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건축물 인증제 기반 통합설계 가이드라인 체계 연구

        이병연(Lee, Byung-Yun),이병호(Lee, Byeong-Ho)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6

        This paper researched the structure of sustainable architecture integrated design guideline. The research has been prosecuted in three phases; analysis of architects’ needs for guideline and the condition of published guideline in Korea. In a online poll analysis (174 respondents), it has been found that architects not competent to design sustainable architecture due to the lack of practice based knowledges. The published guidelines in Korea focused on the standards and component technologies, so they are not suitable for the architects needs. In order to tackle the present barriers the basic purpose of the integrated design guideline has been established as below; 1) the requirement for multilateral guideli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aders needs such as initial study, reference for decision makers and practical design guideline 2) inter-relationship between goals for sustainable certification criteria and the present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of site planning, building planning, envelope and interior planning and system planning and 3) the requirement of phased-in guideline structure. The basic requirement of sub-integrated design guideline for each design stages has been suggest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purpose; guidelines for design target and process in the preliminary-design stage, guidelines for integrated design in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guidelines for detail design and specification in the design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document stages.

      • KCI등재

        호주 New South Wales주 아파트 디자인 가이드라인 분석

        양형모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1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artment Design Guideof New South Wales, Australia and through this analysis, i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partment spatial design guidelines. Firstly, this paper examines the policy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Apartment Design Guid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econdly,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line has been significantly explored in detailed. Thirdly, based on the insightful exploration, the specific design criteria and guidances related to the interior space design from the guideline are extracted. Then the extracted data has been analysed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physical architectural aspects in close relation to the living environment. Lastly, the paper discusses the significant aspects of analysis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partment design guidelines towards a better living environment. The major architectural aspects related to the criteria and guidances for interior space design specified from the Apartment Design Guide were found to be 11 different factors in total. In order to satisfy the criteria and guidances of each factor, the physical architectural aspects including spatial layout, size, and ceiling height were found to be the critical architectural aspects, which could consequently affect health, comfort, efficiency, diversity, and equity of apartment living environment. This paper will indicate the significance on the consideration of policy and regulation in the design development of domestic apartment design guidelines. It will contribute on the positive impact on the delivery of a better quality and choice of apartment design in South Korea.

      • KCI등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에 관한 연구

        장영호 ( Jang Young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국가차원의 법적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유니버설디자인 조례제정,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수립, 유니버설디자인 시범사업 추진 등 지역적 상황에 맞추어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구성원 모두를 배려하기 위해 개발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해 단기간에 이루어진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높아진 기준으로 가이드라인의 유효성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의 효과적 구현을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사업의 효율적인 분석기준 제시와 지표체계를 재정립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를 운용하고 있는 서울시의 체크리스트에 대한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를 재정립합으로써 향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를 수립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제2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유니버설디자인 조례가 정비된 23곳의 지방자치단체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운용체계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그에 따른 지표 분석을 위해 공공보도부분의 공사가 완료된 사업 등 모니터링 대상지 20개소를 대상으로 심의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심의 상의 문제점과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한계점을 고찰하며, 셋째, 효율적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구성체계에 대해 분석한 후, 이를 종합하여 체크리스트의 4개 평가 요소를 제안한다. (결과) 심의도서 리뷰를 통해 첫째, 보도 영역 중 심의에서 실제 문제화되는 지표의 추출과 비교가 필요하고, 둘째, 주요 시설물에 대한 문제 파악이 가능한 모니터링 지표 구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위원회 권장 기준 및 심의 시 제시 기준을 정량값 기준으로 하여 지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보도 모니터링을 통해서는 심의제도를 통해 ‘사전 컨설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준공 후에도 심의비교 자료를 갖춘 준공보고서 의무제출 등 강력한 대책을 연동시키는 등 기본적인 인식개선과 더불어 강력한 제도 이행 인식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현재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최소 평가 기준과 준수 내용을 체크리스트로 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의 모니터링 대상 안건의 다수가 기본적으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 착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효율화를 위해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고 보도와 시설물에 대한 평가 요소를 제안하여 전반적으로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효율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there are no national legal standard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but the situation is being opera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situation, such as enacting universal design ordinances, establishing universal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s, and promoting universal design pilot proj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 based on a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universal design made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increased standards for the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which was developed to consider all members of Seoul. The first purpose is to present efficient analysis standards and to re-establish the indicator system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In addition, by re-establishing the analysis standards and indicator system for the Seoul City checklist, which operates a comprehensive and specific universal design checklist, it provides useful basic data to local governments who intend to establish and operat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s in the future. It is the second purpose to do. (Method) First, it review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of 23 local governments in which the Universal Design Ordinance has been established. It analyzes the deliberation data for 20 monitoring target sites, such as the completed project, and considers the problems of deliber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guideline checklist. Finally, after analyzing the universal design checklist composition system, we propose the four evaluation elements of the checklist by synthesizing it. (Results) Through the review of the deliberation book, first, it is necessary to extract and compare the indicators that are actually problematic in the deliberation in the reporting area, and secondly, it i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nitoring indicator that can identify problems with major facilities. It was identifi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an index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city presentation as a quantitative value standard. In addition, through press monitoring,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pre-computing' through a deliberative system, and link strong measures such as compulsory submission of a completed report with deliberation and comparison data even after completion. A conclusion was drawn. (Conclusions) The current Universal Design Guideline is a checklist based on minimum evaluation criteria and compliance details, and focusing on the fact that many of the agendas to be monitored in this study are basically evaluated based on the checklist of the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e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guideline checklist,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are presented, and evaluation elements for sidewalks and facilities are sugges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guideline checklist.

      • 한국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개선을 위한 해외 지침 사례연구

        강혁진(Hyuk-Jin Kang)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본 연구는 한국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개선을 위한 해외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지침의 사례연구로 미국과 영국의 디자인지침을 중심으로 한국의 설계기준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국 암트랙의 철도역 프로그램과 계획 가이드라인(2013)과 영국 네트워크 레일의 철도역 설계 원칙(2015)을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디자인 지침은 현대 철도건축의 지닌 도시 건축적 중요성과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한국 설계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철도건축설계기준 개선을 위하여 통합적 디자인 원칙 마련이 요구되고, 이용수요 중심의 철도건축유형 재정립, 그리고 철도건축설계 프로세스의 지침화가 필요하다. This is a case study of overseas railway station design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railway design and focused on the US (Amtrak’s Station Program and Planning Guideline, 2013) and UK (Network Rail’s Station Design Principles, 2015) railway design guidelines. This study is aim to compare these two guideline with Korean design guideline and to find the differences and potential values. Both of two guidelines have indicated design principles for the design improvement which is adapted to the current urban architectural importance of railway station and the advanced technologies. As a result, for the improvement of design quality of Korean railway station, the Korean design guidelines need to set up integrated design principles, to re-categorize the building types based on the user-demand and to designate the design process in the design guideline.

      • KCI등재

        아동가구디자인에 있어 근거이론방법론으로 도출된 가이드라인의 적용

        유택상,강병길,박진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인 ‘가추를 적용한 디자인 과정의 규명 및 아동용 가구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도출’에서 제시된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실제 아동 가구를 제작하여 봄으로써 그 가이드라인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아동 가구디자인의 사례와 그 사용 장면을 근거이론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방법적으로 종합함으로써 특정 사례에 종속되지 않으면서 구체적이고 현실을 반영하며 새로운 디자인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개방적 가이드라인의 도출을 행하였다. 또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 과정에서 디자이너가 직관적 경험적 접근을 행함에 있어 높은 수준의 자유도를 허용하기 위하여 디자인팀을 기획파트와 디자인파트로 분리하여 기획파트는 해당 디자인에 적용하여야할 적절한 가이드라인의 선별과 적용을 관리하고 디자인파트는 기획파트의 가이드 안에서 자유롭게 디자인작업을 진행하는 새로운 진행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타당성은 디자인 결과물에 대한 사용성의 평가를 통해 더 확고한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나 그런 부분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의 도출에 있어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한 본 연구는 아동 대상과 같은 특수성을 가진 디자인을 수행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보겠다.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validity and availability of the guidelines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y 'A Definition of Design Process and Deduction of Design Guideline for Children's Furniture Applying Abduction' by applying the guidelines to the actual furniture design for children. The photos of multiple samples of furniture design works for children designed by world class designers and the scenes of children utilizing and playing with the furniture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theorized into guidelines. A new approach was adopted in design process by separating design team into two parts, the rational part and the intuition part, where the rational part searched for the applicable guidelines and demanded and evaluated the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to the design result while the intuition part freely glided in search of the appropriate solutions which meet the rational part's requests. The new approach afford the intuition part high degree of freedom in design without taking risk of going two far with the assistant of the rational part who regulated the appropriateness of design purposes. Though the validity and availability of the guidelines and the new methodology shall be fully supported only by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esign results which is remained for following research, the strength of the study lies in proposing the possibility of deduction of applicable guidelines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especially for the design that needs special guide such as children's furniture design.

      • KCI등재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방향 안내 표지판 디자인의 메타 가이드라인 제안

        한지애(Ji Ae Han),류시천(Si Cheon You)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1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0 No.2

        길찾기는 ‘목적지를 찾는 문제 해결 과정’으로 최적의 경로 선택을 위한 공간 데이터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공간의 복잡화와 길찾기 서비스의 매체 확장으로 인해 공간데이터가 다양해져 정보디자인 관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길찾기 과정에서 중요한 인지적 단서가 되는 안내표지판 디자인을 위해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공간데이터 디자인을 위한 메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정보디자인, 표지판 디자인 관련 문헌 연구와 표지판 가이드라인 매뉴얼 분석을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단계별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사례 분석과 전문가 FGI를 통해 3단계 디자인 프로세스 중 정보 조직화와 시각화 단계에 관한 메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셋째, 메타 가이드라인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여 메타 가이드라인을 표지판 디자인에 적용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시행하였다. 사용자 설문을 통해 메타 가이드라인의 핵심 내용인 공간 특성에 따른 정보 위계, 정보 위계에 따른 정보 우선순위, 방향과 공간에 관한 시각화에 관한 가이드라인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표지판 디자인에 필요한 정보 요소들을 프로세스 중심으로 체계화시켰다는 점과 공간특성에 따른 표지판 디자인에 관한 거시적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복잡한 공간 또는 다양한 매체를 위한 방향지각 정보, 공간인지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시각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Wayfinding is a ‘Process solving problem to find destination’, and it is important to select spatial data for optimal way. Recently, due to the complexity of space and the expansion of the medium of the wayfinding service, it is necessary to the approach on the information design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a guideline on the information design for the design of orientation sign, which is an important cognitive clue in the wayfinding. It was conducted in 3 stages, First, a design process was proposed and design elements were derived for each step by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information and sign design, and analysis of manual for signage design. Second, a meta guideline for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visualization in the three-stage design process was proposed by FGI and analysis. Third, the meta guideline was applied to the sign design on an area for user evaluation to inspect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 guideline. Through the user questionnai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guideline for visualization of directions and spaces, information hierarchy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priority was identified. It is meaningful in that necessary element for signage design are systematized centering on the process and that it presents a macroscopic methodology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해외 고령친화 주택디자인 가이드라인 특성 분석

        황윤서 ( Hwang Yoonseo ),이연숙 ( Lee Yeunsook ),임예지 ( Lim Yeaji ),전은정 ( Jun Eun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인구 고령화는 글로벌 현상으로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노인의 안전과 자립생활을 지원해주는 고령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지침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제시·적용되고 있다. 한국의 고령화는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증가 속도를 보이며 2025년 고령인구가 20%가 넘는 초고령사회를 진입을 앞두고 있어 고령자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시급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보다 앞서 고령화를 겪어온 해외 선진국의 최근 개발된 고령친화 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적 현실에 맞는 주거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최근 개발된 해외 고령친화 가이드라인의 내용분석 연구로서 이를 위해 미국(HomeFit Guide), 호주(Livable housing Design), 아일랜드(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의 고령친화 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대상으로 디자인 주요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WHO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 8대 분야 중 주거공간 지침에 해당하는 ‘housing checklist’를 분석 틀로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모든 국가는 Aging in place(AIP)의 실현을 위해 노인의 취약한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주택계획 요소는 물론 다양한 모든 사람이 생애주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 내 거주 가능한 주택(AIP)으로서의 시장가치(Affordability)를 중시하였다. 미국의 ‘HomeFit Guide’는 거주 노인의 입장에서 부담없이 기존 주택 개조 및 유지관리할 수 있는 측면에서 중점을 두었고, 호주의 ‘Livable housing Design Guidelines’와 아일랜드의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는 신축 주택계획 및 시공 시 추후 거주자의 요구에 맞출 수 있는 개조의 용이성 측면에서 더 세심한 노력이 있었다. 특히 아일랜드의 경우 주택에 원격 의료 및 모니터링 기술을 도입하여 일상생활 및 돌발상황 관리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 고령친화 주택의 보편화와 주택개조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각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접근과 노인 주거복지 관련 정부관계자, 정책담당자, 주택계획 전문가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지원으로 정보 교류 및 모니터링 등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발적 참여 증진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global phenomenon of population aging has prompted numerous countries to adopt and implement specific practice guidelines, aiming to cultivate an age-friendly environment conducive to the safety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burgeoning older adult population. Among OECD nations, South Korea stands out with the fastest-growing aging population, poised to transition into a super-aged society with a projected elderly population of over 20% by 2025. This demographic shift urgently necessitates the formulation of housing welfare policies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older adults in Korea. Consequently, this study endeavors to scrutinize the key attributes of recently developed age-friendly housing design guidelines from advanced nations that have confronted the challenges of aging before Korea. The goal is to furnish foundational data for the creation of housing models aligned with the distinctive realities of the Korean context. (Method) Employing a content analysis approach, this study delves into recently formulated age-friendly guidelines from overseas. The focus extends to housing design guidelines from the United States (HomeFit Guide), Australia (Livable Housing Design), and Ireland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 The primary design characteristics are subjected to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housing checklist,' aligned with the residential space guidelines among the eight areas outlined in the WHO Age-Friendly City Guidelin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s a consensus across nations on the imperative consideration of housing planning elements geared towards accommodating the vulne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emphasizing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AIP).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habitable housing,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life cycle, is underscored, with an added emphasis on market value, particularly affordability. The 'HomeFit Guide' from the United States places a premium on enabling older adults residents to remodel and maintain existing homes without undue burden. In contrast, Australia's 'Livable Housing Design Guidelines' and Ireland's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 exhibit a meticulous focus on facilitating ease of modification during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new housing. Notably, Ireland introduces remote medical and monitoring technology into homes, enhancing daily life and emergency management services. (Conclusions) To propagate senior-friendly housing on a universal scale and invigorate the housing renovation market,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nuanced approach that consider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 education program targeting government officials, policymakers, housing planning experts, and older adults, related to senior citizen housing welfare, is paramount. Additionally, promoting voluntary participation is highlighted, facilitated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and monitoring supported by an easily accessible platform.

      • KCI등재

        서울시 공동주택 심의기준 운영사례를 통한 실효성 분석

        김광배(Kim Kwang-Bae)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1

        The urban architecture of the city of Seoul has been regarded as means to support the economic growth by supplying fast and inexpensive products such as large scale land development, housing and commercial buildings in the process of radical urbanization. Due to the concept of the urban development, growth and construction as a product the resources of the unique history and culture of Seoul has been damaged and Seoul has been turned into a culturally unidentified city. The architectural design review committee system of Seoul has been administered since 1974 by establishing the ordinances of the design review committee. And since then, the criticisms such as the redundant design review committee process, the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situation, the lack of consistency and objectiveness of the outcome, and the regulative device that impedes the creativity have been pointed out. Recently in 2007, the city of Seoul proposed a Apartment Housing Design Review Guideline, test-ran it for one year and administered it as a design review committee guideline since 2008. The intent is to make the city of Seoul better environmentally by proposing a new guidline for the urban development. And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 guideline in terms that how it resolved the existing problem and improved i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inforced design review committee guideline by analyzing the history, background and the current changes of the guideline and to judge the effectiveness based on the case stud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It is acknowledged that the new reinforced design review guideline made the retrial rate raised, improved the perception of the citizen of Seoul in design Seoul, and made positive outcome in environment-friendly and energy saving design. And also it made positive outcome in building design, public space design and environmental design as well. However, it still needs improvement in that the design review guideline needs to be administered with more consistency and objectiveness, and as a tool to guide the creative design rather than being a regulative device. To achieve this, all the parties involved such as the client, architect, design committee, and administration officers need to acknowledge from the same stance and take their own responsibilities to improve it.

      • KCI등재

        해외 고령친화 주택디자인 가이드라인 특성 분석

        황윤서,이연숙,임예지,전은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인구 고령화는 글로벌 현상으로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노인의 안전과 자립생활을 지원해주는 고령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지침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제시·적용되고 있다. 한국의 고령화는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증가 속도를 보이며 2025년 고령인구가 20%가 넘는 초고령사회를 진입을 앞두고 있어 고령자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시급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보다 앞서 고령화를 겪어온 해외 선진국의 최근 개발된 고령친화 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적 현실에 맞는 주거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최근 개발된 해외 고령친화 가이드라인의 내용분석 연구로서 이를 위해 미국(HomeFit Guide), 호주(Livable housing Design), 아일랜드(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의 고령친화 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대상으로 디자인 주요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WHO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 8대 분야 중 주거공간 지침에 해당하는 ‘housing checklist’를 분석 틀로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모든 국가는 Aging in place(AIP)의 실현을 위해 노인의 취약한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주택계획 요소는 물론 다양한 모든 사람이 생애주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 내 거주 가능한 주택(AIP)으로서의 시장가치(Affordability)를 중시하였다. 미국의 ‘HomeFit Guide’는 거주 노인의 입장에서 부담없이 기존 주택 개조 및 유지관리할 수 있는 측면에서 중점을 두었고, 호주의 ‘Livable housing Design Guidelines’와 아일랜드의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는 신축 주택계획 및 시공 시 추후 거주자의 요구에 맞출 수 있는 개조의 용이성 측면에서 더 세심한 노력이 있었다. 특히 아일랜드의 경우 주택에 원격 의료 및 모니터링 기술을 도입하여 일상생활 및 돌발상황 관리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 고령친화 주택의 보편화와 주택개조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각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접근과 노인 주거복지 관련 정부관계자, 정책담당자, 주택계획 전문가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지원으로 정보 교류 및 모니터링 등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발적 참여 증진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global phenomenon of population aging has prompted numerous countries to adopt and implement specific practice guidelines, aiming to cultivate an age-friendly environment conducive to the safety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burgeoning older adult population. Among OECD nations, South Korea stands out with the fastest-growing aging population, poised to transition into a super-aged society with a projected elderly population of over 20% by 2025. This demographic shift urgently necessitates the formulation of housing welfare policies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older adults in Korea. Consequently, this study endeavors to scrutinize the key attributes of recently developed age-friendly housing design guidelines from advanced nations that have confronted the challenges of aging before Korea. The goal is to furnish foundational data for the creation of housing models aligned with the distinctive realities of the Korean context. (Method) Employing a content analysis approach, this study delves into recently formulated age-friendly guidelines from overseas. The focus extends to housing design guidelines from the United States (HomeFit Guide), Australia (Livable Housing Design), and Ireland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 The primary design characteristics are subjected to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housing checklist,' aligned with the residential space guidelines among the eight areas outlined in the WHO Age-Friendly City Guidelin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s a consensus across nations on the imperative consideration of housing planning elements geared towards accommodating the vulne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emphasizing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AIP).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habitable housing,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life cycle, is underscored, with an added emphasis on market value, particularly affordability. The 'HomeFit Guide' from the United States places a premium on enabling older adults residents to remodel and maintain existing homes without undue burden. In contrast, Australia's 'Livable Housing Design Guidelines' and Ireland's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 exhibit a meticulous focus on facilitating ease of modification during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new housing. Notably, Ireland introduces remote medical and monitoring technology into homes, enhancing daily life and emergency management services. (Conclusions) To propagate senior-friendly housing on a universal scale and invigorate the housing renovation market,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nuanced approach that consider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 education program targeting government officials, policymakers, housing planning experts, and older adults, related to senior citizen housing welfare, is paramount. Additionally, promoting voluntary participation is highlighted, facilitated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and monitoring supported by an easily accessible platform.

      • KCI등재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구성요소 및 특성 분석

        이현성(Hyun Sung Lee),정규상(Kyu Sang Jung),신서영(Seo Young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해안 공간에 대한 경제적 가치 창출의 기대와 문화적·공공적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개발로 인한 자연성 훼손과 사용자 간의 충돌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외에서는 해양 공간관리를 위한 다양한 제도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도 그 중 하나로서 해안도시의 구조 및 축의 설정에서부터 특정 시설물의 형태 및 재질, 색채에 이르는 사항을 지시한다. 국내에서도 해안 공간의 이용 수요는 급증하였으나 관리와 환경 보호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지방 정부기관에서 발행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 및 선행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이드라인의 목차와 세부내용을 통해 구성 체계를 파악하고,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다루어야 할 디자인 대상과 고려되어야 할 특수한여건, 적용 가능한 공간 프로그램 등을 도출하였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만 블루 그린웨이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장소성을 고려한 해안 프로그램과 계획도, 도로디자인 지침과 통합 사인시스템 디자인 등을 제시하여 구체성이 높았다. 샌프란시스코 만 연안공간 공공접근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접근성 강화를 목표로 물리적, 시각적 접근을 위한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주거지를 유형화하여 각각의 지형·성장잠재력 등의 상황에 맞는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 카와사키시 임해부 색채 가이드라인은 공장 구조물에 대한 지구별 색채 범위 및 배색 예시를 제공하고 있다. 사례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개발의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안의 풍토, 경관, 지형 등을 고려하여 일반 수공간과는 차별화된장기적 관점의 디자인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해안 공간에서 자연과 인간, 거주민과 방문객 간의 충돌방지를 위하여 활동 구역의 경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또한 개발 전 이용자의 수요 및 현황을 상세히 분석해야 한다. 셋째,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위한 통합적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이는 물리적, 시각적, 내용적 디자인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해안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다루어야 할 디자인 대상과 도심과는 다른 특수한 고려사항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국내 해안 맞춤형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xpectations are growing for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in the space coast. And cultural, public use has also increased. For this reason, the naturality has been destroyed and Conflicts has arisen between us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any countries are prepared for a variety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system and practices. Coastal design guidelines is one of them. It set structure, the axis of the coastal cities and provides guidance for specific facilities` design and materials, colors. Demands of use of coastal space are increasing in domestic, too. But there isn`t coastal design guidelin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raw some implications through development status and the preceding case analysis that based on paper documents published in internal and external local governments. We identified the structure of coastal design guidelines` system through contents and details and drew suitable design items, special circumstances to consider and applicable programs. The Blue Greenway Design guidelines of San francisco bay provides guidance for coastal program, plans map, integrated sign system, road design with consideration about the placeness. It is very specific. The Shoreline spaces public access design guidelines for the San Francisco Bay provides physical, visual approach methods to improve accessibility. The coastal design guidelines for NSW provides design guid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dence to consider the terrain and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The last guidelines, Kawasaki-si coastal color guidelines provides the color range and coloration examples for plant facili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trict. Case analysis consideration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coastal design guidelines are derived. First, the coastal climate, scenery, terrain, etc.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this, differentiated long-term perspective of the design guidelines is needed. Second, the coastal areas of public use in the space boundaries should be clear in order to prevent conflicts between Natural vs. human and residents vs. visitors. In addition, the user`s demand and site`s status should be analyzed in detail before the development. Third, the integrated coastal design guidelines that considers the linkage with surrounding area are needed. To this, Physical, visual, content design plans can b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he specific design targets that must be guided in coastal design guidelines are derive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city design guidelines` things.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the domestic coastal design guide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