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교우관계를 통한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최명희 ( Myung Hee Cho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한국에 정착하고 있는 탈북자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해외로 이탈하는 ``탈남 러시현상``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탈남의 절반이상이 20대로서 한국에서 대학교나 직장경험이 있다는 것이다. 탈북자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에서 겪는 다양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탈북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남한대학생과의 교우관계가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 8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재학 중인 탈북대학생 5명과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탈북대학생에게 있어서 교우관계는 자아존중감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남한대학생들 간의 교류 및 남북한의 교육적 차이를 이해하고 통일 후 남북통합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recent sociological interest o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expanding onto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residing in South Korea. However, in reality, a re-defection to overseas due to inability to assimilate into the Korean society, so called "The Flee South Rush," is becoming the social issue. Of these "South Re-defectors," more than fifty percent have experiences with either college or company in Korea. Although the studies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ions" continue as always, the fact is that researches are lacking on the various experiences that these refuge students have to cope with in their college liv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eer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affect and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ssimilation in their college live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fiv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ho were attending colleges from the August 2013 through the March 2014. The research concluded that the peer relationshi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stilling self confidence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e intent of the research is not only to contribute in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and educ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s students, but also to provide a suggestion in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 after the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교우관계를 통한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최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The recent sociological interest o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expanding onto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residing in South Korea. However, in reality, a re-defection to overseas due to inability to assimilate into the Korean society, so called “The Flee South Rush,” is becoming the social issue. Of these “South Re-defectors,” more than fifty percent have experiences with either college or company in Korea. Although the studies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ions” continue as always, the fact is that researches are lacking on the various experiences that these refuge students have to cope with in their college liv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eer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affect and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ssimilation in their college live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fiv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ho were attending colleges from the August 2013 through the March 2014. The research concluded that the peer relationshi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stilling self confidence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e intent of the research is not only to contribute in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and educ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s students, but also to provide a suggestion in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 after the unification. 최근 한반도 통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한국에 정착하고 있는 탈북자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해외로 이탈하는 ‘탈남 러시현상’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탈남의 절반이상이 20대로서 한국에서 대학교나 직장경험이 있다는 것이다. 탈북자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에서 겪는 다양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탈북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남한대학생과의 교우관계가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 8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재학 중인 탈북대학생 5명과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탈북대학생에게 있어서 교우관계는 자아존중감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남한대학생들 간의 교류 및 남북한의 교육적 차이를 이해하고 통일 후 남북통합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필요한 교육요구분석

        노경란 ( Kyungran Roh ),허선주 ( Sunjoo Hur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1 통일연구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지원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할적응에 필요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 지원 실무 경험 또는 북한이탈대학생 관련 연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15명을 델파이패널로 구성하여 교육요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필요한 교육요구는 대학생활 이해, 전공 기반 진로개발, 남한사회 이해 기반 적응 기술, 대학생으로서의 마인드,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초역량(한국사, 영어, 컴퓨터활용 등),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학업역량 등으로 영역이 구분되었다. 둘째, 북한이탈대학생의 교육요구에 대한 중요도, 교육요구도,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준거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교육요구들을 반영하여 교육프로그램(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전통적인 대학(4년제, 전문대학)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요구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함께 변화하고 있는 고등교육생태계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NK students) to adapt to college as a basic step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support to improve college life adapta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achieve this purpose, a Delphi panel composed of 15 experts with practical experience in supporting NK students’ university life or research experience related to NK students was form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ur rounds. As a result, firstly, the educational needs of NK students are related to understanding college life, career development based on majors, adaptation skills based on understanding South Korean society, mind as a college student, and basic competencies (Korean history, English, computer skill, etc.), and the academic competency that university students must have. Secondly, the educational program(draft) was presented by reflecting the high-priority education needs in at least two criteria(criteria: importance, degree of needs, and priority). Lastly,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in the higher education ecosystem, which is changing with the advent of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because it analyzed the educational needs based on the experience at a traditional university (four-year system, junior college).

      • KCI등재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에 대한 질적 탐색 - 학습 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질적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오현아,김지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1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language literacy pattern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narratives of the learning biographical approach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as a textual analysis technique.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a learning biographical approach to analyzing the language literacy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Chapter 3 attemp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a study life history based on a prior survey, negative interview, and supplementary survey of 10 North Korean defectors attending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while Chapter 4 conducted an analysis of language patterns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three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tudy life stor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apturing the life and learning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eparated by 1) cognitive level and 2) affective level. Second, on a cognitive level, four topics were derived and the results were compiled: (1) the degree of school education experience in North Korea, (2) the duration of transit to other countries, (3) the status of learning experience in transit countries, and (4) whether or no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experience in South Korea. Third, on a affective level, three topics were derived and the results were compiled: (1) experience in writing assessment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due to North Korean accents; (2) anxiety about possible social adaptations in South Korea; and (3) whether or not they were accompanied by family members. In Chapter 4, the results of language literacy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language literacy pattern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was presented first by distinguishing between 1) universal language literacy problems that could appear the same to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 language literacy problems according to the special variant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econd, the three-stage structure of introduction, main theory, and conclusion was same thing with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1) lack of general-level language literacy, 2) lack of ability to outline, 2) lack of understanding of self- thought or argument. Third, as for the language literac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ecial variable of a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 it presented a critical writing culture due to 1) difficulties caused by differences in terminology in inter-Korean textbooks; 2) differences in literary literacy due to differences in literary reading experience;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social system. 이 연구에서는 학습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텍스트 분석 기법으로서의 질 적 내용 분석에 기반해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을 위한 학습생애사적 접근의 의의를 살핀 이후에, 3장에서는 서울 소재 A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탈북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내러티브 인터뷰, 보충 설문을 바탕으로 학습생애사 결과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4장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 기반의 언어 문식성 양상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3장의 탈북 대학생의 학습생애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대학생의 삶과 학습을 포착하는 개념으로 1) 인지적 차원과 2) 정의적 차원을 구분하여 유형화하였다. 둘째, 인지적 차원에서는 (1) 북한에서의 학교 교육 경험 정도, (2) 타국 경유 기간, (3) 경유 국가에서의 학습 경험 여부, (4) 남한에서의 초중고 학교 교육 경험 여부의 4가지 주제어를 도출하여 연구 결과를 구성하였다. 셋째, 정의적 차원에서는 (1) 북한 사투리로 인한 남한 대학 내 글쓰기 평가 감점 경험, (2) 남한 사회 적응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 (3) 가족과의 동반 여부라는 3개의 주제어를 도출해 연구 결과를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 기반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은 우선 1) 남한의 대학생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인 언어 문식성 문제와 2) ‘탈북’ 대학생이라는 특수 변인에 따른 언어 문식성 특성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남한의 대학생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 차원의 언어 문식성 문제로는 1) 개요 짜기 능력이 미비한 경우, 2)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 3) 서론-본론-결론의 3단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를 제시하였다. 셋째, 탈북 대학생이라는 특수 변인에 따른 언어 문식성 특성으로는 1) 남북한 교과 전문 용어 차이로 인한 어려움, 2) 문학 독서 경험의 차이로 인한 문학 소양의 차이, 3) 북한의 사회 체제 특성으로 인한 비판적 성향의 글쓰기 문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탈북대학생의 남한대학생 교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최명희(Choi, MyungHee),김영순(Kim, Youngsoon),홍정훈(Hong, Ju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최근 남북한 통일을 바라보는 사회적 관심으로 탈북자들의 남한사회적응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남한 사회 적응에 있어서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한 20대 젊은이들은 또 다시 해외로 이탈하는 ‘탈남 러시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정 착과 혼란으로 또 다른 새로운 양상의 디아스포라(Diaspora)를 재촉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남한대학생과의 교우관계 경험을 통한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교우관계에서 상이한 용어로 인한 의사소통에서의 어려 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억양의 차이로 인한 교우관계에서의 위축이었다. 셋째, 선후배 관계에 따른 호칭으로 인하여 교우관계에서의 혼란을 겪는 어려움이었다. 넷째, 교우관계는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피상적이고 제한적인 접촉만을 가지는 관계라 는 것이다. 다섯째, 탈북자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과 편향성에 대한 시선이 교우관계에서의 걸림돌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사회인식변화가 중요하다는 것과 남북통일 후 민족의 ‘동질성’은 되찾고 문화 ‘차이’ 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해주고 있다. With the recent upsurgence of social interest in the unificati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ion issues are becoming another social problem. Recently, North Korean Defector youngsters in twenties, who have failed to overcome difficulties in assimilation, fleeing again this time to overseas in so called Flee-South Rush. This is signaling another version of the “Diaspora” This research was done on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based upon the peer relationship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Students. This research concludes the followings: Firstly, they are facing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causing from the differences in language expressions. Secondly, they are experiencing an inferiority complex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s in accents. Thirdly, they are creating a confusion in the peer hierarchy by not knowing the terms referring to the seniors and juniors. Fourthly, due to the financial complexes, they are intentionally keeping distances amongst peers and maintaining only a superficial relationships. Finally, the fifth, the discriminative and opinionated and social perceptions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causing a barriers in peer relationships. These research results revealed an importance of a change in the social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term “differences.” In addition, the research result also indirectly stressed need and urgency of finding a method to find the similarities while minimizing the cultural differences after the unification.

      • KCI등재

        통일 대비 탈북대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 적용 사례: 기독교 신앙, 학업 역량 강화 및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최윤희 기독교통일학회 2023 기독교와 통일 Vol.14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a comprehensive support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equipped for their future roles as Christian missionaries or pastors in a unified Korea. The program encompassed three key aspects: Christian faith formation, academic competence enhancement, and identity formation through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and community service learning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a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North Korean defectors majoring in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at a Christian university in Seoul based on Branch(2009)'s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The specific program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for Christian faith formation, weekly prayer meetings centered on unification and spiritual restoration were conducted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o enhance academic competence, customized tutoring programs were designed to cater to the specific needs of defectors, including English and computer tutoring. Special courses, such as Korean academic writing workshops and tutoring in Hebrew and Greek for theology majors, were also offered. Finally, to build social belonging and identity in Korean society, a community service program was introduced, facilitating defectors' volunteering and integration with local churches to foster a sense of belonging. In addition, historical learning activities,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modern Korean history, were organized to deepen defectors' historic knowledge. Furthermore,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program every year and developed a better program over the course of four years, from 2019 to 2022.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academia of Christianity, national unification, and pedagogy as it presents a holistic approach to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preparation for a unified Korea. 본 연구는 통일한국 시대를 대비하여 탈북대학생의 기독교 신앙 형성, 학업 역량 강화와 올바른 정체성 형성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중, 장기적으로 개발하고 적용 후 효과 분석 및 환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Branch(2009)의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을 바탕으로 서울 소재 기독교 대학의 신학 및 기독교교육 전공 탈북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신앙 형성과 회복을 위해 매주 한 시간 이상 북한과 통일을 위한 기도 모임을 진행하였다. 둘째, 학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탈북학생들에게 가장 시급한 영어와 컴퓨터 튜터링을 매 학기 약 10~13회 이상씩 실시하도록 하는 튜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국어 글쓰기 특강 및 신학 전공의 학업 지원을 위해 헬라어와 히브리어 등의 튜터링도 병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사회의 소속감과 올바른 정체성 확립을 위해 지역사회 개척 교회를 방문하여 봉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고, 한국 전쟁 등 올바른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일의 필요성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통일한국시대를 대비하여 통일선교사 또는 목회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탈북대학생을 기독교 신앙적 측면, 학업 지원, 역사 인식 제고 및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한 올바른 정체성 형성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했다는 데에서 기독교와 통일을 연계한 학문과 탈북민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측면에서 의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북한이탈대학생 대학입시특별전형에 관한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권오영(Ohyoung Kwo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4 敎育政治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으로 입학한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 생활 실태 분석을 통해 특별전형제도가 가지고 있는 쟁점을 고찰한 후, 해당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수행을 위해 연구 방법은 실태 분석에 적합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10명의 북한출신대학생과 북한이탈주민 관련 전문성을 가진 대학교수, 연구원, 교사,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6명의 전문가를 포함한 총 16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열린 질문, 반구조화된 면담 방식을 활용한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의 쟁점을 불러일으키는 핵심 내용으로 2가지 범주별 3가지 주제, 총 6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인 특별전형의 기회가 주는 긍정적 효과의 범주에 포함된 3가지 주제는 특별전형이 없이는 대학 진학이 어려운 북한이탈학생에 대한 기회 제공, 특별전형을 통한 명문대 진학으로 얻게 되는 개인 및 사회자본 가치의 상승, 특별전형의 기회로 한국 사회에서 주류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이 생길 것이라는 기대였다. 두 번째 범주인 특별전형으로 입학했기 때문에 겪는 어려움의 범주에 포함된 주제는 기초학력 부족으로 인한 학업 격차,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것을 남들이 알까 불안한 마음, 졸업해도 일반대학생들과는 확연히 차이 나는 역량에 따른 진로 선택의 어려움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 및 논의하였고,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쟁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상의 세 가지 쟁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제도에 대한 주요 시사점과 향후 제도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giat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dmitted via special admissions, scrutinized the challenges of this system, and proposed enhancements. Emplo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it involved 10 defector students and 6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and field specialists, totaling 16 participants.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s (FGI) highlighted six themes across two categories about the special admissions process challenges. The first category showed the positive impact of special admissions, such as facilitating university entry for defectors, enhancing their social capital, and aiding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The second category focused on challenges like academic gaps, anxiety over their special admission status, and career choice difficulties. These findings,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 underscored three main issues with the special admissions system. The study suggests improvements to better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 KCI등재

        탈북대학생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은화(Lee, EunHwa),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탈북대학생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정리하여 향후 탈북대학생 관련 연구를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와 국회도서관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2019년 3월 한달 동안 2003년부터 2019년 3월까지 발표된 탈북대학생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색어는 탈북대학생, ‘북한 이탈 주민 대학생’, ‘새터민 대학생’, ‘북한이탈 대학생’으로 투입하였다. 이 결과 총 44편의 논문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의 준거는 연도별 연구동향, 게재 학술지, 연구 대상자의 호칭, 연구방법, 그리고 연구주제이다. 연구주제는 4개의 대주제 즉, 대학적응, 사회적응, 언어/영어학습, 남북한 비교로 구분되었고, 하위요인으로 총 10개의 소주제가 구분되었다. 분석 결과, 2013년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연도별 발표논문 수는 증가하고 있었으며, 총 37개의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되었고, 교육학 분야의 학술지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탈북대학생이라는 명칭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문제 2의 연구주제 분석의 결과, 대학적응과 관련된 논문이 52.2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사회적응, 언어/영어학습, 남북한 비교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e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44 academic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using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earch service. First, the trend of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journals field, naming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 Second, the research theme was analyzed according to university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language/English learning, and comparis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been growing since 2013. There were more articl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mpared to articles with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ir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 52.27% of the papers were related to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Compared with papers on North Korean defectors,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re very small. It is necessary to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in arious ways and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rograms that can directly help them adapt to college and social adaptation.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교육지원 방안 모색

        오태봉,이희주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탈북 대학생의 교육 지원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탈북 학생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진로지원, 리더육성, 글로벌 인재양성, 경제적 지원 등의 다양한 교육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2010년과 비교하여 북한이탈 대학생 수가 98% 증가하였고, 최근 10년간 초, 중, 고등학생의 중도탈락은 감소하였으나, 탈북 대학생의 중도탈락 비율이 일반대학생에 비해 75% 정도 높았다. 또한, 남북한 교육제도의 차이에 따른 학업 적응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교우관계 어려움, 학업 결손에 따른 기초학업능력 부족, 기타 사회적 지지 체계 연약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지속적인 유기관계를 가지고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대학생활에 대비하는 프로그램의 활용이 매우 중요해 보인다. 아울러 탈북 대학생의 사회정착 성공 사례, 지난 10년간의 대학교육과 취업간의 간극의 결과가 제도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등의 추후 관련 연구에 대해 제언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