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文科 統合 授業을 위한 敎授․學習 활동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한문과의 교육 내용을 영역과 내용으로, 영역은 다시 ‘한문’과 ‘한문 지식’으로 나누었다. 한문과의 특성과 교육 내용을 간명하게 제시하기 위해 영역 구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교실 한문 수업 장면에서 학습자의 한문 학습 과정에 비추어 보면, 영역이나 내용이 分節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통합적으로 작용한다. 바로 이점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敎科에서 통합이란, 일차적으로 교육과정에서 區劃된 영역 및 내용의 통합을 말한다. 통합의 層位와 範圍는 크게 교과 외적 통합과 교과 내적 통합으로 나눌 수 있다. 한문과의 경우, 교과 외적 통합은 한문 교과와 타 교과 예컨대 국어과, 역사과, 철학과 사이 등 교과 간 통합을 말하고, 교과 내적 통합은 한문과 내용 체계의 영역과 영역, 영역과 기능, 기능과 기능, 그리고 텍스트와 텍스트 등의 통합을 일컫는다. 이 연구에서는 한문 교과 내 통합에 注目한다.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따르면 한문 교과 내 통합 층위는 영역 간 통합, 영역 내 통합을 들 수 있다. 영역 간 통합은 일차적으로 ‘한문’ 영역과 ‘한문 지식’ 영역의 통합을 말하는데, 한문 영역 가운데 읽기, 이해 영역은 언어 기능이기 때문에 이들 언어 기능과 한문 지식 영역 사이의 통합을 설정할 수 있다. 영역 내 통합은 한문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된 읽기, 이해, 문화 사이의 통합과 한문 지식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된 한자, 어휘, 문장 사이의 통합을 말한다. 한편, 읽기와 이해의 경우, 이들 기능 사이의 통합도 고려할 수 있고, 특정 기능 예컨대 읽기 기능 안에서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그리고 풀이하기 등을 통합하는 기능 내 통합도 구안할 수 있다. 영역 간이나 기능 사이의 통합 차원과 달리, 학습 내용 및 학습 목표(성취 기준)의 통합을 꾀할 수 있다. 한문, 한문 지식으로 나뉘어 있는 40 여 개의 학습 내용을 서로 관련 있는 것끼리 묶어 단원 단위로 학습 내용이나 학습 목표(성취 기준)의 통합을 지향할 수 있다. 또한 한문과에서 설계 가능한 통합 대상으로 텍스트나 주제 및 소재 차원에서의 통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한문과의 주요 텍스트를 크게 短文, 散文, 漢詩로 범주화했다. 텍스트 통합을 예로 들면, 내용과 주제 이해하기의 경우, 단문, 산문, 그리고 한시를 다차시 층위에서 각각 분리해서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주제 및 목표 중심 대단원 구성 방식에서 이들 텍스트를 통합해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短文에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하는 原理를 익힌 뒤, 散文에서 이를 적용, 발전시키고 漢詩를 통해 주제 이해하기를 심화, 확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주제 및 소재 차원의 통합은 대단원 구성 방식과 연계하여 통합을 설계할 수 있다. 후속 과제와 관련하여, 한문과 통합은 위에서 제시한 영역, 내용, 기능, 그리고 텍스트의 통합 이외에 지식, 기능, 태도의 통합, 개별 전략이나 기법의 통합, 낮은 수준의 기능과 고등 수준의 기능 사이의 통합도 가능하고 필요하다. I. Foreword Concerning the categorie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the Chinese classics course as revised in 2007, the category comprised the Chinese classics and knowledge related to them, while the content comprised mid categories and content elements. Overall, the revised course came to comprise two large categories, six mid categories, and 16~17 content elements. Despite the need for categorization, questions have been raised as to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lassics course can be divided into Chinese classics and related knowledge whether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lated to the Chinese classics course can be checked independently and statistically and whether such a new effort does not conflict with the whole language. These questions led to the commencement of this study. II. Integration of categories of the Chinese classics course "Integration" refers to the work of organizing the separate parts with the aim of making them into a whole or linking and integrating them into a system. As for the Chinese classics course, integration can be divided into extracurricular and intracurricular integration, depending on the layer and scope. Extracurricular integration means integration between the Chinese classics-related curriculumand other curricula. As for intracurriclar integration, examples of the intracurricular integr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course include integration between categories of Chinese classics and those of knowledge related to the Chinese classics integration between categories and skills; integration of teaching contents and integration of texts, etc. In terms of class design or classes given in the classroom, the teaching/learning content of the Chinese classics course is comprehensive and general in its nature. Taking reading, understanding, culture,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and syntax individually, for example, none is separable from the others. Individual categories, contents and skills are interactive and inter-complementary. The same is true of the process of comprehending the Chinese classics: Reading and understanding are not separable from each other. Indeed, one helps the other. The model for proces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classics and whole language also supports the integration of Chinese classics course categories. Ⅲ. Class design for integration of the categories of the Chinese classics course The ultimate aim of class design for the integration of the categories of the Chinese classics course is to enhance the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hinese classics through such integration, rather than integrating the categories or contents. The following [examples of category integratio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class design for integration of the various categories: [Examples of category integration]Learning content (A) [1-Chinese characters-(4)] Reading and writing Chinese characters correctly (B) [1-Sentence-(1)]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a sentence (C) [1-Sentence-(2)]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 sentence (D) [1-Understanding-(1)]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subject of short sentences taken from the Chinese classics The foregoing (A), (B) and (C) concern learning content in the Chinese classics-related knowledge category, while (D) concerns learning content in the categories of Chinese classics. In the foregoing examples, a sub-part presents learning contents belonging to two categories. The presentation of several learning contents together does not mean integration. The substance of integration lies not in the parallel display of learning contents, but in how learning contents are embodied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the essence of class design. [Example of a short sentence] O-bi-i-rak (烏飛梨落) (literally meaning, "A pear drops as a crow flies from the tree.")[Teaching/learning activity]1) A student wrote down the pronunciation of the phrase i...

      • KCI등재후보

        인터넷을 활용한 漢文科 敎授·學習 方案 硏究

        홍성욱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1 No.-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한문 과목의 교수·학습 계획과 방법을 세우고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함에 있어 "각 단원의 체제와 내용에 맞추어 컴퓨터 통신 또는 멀티미디어 자료 등을 활용하여 한자,한자어,한문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라고 明示하여 교사들에게 이를 적극 활용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상당 수의 교사들이 흠페이지를 만들어 교육의 보조 자료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우리 나라가 초고속인터넷 보급률 세계 1위이며, 사이버 교육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 제고와 무관하지 않다. 주지하듯 사이버 교육은 물리적으로 같은 공간에서만 교육이 가능하다는 기존 인식을 깨뜨리고, 교사와 학생이 시공간적 장벽을 넘어 활발한 상호 작용을 통해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계 전반에서 두루 활용되는 추세라 할 수 있다. 특히 한문 과목은 교과의 성격 상 부수적으로 설명할 내용도 많고 우리 생활 전반에서 두루 활용되는 교과이기 때문에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사이버 교육은 공교육의 미비한 부분을 보완하여 공교육 활성화의 대안이 될 수도 있다. 본고는 사이버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는 초중고등학교 한자 한문 교육 관련 웹 사이트의 운영 실태를 점검하며 이것이 제 7차 교육 과정의 큰 틀의 하나 인 "정보화 세계화 교육 강화,수준별 교육 과정,수요자 중심 교육"의 취지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그리고 한문 교과목의 교육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면서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은 "世界化 ·情報化에 적응할 수 있는 自己主導的 能力의伸張"을 한문과 교과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다. 국가간 무한 경쟁 시대에 지식정보화로 우월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목표 제시는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한문 과목의 학습을 통해 신장될 능력이란 무엇일까?아마도 우리에게 필요한 지식을 제대로 습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글로벌 사회에서 주변 국가와 민족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들과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렇다면 한문 교과목은 학습은 과거를 답습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이의 선결 요건 가운데 하나가 한자 한문에 대한 的確한 이해라 할 것이다. 한자 한문 교육 관련 콘텐츠의 대부분이 한자 한문의 이해로 구성된 것은 그러한 점에서 제대로 된 방향 설정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내용물을 담고 있다고 하여 그 이유에서 담았는지는 의문이다. 필자가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한 바에 의하면 오히려 콘텐츠 구성과 접근의 용이함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는 홈페이지는 많되 실제로 교육의 수월성 제고에 기여할 만한 콘텐츠가 손으로 꼽을 정도인 현실에서도 확인되는 바이다. 현장 교사들 중의 일부는 교육 현장에서 중고교 한문 교육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못한 현실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이 얼마의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각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제 7차 교육 과정이 제시한 방법을 원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며, 현장 수업의 여러 제한을 극복하고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가장 유용한 도구로 인터넷의 활용한다면 그렇게 하지 않은 것보다는 나은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한자 한문 교육에 편향되지 말고 漢詩와 漢文 散文 小說의 이해와 감상을 위한 콘텐츠도 충실히 갖추어져 공교육의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었으면 한다. In the 7th education course, it sees clearly and requests that, "Suiting for a structure and a substance of each unit, the effectiveness in studying character and word of Sino-Korean, and writing of Sino-Korean should be raised using computer communication or multimedia data, etc.", teachers make efficient use this to make a plan and a practical use for teaching and study of Sino-Korean course, and many of them make their own website and operate this as assistant data in education. This means there is a connection with which Korea is first ranked in supply rate of very high speed Internet, and the concerns about cyber education in our society are raising. As is generally known, cyber education tends to be made a practical use in the whole education field in point of what it breaks existing recognition, "Cyber education is available only in physical same space.", and w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achieve an educational goal through active mutual act, neglecting time and space. Especially, Sino-Korean course have much substance to explain additionally in its character and is practically used in our whole life that a cyber education using hypertext can be an alternative plan for an activation of a public education, complementing deficient parts of public education. This draft checks a situation how the website in connection with an education in character and writing of Sino-Korean, being achieved through cyber space, is operated, and suggests there is a desirable way, considering how this corresponds with the aim of, one of big frame of the 7th educational course, "Strengthening informative and globalized education, educational course by a level, a consumer centralized education", and how this can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 of Sino-Korean course. The 7th educational course suggests that the substance of Sino-Korean course should be, "Extension of self-leading ability that can accustomed to globalization & information.". A presentation of a goal like this can be desirable to obtain a superior status with intellectual information in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By the way, what is ability to be extended throughout study of Sino-Korean course? This may be a proper learning of essential knowledge we need, standing in a trio of his or her right values, and planning for harmonized development with them throughout understanding of surrounding countries and a nation. Then, Sino-Korean course is not essential to following and understanding the past, but to the present and the future. One of important matters to decide in advance will a definite understanding about character and writing of Sino-Korean. What most of the contents in connection with character and the writing of Sino-Korean were composed of understanding of writing of Sino-Korean can be said that it established a right direction at that point. However, it is doubt whether it is included for that reason from the fact that it contains those contents. When an author checked the contents, on the contrary, the reason maybe structure of contents, and easy access. It is proved even in the situation that the contents, being able to contribute to raising an educational easiness, are actually very rare even if there are many educational website. A part of teachers in a field are skeptical how much harvest the school lessons can gather in the situation that an education of writing of Sino-Korean at middle and highschool is not well operated. However using the method the 7th educational course has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a better harvest will be gathered if using internet practically as a useful measure in conquering various limits in field education, inducing students, and achieving an educational goal. In addition, it is desired that a defect of public education be complemented with substantial content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Sino-Korean poetry, writing of Sino-Korean, a prose, and a novel without learning to an education of character and writing of Sino-Korean.

      • KCI등재

        독서 과목의 구조

        이성영 ( Seong Young Lee ) 한국어교육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1

        We can divide structures of `Reading` course to three parts: relation, contents and performance structure. Relation structure is concern to relations with other courses and specificity. The `reading` course is not the synthesized-or-repeated deepening but transition course of `reading` area in basic-common curriculum. Contents structure is concern to goals and contents of `reading` course. We can see the specific shape of `reading` course through contents structure. Knowledge and skill are not goals because they are contents. The goals of `reading` course should be `good reading`, `happy reading`, and `learning by reading`. The contents of `reading` course should be consist of knowledges for understanding reading phenomena, skills for growth and problem-solving and cooperative reading and independent reading, experience for meaning and activity and emotion. Performance structure is concern to unfolding methods in order to realize educational intent. we can see the specific modes of educational activities. Performance structure is consist of contents, materials, teachers and students. These three structures of `reading` course should have inner-rationality and outer-co-relationship.

      • KCI등재

        수업 중간평가를 통한 수업 내용 이해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 요인 탐색

        변현정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ing and learning factors to improve course instruction by analyzing midterm course evaluation. For this study, the midterm course evaluation data from thre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our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tepwise-method were performed. Two dependent variables are understanding contents and midterm course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awareness of learning goal, systematic class management, the luculent explanation of knowledge, friendly relationship with instructor, learning reflection note, and class preparation. As a result, understanding of cont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uculent explanation of knowledge, learning reflection note, and awareness of course goal. The midterm course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uculent explanation of knowledge, learning reflection, systematic course management, and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instructor. This result suggests that both the luculent explanation of knowledge by instructor and learn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including tasks should be meaningfully considered to improve courses. 이 연구는 수업 중간평가 결과분석을 통해 나타난 수업 내용 이해와 수업 중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소재 A대학에서 교직교육과정을 수강하는 83명의 학생으로, 교직이론과목의 세 수업에서 실시한 수업 중간평가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단계적 입력 방식(stepwise)을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수업의 내용이해와 수업 중간 만족도이고, 독립변인은 교수 변인(4가지: 학습목표, 체계적인 수업진행, 명확한 내용 전달, 교수자와의 친밀감)과 학습 변인(2가지: 예습, 학습성찰을 통한 복습)이다. 분석 결과, 수업의 내용이해에는 ‘명확한 내용 전달, 학습성찰을 통한 복습, 학습목표 이해’세 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중간 만족도에는‘명확한 내용 전달, 학습성찰을 통한 복습, 체계적인 수업진행 및 교수자와의 친밀감’ 네 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속변인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명확한 내용전달과 학습성찰을 통한 복습’이다. 수업 설계 및 운영 시 교수자의 명확한 내용 전달과 더불어 학습의 내면화를 위한 학습 촉진 활동이 함께 설계되고 수업운영에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性格, 目標, 內容의 問題點

        안재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This is a thesis that roughly points out the problems that the 7th revised Chinese Education Course has into 'Character', 'Purpose', and Contents'. 1. The 'Character' of Chinese Education Course needs to develop and suggest a character which only Chinese Class has. 2. The 'Purpose' of Chinese Education Course needs to re-suggest about tightening up the usage of vocabulary of Chinese for communication. 3. Below is a matter of 'Contents' distinguished into 'Chinese' and 'knowledge of Chinese'1)In part of 'Chinese', there are matters of Name Calling, 'Reading and 'Comprehension', a character of 'Culture' and contents. 2)In part of 'Knowledge of Chinese', there are matters of 'Vocabulary' of terms and including contents, 'Complement', standard of setting up 'a Form of Sentence, classification of word class and contents, range of rhetoric and contents etc. I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re reflexed to the education course - 1. by revising or supplementing and applied to the form of Chinese education 2. Also undergoing the process of being applied - the appropriate Chinese education course will be made. 이 논문은 우리가 지금 시행하고 있는 제7차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성격’, ‘목표’, ‘내용’ 등으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지적한 논문이다. 1.교육과정의 ‘성격’은 한문 교과만이 고유하게 가지는 성격도 개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2.교육과정의 ‘목표’는 한자 어휘의 언어생활의 활용에 관한 강화 문제도 다시 제시할 필요가 있다. 3.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문제는 ‘한문’과 ‘한문지식’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문’ 영역에서는 ‘한문’ 영역의 명칭문제, ‘읽기’와 ‘이해’의 포함문제, ‘문화’의 성격 및 내용문제 등이 있다. 2) ‘한문지식’ 영역에서는 ‘어휘’에 관한 용어 및 내용포함 문제, ‘보어’의 문제, ‘文形(Sentense Form)의 설정 기준 및 내용문제, ’품사‘의 분류 및 내용문제, ’수사법‘의 범위 및 내용 문제 등이 있다. 위에 제시되고 있는 문제점들이 수정‧보완되거나 해결되어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다시 다양한 한문교육의 양상에 적용되어 또 다시 교육과정에 투입되는 과정을 거치면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이 만들어 질 것이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 보호 학습 사례 연구

        이수정 민족어문학회 2019 어문논집 Vol.- No.87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 중심 수업의 한 유형인 내용 보호 학습의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자들의 경험 진술을 통해 효과적인 내용 중심 수업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내용 보호 학습 후 내용 이해도 확인을 위해 학습자들의 강의 요약문을 살펴보았는데 미숙한 요약의 양상으로 ‘과소 요약’이 많이 나타났으며 ‘재기술’은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입력된 내용을 개별적으로는 받아들이나 내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어 학습자들의 자유로운 수업 경험을 듣기 위해 표적집단면접법(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의 어려움이 배경 지식과 언어 지식의 부족, 듣기 전략의 부재에서 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의적 차원에서는 불안과 자신감 저하 등을 겪기는 하나 전문적인 지식을 한국어로 듣는다는 것에 대한 동기 부여는 강하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효율적인 내용 보호 학습이 진행되기 위해서 본 연구는 ‘1-2-1’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하나의 내용 강의를 듣기 위해서는 앞뒤에 그에 상응하는 수준의 수업 전후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비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수업 전 수행 내용으로는 배경 지식의 활성화와 어휘 활성화를, 후 단계의 수행 내용으로는 요약하기 등 내용 정리를 통한 내면화를 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case of ‘Sheltered Courses’, a type of content-based class targeting Korean Language Learners of Academic Purposes, and to find an effective content-based class through experiences of the learners. First, the summary of the learners was analyzed to check the understanding of contents after sheltered courses. In the form of immature summary, there were many ‘under summaries’ that list all the details without condensing the contents. The ‘re-description’ rarely appeared. Then, FGI was conducted to listen to learners’ free class experi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fficulty of sheltered courses comes from the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language knowledge, and lack of listening strategies. Despite the high level of anxiety and low self-confidence, the motivation for sheltered courses was strong.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more effective content based class for them, this study proposed the ‘1-2-1’ method. This is a ratio that indicates that a content based class requires sufficient ‘before and after courses’. It includes internalization through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such as activ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and vocabulary as pre-class contents, and summarizing as post-class content.

      • KCI등재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 개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강경연,강혜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This study aimed to create a career course contents list for develop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undergraduates. To this end, the draft of the career course contents list was creat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Next,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between August 10 and September 14, 2018.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Delphi, analyzed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of composition and clarity of expression; this helped in determining the final list of the proposed career course content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 finalized college career course contents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onsisted of 43 components across 9 categories. There were 6 in self-understand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self-identity; 4 i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posi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4 in the building of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attitudes; 4 in the understanding of vocation and industry trends; 6 in career information search and use; 4 in career decision; 4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nd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5 in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career plans; and 6 in the cultivation of employment competenc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college career course contents and suggestions for follow - up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교육내용 초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진로교과목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2018년 8월 10일∼9월 14일 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성의 적절성, 표현의 명료성에 대한 내용타당도(CVR)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의 교육내용은 9개 영역 43개 하위내용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이해 및 긍정적 자아정체감 확립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 이해 및 실천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직업생활에 필요한 직업의식과 태도 고취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직업 및 산업동향의 이해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진로정보 탐색과 활용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 진로의사결정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평생학습 중요성 인식 및 참여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진로계획 수립․실천 및 관리 영역(하위 5개 교육내용), 구직역량 함양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일부 保健分野 大學院 및 大學의 敎科目分析

        李時伯,李英淑,全商一,李泰鎭 서울大學校保健大學院 1995 國民保健硏究所硏究論叢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that are opened at the graduate schools as master and doctoral courses and colleges as an undergraduate cour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scope and the number of curriculum that are opened, though the orgainiz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can be influenced by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the number of students, the number of professors, the objective of education, the division of major subjects.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 is a need to minimize the differences among colleges by the standardization of the number and scope of core major subjects required subjects, selective subjects by the undergraduate, graduate and Ph.D course under the same educational goal. Second, there is little common feature among colleges in the scope and content of same subjects that are opened in each college, which requires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ncept and content of the same subjects. Third, there is a large similarity in the content of the same subjects that are opened betwee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which poses a problem of establishing the different level betwee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ccordingly, the differentiation in the content, the depth, the scope in the same subjects that are opened i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s required. Fourth,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scope and content of subjects among graduate schools, which requires the standardization of content and scope. Fifth, the similarity betwee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should be analyzed on the bais of education goals. There should be detailed discussion and further study on this issue.

      • KCI등재

        중국의 2017년 개정 고급중학교 『지리과정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강창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3

        In 2013, China’s Ministry of Education began to revising the Curriculum Standards for advanced middle schools, which was revised in 2017.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17 revised advanced middle school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changes in the revised 『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 were made on based of two aspects: the 『Curriculum Plan』 for advanced middle school and 『Curriculum Standard』 for each subject. The main focus of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Plan』 was on the educational establishment of advanced middle school’s education, optimization of the curriculum structure, and strengthening the system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In case of the 『Curriculum Standard』, it emphasized the simplification of core competence by subject, revision of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curriculum standards. Second, the major change in the revised Standard was that previous content standard was found to be divided into three parts: course composition, course contents, and the quality of learning. Finally, a key change in the revised Standard is in the composition system of the “course contents”: It was composed of three modules: mandatory, selective, and optional, which were expanded to include 14 subjects. In the appendix, core competences were clearly presented in four ways: harmony between humans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synthetic thinking, regional perception, and geographic practice. 2013년 중국의 교육부는 고급중학교 교육과정 개정을 시작하였고, 그동안 시행되었던 『과정표준(실험)』은 2017년 『과정표준』으로 개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개정 고급중학교 『지리과정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정 『지리과정표준』의 주요 변화는 과정방안과 각 학과의 과정표준을 기초로 이루어졌다. ‘과정방안’ 개정의 주요 초점은, 고급중학교 교육의 교육적 정립, 교육과정 구조의 최적화, 교육과정의 효율적 실시를 위한 제도 강화 등이다. 각 학과 ‘과정표준’은 학과별 핵심 소양의 간결화, 교학내용의 개정, 학과 과정표준의 질적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둘째, 개정 고급중학교 『지리과정표준』의 주요 변화는, 과거의 ‘내용표준’이 과정구성, 과정내용, 학업의 질의 3가지 부분으로 세분되고, 내용이 상세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정 고급중학교 『지리과정표준』의 핵심적인 변화는 ‘과정내용’의 구성체계 변화다. 즉, 고급중학교 지리과정은 필수, 선택성 필수, 선택과목의 3개 과정으로 편제되었고, 이들 과정은 14개 과목으로 확대, 편제되었다. 그리고 부록에서 지리과 핵심 소양은 인지조화관, 종합적 사고, 지역 인식, 지리 실천력의 4가지로 그 의미와 수준이 명료하게 제시되었다.

      • KCI등재

        A Case Study of the Award Winning Science Methods Course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US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Lee, Young He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미국의 휴스턴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속의 예비 초등 교사를 위한 과학교육방법론 수업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휴스턴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미국의 교사교육 승인 국가 위원회(NCATE)으로부터 2007년 우수 교사교육 프로그램으로 인정받았고,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은 프로그램 내에서 2010년 우수 강의상을 수상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가을부터 2012년 봄까지의 4년간(8학기) 실행되었던 수업을 5가지 PCK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사례연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분석의 개념틀로 이용된 5가지 PCK 요소(Park & Oliver, 2008b)는 (a)과학교수학습에 대한 지향(OTS), (b)과학에 대한 학생의 지식(KSU), (c)교과과정에 대한 지식(KSC) (d)교수학습 전략 및 방식에 대한 지식(KISR), 그리고 (e)과학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지식(KAs)이다. 분석 결과에서는 5가지 PCK 요소 중에서 (a)과학교수학습에 대한 지향(OTS)과 (b)과학에 대한 학생의 지식(KSU)는 수업 개발과 구성의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외의 3가지 PCK 요소인 (c)교과과정에 대한 지식(KSC) (d)교수학습 전략 및 방식에 대한 지식(KISR), 그리고 (e)과학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지식(KAs)은 다양한 “주제 중심 통합” 방식으로 현장 중심 활동을 통하여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의 구조와 구성에 통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의 PCK 인식의 요소변화에 대한 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cience methods course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the University of Houston in the US. This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recognized as the U.S. Distinguished Teacher Education Program by the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NCATE] in 2007, and the science methods course analyzed in this study received the Teaching Excellence Award Course in 2010. This study adopted a case study method to examine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CK implemented in the science methods course over a period of 4 years (8 academic semesters) from the perspective of instructor PCK. The five components of PCK were served as a conceptual framework in this study: (a) Orientations toward Teaching Science (OTS), (b)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in Science (KSU), (c)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KSC), (d)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Representations (KISR), and (e) Knowledge of Assessment of Science Learning (KAs) (Park & Oliver, 2008b). The findings show that among the five components of PCK, orientation to teaching science (OTS) and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in science (KSU) are the foundations for designing the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the course. Also, the three components of PCK;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KSC),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representations (KISR), and knowledge of assessment of science learning (KAs) were integrated into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science methods course with a variety of field-based activities as “a topic-specific integration”.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search to examine what and how components of PCK that students possess has been chang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instructor's PCK throughout the comple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as been chang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instructor's PCK throughout the comple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