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신학 실천장으로서의 기독교통일학회

        김민석 ( Minseok Kim ) 기독교통일학회 2021 기독교와 통일 Vol.12 No.3

        기독교통일학회는 그동안 한국 사회의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인 ‘통일’을 다루는 담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왔다. 비록 기독교통일학회가 공공신학을 염두에 둔 학회로서 출범한 것이 아니었지만, 학회의 활동을 분석해볼 때 공공신학 실천의 한국적 모델로 특별하게 기능해 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현대사회의 특징인 세속화, 세계화, 시민, 다원주의 사회 속에서 종교 또는 기독교의 역할에 대한 논의들을 소개하면서, 비슷한 특징을 보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기독교의 공적 역할이 요구됨을 증명한다. 나아가 기독교통일학회가 공론장의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살펴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공론장은 ‘개방성’, ‘의사소통 합리성’, ‘공개성’의 특징을 가지는데 기독교통일학회의 실천 또한 이런 특징들을 보여주는 활동을 강조해왔다. 공공신학은 기독교가 공론장에 참여하여 더 넓은 사회의 공공선을 위해 기여하려는 것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기독교는 성경과 기독교 전통에 근거한 신념을 비기독교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하는 것을 추구하는데 이는 간학문적 연구를 불러온다. 갈 길을 잃은 사회를 향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 선지자적 목소리로 그들의 불법을 일깨우는 것은 공공신학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공공신학적 논의는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다. 기독교통일학회는 ‘통일’이라는 매우 한국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다룬다. 이 학회는 정치, 외교, 경제, 북한, 신학, 법률, 교육, 사회복지, 문화/예술, 역사/철학, 과학/기술, 간호/보건, 경영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있다. 그들은 통일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기독교통일학회는 공공신학 실천의 한국적 모델로 평가될 수 있다. The Christian Society for National Reunification(CSNR) has been actively engaging in discourses dealing with ‘reunific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Korean society. Although the CSNR was not launched as a academic society for public theology, all its efforts confirm that it has played a particular role as a Korean model for the practice of public theology. This project describes various debates on the role of religion or Christianity in the secularized, globalized, civil, and pluralistic societies, which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nd proves that Korean society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is also calling for the public role of Christianity. Furthermore, it is very significant to examine the fact that the CSNR has played a role as a ‘public sphere’. The public sphere has the factors of ‘accessibility’,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openness’, which are also emphasized in the practice of the CSNR. Public theology seeks to contribute to the common good of the wider society by participating in the public sphere. To this end, Christianity attempts to translate their conviction based on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 into the language that non-Christians can understand, which needs interdisciplinary study. Providing a direction to the wider society that has lost its way and awakening their injustice with a prophetic voice are significant features of public theology. Such public theological discourses reflect the context of certain region. The CSNR focuses on ‘reunification’ that is the most Korean topic. It consis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diplomacy, economics, North Korea, theology, law, education, social welfare, culture/art, history/philosophy, science/technology, nursing/ health, and business administration. They use their knowledge to present a Christian perspective on reunification. Therefore, the CSNR can be evaluated as a Korean model for the practice of public theology.

      • KCI등재

        한국교회를 향해 제시하는 성경적 통일: 기독교통일학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안인섭 기독교통일학회 2023 기독교와 통일 Vol.14 No.3

        독일과 예멘이 통일된 1990년대 이후 보수적인 교회의 유일한 연합체였던 한기총은 “북한교회재건위원회”를 결성하고(1995.6.12.), 연합, 단일교단, 독립이라는 북한교회 재건 3원칙을 세웠다. 그러나 당시는 국제적인 정세가 북한의 붕괴에 대비해야 한다는 긴박성이 있었지만 현재의 한반도는 전혀 다른 상황 속에 존재한다. 이런 맥락에서 2006년에 창립된 기독교통일학회가 주창하는 통일관이 중요한데, 그것은 곧 “성경적 통일론”으로서 기독교 통일운동의 한 획을 긋게 되었다. 기독교통일학회의 성경적 통일론은 정부의 통일 정책에 의해서 통일관이 좌우되거나 정치적 이념에 의해서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일관된 기독교적 통일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기독교통일학회는 2006년 6월 3일부터 지금까지 17년 동안 통일과 관련해서 주어진 긴박한 시대적 질문과 도전에 대해서 “성경”의 정신에 분명하게 서서 답변하고 응전했다. 향후 기독교통일학회는 한국교회 현장과 함께 가야 하며, 성경적 통일관에 입각한 전문적인 연구 도서 출판으로 국가 정책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야 하고, 성경적 통일관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성경적 통일이란 통일을 위한 절대적 가치를 성경에 두는 것이다. 성경은 민족 구원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으며, 최고의 권위를 갖는 성경은 정치 이데올로기를 상대화한다. 성경적 통일관은 하나님 나라의 시각으로 통일을 바라보는 것이며, 따라서 그리스도인을 하나님과 화해된 화해의 직분자로 초청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북한을 향한 디아코니아의 사역을 감당해야 하며, 교회는 창조 세계의 중심이 되는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을 위한 중재자가 되어야 하고, 통일의 청지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성경적 통일론은 죄 때문에 죽어 마땅한 인간을 하나님과 화해하도록 하시는 중보자이시며, 교회의 머리로서 성도들에게 화목하도록 하는 사명을 부여해 주신 그리스도의 삼중직을 토대로 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성경적 통일관이란 선지자적인 통일관이며, 그리스도의 왕적 통치의 통일관이고, 제사장적 통일관이며, 성경적인 통일관은 성경 말씀을 한반도의 역사의 현장과 매개하는 것이다. 성경적인 통일의 길을 모색하기 위해서 한반도의 분단의 이유와 과정에 대한 연구와 현재 한반도 주변의 정세에 대한 명확하고 객관적인 역사적 고찰이 있어야 할 것이다.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and Yemen in the 1990s, North and South Korean Churches began to develop the relationships. The Christian Council of Korea, the only union of the conservative churches, formed the “North Korean Church Reconstruction Committee”(June 12, 1995) and established three principles for the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n churches: Union, Single denomination, and Independence. However, although there was an urgency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to prepare for the collapse of North Korea, the Korean Peninsula currently exists in a completely different situation. In this context, the view of reunification advocated by the “Christian Society for National Reunification” founded in 2006, is significant. It is called a “Biblical Thoughts for the Reunification,” which is worth following for almost all the communities in the Christian Reunification movement. The Biblical Reunification theory of the “Christian Society for National Reunification” can be said to be the direction of consistent Christian thoughts on the Reunification, rather than the view of the Reunification being influenced by the government’s policy or shaken by political ideology. For the seventeen years since June 3, 2006, the “Christian Society for National Reunification” has clearly answered and responded to the urgent questions and challenges of the times related to the Reunification in the spirit of the Bible. For the further step in the future, the “Christian Society for National Reunification” should go together with the Korean church, publish professional research books based on the Biblical view of the Reunification, provide a direction for national policy, and offer education on the Biblical view of the Reunification. Therefore, Biblical Thoughts on the Reunification mean placing the absolute value for Reunification in the Bible. The Bible places a high value on the salvation of the people in the country, and the Bible, which has the highest authority, relativizes political ideology. The Biblical view of the Reunification is to view the Reun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Christians are invited to become ministers of reconciliation who have been reconciled with God. Thus, the church must carry out the ministry of diakonia toward North Korea, and the church must become a mediator for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which are the center of the created world, and a steward of the Reunific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Biblical Thoughts on the Reunification is based on the threefold office of Christ, who is the mediator and reconciler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Therefore, the Biblical view of the Reunification has the prophetic, royal and priestly ministry. In order to seek a Biblical path to the Reunification, there must be research into the reasons and process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 clear and objective historical re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교회의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조만준 ( Jo Man-joon ) 기독교통일학회 2017 기독교와 통일 Vol.8 No.2

        한반도의 분단의 문제는 꼭 풀어야 할 세계사의 과제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전 세계 유일한 분단국으로서 앞으로 다가올 통일에 대한 구체적인 준비와 성찰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다가올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무엇보다 통일교육이 필요하다. 분단 70년이 넘는 시점에서 이제 전 방위적으로 통일교육을 해야 할 때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교회에서 실천가능한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남북한의 통일 준비 과정으로서 교회에서 실현 가능한 방법적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적이고 심도 깊은 탐구보다 교회의 통일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고 효과적인 통일교육의 과정과 방법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교회는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지만 통일교육을 어떻게 실천하면 좋을지에 대한 방안이 부족하다. 이에 먼저 통일에 대한 성도들의 인식과 교회 내 통일교육 현황을 살펴볼 것이다. 이후 통일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하나님의 때에 반드시 이루어질 통일을 준비하는 한국교회와 성도들이 되길 기대한다. The division of Korea has become a pressing issue that must be resolved from the point of world history. Korea,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should prepare and give a thorough consideration to the unification that is nearing. Then what should be prepared? Above all, we need an education for the unification. Now it is time, after seventy years of the national divide, that we begin an education for unification far and wide. In this sense, this paper carries a significance because it seeks alternative ways to activate practical unification education among the church. This is an introductory work that makes a diagno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looks for the methods to stimulate the unification education rather than a professional in-depth research. While Korean church in general recognize the need of the unification, an actual practice and consideration of education is not enough. For this reason, believers’ understanding on the issue of the unifi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will be first reported. Then the direc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ways to activate them will be suggested.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serve Korean church and believers prepare the unification that must be realized at the timing of God.

      • KCI등재후보

        “한반도 분단과 통일” 담론의 해석학적-신학적 전환에 대한 연구

        박성철 ( Park Sungchole ) 기독교통일학회 2020 기독교와 통일 Vol.11 No.1

        과거 한국사회에서 주류적 통일담론은 흡수통일모델이었다. ‘친구-적-카테고리’와 흑백논리에 기초한 냉전시대의 통일담론은 분단 구조를 고착화하고 분단의식을 강화하는 부작용을 낳았다. 21세기 들어 한국사회가 분단 의식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통일담론은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이 시점에 한국교회는 그 동안 한반도의 분단을 종교적으로 정당화하고 남한 사회 내 분단 의식을 강화했던 오류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교회가 대안적 통일 담론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분단 이데올로기와 결합된 기독교 근본주의를 비판하고 분단 의식을 해석학적 방법론으로 해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기독교 근본주의는 대립을 강화하는 분리주의적 강박관념의 문제, 이념의 절대화를 통한 폭력성의 문제, 신성화된 자본주의의 문제를 안고 있다. 한국교회는 먼저 기독교 근본주의의 이러한 문제들을 인정하고 처절하게 반성해야 한다. 동시에 공존을 위한 상호 인정, 세상에 대한 그리스도의 주권을 통한 이데 올로기 상대화, 남북의 문화적 연속성에 집중함으로써 대안적 통일담론을 구성해야 한다. 모든 문제 해결의 첫걸음은 그 원인을 바르게 파악하는 것이다. 한반도 분단 구조를 고착화하고 분단 의식을 정당화하는 한국교회 내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의 이데올로기를 직시하지 않으면 한반도 통일 담론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없다. In the past, the mainstream discourse of unification in Korean society was the absorption-unification-model. The unification discourse of the Cold War era based on “friend-enemy-category” and black-and-white logic had the side effect of fixing the division of structure and the corroboration the divisional consciousness. In the 21st century, if Korean society cannot overcome the divisional consciousness, the unification discourse cannot develop any more. At this point, the Korean church should take time for serious reflection on the errors that have religiously justifie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trengthened the divisional consciousness in South Korean society. Therefore, in order for the Korean church to construct an alternative discourse, it must criticize Christian fundamentalism combined with divisional ideology and endeavor to dissolve divisional consciousness through hermeneutic methodology. Christian Fundamentalism has the problem of separatist obsession that reinforced the conflict, the problem of violence through the absolutization of ideology, and the problem of sacred capitalism. The Korean church must first acknowledge these problems of Christian fundamentalism and examine itself desperately. At the same time, alternative unification discourse should be constructed by focusing on mutual recognition for coexistence, relativization of ideology through Christ’s sovereignty over the world, and cultural continuity between the two Koreas. The first step toward solving all problems is to identify the cause correctly. The discourse of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annot go in the right direction unless we face the ideology of the Christian fundamentalists of the Korean church that fix the division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ustify the consciousness of the division.

      • KCI등재

        츠빙글리의 국가론에 근거한 통일을 향한 기독교의 책임

        안인섭 기독교통일학회 2022 기독교와 통일 Vol.13 No.1

        한국 교회의 다수가 개혁신앙을 고백하는 장로교회에 속해 있기도 하지만 개신교 전체의 맥락에서도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에 개혁교회의 아버지와 같은 츠빙글리의 국가론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 교회가 추구해야 하는 통일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유익이 있다. 본 연구는 츠빙글리의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전체 작품들 속에 나타난 그의 국가론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통일을 향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츠빙글리는 말년으로 갈수록 신성로마 제국의 칼 5세나 프랑스의 프란시스 1세에게 자신의 저작들을 헌정하는 등 국가론에 있어서 스위스를 둘러싼 주변국과의 국제 정치적인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국가는 교회와 더불어 하나님이 세우신 신적 기관이며, 국가는 국민의 평화로운 삶을 위한다. 하나님에 의해 임명된 국가의 지도자는 탐욕을 버려야 한다. 교회는 국가에 순종해야 한다. 그러나 국민의 인간적인 삶을 무시하고 권력을 남용하는 이기적인 위정자에 대해서교회는 저항해야 한다. 특히 목회자는 이것을 방관하지 말고 저항해야 하되 그 방법은 철저하게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해야 하며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 츠빙글리의 가르침이다. 국가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청지기 의식을 가지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가 수렴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츠빙글리의 국가론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한국 교회의 통일을 길을 두 가지 방향에서 모색해 보았다. 먼저 통일을 위해 국가를 향한 기독교인의 책임이 무엇인지를 고찰했다. 다음으로 통일을 위해 한국 교회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종합해 보자면 교회는 국가가 성경적인 평화 통일을 위해 일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국가에 복종하며 협력해야 한다. 그러나 만약 국가가 평화 통일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갈 때는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적극적으로 비판해야 한다. 그 방법은 민주적이어야 하며, 국민의 일반적인 동의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한마디로 교회는 통일을 향해서 공공적인 책임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교회는 또한 탈북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북한의 박해받는 기독교인을 위해서 다각도로 활동해야 한다. 이런 일은 정치적인 맥락 때문에 정부가 앞장서서 할 수 없기 때문에 교회가 그 책임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논문은 한국 교회의 각 교단들이 통일을 위한 전문적인 상설 기구를 세우고, 이 통일 기구들이 연대하여 통일 문제에 대해 공동으로 연구할 뿐 아니라 한국 교회의 일치된 목소리를 만들어 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기독교 유아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

        정희정 기독교통일학회 2022 기독교와 통일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ek ways to vitalize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 study also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and to provide preliminary to promote the study on Christian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the elem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 first kindergarten curriculum to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n 2019.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North Korea and unifica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y before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n 2019. On the other han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did not include the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unification for psychological integ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통일교육의 현 주소를 진단하고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유아통일교육 중요성 인식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부터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나타난 유아통일교육의 요소를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 전까지 정부의 정책 흐름에 따라 북한 및 통일 관련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유아통일교육 요소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 있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통일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심리적 통합이 되는 통일을 위해 기독교 유아통일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통일 대비 탈북대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 적용 사례: 기독교 신앙, 학업 역량 강화 및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최윤희 기독교통일학회 2023 기독교와 통일 Vol.14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a comprehensive support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equipped for their future roles as Christian missionaries or pastors in a unified Korea. The program encompassed three key aspects: Christian faith formation, academic competence enhancement, and identity formation through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and community service learning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a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North Korean defectors majoring in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at a Christian university in Seoul based on Branch(2009)'s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The specific program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for Christian faith formation, weekly prayer meetings centered on unification and spiritual restoration were conducted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o enhance academic competence, customized tutoring programs were designed to cater to the specific needs of defectors, including English and computer tutoring. Special courses, such as Korean academic writing workshops and tutoring in Hebrew and Greek for theology majors, were also offered. Finally, to build social belonging and identity in Korean society, a community service program was introduced, facilitating defectors' volunteering and integration with local churches to foster a sense of belonging. In addition, historical learning activities,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modern Korean history, were organized to deepen defectors' historic knowledge. Furthermore,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program every year and developed a better program over the course of four years, from 2019 to 2022.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academia of Christianity, national unification, and pedagogy as it presents a holistic approach to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preparation for a unified Korea. 본 연구는 통일한국 시대를 대비하여 탈북대학생의 기독교 신앙 형성, 학업 역량 강화와 올바른 정체성 형성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중, 장기적으로 개발하고 적용 후 효과 분석 및 환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Branch(2009)의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을 바탕으로 서울 소재 기독교 대학의 신학 및 기독교교육 전공 탈북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신앙 형성과 회복을 위해 매주 한 시간 이상 북한과 통일을 위한 기도 모임을 진행하였다. 둘째, 학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탈북학생들에게 가장 시급한 영어와 컴퓨터 튜터링을 매 학기 약 10~13회 이상씩 실시하도록 하는 튜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국어 글쓰기 특강 및 신학 전공의 학업 지원을 위해 헬라어와 히브리어 등의 튜터링도 병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사회의 소속감과 올바른 정체성 확립을 위해 지역사회 개척 교회를 방문하여 봉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고, 한국 전쟁 등 올바른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일의 필요성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통일한국시대를 대비하여 통일선교사 또는 목회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탈북대학생을 기독교 신앙적 측면, 학업 지원, 역사 인식 제고 및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한 올바른 정체성 형성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했다는 데에서 기독교와 통일을 연계한 학문과 탈북민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측면에서 의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들의 Diaspora로서 구성한 통일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근무,지상선,현은자 기독교통일학회 2022 기독교와 통일 Vol.13 No.3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기독교 통일 선교사들의 통일 의미와 본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이다. 연구의 수행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이 구성한 통일의 의미와 본질 구조를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교회 공동체의 통일운동을 모색하고 제언하는 것이다. 연구에는 9명의 북한이탈주민 기독교 통일 운동가들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연구참여자들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과 기술은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모델을 채택하였고 지오르기(Giorgi, 2009)가 제시한 현상학적 자료분석 절차에 따랐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37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8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는 디아스포라의 영광의 귀환, 평화와 공존의 철학 발상지, 거대 내수 시장의 신천지, 미래 성장 동력의 확보, 민족의 동질성 회복, 이념의 정분합적 통합, 유라시아 꿈의 시원, 평화 수호의 무력 국가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논의를 바탕으로 교회공동체가 중심이 된 체제 극복의 사회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의 통일운동 활동가의 양성, 남북한 기독교인들의 신앙공동체 활동과 이를 매개로 한 초교파 차원에서의 통일 운동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