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에 중점을 둔 예비 보육 교사교육에서 예비 교사가 경험하는 배움의 과정

        안소영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applying small group discussion and journal writing instruction methods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leaning process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course focusing on small group discussions and journal writing. Towards this end, 27 senior students who took 'infant teaching methods' cours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1 at the M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Data collection for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collecting document data,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student journals, professor's feedback and small group discussion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learning that pursues holistic maturity, voluntary learning and learning that permeates their lives through an encounter with ‘I’, ‘you’, ‘information’ and ‘time’in teacher training course focusing on small group discussions and journal writing.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written questions, professor's feedback, class associated with concerns and proper combination of small group discussions and journal writing are critical elements to help achieve the learning. 본 연구는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에 중점을 둔 교육에서 예비 교사가 경험하는 배움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을 통해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 교수방법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 대학교 2011년 1학기 ‘영유아교수방법’ 수업을 수강한 4학년 학생 2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 인터뷰, 학생의 저널과 교수의 피드백, 소그룹 토의 등을 포함한 문서자료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에 중점을 둔 교육에서 학생들은 ‘나’, ‘너’, ‘정보’, ‘시간’과의 만남을 통해 전인적 성숙을 추구하는 배움, 자발적 배움, 몸에 스며드는 배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배움을 위해서는 질문 기록, 교수의 피드백, 관심사와 연계된 수업,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의 적절한 병행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다양성 특성, 포용-배제인식, 조직성과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안소영,조상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2 사회복지정책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are sufficiently included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o examine how the employees’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s 853 worker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results of exploring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first, the men were more inclusive than women in social welfare where women could be represented as the mainstream group because of the high proportion and experienced parental leave were more exclusive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at the undergraduate level and those with first-class social welfare had a higher perception of inclusion. Third the higher position and regular employee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inclusion. These majorly explored diversity characteristics mediate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was revealed that diversity characteristics, which had no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inclusive perception. Through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that make a difference in inclusive perception with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revealed that the employees’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is a major factor in enha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는 인간의 존엄성과 다양성 존중을 기치로 하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임직원들의 다양성특성이 충분히 포용되고 있는지 진단하고, 임직원들이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이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전국 지역사회복지관 종사자 852 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조직 내 다양성 특성을 포용-배제인식으로 진단한 결과 첫째, 여성 비중이 높아 여성이 주류집단으로 대표될 수 있는 사회복지조직 내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포용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육아휴직 경험자가 조직 내 포용되고 있다는인식이 낮았다. 둘째, 학부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한 임직원과 사회복지 1급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임직원보다 조직 내 포용되고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상태에서 직급이높을수록, 정규직 임직원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 이렇게 주요하게 탐색된 다양성 특성은 포용-배제인식과 조직몰입도를 매개하여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경로가 나타났다. 조직성과에 직접 영향이 없던 다양성 특성은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을통해 조직몰입도를 높여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영향이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최초로 사회복지조직 내 다양성 특성을 탐색할 수 있었고, 임직원들의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인식은 조직몰입과 조직성과를 높이는 주요한 요소임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COVID-19 팬데믹의 상호작용 변화와 사회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소영,이명진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4 No.2

        This article analyzed the spread of non-contact networks and social conflicts in the COVID-19 fandemic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enabled the hyper-connected society. And, Non-contact networks have expanded. The expansion of non-contact networks provides human beings with a widening of interaction and various opportunities beyond time and space. On the other hand, it increases conflicts. In COVID-19 pandemic, conflicts that have been overlooked or ignored have been revealed online. In Korea, as COVID-19 pandemic, conflict between polici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using ICT and violation of autonomy, gender conflicts due to telecommuting, class conflicts in resource allocation, and generational conflicts have emerged. Prolonged conflict increases social loss and social cost. Prolonged conflict causes social losses and co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conflict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article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xpansion of the non-contact network and the analysis of social conflic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이 글은 COVID-19의 확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산과 사회갈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초연결사회를 가능하게 하였고,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대를 가져왔다. 비대면 네트워크의 확장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인간에게 상호작용의 확대와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또한 COVID-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는 간과되거나 무시되어 왔던 갈등이 온라인을 통해 표면화되면서 갈등이 확대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COVID-19가 확산되면서 ICT를 활용한 방역과 자율성 침해, 재택근무로 인한 젠더갈등, 자원 배분에 대한 계층갈등, 세대갈등이 증폭되었다. 갈등의 장기화는 사회적 손실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갈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 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비대면 COVID-19 팬데믹 상황에 대한 비대면 네크워크의 확장과 사회갈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의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음악분석을 통한 영화 《디아워스》의 재해석: 장3화음과 단3화음의 내러티브적 의미

        안소영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음악이론포럼 Vol.22 No.2

        본 논문에서는 영화 《디아워스》(The Hours, 2002)의 음악을 분석함으로써 내러티브와 음악 간의 상호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이 영화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표면상 의 7화음(apparent 7th chord)에 주목하였으며, 이 7화음이 영화가 진행될수록 공통음 관계에 있 는 장3화음과 단3화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하였다. 보다 더 흥미로운 점은 이 영화에 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는 삶과 죽음이 이들 장3화음과 단3화음의 교대로 표현됨으로써 영화의 내러티브에 반영된다는 점이다. 즉 장3화음과 단3화음의 대조적 음향은 삶과 죽음의 대조를 의미하 기도 하며 또한 최대한의 공통음 관계에 있음으로써 삶과 죽음의 연관성까지 표현한다고 볼 수 있 다. The paper examines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narrative and music by analyzing the film music of The Hours(2002). First of all, I focused my attention to the apparent 7th chords, frequently shown in the music, and found the 7th chord is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common-tone related major and minor triads. Interestingly, the conflict of life and death, an important theme in the film, is expressed by the alternation of major and minor triads. Thus, the contrasting sound of major and minor triads can be related to the contrast of life and death, and the common-tone relation between major and minor triads also exp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 KCI등재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근긴장도,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예비 연구

        안소영,강순희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for 6 weeks could improve the muscle strength, muscle tone,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Method: Eleven stroke patients who had agreed with the study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categorized as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training combined with less affected side training group (experimental group 1, n=4), affected side training group (experimental group 2, n=3), and both side training group(experimental group 3, n=4). The muscle strength, muscle tone, balance and gait were assessed by hand-held dynamometer, Modified Ashworth Scale (MAS), Berg Balance Scale and G-walk at before training and after train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chang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intra-group. Kruskal Wallis H test,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analyze changes of all variables in inter-groups. Result: All the muscle strength except the affected knee flexor and extensor muscle were increased in all three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change in muscle tone(MAS) in all three groups. All three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BBS scor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lking speed and walking symmetry were increased in all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llowing training. The changes of affected step length in the experimental group 1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m of the experimental group 3. The changes of affected step length in the experimental group 3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m of the experimental group 2.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e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would be a potential intervention to improve muscle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balance and gait in stoke patie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6주간 실시한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근긴장도, 균형 및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11명의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3개 집단 즉, 비마비측 하지 운동군(실험군1, n=4), 마비측 하지 운동군(실험군2, n=3), 양측 하지 운동군(실험군3, n=4)에 대하여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저항운동을 적용하였다. 훈련 전·후 근력, 근긴장도, 균형 및 보행을 평가하기 위하여 디지털 소형 근력계, Modified Ashworth Scale(MAS), Berg Balance Scale, G-walk를 사용하였다. 종속 변수의 군내 훈련 전·후 변화 및 군간 변화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Kruskal Wallis H 검정 및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마비측 무릎 굽힘근과 폄근을 제외한 모든 근력과 BBS 점수, 보행속도 및 보행 대칭성은 세군 모두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세군 모두 근긴장도에는 변화가 없었다(p>.05). 훈련 전·후 마비측 보폭거리의 변화량에서는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즉, 마비측 보폭거리의 변화량에서 실험군 1이 실험군 3보다 유의하게 더 컸고, 실험군 3이 실험군 2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력, 균형, 보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잠정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야나체크의 현악4중주 제1번 《크로이처 소나타》에 나타난 5음음계의 활용과 응용

        안소영,송세라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音樂論壇 Vol.38 No.-

        Janáček’s String Quartet No. 1, The Kreutzer Sonata (1923), was composed in the 1920s, the last eight years of his life. It is interesting that most of Janáček’s compositions, written during this period, have no key signatures, but all four movements in this music have them. He used “major pentatonic scales,” consisting of 1, 2, 3, 5, 6 of the diatonic major scale of tonal music, “minor pentatonic scales,” altered with b3 and b6, and “major/minor pentatonic scales,” combined with two scales, in The Kreutzer Sonata. Thus, he developed pentatonic scales in his own unique way, and the key signatures in this piece were arranged to be suitable these systems. 야나체크(Leoš Janáček, 1854-1928)의 현악4중주 제1번 《크로이처 소나타》(The Kreutzer Sonata, 1923)는 야나체크 인생의 마지막 8년인 1920년대에 작곡되었다. 이 시기에 작곡된 야나체크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조표가 사용되지 않는데 이 작품은 네 개의 악장 모두 조표를 가진다는 점이 특이하다. 야나체크는 그의 현악4중주 제1번에서 온음계적 7음음계에서 음도 1, 2, 3, 5, 6으로 구성된 “장조적 5음음계”와 3과 6에 내림표로 변화한 “단조적 5음음계,” 그리고 장조적 5음음계와 단조적 5음음계의 속성이 모두 나타나는 “장조적/단조적 5음음계”를 사용한다. 즉, 그는 현악4중주 제1번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법으로 5음음계를 발전시키며, 각 악장의 조표는 이러한 5음음계에 적합하게끔 배치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