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 공론장의 학습공간적 의미와 가능성 탐색 - 2012부산비엔날레《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을 중심으로 -

        양은아 한국성인교육학회 2016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9 No.3

        Busan Biennale 2012 presented the topic of “learning” as its core theme, using the title《Garden of Learning》. To realize the theme, it established “Baeum Wiwonhoi” formed with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to create a multilayered public sphere where statements are made through art, agendas for public discussion are discovered, and social issues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collective cooperation relationship had been self-generated, which accompanies learning process and explores “learning.” In addition, Public spheres which mediate relation “between” artists–“Baeum Wiwonhoi” Educators–art mediators–visitors(citizens). This research gives attention to the systematization and the mobility of art public sphere, which is for the formation and divergence of a multilayered network which connects “learning,” the substantive goal. As a result, the dynamic and space of formation and divergence of multilayered discussion generated from “in-between” human relationship was public sphere which contained plurality, complexity, and self- organizational nature. That individuals communicate, make questions public all together, and settle multilayered discussion was the “learning” process for them. As the collective competence grew, the network as a center of public opinion rather than pieces of information created the meaning of core “learning.” In addtion, the public sphere of communication structure had been attain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discussion generated by participants was collectively filtered and shared. 2012부산비엔날레는《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을 표제화하며 이를 실현하는 핵심 주체로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구성된 ‘배움위원회’를 내부에 장착했다. 이를 토대로 작가-배움위원회-에듀케이터-예술 매개자-관람객(시민) 등 다각적인 “사이(in-between)” 관계를 매개하는 공론장들이 자기조직화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배움”을 탐구하는 집단적 협업관계가 생성한 공론장의 조직화와 운동성에 주목하여 학습공간으로 확장된 예술공론장의 가능성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읽어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층위의 담론을 생성하고 분화하는 역학과 공간은 다원성과 복잡성, 자기조직성을 그 안에 내재하고 있는 공론장이고, 그 안에서 개성을 드러내는 개인들이 상호 소통하고 연대하면서 질문을 공론화하고, 다양한 층위의 토론의 습속을 정착시켜가는 것 그 자체가 이들에게는 “배움”의 과정이었다. 집단적 역량이 성장할수록 낱낱의 교류되는 정보보다는 공론화의 구심으로 작용하는 관계망이 중요한 “배움”의 의미를 생산하게 되고, 참여자들이 생산한 논의가 관계망을 통해 집단적으로 필터링되고 공유되는 과정을 거치며 소통구조의 공공 영역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개인성과 시민성이 만나는 장 안에서 각각의 주체들은 민주적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하고, 그것의 수행과정을 주도하는 행위주체로서의 공중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 KCI등재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치료 동맹 형성에 관한 질적 연구

        양은아,황은영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치료 동맹 경험을 탐색하여 치료 동맹의 본질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하였으며, 면접 내용을 전사한 후 질적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사한 내용을 분석하여 209개의 코드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23개의 하위주제와 9개의 부주제, 그리고 3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치료 동맹을 ‘음악’, ‘치료사’, 그리고 ‘내담자’와 관련된 영역에서 각각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관련 영역에서는 음악의 ‘정서적 경험’과 ‘기능적 사용’이 치료 동맹 형성에관여되며, 치료사 관련 영역에서는 치료사의 ‘임상 기술’과 ‘임상적 음악 기술’이, 내담자 관련 영역에서는 내담자의 ‘반응성’과 ‘주도성’, ‘몰입’, ‘성장’ 경험이 치료 동맹 형성에 관련됨을 확인할 수있었다. 또한 치료 동맹 형성 과정은 동맹의 생성, 활성화, 그리고 유지의 단계를 거치며, 선행된각각의 경험들이 누적되어 유기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경험을 통해 치료 동맹의 본질을 탐색함으로써 치료 동맹과 관련된 치료사의 전문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문교양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시민인문교육복합체’ 형성의 실증적 탐구

        양은아,한숭희,김민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8 평생학습사회 Vol.14 No.3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평생교육 맥락에서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시 민인문교육복합체’ 지형의 내용과 구조, 그리고 경쟁하는 세력들이 보이는 영역내적 특성을 지난 10년간의 국가평생교육통계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민인문교육복합체’라는 개념은 1 인문학이라는 내 용을 매개로 하는 교육으로서, 2 대학의 전문 연구자가 아닌 시민과 대중 을 학습자로 하는 교육이며, 3 이 과정에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주체 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함으로써, 4 결과적으로 순전한 의미에서의 인문학 의 경계를 넘어 그 이미지를 차용하는 다양한 파생적 교육과정들이 생성 되는 복합적 교육생태계를 말한다. 이를 위해 2008-2017년 평생교육프로그 램통계 데이터 가운데 ‘시민인문교육복합체’ 영역을 드러내는 프로그램 (2,765개)을 추적조사하고, 그 수행적 특성을 밝혔다. 그 결과, 시민인문교 육복합체는 양적 확대와 병행하여 내용 측면에서 질적 다양화가 이루어지 고 있고, 특히 ‘인문 아이콘’을 앞세우며 인문적 가치를 실용적으로 활용하 려는 프로그램이 전 영역으로 파급되며, 그에 따라 교양적 성격과 인적자 본의 성격이 복합적으로 중첩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 과정에서 공적 주체 와 사적 주체 간의 경쟁과 부분적 연대가 관찰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공평 생교육시설들이 핵심 문화 에이전트 역할을 담당하였지만, 그와 동시에 인 문학의 가치가 문화자본 및 지식경제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문화사회적 실 천과 상품화가 대립적으로 공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시민인문 교육복합체’는 서로 간에 이질적이며 단절적인 경쟁주체 간의 각축장이 되 는 새로운 양상을 나타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민인문교육복합체’가 보 여 주는 양태를 통해 평생교육을 하나의 문화정치학적 실천과정으로 이해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 newly emerging horizon of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ecosystem for adult citizens (HEPEfAC, hereafter)’, since 2000s, especially on the contents, structures and competing agents, based upon data obtained from National Survey o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concept of HEPEfAC is constructed to capture the representative phenomena of the complex ecosystem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1) delivers humanities as contents, (2) for ordinary adult citizens, not for experts in this field, (3) with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competing and sometimes collaborating; and (4) eventually co-evolving the ecosystem with heterogenous and diversified values to produce derivative knowledge structures by crossing over the rigorous boundar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territories. To verify the conceptual construction of HEPEfAC, the accumulated data for last ten years of the National Survey o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as analyzed; total 2,765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included the keyword of 'humanities' in the title were collected, classified, and scrutinized. Some key characteristics observed from the data shows as follows: The volume of HEPEfAC has been constantly increased for last ten years with further diversities and heterogeneity; some contrasting values, for example, liberal values and human capital values, were co-existed in multiple knowledge areas, merging to establish co-evolutional programs; public non-profit programs and private for-profit programs were sometimes competing on the one hand, and collaborating on the other. As a whole,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under the auspice of significant government subsidies, played leading roles in 36 「평생학습사회」 제14권 제3호fertilizing the program complex to cultivate liberal and democratic competences, while private human resources programs also participated with different reasons ― to connect the value of the humanities with the key competences in the workplaces. As a consequence, for last ten years or so, HEPEfAC came to grow up becoming a expansive complexity of humanities education practices for adult citizens, which has never been observ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education for adults in Korea.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interpret the phenomena as a practice of cultural politics, but more to be suggested as further studies.

      • KCI등재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Social Interactions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n Individual Music Therapy Setting

        양은아,최병철 한국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the social interactions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spectrum disorders (ASD) in an individual music therapy setting. In order to draft a questionnaire as an assessment tool, we researched the current literature, performed direct observations of preschool children with AS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field. The drafted questionnaire went through preliminary tests and a content validity test, and 99 question items were chosen for the main questionnaire.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xperts in selected institutions such as education facilities for preschool children, schools for disabled preschool children, hospitals, and music therapy clinics. Of these, 288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a question item analysis, a reliability test, and a validity test. For the question item analysis, the response distribution of each item and its total correlation with the other items were calculated. The question item analysis was followed by a reliability test in which appropriate question items were extracted. Finally, we conducted the validity test for items—focusing on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se tests led to the final selection of 46 question items that were able to be grouped into three factors regarding emotions, group play, and responsiveness to instruction.

      • KCI등재

        장애아동 상호작용 측정을 위한 음악치료 평가도구의 타당도 재검증 연구

        양은아 한국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음악치료 현장에서 장애아동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개발을 목 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Yang과 Choi(2016)가 제안한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재검증하여 임 상 현장에서 보다 실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데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는 관련 문 헌조사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초기 46개의 문항을 분석하였고, 이후 선정된 32개의 문 항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본검사의 대상은 음악치료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와 음악치료 인턴으로 하였다. 이에 국내에 있는 음악치료학회와 음악치료대학원 중 각각 한 기관씩 선 정하여 총 1068명에게 메일을 보내 음악치료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음악치료 인턴 과정 중 인 자 중 현재 장애아동 음악치료를 실행하는 자에게 설문을 작성하도록 의뢰하였으며, 그 중 총 171부가 수거되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과정은 문항분석과 신뢰도검증, 그리고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 검증의 절차를 거쳤으며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최종 문항으로는 ‘지시반응’, ‘공동관심’, ‘놀이반응’, ‘정서반응’, ‘음악선호반응’, ‘요구표현’의 여섯 개의 요인, 총 28문항이 선정되었다. 이 중 다섯 개의 요인이 Yang과 Choi(2016)가 제안한 초기 상호작용 모형과 일치하였으며, ‘음악선호반응’ 요인이 새로운 단일 요인으로 포함되어 총 여섯 개의 요인으로 재구성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 music therapy setting. Using the assessment tool suggested by Yang & Choi(2016) as a foundation, the preliminary 46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in said study were explored furthe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d for content validity. From those 46 items, 32 were selected for follow-up evaluation via professional survey. Question items were e-mailed to 1068 individuals belonging to either a music therapy association or graduate school of music program who were also practicing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71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question 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ests. From the items demonstrating appreciable validity based off our analysis, our data suggests six main factors integral to the assessment; five of the factors corresponded to those in the social interaction model proposed by Yang & Choi(2016), including (1)response to instruction, (2)joint attention, (3)response to play, (4)emotional response, and (5)expressing demand. Furthermore, an additional sixth factor of ‘music preference response' was determined to be significant.

      • KCI등재

        자폐아 음악치료에서 나타난 사회적 상호작용 요소 분석

        양은아 한국음악치료학회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0 No.2

        이 연구는 자폐아 개별 음악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적 상호작용 요소가 무엇인지를 조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6개월 동안 자폐아 4명을 대상으로 주1회 개별 세션을 진행하였고, 각 세션마다 세션일지를 기록하고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그 후, 연구자인 주치료사는 세션일지와 녹화된 비디오를 보며 음악치료활동에서 나타난 사회적 상호작용 요소를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자인 음악치료사를 포함한 음악치료 인턴 2명과 유아특수교사 2명이 기술한 내용으로부터 “의미단위”를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폐아 음악치료에서 나타난 사회적 상호작용 요소는 타인의 행동에 대한 의도 인식행동, 반응행동, 시작 행동, 주고받기행동, 창조적 표현행동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social interactions were initiated when autistic children received the individual music therap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 autistic children and they attended an individual music therapy session once a week. All of the sessions were videotaped and also the session journals were recorded respectively. The research team was composed of two student therapists, two teachers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and a certified music therapist who was in charge of this study. The team extracted and analyzed meaningful units from the data. Through the study we could find five social interaction factors in music therapy of children with autism; perception of others' acts, reaction to others' behaviors, initiation of movement, exchange of acts, creative expression.

      • KCI등재

        평생교육전담기관 사부담 수강료 총규모와 특징에 관한 분석적 연구

        양은아,한숭희,김민수,최은영,김정현,안소희 한국평생교육학회 2018 평생교육학연구 Vol.24 No.4

        Few studies have been found on the cost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estimating the total amount of annual tuition for whole Korea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its regional discrepancies. The term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refer to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registered and monitored by the Lifelong Education Law in Korea. This research used 10 years data of <Stat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Korean Adult Lifelong Learning Survey>, annually survey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t first calculated the ‘total amount’ of the tuition and ‘tuition per hour’, to differentiate the discrepancies by regions, urban-rural discrepancies, institutional types, and program subject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stimates of the total amount of tuitions of whole Korea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bout one trillion won. Both <Stat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Korean Adult Lifelong Learning Survey> showed similar estimates, with only less than 5% of differences. The total amount calculated was double to the national public budget for the lifelong education sector, also similar to the total public budget for the skill development field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89 trillion won, or up closer to the amount of the direct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1.12 trillion won). 2) The breaking down of the total tuition by regions shows that the City of Seoul dominantly occupies 71% of total tuition revenue. It reveals a large disparity between Seoul and the rest of the regions, as seen in private education investments for school kids. 3) This research also calculated the tuition per hour as an indicator of the unit cost of educational services. Among many subject areas, the unit tuition fee of vocational education area was about 8,000 won, while the adult basic education records only 572 won, due to public subsidy. Considering institutional types, the tuition per hour of HRD institutions (13,656 won) show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local lifelong learning centers (917 won), which also owes much to public subsidy. 4) In terms of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tuition of metropolitan city area was 2.6 times higher than the rural area and 1.5 times higher than the medium city area. These results need to be applied to the national and local policy designs in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especially for the fair monitoring of tuition levels. 지금까지 평생교육 분야의 교육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한국 평생교육전담기관 사부담 수강료의 연간 총규모를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 간 , 기관유형 간, 프로그램 주제영역 간 학습자 사부담 교육비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후, 교육시수당 수강료를 산출하여 지역별, 시·군·구별, 주제영역별, 기관유형별 주요 패턴과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기관통계> 조사 및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2017년 <평생교육기관통계>에서 도출된 사부담 수강료의 추정값은 대략 1조에서 1조 1,000억원 사이로 나타났으며, 이는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자료에서 표집을 통해 산출한 총액과 약 5%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평생교육전담기관의 사부담 수강료의 총규모는 국가 평생교육 예산의 2배에 이르는 수치이며, 고용노동부 직업훈련분야의 직접교육훈련비(1조 1,244억)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둘째, 총수강료의 지역별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서울이 전체 수강료의 71%를 독차지하고 있었다. 이것은 학교교육과 사교육 불평등과 마찬가지로 평생학습의 서울과 지방 사이의 큰 불균형이 존재함을 나타내준다. 셋째, 교육시수당 수강료는 주제영역별로 편차가 심했는데, 직업능력향상 영역이 약 8,000원에 이르는 데 반해, 성인기초/문자해득영역은 572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별로는 지식·인력개발형태기관(13,656원)이 평생학습관(917원)보다 15배로 높았다. 이는 평생학습관과 성인기초/문자해득 영역에 대한 국가의 공부담 재정지원이 일정부분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넷째, 지역별 교육시수당 수강료는 광역시의 구지역이 군지역 대비 2.6배, 시지역은 1.5배의 편차를 보였으며, 교차분석 결과 주제영역 및 기관유형에 따라 확연히 다른 수강료 패턴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부담이 주를 이루는 성인교육에서 공정한 단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함과 동시에, 향후 평생교육체계의 미래를 설계하는 데 수강료정책 분석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급과 유형 분석 - 2010년 평생교육통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양은아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예술경영연구 Vol.0 No.22

        This study analyzed the Annual Lifelong Education National Survey data 2008-2010 to select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nd review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provided by adult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Here,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in this paper is defined as an education program that teaches and cultivates the capabilities of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related with cultural arts. In this paper, I conducted three key analyses: (1) the typologies of the provision institutions of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of the programs that are provided were theoretically invented and verified, (2) the proportion of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mong all in 2008-2010 were sorted out, which were about 40,122 in total, and finally (3) the 40,122 programs were re-classified and re-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ology that I’ve invented. In addition, I analyzed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exclusively to reveal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mong the others in the whol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market. As a result, by and large,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were the most dominant categor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lassified under lifelong education law, which were mostly initiated by the three leading institutions, such as profit-oriented culture centers, public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university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mostly focused on some types of programs, such as “art skill improvement programs” and “everyday-life culture programs”. What I found in addition was that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ory-based expert training programs were scarce but definitely required to stimulate the evolutionary progress of the whole ecology of cultural art education in supply and demand contexts. 이 연구는 평생교육통계조사자료에 기반하여 평생교육 맥락에서 공급되는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공급주체와 프로그램 유형에 관한 분류체계를 설정하였으며, 2008∼2010년 평생교육시설을 통해 공급된 프로그램 가운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공급지형과 양상을 파악한 후, 실제적으로 2010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데이터 40,122개를 분류체계에 적용해 그 패턴과 유형을 재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법령 이외의 문화기반시설에 대해서도 대표적 사례가 되는 미술관 프로그램을 추가 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법령 시설과의 차별성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평생교육 영역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프로그램이 제공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사업장 부설 시설, 평생학습관, 대학(원) 부설 기관이 그 공급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패턴은 문화예술향상 프로그램, 생활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아카데미형 강좌 프로그램은 그 개설기반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볼 때 프로그램 간의 차별화된 전략이나 대상에 따른 특화된 접근, 심화학습을 매개하는 장치 등이 빈약해서 상호 연결망이 부재하고, 장기적인 학습의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 는 체계적인 구조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대표적인 문화기반시설인 미술관에서는 계속전문교육으로서의 전문가 양성·연수 프로그램, 아카데미형 강좌 프로그램, 전시연계 프로그램들이 활성화되어 있었고, 다양한 장르를 연결하는 새로운 융합영역들도 시도되고 있었다. 그러나 시설 수가 많지 않고, 시설 간의 편차도 심하며, 아직까지 평생교육시설에 비해 파급력과 인지도가 낮았다.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역량을 보강해야 하는 평생교육전담시설과 상대적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반이 부족한 문화기반시설 간의 상호 연계구조를 통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비전과 모델을 발전적으로 공조해나가야 한다.

      • KCI등재

        평생학습 맥락에서 ‘역량’ 개념의 재사유

        양은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22 평생학습사회 Vol.18 No.3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역량, 수행, 자본의 순환고리 안에서 인간 능력을 규정하려는 시도에서는 인간 능력의 본원적 측면들이 은폐되고 가려졌다는 문제의식 아래 ‘역량의 철학’ 혹은 ‘역량의 존재론’으로 규정되는 스피노자 철학을 중심으로 역량의 철학적 토대와 주요 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평생학습 맥락에서 ‘역량’ 개념의 다양한 정의와 활용, 그 이면에 전제되어 있는 가정과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핵심적으로 제기되는 쟁점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둘째, 이에 기초하여 본 연구가 역량 탐구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고 있는 스피노자 철학 체계의 기본적인 관점과 토대를 점검한 후, 그 지반 위에서 역량의 개념과 특성이 어떻게 규명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스피노자의 역량(potentia) 개념과 본성이 가지는 (평생)교육학적 관계와 의미를 본 연구의 문제 설정의 토대 위에서 탐색하고, 넷째, 결과적으로 평생학습의 지평에서 다면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역량에 대한 관점과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이것이 파급하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① 역량의 생태적 특성과 관계능력의 증강, ② 변용역량의 증대, ③ 존재생성으로서의 욕망 창조 능력, ④ 체화된 실천감각의 수행 역량이 주요 논제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스피노자 역량(potentia)의 생태성, 반목적성, 다양성의 논증에 기반해서 기존 연구의 ‘선택적 제한점’을 드러내고, 인간 역량을 이해하는 관점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