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융합 사회의 문식성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의 대응과 과제

        원진숙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69

        In this paper, we have explored a new direction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dvent of a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characterized by ‘multiculture’ and ‘multilingual’ code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To this end, we newly restructured the concept of ‘literacy’ that is requested by the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into the concept of ‘multiple literacy’. This concept includes s ‘multicultural literacy’, which embraces minorities based on understanding and tolerance of different cultures, and ‘functional literacy’, which is a power that enables minorities to express their voice as a dignified literacy practioner. Also we reviewed the aspects of literacy education that has responded to the challenge of the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cooperation with the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policy that has been promo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ince 2006.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Korea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cultural diversity through KS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literacy based on empowerment model. 이제까지 본고에서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다문화와 다중언어라는 코드로 특징지어지는 문화 융합 사회의 도전에 따른 국어 문식성 교육의 대응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문식성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단일 언어주의와 단일 민족국가라는 순혈주의 대신 여러 인종과 민족, 계층 등 다양한 집단의 복수의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와 여러 개의 언어가 공존하는 ‘다중언어’라는 코드를 기반으로 특징지어지는 문화 융합 사회는 이미 우리 국어 문식성 교육의 생태학적 조건이 되어 버렸다. 본고에서는 문식성이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광범위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역동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에 주목한 David Barton(2007)의 생태학적 관점에 기반하여 새롭게 도래한 문화 융합 사회의 ‘다문화 배경 국어 공동체’ 안에서 다수자인 일반 학생들과 소수자인 다문화 학생들 간의 언어 통합과 공존의 해법을 국어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문화 융합 사회가 요구하는 문식성 개념을 재구조화하고 2006년 이후 지금까지 교육부 주도하에 추진되어 온 다문화 언어 교육 정책과 연동하여 국어교육계에서 문화 융합 사회의 도전에 대응해 온 문식성 교육의 양상들을 검토하는 작업을 통해 국어 문식성 교육이 민족어 교육으로서의 정체성을 극복하고 외연을 어떻게 확장해 왔는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

        남북한 언어 동질성 회복 방안에 대한 연구 - ‘관용 표현’ 교육을 중심으로

        박소은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3 국어교육연구 Vol.- No.8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Idiomatic Expression” as part of integrated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so-called unification era in which learners of the two Koreas will rece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gether. “Idiomatic Expression” is a common educational content in the two Koreas. Both the two Koreas emphasize “knowledge” and “performance” together in that they deal with learning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knowledge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related to idiomatic expressions and use in real life. Meanwhi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as a means of enhancing ideologicality in North Korea. However, the content of idiomatic espression education as an integrated education content to be used in the era of unification needs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linguistic heterogeneity of the two Koreas and further restoring and strengthening homogeneity. In order to restore the homogeneity of the two Koreas,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Idiomatic espression’ should be ‘related to the values that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the lives of Koreans, reflect the unique discourse customs of the Korean people, and be familiar to the Korean people.’. It was also suggested that it is desirable to organize educational contents for inquiry activities in order to understand heterogeneity. 이 논문의 목적은 남북한의 학습자가 함께 국어교육을 받게 될 이른바 통일 시대를 대비한 통합 교육 내용의 일환으로 ‘관용 표현’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 그 의의를 검토하여 남북한의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관용 표현은 남북한에서 공통으로 다루는 교육 내용이다. 남북한 모두 관용 표현과 관련된 지식 습득 및 이해, 실생활에서의 사용까지 고려한 학습 활동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앎’과 ‘수행’을 함께 강조하고 있음이 공통된다. 한편 북한에서는 사상성을 드높이기 위한 수단으로도 관용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렇지만 통일 시대에 활용하게 될 통합 교육 내용으로서의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은 남북한의 언어적 이질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동질성을 회복하고 강화하기 위한 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남북한의 동질성 회복 차원에서는 ‘관용 표현’과 관련된 교육 내용이 ‘한국인의 삶에서 중요하게 여겨져 온 가치와 관련이 있을 것, 한민족이라는 언어 공동체의 고유한 담화 관습을 반영할 것, 한민족에게 친숙한 내용일 것’임을, 이질성 이해 차원에서는 탐구 활동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설득적 의사소통의 교육 내용 개선 방향: 내용 생성 및 조직을 중심으로

        양경희,최영인,길호현,박재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critical review on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persuasive communi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draw implications that improve and systemize its educational content. To do so,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items for ‘content creation’ and ‘content organization’ among other achievement standards for persuasive communication from the 1st to 2015 revised curriculums. By organizing relevant educational contents with keywords, this study inductively classified and categorized the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s,’ and then examined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ose educational contents. From such an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at hierarchizing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for persuasive communication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development stage into the areas of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ould enhance coordination between these areas and ensure the sequence of educational conten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ensure the sequence of educational content if the description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s is improved by determining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s’ and presenting additional inform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교육과정 중 설득적 의사소통 역량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교육 내용의 개선과 체계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설득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성취기준 중 ‘내용 생성’과 ‘내용 조직’에 해당하는 항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관련 교육 내용을 핵심어로 정리하여 ‘내용 요소’와 ‘기능’을 귀납적으로 분류하고 범주화한 후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설득적 의사소통 역량의 교육 내용 요소를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등 제반 영역으로 위계화하여 배열함으로써 영역 간 공조를 실질적으로 강화할 수 있으며 교육 내용의 계열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육 내용을 ‘내용 요소’와 ‘기능’으로 확정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덧붙여 제시하는 방식으로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을 개선하면 교육 내용의 계열성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임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서설(序說)

        박윤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본 연구는 문학의 본질에 천착한 문학교육 평가의 거시적인 틀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간의 문학교육 평가 연구들이 지엽적이거나 개인적인 아이디어 차원의 제안에 그쳤고, 문학의 본질에서 가장 크게 어긋나 있으면서 문학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평가라는 생각에서 연구를 출발하였다. 먼저, 평가 및 인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철학과 심리학, 교육학 등을 포함하는 학제적 접근을 통해 점검하고 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평가관과 지식관을 정립하였다. 평가는 ‘수업 결과의 평가’와 ‘목표 성취를 위한 평가’를 넘어, ‘교육 목적 실현을 위한 평가’로 재개념화하고, ‘교육 목적 실현을 위한 전방위(全方位) 설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앎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통해 ‘교육’에 대해 재고해 봄으로써 문학교육 평가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작품을 통해 삶과 자아에 대한’ 교육과 평가로 변화되어야 할 당위를 문화심리학의 인지 패러다임에서 찾고, 문학의 본질적 양식이자 인간의 기본적인 사고 양식으로서의 내러티브를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내러티브는 문학교육의 대상이자 현상, 원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문학교육 평가는 내러티브에 기반할 때 문학과 교육의 가치를 회복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내러티브 기반 문학교육 평가’란 내러티브의 의미 층위가 문학 평가의 목표, 내용, 방법 등 평가의 전 과정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이에 문학의 속성이자 내러티브의 자원이 되는 삶과 경험, 상상력이 내러티브적 교섭을 통해 내면화(internalization), 외면화(externalization)되는 과정을 전제하고, 평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경험과 상상력, 내면화와 외면화의 기제 및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추출한 얼개를 바탕으로 거칠지만 이론적 차원에서 내러티브에 기반한 문학교육 평가의 틀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suggest a broad frame of evalu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o inquire the nature of literatur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was incomprehensive or it just represented personal ideas. Although evalu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literature education, it deviated from the nature of literature. This is the reason why I started to conduct this research. First, I examined the changes of evaluation and cognition paradigm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cluding philosophy, psychology, and pedagogy. Then, I established the view of evaluation and knowledge for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Evaluation should be more than ‘evaluation of the result of class’ and ‘evaluation for goal achievement’, which made me reconceptualize ‘evaluation for realization of educational goals’ and propose ‘an omnidirectional plan for realization of educational goals’. Furthermore, I intended to create the basis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y reconsidering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earning. Hence I found the necessity for current evaluation to be changed into education and evaluation ‘of life and identity through works’ in a cognitive paradigm of cultural psychology, and offered narrative as an essential frame of literature and human basic thoughts. Narrative has significant meanings as the object, phenomenon and principle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can restore literary and educational values when based on narrative.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ased on narrative’ means that the layers of meanings of narrative involve the whole process of evaluation such as the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content and methods. Thus, I examined experience, imagination, the mechanism and aspects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n the premises of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life, experience, imagination as the properties of literature and the source of narrative through narrative connection. I proposed a general, theoretical frame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ased on narrative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is.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방향

        이수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 the present state in basic literacy curriculum and find the convergent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expands achievement standards but reduces detailed informations about basic literacy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KSL curriculum subdivides level and suggests sufficient and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it also emphasizes basic literacy’s function as learning tool. I invested the basic literacy curriculum’s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nd suggested convergent method. As a result, I found three principals: First, Korean language and KSL curriculum’s convergence can rebuild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specific levels. Second, KSL and content-subjects curriculum’s convergence can grow Korean language ability as learning tool. Third,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convergence can manage indivisualized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ccording to these principals, I suggested ‘basic literacy curriculum’s convergent management model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관점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실 수준에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법을 논의하는 것이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한글 책임 교육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초 문식성 관련 성취기준과 수업 시수를 대폭 늘렸으나 성취기준은 도달점 기준으로 간결하게 진술되어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비해 한국어 교육과정은 기초 문식성 수준이 세분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성취기준의 개수가 많고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또한 내용교과 학습을 위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학습 도구로서 기초 문식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으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과정들을 최적의 형태로 융합하는 관점을 제안하였다. 운영의 원리는 첫째,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필요한 수준의 기초 문식성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교육과정과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학습 도구로서의 한국어 능력을 충실히 길러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평가를 융합적으로 일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원리를 고려하고 융합의 대상인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상호작용과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절차를 가시화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수업 설계와 교육적 가치 - 인문학의 실천적 교양교육과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

        강민정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대학 교양교육은 최근의 인문학의 상품화와 도구화 현상에서 파생된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교육적 전략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특히 자의식 없이 인문학을 자본적 가치로만 수용하는 학생들에게 이를 경계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게 하는 동시에 인문학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 즉 본질적 측면에서 이를 학습하게 하여 실제 삶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해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는 인문학의 실천적 교양교육과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을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가치를 확인하였다. 인문학의 실천적 교육과 총체적 관점의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연계에 따라‘(1)사고 과정-(2)사회 내 의사소통 과정-(3)사회의 제도적 맥락을 고려한 조정과 협상의 수사를 통한 실질적 담론 유통에의 참여 과정’의 세 개의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세부 구성은 각 과정의 교육 목표에 따라 다시 5단계로 구분하였고 이를 15주 강의 일정에 맞추어 총 8개의 교육 방법으로 구체화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 초반 진행한 글쓰기 이론과 사고 수업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갖추었으며 글쓰기 주체로의 각성을 경험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15주 동안 단 1편의 글을 준비하고 제출하도록 하자 글쓰기는 부담스러운 것이 아니라 즐거운 의사표현 경험임을 깨닫게 되었다. 특히 충분한 사유의 시간을 거치며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할 수 있도록 수업 중반 자율적 계획 작성을 유도하였으며 이후 자신이 수립한 계획에 따라 관련 자료의 심층적 독해와 개요에 따른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수업 후반에 와서는 초고를 제출하고 1인 1발표를 진행하게 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주관적 진술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객관적 담론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을 경험하게 만들었다. 이로써 발표자 1인에 동료 2인의 토론 경험과 교수자로부터 얻은 피드백으로 의사소통 가능성을 검증 후 이를 보완 및 수정하여 완성본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물론 완성본 제출 후 기말고사에서 학생들은 그간 발표 수업에서 들었던 다른 학생의 글에 대하여 공감이나 비판을 표하는 글을 쓰는 기말고사를 통해 학술적 담론에 재참여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고 이로써 유통을 위해서는 어떤 수사가 필요한지 그 특성을 이해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제도적 맥락에서 실제 유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자신의 완성된 글을 직접 유튜브에 영상화하여 올리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인의 글을 조정과 협상의 수사를 통해 재구성하기에 이르렀다. 학생들은 이러한 글쓰기 경험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 표현력, 의사소통 능력, 수사 능력을 획득하였으며 글쓰기 주체로서의 자율성, 주관적 자신의 평가와 보편성을 근거로 한 사회적 판단력 사이의 균형감, 실천력을 경험하며 실제 삶에 실천 가능한 인문학적 능력으로서의 윤리적 감각을 깨우치게 되었다. 이 수업의 교육적 가치는 이렇듯 학생들에게 총체적 관점의 과정 중심 글쓰기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인문 가치를 획득하는 경험을 부여했다는 점에 있다. The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actively seek educational strategies to overcom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phenomenon of recent commercialization and instrumentalization of the humani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ducate for those students who do not have self-consciousness to accept humanities only as capital value to raise the insight for precaution against this, but also to educate them to practice in real life by allowing them to learn fundamental, that is essential, approach to humanities, Therefore, this study has designed the lesson by linking humanities’s practical liberal education with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confirmed its value by applying it to actual lesson. This study divided it into 3 courses; (1) thinking process - (2) communication process in society - (3) participation process into substantive discourse through the rhetoric of negotiation and coordination considering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society, according to the linkage between practical education of humanities and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in general point of view. The details of the course were divided into five level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course, and the lessons were designed so that they could be guided by a total of eight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15-week lecture.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to the actual class, the students were equipped with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writing theory and thought class which was conducted early in class and experienced awakening as the subject of writing. In addition, as students were instructed to prepare and submit only one article for 15 weeks, they realized that writing was not a burden but a pleasurable experience of expressing of their will. In particular, they were encouraged the autonomous planning in the middle of the classes so that he could prepare with sufficient time for thinking, and after that, according to the plan they established, they were instructed to have in-depth reading and writing of the related materials. In the second half of the lesson, students were instructed to submit the drafts and have presentation so that students could experience the process of making subjective statement about their writing and further expanding their discourses.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submit the final copy through supplementation and revision after verifying availability of communication with discussion experience of 1 presenter and 2 peers and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Of course, at the end of the final submission,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re-participate in the academic discourse through the final exams that expressed sympathy and criticism about the other students' texts they had heard in the presentation class, and, as a result, the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about what rhetoric would require for communi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distribute their articles in an institutional context,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upload their completed texts directly to YouTube and re-compose their own writings through the rhetoric of negotiation and mediation. Through these writing experiences, students have acquired critical thinking, expressive power, communication ability, and rhetoric ability, and they have experienced the balance and practical power between the social judgments based on subjective self-evaluation and universality and became aware of the ethical sense as a possible humanities ability in actual liv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his class is that students are given with the experience of acquiring human values more naturally by experiencing process-oriented writing in a holistic perspective.

      • KCI등재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의 평가 체제 연구 - ‘Language A: language and literature’를 중심으로 -

        박소은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sessment system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DP)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it. To that end, to select the ‘Language A: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and analyze a professor and learning assessment program. In chapter 2,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objectives required by this subject, an overview of the curriculum, what is learned in Part 1 through 4, and the conditions of the text covered by each part. This allows IBDP to choose from a variety of text to explore the role of language within a selected topic. By providing guidelines on which literary works should be selected and directed in which direction, it can be viewed as a way to support the autonomy and identity of schools and teachers i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chapter 2, IBDP has evaluation criteria that are applied to the world in common across countries and regions, and they are discussed in detail in Chapter 3. It is intended to be evaluated during or after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ll subjects have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 systems. The internal evaluation is performed by teachers during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unlike having a formative evaluation characteristic, external evaluation takes the form of a general assessment made by the IB at the end of the learning process and is performed by an epilogue. Chapter 4 focuses on the implications of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IBDP’s assessment criteria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minimize errors in evaluators’ subjective ratings and can be assessed on a strict and fair basis. In principle, th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Table 4 are to be released to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which makes students think of the true significance of the assessment in helping them evaluate their achievements and take advantage of their own opportunities. 이 연구는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의 평가 체제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국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Language A: language and literature’ 과목을 선정하여 교수·학습 평가 프로그램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이 교과의 목표, 교육과정의 개요, Part 1~4에서 학습하는 내용, 각 Part에서 다루어지는 텍스트의 조건 등을 개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IBDP는 선택된 주제 안에서 언어의 역할을 탐구하기 위해 다양한 텍스트를 고를 수 있고, 어떤 방향에서 문학 작품을 선택하고 지도해야 하는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교수·학습 시 일선 학교 및 교사들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지지하는 입장을 표방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IBDP의 지원은 공교육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나 엄격한 교사 연수 시스템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교수·학습 평가가 체계적이고 엄정한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이 교과의 평가 기준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다. IBDP는 국가와 지역을 넘어서서 세계 공통으로 적용되는 평가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교수·학습 과정 중이나 후반에 평가를 치르도록 되어 있다. 모든 과목에서는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제도를 두고 있는데, 내부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 중에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종의 형성 평가적 특성을 띠는 것과는 달리 외부 평가는 학습의 마지막에 IB에 의해 이루어지는 총괄 평가의 형식을 띠며 지필 평가로 치러진다. 4장에서는 IBDP가 국어과 교육에의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첫째, 교육을 통한 실제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그 성취 정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평가기준을 명확히 설정하여 학생의 학업 수행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셋째, 다양한 교육 자료를 선정하여 수업에서의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넷째,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과제를 선정하고 그에 맞는 평가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교육 격차에 대한 서사 교육적 해법

        서유경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8

        이 연구는 교육 격차의 문제를 서사 교육적으로 해결해 보고자 하였다. 고전서사 교육을 통한 교육 격차 해결 시도는 문학 작품과 현실 간의 상동성을 전제로 한다. <온달>은 외적 환경의 문제에서, <창선감의록>은 학습자 내적 문제에서 비롯된 교육 격차의 해결 방법을 도출할 자료로 보았다. 그리고 고전서사를 활용하는 서사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교육 격차 해소 방법을 모색하였다. <온달>의 평강공주를 통해 학습자와 소통하는 능력과 헌신적 사랑이라는 교사의 자질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창선감의록>의 경우에는 화욱, 화춘, 화진을 중심으로 교육 격차를 야기하는 문제와 해결의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 화욱, 화춘에게서는 반면교사의 면모를, 화진의 경우 문제 있는 인물을 대하는 모범적 태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서사의 힘과 학교교육의 영향력을 고려해 볼 때, 교육 격차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서사 교육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문학교육의 궁극적 관심이 학습자의 긍정적 변화에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접근이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의 지역문학 및 지역성 수용의 동향과 전망

        김근호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Since many efforts to accommodate the local literature and the locality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been attempted in various ways for a long time, at this moment, it is necessary to reviewing the realized aspects of such efforts. Following this problem awareness, I have studied the literature curriculum and literary textbooks so far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ge education. In point of the local literature and the locality, the third curriculum of the 1970’s is problematic. This period was designed to foster interest and love for the national territory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ism of the Yushin period. However, such a nationalistic aspect begins to disappear a little bit in the next curriculum period, but after that time the local literature and the locality begin to emerge in the sixth curriculum keeping pace with the political realities of democratization. After going through the ambiguous and chaotic situation of the seventh curriculum period, the local literature and the locality have been stipulated in the literary scope of high school of 2007 curriculum. Next, I have reviewed the literary textbooks from 2007 to recently 2015 curriculum, except the literary textbooks from the fourth curriculum to the seventh curriculum. However, contrary to the ideological desire in the literary curriculum, the literary textbooks during the version of 2007, 2009 and 2015 does not fully accommodate the local literature and the locality as its contents. In particular, the restriction of materials in the textbooks stands out, and the study activities do not fully embod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literature and the locality. In other words, that situation falls far short of the nature of the local experience of a place figured in the literary text. In the future, we should look for ways to harmonize the locality and the citizenship, based on the literariness which is the basis of literary education. It has the significance of seeking a local identity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of literature, and futhermore seeking a broad perspective and a sense of subjectivity on the new spaces.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지역문학과 지역성을 교육내용이나 방법 차원에서 수용하려는 노력이 긴 시간 동안 다각도로 시도되어왔는바, 이제 그러한 노력의 구체화 양상을 고찰하는 작업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는 역대 문학 교육과정과 문학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지역문학 및 지역성이라는 문제의식으로 볼 때, 1970년대의 제3차 교육과정부터가 문제시된다. 이 시기는 유신시대의 국가주의에 따라 국토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기르는 데 문학교육이 이바지해야 한다는 식으로 설계되어있다. 그러나 그러한 국가주의적 면모는 다음 교육과정에서 약화되다가 민주화의 정치적 현실이 착근하기 시작하는 제6차 교육과정기 무렵부터 지역문학 및 지역성 탐구의 맹아가 조금 나타나기 시작한다. 제7차 교육과정기의 모호하고 혼돈스런 상황을 거치다가 2007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문학 영역에서 지역문학 및 지역성이 교육내용으로 명문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다음으로 문학교과서인데, 4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 교육과정의 문학교과서는 해당 사항이 없으므로 제외하고, 2007 교육과정기부터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의 문학교과서들이 주요 검토 대상이 된다. 그런데 문학 교육과정의 이념적 의욕과는 달리,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기의 문학교과서는 지역문학 및 지역성을 교육내용으로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제재의 제한성 또는 편협성이 두드러지고 학습활동 역시 지역문학 및 지역성의 고유한 문학적 특수성을 충분히 살려내지 못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문학을 통한 지역 고유의 장소 체험이라는 본질에 현저히 미달되는 상황인 것이다. 앞으로 문학교육의 기본인 문학성을 기반으로 하되 지역성과 시민성을 서로 조화시 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그것은 문학의 현장성 체험을 통한 지역 정체성 모색과 함께 한 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공간 지평에 대한 포용적 시야와 주체적 감각을 모색하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실용 국어’ 교육과정 내 구어 의사소통 역량의 교과서 구현 양상 분석

        백정이,김승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Practical Korean is one of the new career elective subjects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Practical Korean curriculum was implemented as a textbook centered on oral communication competency. All three Practical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2019 were analyzed. We showed how those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 to each unit of those textbooks. Then six criteria of concept, method, term or vocabulary, learning situation, activity and evaluation were derived inductively, and textbook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se criteria to confirm validity. Revised criteria with sub criteria used for main analysis are as follows: concept and terms(explicity, hierarchy, consistency), method and procedures(specificity, detail, diversity), essential learning situation(connectivity, practicality), learning activity and evaluation (diversity, integrability, applicability).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extbooks for each category of analysis, and based on these, the following are presented as a direction for the Practical Korean textbook: learner relevance vs. job relevance; deductive composition vs. inductive composition; diversity vs. concentration of discourse type and situation; segmentation vs. integration of learning elements and activities.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진로 선택 교과목의 하나인 ‘실용 국어’의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는 2015년에 발행된 실용 국어 교과서 3종 전체를 대상으로 먼저 성취기준이 교과서 각 단원에 어떻게 대응되는지 살펴보고, 연구자 간 교차 검증을 통해 분석 기준을 확정하였다. 분석 시 첫째, 개념․어휘 범주에서 명시성, 위계성, 일치성, 둘째, 방법 및 절차 범주에서 구체성, 상세화, 다양성, 셋째, 주요 학습 상황 범주에서 연계성, 실제성, 넷째, 학습 활동 및 평가 범주에서 다양성, 통합성, 전이성을 세부 기준으로 삼았다. 학습 요소 가운데 의사소통 역량과 관련한 것을 정보의 해석과 조직, 설득과 협력적 문제해결,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영역에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각 범주에서 교과서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첫째, 학습자 관련성 대 직무 관련성, 둘째, 연역적 구성 대 귀납적 구성, 셋째, 담화 유형 및 상황의 다양성 대 집중성, 넷째, 학습 요소 및 학습 활동의 통합성 대 분절성을 추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