린이 및 청소년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JMG에서 추구하는 다양한 체험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은 국내 교육과정에 있어 창의적 재량활동에도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식물과 정원활동을 통한 키우기, 가꾸기, 감상하기 등의 오감자극 활동을 적극 시도하여 이론의 전달이 놀이 활동 형식으로 이루어져 대상자들에게 지식을 쉽게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향후 원예산업 전반이 기술 지향적이며 고도의 산업화를 지향해야 함은 명백한 일이지만 최소한 인간 중심의 원예분야인 학교원예 분야에서는 과정 지향적이며 활동목표를 중심으로 한 아동원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It is urgent for South Korea to carry out junior master gardener(JMG) program in order to vitalize the education of gardening, and the program is a representative activity education aiming at having elementary students educated on gardening holistically. This study aimed at putting a new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domestic gardening education by comparing the JMG programs and gardening education courses of South Korea after taking analysis of the conten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JM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took analysis of the whole composition and contents by referring to the JMG programs and gardening programs for children of the cooperative extension in the US, and also took analysis of the contents we were interested in of JMG programs and gardening education programs of South Korea with the standards we made for the analysis. Our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JMG programs showed that they us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unified curriculum, and had the systematical properties like a process-oriented educational system, a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a step-by-step educational system, a classification by grades, certification institution, and a leadership education with phases. The analysis about the status of gardening education at school of South Korea revealed that the representative problems of the contents of practice courses, which is in charge of gardening education at school in the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were the reduction in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skill-oriente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and the insufficient training opportunitie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this situation, the most practical solution to increase the opportunity of gardening education for children is to link gardening education with the components of a JMG program like pursuing unified curriculum educational contents, classifying by grades, and educating with practices. If this is realized, gardening education will be vitalized. Currently, JMG programs are being provided as the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youth in the training center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Hantaek Botanical Garden. The various experience-oriented programs which is the heart of JMG programs are very appropriate as creative activities for the education process of South Korea. In other words, it is easier for learners to have learned theories and knowledge because the learning process goes with the forms of playing with five senses like raising, gardening, and appreciating plants. It is clearly true that gardening industry should aim the advanced and technology-oriented industrialization. However, process-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garden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vitalized at least in the course of humanistic gardening education at school.

      • KCI등재

        전통교육기관 운영 현황 및 전통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지준호,이승철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3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eowon and Hyanggyo, and discuss some meaningful details on how to improve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meetings with professors and staff who run them in these institutions. Not only do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how many regional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they operate due to deviations in management and support, but they also differ in their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depending on the institutions.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pply and demand of professional administrative personnel is urgently requested. In the case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operating body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managing body of the education programs often do not match because they cannot plan or operate them with the staff in charge. It can be seen that the lack of administrative personnel is a factor that undermines the expertise of traditional education. Second, continuous training is needed for operators of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In particula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arners who usually complete education programs is recommended. Third, for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youth, the need for regional collaboration in planning and operation is raised. The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overlap many parts with those of other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linking the education programs to the institutions directly under the local education offices, such as the support of faculty personnel, the renting of educational places, and the sharing of programs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서원 및 향교 등 전통교육기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기관에서 전통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수자 및 담당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대한 몇 가지 의미있는 시사를 다루고자 한다. 전통교육기관들은 관리와 지원의 편차로 인하여 운영하는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다양성에서 지역적으로 많은 차별을 보일 뿐 아니라, 기관에 따라 개선을 요하는 사항 역시 상이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전통교육기관의 전통교육 프로그램 운영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문적인 행정인력의 수급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전통교육기관의 경우, 재직 인력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할 수 없기에 교육기관의 운영주체와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주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로부터 행정인력의 부족이 전통교육기관이 가진 전통교육에 관한 전문성을 저해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프로그램을 주로 이수하는 초중등 학습자의 발달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셋째, 청소년 대상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기획과 운영에서 지역적 협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통교육기관의 전통교육 프로그램은 여타의 전통교육 프로그램 운영기관과 많은 부분 중복되는 내용이 많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서 교수자 인력의 지원, 교육장소 대여, 프로그램의 공유 등 해당 지역 교육청의 직속기관과 연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진단과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립중앙과학관 중심으로 -

        최유현,박기문,이정균,김동하,홍주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1

        The study is focused on facilitating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and the resulting development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he leading model institution as Korea's central science center and the focal point of study, dissemination and spread of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history.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First, the study considered 4 points: learners' level, level of educational value of science and technology, level of differentiated program and educational capacity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the study suggested ways to evaluate periodic and continuos education program of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 as a result of evaluating overall educational program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its detailed educational program, it seems that paradigm shift is desperately needed about educational program of science and technology. Selection of educational program, its management and evaluation, the resulting feedback and instructors' management should go hand in hand under the systematic process.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object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hould be abolished through the current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 Third,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hould nurture creative human resources for the future generations, develop innovative educational program and fulfill its mission as the central communicator of Network. To do this, basic educational goals and strategies of educational program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needed. Thus, the study suggests "3C". Fourth, educational program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pla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is future-oriented. Also, national educational program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YE!Science" which is affiliated with science study infrastructure of Daedeok Innopolis was developed. 우리나라 중앙과학관으로서의 선도 모델기관이자 국가과학기술사의 연구의 연구․보급 및 이해 확산의 과학중심기관인 국립중앙과학관의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과 이에 따른 실천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차원, 과학기술 교육적 가치 차원, 차별화된 특성화 프로그램 가능성차원, 국립중앙과학관의 교육 역량 차원의 4가지를 고려하여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을 진단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국립중앙과학관의 전반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세부적인 각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한 결과,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대한 패러다임(paradigm)의 전환이 절실히 필요하다. 교육프로그램 선정과 관리 및 평가, 이에 따른 피드백(feedback)과 강사의 운영이 체계적 절차에 이루어져야 하며 현 운용중인 교육프로그램의 진단을 통해 국립중앙과학관의 교육목표와 부합되지 않는 교육프로그램은 과감히 폐지하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국립중앙과학관은 미래 세대를 위한 창조적 인재를 격려하며 이를 위한 혁신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네트워크의 중심적 커뮤니케이터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기본교육 목표와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3C"를 제안하였다. 넷째, 국립중앙과학관의 기본계획에 부합되는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은 미래 지향적이며, 대덕특구의 과학연구 인프라와 연계한 국립중앙과학관의 전국 단위 프로그램인 "YE!Scienc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급과 유형 분석 - 2010년 평생교육통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양은아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예술경영연구 Vol.0 No.22

        This study analyzed the Annual Lifelong Education National Survey data 2008-2010 to select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nd review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provided by adult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Here,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in this paper is defined as an education program that teaches and cultivates the capabilities of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related with cultural arts. In this paper, I conducted three key analyses: (1) the typologies of the provision institutions of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of the programs that are provided were theoretically invented and verified, (2) the proportion of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mong all in 2008-2010 were sorted out, which were about 40,122 in total, and finally (3) the 40,122 programs were re-classified and re-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ology that I’ve invented. In addition, I analyzed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exclusively to reveal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mong the others in the whol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market. As a result, by and large,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were the most dominant categor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lassified under lifelong education law, which were mostly initiated by the three leading institutions, such as profit-oriented culture centers, public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university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mostly focused on some types of programs, such as “art skill improvement programs” and “everyday-life culture programs”. What I found in addition was that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ory-based expert training programs were scarce but definitely required to stimulate the evolutionary progress of the whole ecology of cultural art education in supply and demand contexts. 이 연구는 평생교육통계조사자료에 기반하여 평생교육 맥락에서 공급되는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공급주체와 프로그램 유형에 관한 분류체계를 설정하였으며, 2008∼2010년 평생교육시설을 통해 공급된 프로그램 가운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공급지형과 양상을 파악한 후, 실제적으로 2010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데이터 40,122개를 분류체계에 적용해 그 패턴과 유형을 재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법령 이외의 문화기반시설에 대해서도 대표적 사례가 되는 미술관 프로그램을 추가 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법령 시설과의 차별성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평생교육 영역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프로그램이 제공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사업장 부설 시설, 평생학습관, 대학(원) 부설 기관이 그 공급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패턴은 문화예술향상 프로그램, 생활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아카데미형 강좌 프로그램은 그 개설기반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볼 때 프로그램 간의 차별화된 전략이나 대상에 따른 특화된 접근, 심화학습을 매개하는 장치 등이 빈약해서 상호 연결망이 부재하고, 장기적인 학습의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 는 체계적인 구조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대표적인 문화기반시설인 미술관에서는 계속전문교육으로서의 전문가 양성·연수 프로그램, 아카데미형 강좌 프로그램, 전시연계 프로그램들이 활성화되어 있었고, 다양한 장르를 연결하는 새로운 융합영역들도 시도되고 있었다. 그러나 시설 수가 많지 않고, 시설 간의 편차도 심하며, 아직까지 평생교육시설에 비해 파급력과 인지도가 낮았다.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역량을 보강해야 하는 평생교육전담시설과 상대적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반이 부족한 문화기반시설 간의 상호 연계구조를 통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비전과 모델을 발전적으로 공조해나가야 한다.

      • KCI등재

        독일과 한국의 중등학교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과정 운영 현황 비교 연구

        이주호 한독교육학회 202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German and Korean Universitie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discussions on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Germany, we first selected one or two German universities that currently operat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each federal state,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posted on the official websites of each university.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ident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five components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are practice, pedagogy, and other areas, except for the major and teaching method. To identif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formation o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posted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University A in Korea. This study then compared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German and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ractical, pedagogical, and other areas, and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practical areas in Germ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s higher than in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at, unlik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only practical courses in schools, Germ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practical courses in various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 other than schools.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suggests three implication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ractical course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troducing practical courses that take place in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other than schools, and offering a variety of pedagogy-related elective courses at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문화재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 서울역사 박물관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송현정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0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24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the museum and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program, Museum School for Students, which is run by Seoul Museum of History.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ways of more effective museum educ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examining the museum education as well as the definition and functions of a museum. Second, investigating museum educational programs, and specifically analyz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Seoul Museum of History runs. Third, examin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ummer program, Reborn Kyonghi Palace, which was one of the programs offered by Seoul Museum of History. The followings are identified by this study as being effective ways of bettering museum education for students:First, a firm foothold for developing and administering the museum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Professionals for museum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lso, cooperation with community schools and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needed. Second, specialized museum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offere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a program connected with the curriculum of schools should be planned. Education utilizing a museum is useful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formal education. Remains exhibited in the museum provid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ractically experience what they learn only through books. In short, the museum is a good place for practical educational experience. By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cultural properties, students will be able to inherit their traditional cultures creatively and hand them down to descendants. 박물관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유물과 전시품들을 수집, 보관, 관리, 전시하는 곳이다. 그러나 현대 박물관은 지역 사회 문화현상이나 예술 문화의 보급을 위한 대표적인 공간으로, 비정규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점차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서울역사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인 「청소년 박물관 교실」의 구체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장차 문화재를 활용한 효과적인 청소년 박물관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박물관의 정의 및 기능과 박물관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 그 사례로써 서울역사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를셋째,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실행된 「청소년 박물관 교실」의 하반기 프로그램인 <다시 태어난 경희궁>의 교육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참고로 문화재를 활용한 박물관의 청소년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알게 된 문화재를 활용한 효과적인 청소년 박물관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교육 활동을 위한 운영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특성화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은 문화재를 활용하여 무엇보다 학생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여성농업인의 교육참여 경험과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박공주,김경미,이정화,성윤숙,이길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15 No.4

        Women are unlikely to receive an equal education, compared to men, in rural Korean society despite the equality in labor sharing. To address this issue this research aims to (a)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farming skills and daily life management in rural communities, and (b) develop a model for educational program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female farmers in order to make them experts in agricultur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using a group interview method, to 366 female farmers from the Jeonnam, Chungbuk, and Gyeonggi provinces with help of agricultural agents. The major components of the questionnaire dealt with individual peculiaritie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and training subjects wanted by the female farmers. Educational program content was classified as daily life management, scientific farming and agricultural management skills to create systematic and effective programs. It was found that the critical factor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female farmers are as follows: 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combining daily life management skills and farming skills to make the female farmers experts in agriculture. b.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emale farmers' educational program participation and needs based educational level, age, educational expenditure, farm type, farming experience, and farm sca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considering the fore-mentioned socioeconomic status and farming characteristics. c.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for the female farm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s a minority group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public relations program to ensure that female farmer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제대군인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효과에 대한 분석: 장기복무자 전직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운석,김상돈 한국보훈학회 2015 한국보훈논총 Vol.14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outplacement assistanc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veterans after long-term military service. The vision of patriots and veterans policy is to create a society in which patriots and veterans can lead honorable and dignified lives, where the spirit of patriotism is valued. Especially, the goals of veterans policy is to actively integrate veterans into the nation's human capital base. This means strengthen vocational training for veterans to facilitate employment or business start-ups. In achieving that goals,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mplements several outplacement assistance educational programs to help discharged soldiers smooth their transition into civilian life.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demand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utplacement assistance educational programs. Second, the educational demand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s of outplacement assistanc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veterans after long-term military service. Lastly,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utplacement assistance educational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s of outplacement assistance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develop the outplacement assistance educational programs, an accurate assessment and fed back is very important. And this study itself acknowledged that the findings were not definitive and called for more research. 이 연구는 제대군인 교육과정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는 장기복무자 전직 기본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교육수요 등 교육생들의 특성이 교육훈련 효과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은 국가적 차원에서 제대군인의 성공적 사회진출을 지원하여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제대군인의 우수한 인적자원 활용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국가가 사용주로서 최소한의 사회복귀 지원시책을 마련해야 할 당위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가보훈처 등 보훈당국은 제대군인에 대한 사회적응과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취지를 갖는 제대군인 교육훈련프로그램에 있어서 교육수요,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훈련 효과성 사이의 인과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통계 및 공변량구조분석 등을 시도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교육수요가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교육훈련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고, 교육과정 만족도는 교육훈련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제대군인 전직지원 교육훈련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결과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이에 대한 환류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효과를 정확히 측정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