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헌 및 시민과학 자료 분석에 기반한 국내 야생조류의 먹이식물 목록화

        최은호,서홍덕,박찬열 한국조류학회II 2023 한국조류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국내에 서식하는 야생조류가 먹이로 이용하는 식물종을 조사하여 목록화하였다. 국내 야생조류 먹이식물 관련 논문 및 시민과학 기반의 관찰기록 공유 플랫폼인 네이처링(www.naturing.net) 의 관찰기록을 검토하였으며, 조사된 야생조류-먹이식물 관계를 목록으로 작성하였다. 문헌조사 및 시민과학 기반 관찰 검토 결과 총 68종의 조류가 69과 195종의 식물을 먹이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시민과학 기반 관찰기록으로부터 268개의 야생조류-먹이식물 관계를 새롭게 발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숲을 야생조류 서식지로 조성, 관리하여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증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reate a list of food items for birds in Korea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itizen science data collection (www.naturing.net). We listed each wild bird-food plant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and a data review based on citizen science, 68 bird species were observed to use 69 families and 195 species of food plants. In addition, 268 wild bird-food plant relationships were discovered from citizen science-based observation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biodiversity and enhance the ecosystem services of urban forests for the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as habitats for wild bird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월출산국립공원의 조류 분포 및 관리방안

        황지희(Ji-Hee Hwang),이윤숙(Yoon-Suk Lee),권영수(Young-Soo Kwon)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9월까지 월출산국립공원 일대에 서식하는 조류의 분포와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원의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11목 33과 73종 1,594개체(최대개체수 기준)였다. 관찰된 조류의 도래현황별 종수를 분석한 결과 텃새가 29종(39.7%)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여름철새 31종(42.5%) 겨울철새 11종(15.1%) 및 나그네새 2종(2.7%)의 순으로 나타났다. 텃새와 여름철새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본 지역이 조류에게 중요한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래현황별 개체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텃새가 1,141개체(71.6%)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여름철새 252개체(15.8%) 겨울철새 198개체(12.4%) 및 나그네새 3개체(0.2%)의 순으로 나타났다. 법정보호종은 총 7종 113개체가 관찰되었는데 이 중 멸종위기Ⅰ급 종은 관찰되지 않았고 멸종위기Ⅱ급은 조롱이 Accipiter gularis 새홀리기 Falco subbuteo 말똥가리 Buteo buteo 및 긴꼬리딱새 Terpsiphone atrocaudata 4종이었다. 천연기념물로는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새매 Accipiter nisus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및 소쩍새 Otus sunia 4종이었다. 선행연구결과를 포함해서 현재까지 월출산국립공원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97종이었다. 본 조사와 10년 전 조사결과를 비교할 때 같은 73종이 확인되어 종수의 변화가 없었다. 이는 본 지역이 국립공원이라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큰 환경변화 없이 지속적인 보호·관리가 수행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종의 서식지 보호·관리를 위해서는 중요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속적인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bird community distribution at 19 grids in Wolchulsan national park for 15 days during February 2011 to September 2011. The observed birds were belong to 11 orders 33 families 73 species and 1,594 individuals on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 basis by grids. Most of observed birds were forest birds including passeriformes due to mountainous habitats and species diversity index of winter was far lower than other season. We also analyzed bird community by migrant pattern and the results as follow : resident 29 species (39.7%) 1,141 individuals (71.6%) summer visitor 31 species (42.5%) 252 individuals (15.2%) winter visitor 11 species (15.1%) 198 individuals (12.4%) and passage migrant 2 species (2.7%) 3 individuals (0.2%). Resident and summer visitor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study site thus our study region is important for them as a breeding site. Protected species were observed 7 species 113 individuals and there was not class Ⅰ protected species however class Ⅱ species were observed including Japanesse lesser sparrow hawks Accipiter gularis Eurasian Hobbys Falco subbuteo Common Buzzards Buteo bueteo and Black Paradise Flycatchers Terpsiphone atrocaudata. Also 4 species of natural monuments were observed including Chinese Sparrowhawks Accipiter soloensis Eurasian Sparrowhawks Accipiter nisus Commen Kestrels Falco tinnunculus and Eurasian Scops Owls Otus scops. 97 species of birds were observed so far in Wolchul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our research including precedent study. Also total number of observed bird species were same compare to 1st natural resource research due to continuous protection and management policy of Korean national park.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 region which showed high species diversity as an important protective area to preserve and manage birds habitats.

      • KCI등재

        임도에서 조류의 생태연못 이용에 관한 연구

        김인규,한승우,김관주,손석준,이준우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Unmanned sensor cameras (camera trapping) were installed in two ecological ponds (Sites 1 and 2) of the forest roa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rom November 6, 2021, to June 23, 2022,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irds using the ecological pond. The total number of birds using the entire ecological pond was 1,108 individuals from 21 species, with the Azure-winged magpie Cyanopica cyanus, the Oriental Turtle Dove Streptopelia orientalis, and the Chinese Grosbeak Eophona migratoria being the most frequent birds. Site 1 pond had 888 birds of 12 different species, while Site 2 pond had 220 birds of 15 different species. There was a very sligh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bird species that used the two ponds; however,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fter analyz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irds, such as drinking (D), resting (R), bathing (B), and flying (F), it was revealed that at Site 1, drinking (D) was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 with 393 individuals from 7 species, and at Site 2, resting (R) was the most common with 95 individuals from 11 species. The ecological pond was found to be most popular in the spring from March to May, obser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irds’ usage by season. Most birds were found at Sites 1 and 2 between 15:00 and 19:00, an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during the daytime from 10:00 to 15:00. As a result, in the case of ecological ponds built incidentally on forest roads, the number of birds using the old ecological pond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newly created ecological ponds; however,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peci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ason, and time of birds used. Therefore, ecological ponds a serve as both shelters and sources of drinking water. There was insufficient data on the same type of ecological pond in this study, and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results sufficiently for the four season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the future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necessity of creating an ecological pond when building a forest road, as well as the species, behaviors, and usage characteristics of birds using the ecological pond. 2021년 11월 6일부터 2022년 6월 23일까지 대전광역시 임도 개설지의 생태연못 2개 지점(Site 1, 2)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여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생태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총 21종 1,108개체였으며, 가장 많이 이용한 조류는 물까치 Cyanopica cyanu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의 순이었다. Site 1 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12종 888개체, Site 2 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15종 220개체로 종수는 Site 2 연못이 많았고, 개체수는 Site 1 연못이 많았으나 두 연못 간 이용하는 조류의 종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개체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조류의 행동특성인 물마시기(D), 머무름(R), 목욕(B), 비행(F)을 분석한 결과 Site 1은 물마시기(D)가 7종 393개체로 가장 많았고, Site 2는 머무름(R)이 11종 95개체로 가장 많았으나 두 연못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계절별 이용하는 조류를 분석한 결과 Site 1, 2 모두 3월부터 5월인 봄에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시간대별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를 분석한 결과 Site 1, 2 모두 15시부터 19시인 오후에 가장 많은 개체가 이용하였고, 10시부터 15시인 낮 시간에 이용 종수는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임도에 부수적으로 개설되는 생태연못의 경우 오래된 생태연못이 새로 조성한 생태연못 보다 이용하는 조류의 개체수는 많으나, 나머지 이용 종수, 행동특성 및 계절별, 시간대별 이용 조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생태연못은 더위에 대한 피신처 및 식수원으로써의 역할이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동일한 형태의 생태연못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부족함이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계절에 대한 충분한 결과분석도 추가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임도 개설시 생태연못의 조성 필요성과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의 종류와 행동 및 이용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조류학 연구동향

        진채령(Chaelyeong Jin),어수형(Soo Hyung Eo)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국내 조류학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금까지 어떤 분야에서 연구를 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어떤 분류군에서 어떤 주제로 조류학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지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조류학회지 논문 372편을 분석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개체군 및 군집 모니터링, 미기록종 보고 및 번식생태, 조류 체내 중금속 오염 등의 주제와 관련한 단어가 연구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청둥오리, 민물도요, 흰뺨검둥오리 등 특정 조류에 연구가 편중되었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국내 조류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하여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연구주제와 분류군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For balanced development of ornithological research in Korea, it is important to review what birds and what research topics have been studied so far. W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trends of domestic ornithological research using text-mining and co-word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ing 372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ornithological journals, words related to research topics such as population and community monitoring, first record of species and breeding ecology, and heavy metal pollution in birds have been widely used in research articles. Except for subjects such as monitoring and first record of species,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widely. It was also found that research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birds such as Anas platyrhynchos, Calidris alpina, and Anas poecilorhyncha. The present study, which analyzed the research topics and avian taxa that were relatively active until now and those which were insufficient, suggests what we should do in the futur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ornithological research in Korea.

      • KCI등재후보

        봄철 하태도의 조류 번식 및 이동 양상

        김동원(Dong-Won Kim) 한국조류학회II 2009 한국조류학회지 Vol.16 No.2

        2004년 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하태도에서 조류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80종 10,261개체였다. 이동시기는 같은 과에 속하는 종들 간에도 달랐으며 이동 기간 역시 다양하였다. 번식이 확인 또는 추정되는 조류는 가마우지, 매, 칼새, 직박구리, 때까치, 바다직박구리, 휘파람새, 섬개개비, 동박새 등이었다. 대부분의 조류는 하태도를 중간기착지로 이용하거나 섬 상공을 경유하여 이동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조류 Ⅰ급 종은 노랑부리백로, 흰꼬리수리, 매, 멸종위기야생조류 Ⅱ급 종은 붉은해오라기, 물수리, 벌매, 솔개, 조롱이, 참매, 말똥가리, 새홀리기, 검은머리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삼광조가 각각 관찰되었다. 포획-재포획 조사를 통한 낮은 재포획율로 미루어 하태도에 중간기착한 새들의 대부분은 빠르게 섬을 떠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Hataedo Island during the spring migration period in 2004. Birds observed or captured in Hataedo Island were total 180 species, 10,261 individuals. Migration pattern was various even in the same Family. Breeding birds or potential breeder in Hataedo Island were Temminck's Cormorant (Phalacrocorax capillatus),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Pacific Swift (Apus pacificus), Brown-eared Bulbul (Hypsipetes amaurotis), Bull-headed Shrike (Lanius bucephalus), Blue Rock Thrush (Monticola solitarius), Japanes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Pleske's Warbler (Locustella pleskei), Japanese White-eye (Zosterops japonicus). Almost all species used Hataedo Island as a stopover site or flew over the Island. Endangered birds specie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were Chinese Egret (Egretta europhotes),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Peregrine Falcon including level Ⅰ, and Japanese Night Heron (Gorsachius goisagi), Osprey (Pandion haliaetus),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hynchus), Black Kite (Milvus migrans), Japanese Sparrowhawk (Accipiter gularis),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Common Buzzard (Buteo buteo), Eurasian Hobby (Falco subbuteo),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Black Paradise Flycatcher (Terpsiphone atrocaudata) including level Ⅱ respectively. Birds landed on the Island seemed to leave as fast as possible in respect of low recapture rate on capturerecapture procedure.

      • KCI등재후보

        조류의 다양성과 산림면적 및 인접거리와의 상관관계

        김우열(Woo-Yuel Kim),박치영(Chi-Young Park),이두표(Doo-Pyo Le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서구 도시림에서 도시림별 도시산림조류의 출현 종수와 도시림의 면적 및 도시림간의 거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광주광역시 서구의 산림 10개소(사월산, 발산, 소매봉, 봉황산, 화방산, 개금산, 송학산, 한생이산, 백마산, 금당산)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12월까지 조류상을 조사한 결과 야생조류 7목 22과 38종이 관찰되었다. 번식조류는 27종이었으며 최우점종은 물까치(14.0%)로 나타났다. 전체 종다양도는 2.69, 종풍부도는 5.70, 균등도는 0.74로 나타났다. 도시림간 유사도지수는 평균 0.47±0.13로 나타났다. 도시림의 면적과 조류의 총 종수, 번식 종수, 철새 종수와의 상관관계는 모두 도시림의 면적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수와 면적과의 상관관계는 면적이 넓어질수록 종풍부도는 높았고 균등도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면적이 넓어질수록 종다양도는 높아졌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도시림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도시림간종 유사도 지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류의 종수는 면적이 넓을수록 많고 산림의 인접거리가 가까울수록 조류의 이동이 원활하다고 판단된다. To provide essential basic information for increasing bird diversity of urban forest, bird censuses were conducted at the 10 forests (Sawolsan, Balsan, Somaebong, Bonghwangsan, Hwabangsan, Gaegeumsan, Songhaksan, Hansaengisan, Baengmasan, Geumdangsan) in Seo-gu, Gwangju. It from May to December in 2007. And from the result,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diversity and forest area and forest isol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 of census, a total of 663 birds of 38 species, 22 families and 7 orders was recorded in the 10 forests. Twenty seven breeding species were observed. The first dominant species was Cyanopica cyana (14%). Species diversity was 2.69. Richness was 5.70. Evenness was 0.74. Similarity index was average 0.47±0.13. A relationship between forest area and number of species, number of breeding species, number of migrant species and species richness appeared to positive, but that of species evenness showed negative. As the distance between forests was near, similarity index of bird species was higher. These results showed that more species live in large patches of forest, and that the less isolated a forest the more likely is a species to move it.

      • KCI등재후보

        강원도 삼척 산불 피해지의 조류 군집 특성

        이은재(Eun-Jae Lee),손승훈(Seung Hun Son),이우신(Woo-Shin Lee),임주훈(Ju-Hun Im),임신재(Shin-Jae Rhim) 한국조류학회II 2009 한국조류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내 산불피해지역에서 2008년 2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되었다. 본 지역은 산불피해 후 8년 동안 자연복원되면서 참나무류를 중심으로 흉고직경이 10㎝ 미만이며, 수고가 5m 미만인 아교목들이 우점하는 양상을 보였다. 총 10회에 걸쳐 선조사법을 통해 조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5종 248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영소 길드와 채이 길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영소 길드의 경우 수관과 지상 및 하층식생에서 둥지를 짓는 조류가 종수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개체수는 이차수동 조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채이 길드의 경우 지상 및 하층식생에서 먹이를 찾는 조류가 종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체수는 엽층을 탐색하며 먹이를 찾는 조류가 높게 나타났다. 자연복원에 의해 생육하고 있는 아교목은 1차 및 2차 수동 조류의 번식 둥지를 제공하지는 못하나 방치되어 있는 고사목이 번식 및 먹이자원 제공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산불 피해 후 조류의 종다양성 및 종풍부도를 유지하기 위한 일부 지역의 고사목 방치가 필수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and December 2008 in the forest fired area of Gumbong Mt., Samcheok, Gangwon Province, Korea. The study site is naturally restored for eight years, and Quecus spp. (DBH< 10㎝, tree height< 5m) were dominant. We made 248 detections of 25 bird species through 10 times line transect surveys. In result of analyzing nesting and foraging guild, densities of secondary cavity nesters and foliage searchers were highest in the study site. Snags could be positive effects for birds such as supply of nests and food resources. Snag retention could be considered for bird inhabitation in burned forest areas.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한라산에 설치한 인공소상을 이용하는 조류 현황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연구

        오홍식(Hong-Shik Oh),한상현(Sang-Hyun Han),강소연(So-Yeon Kang),강택중(Taek-Joong Kang),김병수(Byoung-Soo Kim),이정연(Jeong-Yeon Yi),김태규(Tae-kyu Kim),박수곤(Su-Gon Park),김태욱(Tae-Wook Kim),장민호(Min-Ho Chang)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한라산내 고도가 다른 3개의 지역에 인공소상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는 조류들을 분자유전학적 기법으로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설치된 인공소상 중 56.7%에서 조류 둥지가 관찰되었다. 둥지를 방문한 새나 부화한 유조에서 분리 또는 탈락된 깃털 및 부화에 실패한 알의 배아, 부화가 끝난 알의 껍질, 죽은 사체 등을 수집하여 DNA 분석에 이용하였다. 결정된 미토콘드리아 DNA(mtDNA) cytochrome oxydase I(COI) 유전자 서열 중 45 개의 서열이 조류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전자서열에 대한 BLAST 검색 결과, 박새(Parus major), 북방쇠박새(Poecile montanus), 까치(Pica pica), 큰부리까마귀(Corvus macrorhynchos), 벙어리뻐꾸기(Cuculus saturatus) 등이 최대 유사종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박새와 북방쇠박새 등과 유사 서열은 둥지를 직접 제작하여 이용한 조류로 사료되며, 까치, 큰부리까마귀, 벙어리뻐꾸기 등은 인공소상을 방문하였거나, 둥지제작과정에서 깃털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조사 지역 세 곳 모두에서 박새와 북방쇠박새 COI-유사종이 확인되었으며, 까치는 저지대인 관음사, 큰부리까마귀와 벙어리뻐꾸기는 고지대인 영실에서만 확인되었다. 야외 인공소상 이용조류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수행한 본 연구결과들은 향후 정확하게 동정된 시료의 유전자 서열 DB가 구축되고, 생태학적 조사결과와 조합된다면 지역별 조류상 및 생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avian species found nesting in wood boxes artificially settled at three different altitude localities in Mount Halla by a molecular genetic approach. The bird nests were found in 56.7% of the wood boxes settled. DNA samples used for sequence analysis were isolated from the eggshells, embryos, and feathers. The embryos actually failed in development. The feathers were released from the invited unknown birds or those estimated to be brought by the hosts. Forty-five sequences for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oxydase I (COI) gene were confirmed to be those of birds. BLAST results showed that these COI sequences were the most similar to those previously reported for Great tit (Parus major), Willow tit (Poecile montanus), Black-billed magpie (Pica pica), Jungle crow (Corvus macrorhynchos), and Oriental cuckoo (Cuculus saturatus). Among those, Great tit- or Willow tit COI-similar species were assumed to be the hosts of the bird nests, but others could be the invited species or material species whose feathers were used for nesting. In alllocalities, Great tit- and Willow tit COI-similar species were found, whereas Black-billed magpie was observed only in the lowest locality, Kwanseumsa, and Jungle crow and Oriental cuckoo in Eorimok and Youngsil.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useful information may be supplied to understand avian faun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hen combining field investigation and genetic analysis after construction of a molecular database capable of providing more reliable similarity search results.

      • KCI등재후보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멸종위기조류의 국내 분포현황

        김창회(Chang-Hoe Kim),강종현(Jong-Hyun Kang),이윤경(Yunkyoung Lee),김동원(Dong-Won Kim),서재화(Jae-Hwa Suh),김명진(Myungjin Kim)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1

        이 조사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1997년부터 2005년까지 3월에서 10월 사이에 남한 전역을 연차별로 나누어 1회 수행되었다. 이 조사에서 멸종위기조류Ⅰ급은 10종(전체 멸종위기조류Ⅰ급 중 76.9%), 멸종위기조류Ⅱ급은 38종(전체 멸종위기조류Ⅱ급 중 79.2%)이 관찰되었다. 멸종위기조류Ⅰ급은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넓적부리도요 Eurynorhynchus pygmeus,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lophotes,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두루미 Grus japonensis, 매 Falco peregrinus, 저어새 Platalea minor, 청다리도요사촌 Tringa guttifer, 혹고니 Cygnus olor,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이었으며, 멸종위기조류Ⅱ급은 가창오리 Anas formosa, 개구리매 Circus spilonotus, 개리 Anas cygnoides, 검은머리갈매기 Larus saundersi,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검은목두루미 Grus grus, 고니 Cygnus columbianus, 긴점박이올빼미 Strix uralensis,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독수리 Aegypius monachus, 뜸부기 Gallicrex cinerea, 말똥가리 Buteo buteo, 물수리 Pandion haliaetus, 벌매 Pernis ptilorhyncus, 붉은해오라기 Gorsachius goisagi, 비둘기조롱이 Falco amurensis, 뿔종다리 Galerida cristata, 삼광조 Terpsiphone atrocaudata, 새홀리기 Falco subbuteo, 솔개 Milvus migrans, 쇠황조롱이 Falco columbarius, 수리부엉이 Bubo bubo, 알락개구리매 Circus melanoleucos,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올빼미 Strix aluco, 재두루미 Grus vipio,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조롱이 Accipiter gularis, 참매 Accipiter gentiles, 큰고니 Cygnus cygnus, 큰기러기 Anas fabalis, 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팔색조 Pitta nympha, 흑기러기 Branta bernicla, 흑두루미 Grus monacha,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이었다. This survey has conducted throughout South Korea from March to October for 9 years (1997-2005). The Endangered Birds Species Level Ⅰ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was 10 species (76.9% of the Endangered Bird Species Level Ⅰ) and the Level Ⅱ was 38 species (79.2% of the Endangered Bird Species Level Ⅱ). The Endangered Birds Species Level Ⅰ was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Spoon-billed Sandpiper Eurynorhynchus pygmeus,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Eurasian Spoonbill Platalea leucorodia,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Peregrine Falcone Falco peregrinus,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Spotted Greenshank Tringa guttifer, Mute Swan Cygnus olor,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and the Endangered Birds Species Level Ⅱ was Baikal Teal Anas formosa, Eastern Marsh Harrier Circus spilonotus, Swan Goose Anas cygnoides, Saunder's Gull Larus saundersi, Eurasian Oystercater Haematopus ostralegus, Common Crane Grus grus, Tundra Swan Cygnus columbianus, Ural Owl Strix uralensis, Black Woodpecker Dryocopus martius, Black Vulture Aegypius monachus, Watercock Gallicrex cinerea, Common Buzzard Buteo buteo, Osprey Pandion haliaetus,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hyncus, Japanese Night Heron Gorsachius goisagi, Amur Falcon Falco amurensis, Crested Lark Galerida cristata, Japanese Paradise Flycatcher Terpsiphone atrocaudata, Eurasian Hobby Falco subbuteo, Black Kite Milvus migrans, Merlin Falco columbarius, Eurasian Eagle Owl Bubo bubo, Pied Harrier Circus melanoleucos,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Tawny Owl Strix aluco, White-naped Crane Grus vipio, Hen Harrier Circus cyaneus, Japanese Sparrowhawk Accipiter gularis,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es, Whooper Swan Cygnus cygnus, Bean Goose Anas fabalis, Schrenck‘s Bittern Ixobrychus eurhythmus,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Rough-legged Buzzard Buteo Lagopus, Fairy Pitta Pitta nympha, Brent Goose Branta bernicla, Hooded Crane Grus monacha, Long-billed Plover Charadrius placidu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