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시민성 개념의 탐색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의의

        김재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oncept of ‘cultural citizenship’ and also to understand cultural-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sake of it, the study formulated the purpose of cultural-art education as ‘cultivating cultural citizen and fostering the cultural citizenship.’ Then we explored the concept of ‘cultural citizenship’ to better understand the cultural citizen as well as cultural-art education. Cultural citizenship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ultural citizenship as membership’ is the first category. Traditionally, this type of membership was cherished as a key for the social cohesion. But in the era of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citizenship which embraces multiple identities and memberships carry higher importance. Second category is ‘Cultural citizenship as basic rights’. This includes a freedom from the oppression of art and cultural expression, a right to practice art and cultural activities, and a right to enjoy art and cultural works. Last category is ‘Cultural citizenship as virtues’. It requires cultural citizen to voluntarily as well as critically participate in an art and cultural community. Creativity, openness to the others, and ethical responsibility are also parts of the citizenship as virtues. The concepts proposed here, however, need to be challenged and revised consistently as the society changes. Researches that inquire into the contexts of cultural-art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that further elaborate the concepts of cultural citizenship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ollowing researches. 본 연구에서는 ‘문화 시민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문화시민성의 개념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지위와 자격으로서의 문화시민성(cultural citizenship as membership)이다. 전통적 의미에서 이러한 멤버십은 문화공동체의 통합과 결속을 가져올 수 있었지만,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인 시민성 개념이 요구된다. 두 번째는 시민의 기본적 권리로서의문화시민성 (cultural citizenship as basic rights)이다. 소극적 의미에서 문화예술적 표현에 대한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울권리, 그리고 적극적 의미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요구할 권리, 문화예술활동을 실천할 권리, 문화예술작품을 향유할권리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자질과 덕목으로서의 문화시민성 (cultural citizenship as virtues)이다. 문화시민에게는주체적이며 비판적인 문화공동체에의 참여, 문화예술적 독창성과 창의성, 그리고 타자에 대한 열린 태도와 윤리적책임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시민교육적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이와 같은 문화시민성을 담지한 문화시민을양성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아야 한다. 후속연구들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맥락을 보다 깊이 있게탐구하려는 시도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로서 문화 시민성의 개념을 보다 정교화 시키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시민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활용 문화교육 방안

        김영순,윤희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0 언어와 문화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ultural education method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using storytelling of native culture. As the expansion of the multi-culture society, interest in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rising. It is important that understanding one's own culture with first priority in order to understanding other culture under condi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own's culture is played an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other culture. Then this study proposes the native culture storytelling as method of understanding own's culture. This storytelling can provide interesting education to learners for the native culture. Furthermore, through the storytelling learners would expect their life naturally achieving their own culture. It is seems to be understanding other culture intersubjective critically in basis of understanding their culture. This will expect enhancing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ultural education method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using storytelling of native culture. As the expansion of the multi-culture society, interest in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rising. It is important that understanding one's own culture with first priority in order to understanding other culture under condi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own's culture is played an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other culture. Then this study proposes the native culture storytelling as method of understanding own's culture. This storytelling can provide interesting education to learners for the native culture. Furthermore, through the storytelling learners would expect their life naturally achieving their own culture. It is seems to be understanding other culture intersubjective critically in basis of understanding their culture. This will expect enhancing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 KCI등재

        기업시민성, 조직문화의 자산인가? :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조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조상미,안소영,조연지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3 시민사회와 NGO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rporate citizenship, and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effect of corporate citizen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a sample of 500 employees from Company 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ustomer orientation culture and the collaborative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philanthropic citizenship, legal citizenship, and ethical citizenship. The competitor orientation culture was found to enhance economic citizenship. In addition, among corporate citizenship, philanthropic and ethical citizenship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economic citizenship and legal citize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s with a customer orientation culture and a collaborative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forming philanthropic and ethical citizenship, and these organizations strengthene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which did not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showed a path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media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economic corporate citizenship influenced by the competitor orientation culture and legal citizenship influenced by the customer orientation and collaborative culture showed a path to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supports the idea that pursuing economic responsibilities and creating social value are critical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achieving sustainable business management.

      • KCI등재

        다문화 시민교육의 이념

        최성환(Sung-Hwan, Cho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8

        다문화 시민교육이란 기본적으로 다문화사회에서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이사회의 바람직한 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는 교육이다.이 교육의 목표는 한 공동체 내에서 다양한 문화를 인정·존중하는 정신을 함양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인도하는 것이다. 이 교육은 인종적·민족적·문화적·종교적(심지어 계층적) 편견과, 그에 기인하는 갈등을 예방하고 공존의 ‘모두스 비벤디’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하다. 다문화 시민교육은 공동생활의 영위와 문화형성과 연관된 체계적 이해와 상호 작용의 가능성을 탐색하게 된다. 이 글은 다문화 시민교육의 이념을 공동체의 의미와 인간성에 대한 조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다문화 시민교육의 영역조건들(Rahmenbedingungen), 예를 들면 교육의 주체, 대상, 내용, 방법, 평가, 피드백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그 대신 이 글은 예컨대 문화형성, 공동체 형성 그리고 편견의 형성과 극복과 같은 철학적·인간학적·심리학적 기초를 탐구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의 적절한 지향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이 글은 ‘시민권’이라는 정치적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고전적 시민교육대신에 ‘인간성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 시민교육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다문화 시민교육이 인간과 연관된 다양한 편견들을 극복하고 올바른 인간이해를 도모하는 것에 가장 큰 의의를 두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마이클 왈쩌의 관용론에 기초한 다문화주의 이해와 마사 누스바움의 시민교육론을 집중적으로 다루게 되는데, 이는 미국과 한국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들의 관점이 공동체 이해와 인간 이해에서 토대적 의미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s basically an education which cultivates civic competency that actively adapt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contributes to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e goal of this education is to cultivate a mind that approves and respects a diversity of cultures in a community, and moreover, to guide to have quality as a global citizen. This education is needed to prevent racial, ethnic, cultural, religious (even hierarchical) prejudices and conflicts arising from those, and to seek ‘modus vivendi’ of coexistence.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will explore management of communalism,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ulture. This paper tries to suggest the idea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meaning of community and the view on human nature. Therefore, here, the binding domain (Rahmenbedingungen)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for example,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subject of education, target, content, method, assessment, feedback, are not covered. Instead, this paper tries to seek appropriate intention point of multi-cultural society by exploring philosophical, anthropological, psychological basics such as formation of culture, formation of community, formation of prejudice and overcoming it. In addition, this paper tries to conside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the cultivation of ‘humanity’, instead of traditional, classic citizenship education carried out by political sphere. This is because a great importance is placed on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overcoming various prejudices related to human and promoting proper human understanding. This paper concentrates o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based on M. Walzer’s theory of tolerance and M. C. Nussbaum’s theory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this is because their point of view holds meaning of foundation i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human understanding, despite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 and Korea.

      • KCI등재

        다문화 시민성의 위계구조에 따른 형평교수 방법의 구조화

        김미현(Kim, Mi Hy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1 글로벌교육연구 Vol.3 No.1

        한국 사회는 결혼 이민자, 북한 이탈 주민, 외국인 노동자 등의 증가로 다문화 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입하였다. 이렇듯 다문화 사회로 전환함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문화 시민성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다문화 시민성 교육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적 접근을 통해 다문화 시민성 형성을 위한 형평교수 방법을 구조화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시민성의 위계구조와 형평교수의 의미와 방법을 탐색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시민성 수준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참여의 정도와 문제해결 유형을 선정하여 학생들의 시민성 수준을 파악하는 분류 질문지를 구성하여 분류해 보았다.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별 특징을 탐색하고, 수준에 적합한 형평교수 전략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하여 시민성 위계별 사회과 형평교수 방법을 구조화하였다. 이와 같은 시민성 수준별 형평교수 방법의 구조화는 다문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적 자질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수준별 형평교수 방법의 실행을 위해서는 교사의 적극적인 실천의지와 교육과정 및 학교현장의 개혁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교육적 노력을 통하여 다문화 시민성을 지닌 학습자로 성장하기를 기대해 본다. Now the modern society has turned the 'identity' era into the 'diversity' one. Korea also gets down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as marriage immigrants, North Korean defectors, and foreign laborers increase. With the advent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active demand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grows and the necessity to newly establish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rises. Based on the demanding of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is intended for structuring a equity pedagogy method in order to create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To achieve the purpose, literatures were studied to explore the levels of citizenship. And the meaning and the method equity pedagogy were investigated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level of 'participation degree' and 'problem solving type' were significant criterion to classify the level of citizenship, so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participation' and 'problem solving'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the citizenship level of student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by each test level was explored to establish a equity pedagogy strategy suitable to each level. And with the application of it, a method of equity pedagogy in social studies with different citizenship levels were structured. The structuring of a equity pedagogy method by each citizenship level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itizenship required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to perform the equity pedagogy method with different levels, the teachers' active practical will and the innovation of curriculum and in schools are also required. With such the educational efforts, learners are expected to learn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 KCI우수등재

        시민권(citizenship) 개념의 의미 확장과 변화

        장미경(Jang Mi Kyoung)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6

        시민권이란 근대 국가를 구성하는 시민들에게 '보편적 권리이자 자격권'으로서의 의미를 지닌 개념이다. 이러한 시민권 개념은 근대 이래 가장 먼저 자유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정초되었지만, 이후 역사적 발전에 따라 노동계급, 여성, 혹인 등 다양한 집단들에 의해 도전을 받게 된다. 자유주의자들이 정의한 '보편적인 성격‘을 지닌 근대적 시민권은, 실제로 현실세계 속에서는 오로지 백인 남성 부르조아 개인의 권리 보장으로 귀결되었고 노동계급을 비롯한 기타 다른 소수집단들을 배제하는 협소한 개념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의 한계를 지적하고, 역사적 발전에 따라 시민권 개념이 의미하는 바가 달라졌음을 주장하고 있다. 나아가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을 뛰어넘어 새로운 차원에서 시민권 개념이 재정의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즉 부르조아 남성 재인에 기초한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은 노동계급을 포함하여 기타 다른 소수집단을 포용하는 개념으로 바뀌어야 하며, '국가로부터 부여되는 법적ㆍ형식적 권리에 국한되었던 시민권 개념' 또한 평등이나 사회정의, 시민적 가치나 원리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개인적ㆍ독립적 권리에 국한되었던 시민권 개념도 집단적ㆍ관계적 권리개념을 포괄하는 것으로 재정의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시민적ㆍ정치적 권리뿐만 아니라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권리개념을 포괄해야 하며, 국가가 위로부터 부여해주는 소극적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시민들이 아래로부터의 요구를 통해 적극적으로 쟁취해나가는 '아래로부터의 동학적 개념'으로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민권 개념의 수정과 확장은 결국 민주주의 실현을 앞당기는 길이기도 하다. 특정 소수만이 아니라 사회를 구성하는 다수의 이익과 관심에 기초하여 시민권 개념이 재정의 될 때, 진정한 민주주의는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은 사회의 변화를 반영할 뿐 아니라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보다 많은 개인과 집단들을 포용하는 보다 확장된 시민권 개념으로 재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In modern state, citizenships mean universal rights and entitlements which citizens have. The concept of citizenship, having early been made by liberal thinkers after an establishment of modern society, has been challenged in the courses of historical developments by various groups such as labor classes, women, blacks and so on. The concept of modern citizenship recognized with universal characteristic by liberals, meant eventually a concept of guaranteeing individual man's rights belonged to bourgeois classes and an only narrow concept excluding rights of labor classes and other minor groups in real world. Therefore, this article points out limits of the concept of liberal citizenship and argues that its meaning has differed from over time.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citizenship, passing over notion of liberal citizenship, be redefined in new level. To put it other way, this article stresses that the concept of liberal citizenship based on an individual man belonged to bourgeois classes has to change into one including other minority groups such as labor classes and other minor groups, and its meaning limited to legislative and formal rights granted by the state, has also to enlarge into one including equality or social justice, civil values or principles. This article also maintains that the concept of citizenship limited to individual and independent citizenship has to be redefined into one including collective and relational citizenship. It maintains that the concept of citizenship has to include not only civil and political rights but als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to reestablish as active and dynamic concept being formed through demands of citizens from below, not just negative one granted by the state. Consequently, to amend and enlarge the concept of citizenship leads us to the way towards an achievement of democracy. If we redefine its concept as one based on interests and concerns of the majority not a specific few, we can achieve true democracy. The concept of liberal citizenship, thus, has to be redefined to the more enlarged one, not only reflecting change of society but also including more individuals and groups, the members of modem society.

      • KCI등재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o empower students as global citizens

        이지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3 No.-

        In this paper, I argue the following points: 1) Globalization is a dominant phenomenon in the contemporary world that brings different geographical parts of the world closer through the interaction and exchange of products, information, knowledge, and culture. 2)Global citizens actively participate in, and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ies regarding socio-cultural, economic, political, and environmental issues they create and share global cultures. 3) The global market and visual culture are both united and interdependent to make a better society; being a cultural consumer and having multicultural awareness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in a global society. 4) Art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cause global citizenship require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multicultural perspectives and socio-cultural awareness. 5)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relates art education to sociology and cultural studies, and this facilitates art-centered, cross-cultural,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6)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is an effective and powerful approach for teaching global citizenship. 7) Teaching and learning about global cultural sites in the VCAE curriculum is a meaningful way to empower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

        재한 조선족의 문화적 시민권 획득 노력: 소비자문화변용(consumer acculturation) 측면에서

        전승우 ( Chun Seungwoo ),두정 ( Jing Du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4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주해 온 조선족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사회경제적 영향력도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현지인들의 재한 조선족을 향한 차별과 편견은 존재하며, 조선족은 문화적으로 존중받지 못하는 상황, 즉 문화적 시민권에서 배제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적 시민권의 확보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소비가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탐구하였다. 11명의 재한 조선족과의 심층 면접결과, 소비가 이러한 노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조선족들은 소비를 통해 한국주류 사회 정체성을 표현하고, 이와 동시에 중국의 소비문화를 한국 현지인들에 소개하는 매개체 역할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 이 결과는 소비자문화변용 연구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선 이주국의 이데올로기가 이주민의 소비자문화변용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시민권 획득이 소비자문화변용 과정에서 현지문화를 수용하는 동시에 모국의 문화적 정체성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내적 동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ince the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started in 1992, many Korean Chinese have moved to Korea and their socioeconomic influence has grown in Korea. In Korea, however, there exist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them, they are not culturally respected, in other words, they are denied cultural citizenship. As Korean Chinese strive to secure cultural citizenship in various way,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that consumption plays in this process.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s with 11 Korean-Chinese, this study confirmed that consump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uch efforts. All interviewee told that thei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mselves lead them to feel annoyed, however, they were found to be critical against their own practice and culture. By problematizing their own people and practice, Korean Chinese realize the expectations and standards of the main stream culture in Korea. After realizing they are excluded from cultural citizenship, they make efforts to secure it and consumption such as brand selection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efforts. In addition, with the growing demand for Chinese consumer culture in South Korea, they actively perform the role of a medium to share the culture with the indigenous peoples. The role is also likely to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ethnic Koreans to help them enter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The results show that gaining cultural citizenship is an internal motive for consumer acculturation. It also proves that consump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Korean Chinese’s struggle for recognition for their cultural citizenship.

      • KCI등재

        2015년 프랑스 시민교육 교육과정 분석 및 시사점 탐색

        김영실 한국비교교육학회 2022 比較敎育硏究 Vol.32 No.1

        [Purpose]This study explores the French citizenship education 2015 curriculum that utilizes a concept ‘culture’ in the official curriculum. Based on this work, this research tries to find useful implications for designing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where society is diversified and conflicts of values ​​intensify. [Methods]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he social context in which citizenship education is emphasized in France was identified. Second, the discourses of politicians and the reports submitted to the government claiming to solve the current social problems through citizenship education were analyzed. Third, in order to confirm the discourse in the field of recontextualization that makes pedagogic discourse, the research works of curriculum scholars who participated in the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reform were utilized. [Results]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ers introduced the concept of 'moral culture' to solve the edification problem in transmission of values and categorized the cont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into four cultures. First, it is a 'culture of sensitivity'. This culture emphasized adolescents developing empathy and the ability to label their own emotions. Second, it is a ‘culture of rules and laws’. This culture is designed so that students can know the rules to be followed in the class and school life and understand the principles on which they are based. Third, it is a 'culture of judgment'. It is created through actions such as comparing with his/her preferences of values. Fourth, the ‘culture of participation’ pays attention to students putting into practice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 previous three cultures. [Conclusion]The French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provides useful examples to understand what kind of problems Korean citizenship education may face and what alternatives can be drawn ou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민교육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문화를 계획된 교육과정 차원에서 활용하는 프랑스의 교육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가 다원화되고 가치의 대립이 심화되는 한국에서 시민교육을 구상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랑스에서 시민교육이 강조되는 사회적 맥락을 파악하였다. 이후 사회문제를 시민교육으로 해결할 것을 주장하는 정치인 및 정부 제출 보고서의 담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민교육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참여한 교육과정 학자들의 연구물과 2015년 교육과정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민교육 연구자들은 가치의 일방적 전달이라는 교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덕적 문화’ 개념을 도입하고 시민교육의 내용을 네 가지 문화로 유목화 하였다. 첫째, ‘감수성의 문화’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공감하는 감정과 자신의 감정을 분명히 알고 이름 붙이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을 강조했다. 둘째, ‘규칙과 법의 문화’는 학생들이 교실과 학교생활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알고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원칙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셋째, ‘판단의 문화’로 이 문화는 학생들이 도덕적 선호를 명백히 밝히고, 다른 사람의 선호와 비교하는 행위를 강조한다. 넷째, ‘참여의 문화’는 학생들이 이전의 세 가지 문화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실천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 [결론] 프랑스의 시민교육 교육과정은 한국의 시민교육이 추후 어떤 문제 제기에 직면할 수 있으며 도출해낼 수 있는 대안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 유용한 사례를 제공한다.

      • KCI등재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방의료원을 대상으로 -

        이수창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divides organizational culture into four subculture types: r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It also separa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to five factors: altruism, conscientiousness, courtesy, civic virtue and sportsmanship.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organizational culture positively e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impacts of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ational culture and group culture posi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hierarchical culture has a negative effect on it. Developmental culture, however, doesn't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that local public hospitals should try to find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for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hanc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particular, local public hospitals need to change organizational culture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promo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지방의료원의 조직성과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분절적 접근시각에서보다는 통합적 접근시각에 초점을 두고 조직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보다는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로 했을 경우가 조직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문화 유형별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합리문화와 집단문화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위계문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을 통한 지방의료원 조직성과 제고전략을 분절적 관점에서보다는 통합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더 유용성이 높다는 것과 조직시민행동을 적극적으로 유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문화 정착 및 변화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