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위변동에 따른 오리류의 서식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백충렬(Chung-Ryul Baek),이진희(Jin-Hee Yi),오태훈(Tae-Hoon Oh),염광석(Kwang-Suk Yeom),한일훈(Il-Hoon Han),정진우(Jin-Woo Jung),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2007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 6개월 동안 충남 공주시를 가로지르는 금강에 위치한 소학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는 수면성 오리류(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흰뺨 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원앙 Aix galericulata, 쇠오리 Anas crecca)와 잠수성 오리류(흰죽지 Aythya ferina,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흰뺨오리 Bucephala clangula, 비오리 Mergus merganser)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7년 조사지역의 평균수위는 장마와 태풍 등에 의한 급격한 수위변동을 제외하면 1m 이하로 나타났으며, 2008년 6월 이전까지도 평균수위는 1m 이하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2008년 6월 돌보를 쌓은 이후로는 평균수위가 약 3m 정도로 높아졌다. 돌보를 쌓기 이전인 2007년 11월의 겨울철 수면성 오리류는 최대 2,059개체였으나 돌보가 완성된 2008년 11월에는 585개체로 개체수가 약 1/4(25%) 감소하였으며, 12월에는 420개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2008년 동계에 실시된 공주지역의 수렵허가 등의 원인도 있으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높아진 수위라 판단된다. 예비조사 기간인 2006년과 2007년 동절기에 월동하는 수면성 오리류의 총 개체수에는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2008년 돌보를 쌓은 후에는 동절기에 도래하는 수면성 오리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돌보를 쌓음으로써 높아진 수위가 소학섬 인근의 많은 사구들을 유실시켰고, 또한 수면성 오리류가 휴식을 취하는 강변의 둔치 역시 높아진 수위로 인하여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하여 깊은 수심을 선호하는 잠수성 오리류 및 일부 기타 조류들은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o-hak Island in Gong-ju from September 2007 to February 2009. This area is surrounded by Gum-river passing through Gong-ju. We can expect the change of wintering bird's distribution because of a dam constructed underneath of the Gong-ju bridge. We studied the number of dabbling ducks such as mallard (Anas platyrhynchos),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and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When we check the water level in 2007, it was under 1m deep expect the rainy season and typhonic season. And the average of water level has been maintained lower than 1m until june 2008. However the depth of river became 3m deep in June 2008 after the dam construction. In November 2007, when the dam was not constructed yet, we found 2,059 dabbling ducks. After constructing the dam, the number of ducks were deceased by 75% (585) in November 2008. It can be affected by many different factors, but the main reason is the risen water level. There were little individuals changes in wintering dabbling ducks during 2006 and 2007. After dam construction, we have found rapid decrease of the number of wintering dabbling ducks since 2008. Because the risen river level has destroyed sand dunes around So-hak island and it also has destroyed the water edges where many ducks can take a rest. Contrastively, diving ducks have increased because they prefer deep river.

      • KCI등재

        낙동강하구에서 을숙도 습지 복원 사업과 먹이주기 효과 및 큰고니의 상승비행 유형 -겨울 철새 중심으로 -

        이근희,이원호,이종남 한국조류학회II 2023 한국조류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and effects of wetland restoration projects and feeding projects implemented using ecological monitoring data collected over the past 18 years from 2003 to 2020 at a migratory bird sanctuary located within the Nakdong River Estuary. Results showed that the wetland restoration and feeding projects, which were implemented to reduce the impact of Eulsukdo Bridge constru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ype and number of birds. In particular, an analysis of the habitats of winter migratory birds, such as swans and dabbling ducks, showed that wetland restoration and feeding projects had considerable impacts on them. In addition, feeding activities increased the number of swans but had a negligible effect on dabbling ducks. In particular, wetland management and feeding activities implemented within 100m distance of the Eulsukdo Bridge reduced the negative impact of the bridge, while the wintering habitat had the positive influence.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cross-investigate how birds navigate around the Eulsukdo Bridge as a factor hindering the movement of swans. To do so, we investigated the ascending flight of Cygnus cygnus. As a result, six types were identified, of which straight lines and 180-degree rotational types (U-shaped) appeared to be the most common for their ability to maximize energy efficiency.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에서 2003년부터 2020년까지 18년간 수행한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해 을숙도 내 습지 복원 사업 및 먹이주기 효과 등에 대해 분석했다. 그 결과 을숙도대교 건설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시행한 습지 복원 사업 및 먹이주기는 조류의 종수와 개체수의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겨울 철새인 고니류와 수면성 오리류의 서식 분석을 통해 습지 복원 사업 및 먹이주기의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먹이주기는 수면성 오리류보다는 고니류 개체수를 더욱 증가시켰다. 특히, 을숙도대교를 중심으로 100m 이내에서 습지 관리 및 먹이주기 활동을 실시해 교량의 부정적 영향은 감소시키고, 월동 서식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니류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어떻게 을숙도 대교를 횡단하는지 조사해 볼 필요가 있어 큰고니(Cygnus cygnus)의 상승비행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6개 유형이 확인됐고, 이들 중 직선과 180도 회전형(U자형)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능력 때문에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월동하는 오리류의 개체군 경향

        최유성,허위행,김성현,강승구,김진한,김화정,손종성,박진영,이정연,김창회,강종현,한상훈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3

        We analyzed population trends of 16 duck species wintering in Korea during 14 years (1999-2012) using data from Winter Bird Census which were conducted annually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uring the 14 years, nine species (Mallard Anas platyrhynchos, Spot-billed Duck A. poecilorhyncha, Northern Pintail A. acuta, Eurasian Teal A. crecca, Eurasian Wigeon A. penelope, Gadwall A. strepera,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Common Pochard Aythya ferina,Smew Mergellus albellus) showed significant long-term declines, whereas six species (Falcated Duck Anas falcata, Northern Shoveler A. clypeata, Tufted Duck Aythya fuligula, Goldeneye Bucephala clangula, Red-breasted Merganser Mergus serrator, Common Merganser M. merganser)showed long-term increases. Greater Scaup (Aythya marila) showed uncertain trends. Most species that showed population declines were characterized as dabbling ducks, which were herbivorous and highly dependent on rice fields. Most of species that showed long-term population increases were characterized as diving ducks, which were omnivorous or carnivorous feeding mainly animal matters and rarely used rice fields. The annual change of each species were differed by habitat types. Mallard, Spot-billed Duck, Northern Pintail, Eurasian Teal, and Eurasian Wigeon had a sharp decline in reclaimed lakes. Gadwall showed a considerable decline in estuarine and riverine habitat, and Mandarin Duck exhibited a sharp decline in coastal habitat. Falcated Duck showed a marked increase in estuaries and rivers, and Northern Shoveler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servoirs and rivers. Common Pochard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in riverine and coastal habitat, while Smew showed a decline in reclaimed lake. Tufted Duck exhibited large increases in rivers and reservoirs, and Goldeneye showed marked increases in reclaimed lakes and estuaries. Red-breasted Merganser and Common Merganser increased in coastal and estuarine habitat, and Common Merganser also increased in rivers.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자료(1999년-2012년)를 이용하여 한국에서 월동하는 오리류 16종의 개체군 경향을 분석하였다. 지난 14년간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흰뺨검둥오리(A. poecilorhyncha),고방오리(A. acuta), 쇠오리(A. crecca), 홍머리오리(A. penelope), 알락오리(A. strepera), 원앙(Aix galericulata), 흰죽지(Aythya ferina), 흰비오리(Mergellus albellus) 9종은 개체군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청머리오리(A. falcata), 넓적부리(A. clypeata), 댕기흰죽지(A. fuligula), 흰뺨오리(Bucephala clangula), 바다비오리(Mergus serrator), 비오리(M. merganser) 6종은 증가경향으로 평가되었으며,검은머리흰죽지(A. marila)는 불확실한 경향을 나타냈다. 감소경향을 보인 종의 대부분이 수면성오리류로 이들은 초식성으로 농경지 의존이 매우 높았다. 반면, 증가경향을 보인 종들의 대부분이잠수성오리류로 농경지 보다는 하천, 하구, 해안 지역을 선호하는 종이었다. 각 종의 개체군 증가및 감소경향은 서식지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개체군 감소경향이 가장 큰 청둥오리를 비롯하여, 흰뺨검둥오리, 고방오리, 쇠오리, 홍머리오리는 간척지호수에서 현저한 감소경향을 보였다. 알락오리는 하구역과 하천에서 주로 감소하였으며, 원앙은 해안지역의 개체군 감소가 뚜렷하였다. 한편 개체군 증가경향을 보인 청머리오리는 주로 하구역과 하천에서 증가하였고, 넓적부리는 저수지와 하천지역에서 증가하였다. 잠수성오리류 중에서 감소경향을 보인 흰죽지는 하천과 해안지역에서 감소가 가장 심하였으며, 흰비오리는 간척지호수에서 감소경향이 컸다. 반면 개체군이 증가한 것으로 평가된 댕기흰죽지는 하천과 저수지에서, 흰뺨오리는 간척지호수와 하구역에서 각각 증가하였다. 바다비오리와 비오리는 두 종 모두 해안과 하구역에서 증가경향이 있었으며, 비오리의경우 하천지역에서도 증가경향이 나타났다.

      • 동해안 석호의 겨울철 물새류 군집의 특성

        박찬열,오정학 한국자연보호학회 2012 한국자연보호학회지 Vol.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fowls communities by point-count methods from December 2007 to February 2008 at seven lagoons located in eastern sea shores. We mapp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fowls at the grid size of 30 × 30 meters and compared the area and patton’s diversity index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aterfowls’ communities. We suggest the two factors like density of Greater Scaup and the ratio of dabbling and diving ducks as characteristics of waterfowls at lagoons. Three lagoons like Gwangpo, Maeho and Hyangho showed the low values of above two factors. Patton’s index was a good predictor of species richness of waterfowls and size and perimeter length of lagoon was a good predictor of species richness.

      •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Waterbirds in Junam Reservoir, Changwon-si, Korea

        Yu, Jae-Pyoung,Choi, Jong-Su,Kim, Tae-Jwa,Paik, In-Hwan,Jin, Seon-Deok,Kim, In-Kyu,Hong, Gil-Pyo,Cho, Hae-Jin,Shin, Yong-Un,Kang, Chang-Wan,Ko, Gyeong-Nam,Paek, Woon-Kee National Science Museum of Korea 2012 Journal of Korean nature Vol.5 No.1

        The study was performed for birds living around Junam Reservoir, a representing place for migrant birds in Korea for 10 times from February to December (except November) in 2011. The result states that a total of 11,742 individuals, 102 species, 41 families and 13 orders of birds were found around the reservoir and anseriformes including Anser albifrons (16.42%), Anser fabalis (14.44%), Fulica atra (14.08%), Anas platyrhynchos (10.01%), Anas clypeata (7.70%), Aythya ferina (6.88%) and Anas poecilorhyncha (6.59%) are dominant species. By seasons, winter shows high frequencies of types,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and diversity. The result of comparing individuals of swans from 1989 to 2011 shows large fluctuation of individuals, irregular repetition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gradually decreases. The number of geese,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between 1999 and 2011 shows gradual increas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birds in the Junam Reservoir have increased and it is estimated that about between 12,000 and 14,000 individuals of 60~65 species spend winter. The reservoir is important as a habitat for migratory birds, as well as ecological study. It requires administrative supports to provide stable environment for birds to spend wint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